KR900007363B1 - 구동물의 급귀환 장치 - Google Patents

구동물의 급귀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363B1
KR900007363B1 KR1019880001765A KR880001765A KR900007363B1 KR 900007363 B1 KR900007363 B1 KR 900007363B1 KR 1019880001765 A KR1019880001765 A KR 1019880001765A KR 880001765 A KR880001765 A KR 880001765A KR 900007363 B1 KR900007363 B1 KR 900007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ear
crank
plate
coax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1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3388A (ko
Inventor
정기철
Original Assignee
정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철 filed Critical 정기철
Priority to KR1019880001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7363B1/ko
Publication of KR890013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3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4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oscillating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Toys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구동물의 급귀환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장치 개략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단면 표시도.
제3도는 제2도 A-A선 단면도.
제4도는 "a""b"는 본 발명 요부의 괘적선도.
제5도 본 발명의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동축 1',1" : 괘지핀
3 : 체인기어 3' : 체인
4 : 조정장치판 4' : 축설축
4" : 홈 5 : 조정볼트
6 : 승장판 6' : 축봉
7 : 축봉 8 : 크랭크
8' : 홈 8" : 승강판
9 : 크랭크축봉 9' : 괘지핀
10,10 : 축수 11 : 베어링
12,13 : 기어 14,14' : 축수
15 : 연동축봉 15' : 괘지핀
16,16' : 베벨기어 17 : 전동축봉
18,18' : 축수 19,19' : 클랭크휠
20,20' : 왕복운동간
본 발명은 구동물의 급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론하면 자카드직기와 같은 각종 기계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1회전 운동과정에서 회전운동의 감속과 과속이 동시에 이루어질수 있게한 구동물의 급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1회전 운동과정에서 이의 회전운동이 감속과 과속이 동시에 이루어질수 있게한 캠형상의 차치가 있기는 하였으나, 이는 제작상 난점은 물론 정확한 가감속도를 기대할 수 없고 또한 소음이 막심하여 공해요인이 되고 있다.
한편 요동 슬라이드 크랭크 기구로 구성된 급귀환 장치가 있기는 하나 이는 왕복운동을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해야하기 때문에 구조상 복잡성으로 인하여 많은 장치공간을 차지하는 폐단이 있을뿐만 아니라 1회전운동으로는 급속 귀환이 불가능한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함에 있어 1회전 과정에서 감속과 과속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이에 조정장치를 부여함으로서 필요로 하는 타이밍을 임의로 조절할수 있게 할 뿐만아니라 이의 감속 및 과속 회전 운동을 상하 및 좌우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킬수 있게 한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를 도면에 의거 그 구조와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축수(2)(2')(2")에 축설된 동축(1)의 우측에는 체인기어(3)가 괘지핀(1')에 의해 고정되어 체인(3')으로 회동되게 하고, 동축(1)의 좌측단에는 조정장치판(4)의 축설부(4')가 괘지핀(1")에 의해 괘지되어 슬라이딩 편심 운동되게 하며 조정장치판(4)의 일측에 요설된 안내홈(4")에는 승강판(6)이 유삽되어 조정볼트(5)에 의해 승강 조정되게 하였고 승강판(6)에 연설된 축봉(6')은 크랭크(8)의 일측홈(8')에 유삽된 승강판(8")에 관삽되어 있으되 크랭크(8)는 축수(10)(10')에 축설된 크랭크 축봉(9)의 내단에서 괘지핀(9')에 의해 고정되며 조정장치판(4)의 홈(4") 하방에 유삽된 축봉(7)은 크랭크 축봉(9)에 관삽된 베어링(11)에 의해 공회전되는 기어(12)에 편심되게 관삽되어 있으되, 기어(12)와 연동되게한 연동기어(13)은 축수(14)(14')에 축설된 연동 축봉(15)과 괘지핀(15')에 의해 축착되어 있으며 연동 축봉(15)의 선단에 관착된 베벨기어(16)은 축수(18)(18')에 축착된 전동 축봉(17)에 베벨기어(16')와 연동되게 하였으며, 전동 축봉(17)의 상하단에는크랭크 휠(19)(19')이 축착되고, 이 크랭크 휠(19)(19')에는 왕복운동간(20)(20')이 연결된 구조이다.
미설명 부호 21은 직기 22는 단동식자카드 이다.
이상과 같이 된 본 발명은 주로 1회전 운동을 하는 과정 저속운동과 고속운동을 필요로 하는 구동물 예컨데 단동식자카드(22) 장치를 한 직기(21)에 있어 상하 경사가 개구될시에는 레피어 헤드가 완속운동으로 전진되게 하고, 상하경사가 폐구 될시는 레피어 헤드가 급속운동으로 후진되게 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원동기를 가동시키면 체인(3')에 의해 체인기어(3)가 회동되면서 동축(1)은 화살표시 방향으로 회동함과 동시 그 선단에 관착된 조정장치판(4)이 회동하게 한다.
이때 조정장치판(4)의 안내홈(4') 상부에는 승강판(6)이 조정볼트(5)에 의해 조정되어 동축(1)과는 일정거리를 유지하고 있고 이 승강판(6)의 선단에 연설된 축봉(6')은 크랭크 축봉(9)에 축착된 크랭크(8)의 홈(8)내에 유삽된 승강판(8")에 관삽되고 동축(1)과 크랭크 축봉(9)은 편심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판(6)이 최하위로 하강조절 되었을때도 크랭크(8)의 크랭크운동이 가능할 뿐만아니라 회전수의 동일 회전운동을 하게된다.
한편 조정장치판(4)의 홈(4") 하방에 유삽된 축봉(7)은 크랭크 축봉(9)에 관삽되어 베어링(11)에 의해 공회전하는 기어(12)에 편심되게 관삽되어 있기 때문에 조정장치판(4)은 동축(1)을 축점으로 크랭크 운동을 한다.
그리고 조정볼트(5)의 조정으로 동축(1)과 축봉(6')의 거리가 짧으면 짧을수록 동축(1)을 축점으로한 축봉(7)의 운동거리는 멀기 때문에 전동기어(13)의 회전수는 고속회전되고 반대로 동축(1)과 축봉(6')과의 거리가 멀면 멀수록 동축(1)을 축점으로 하는 축봉(7)의 운동거리는 짧기 때문에 전동기어(13)의 회전수는 감속회전 된다.
따라서 조정장치판(4)이 1회전운동을 함에 있어 승강판(6)을 축착한 축봉(6') 부위의 기어(12)이빨이 전동기어(13)이빨과 교합 회동될시는 전동기어(13)가 감속회전을 하게되므로 이때 전동기어(13)와 연관되는 완복운동간(20)(20')은 전진 위치되게 하면 되고 조정장치판(4)에 유삽된 축봉(7)이 관삽된 부위의 기어(12)이빨이 전동기어(13)의 이빨과 교합 회동될시는 전동기어(13)는 가속 회전하게 되므로 이때 전동기어(13)와 연관된 왕복운동간(20)(20')은 추진위치되게 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자카드 직기외에 이와 흡사한 기능을 하는 모든 구동장치에 적용함에 있어 1회전운동과정으로 감속회전운동과 고속회전운동을 동시에 이루어질수 있게 함과 동시 운동방향 절환도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산업적으로 크게 기여할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동축(1)의 일단에 조정장치판(4)을 축착하여 편심 회전되게 하고, 조정장치판(4)의 안내홈(4") 상부에는 승강판(6)을 유삽하여 조정볼트(5)로 승강 조정되게 하고 승강판(6)에 연설된 축봉(6')은 축봉(9)의 내선단에 축착된 크랭크(8)의 홈구내에 유삽된 승강판(8")에 관삽되며, 조정장치판(4)의 홈(4'') 하방에 유삽된 축봉(7)의 일단은 축봉(9)에 관삽된 베어링(11)에 의해 공회전되는 기어(12)에 편심되게 관삽되어 조정볼트(5)의 조정으로 승강봉(6)의 축봉(6')과 동축(1)과의 거리가 가감됨에 따라 축봉(7)과 동축(1)과의 거리는 반비례적으로 가감되게 하고 공회전 기어(12)와 연동되는 연동기어(13)의 연동축봉(15)에는 베벨기어(16)을 축착하여 전동축봉(17)에 축착된 베벨기어(16')와 연동되게하며 전동축봉(17)상하에는 크랭크휠(19)(19')을 축착하여 왕복운동간(20)(20')의 크랭크휠(19)(19')과 연결된 구동물의 급귀환 장치.
KR1019880001765A 1988-02-17 1988-02-17 구동물의 급귀환 장치 KR900007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1765A KR900007363B1 (ko) 1988-02-17 1988-02-17 구동물의 급귀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1765A KR900007363B1 (ko) 1988-02-17 1988-02-17 구동물의 급귀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3388A KR890013388A (ko) 1989-09-22
KR900007363B1 true KR900007363B1 (ko) 1990-10-08

Family

ID=19272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1765A KR900007363B1 (ko) 1988-02-17 1988-02-17 구동물의 급귀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36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3388A (ko) 1989-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054C (zh) 往复式机构及包括这种机构的发动机
DE69014796D1 (de) Sperrvorrichtung für eine mechanische Winde mit geradliniger oder kreisförmiger Bewegung.
EP0142687A3 (en) Method and device for lubricating a chain
KR900007363B1 (ko) 구동물의 급귀환 장치
KR870001727B1 (ko) 원단 추진방법 및 원단추진 장치를 갖는 재봉기
US4261391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double plush cloth webs
KR900702112A (ko) 하부 직물 슬라이드가 달린 재봉틀
KR100203916B1 (ko) 퀼팅머신의 실채기 요동장치
JP2707135B2 (ja) フレーム支承された針ロッドを備える縫製ミシン
US3872733A (en) Motion transmitting apparatus
JPS6338035Y2 (ko)
KR900009518Y1 (ko) 쟈카드기의 동력전달장치
CN209218965U (zh) 方格簇同步推进机构
KR800000841Y1 (ko) 레피아식 직기의 레피아 구동장치
US5285739A (en) Transmission mechanism for a mini-sewing machine
KR850001295Y1 (ko) 쇠톱날 성형장치
KR940001737Y1 (ko) 레피어직기의 레피어와 리드의 구동장치
KR930002329Y1 (ko) 리드핀 제조기의 소재 공급장치
KR910002532A (ko) 3차원 가공 방식에 의한 스프링 성형제조기
KR830002242B1 (ko) 요동형 주간(走間)전단기
SU796418A1 (ru) Привод канатно-цепных пил
SU1418360A1 (ru) Привод чулочно-носочного автомата
SU894280A1 (ru) Шаровинтова передача
KR900000437Y1 (ko) 선재(線材)의 절단 장치
KR840002343Y1 (ko) 레피어직기의 레피어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