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032B1 - 푸시풀 증폭기 출력단의 과부하 방지회로 - Google Patents

푸시풀 증폭기 출력단의 과부하 방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032B1
KR900007032B1 KR1019870005069A KR870005069A KR900007032B1 KR 900007032 B1 KR900007032 B1 KR 900007032B1 KR 1019870005069 A KR1019870005069 A KR 1019870005069A KR 870005069 A KR870005069 A KR 870005069A KR 900007032 B1 KR900007032 B1 KR 900007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comparator
push
input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5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1748A (ko
Inventor
쉬미츠 프리드리히
Original Assignee
도이체 톰손-브란트 게엠베하
롤프-디이터 베르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이체 톰손-브란트 게엠베하, 롤프-디이터 베르거 filed Critical 도이체 톰손-브란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870011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1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6Push-pull amplifiers; Phase-splitters theref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0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 H03F1/307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in push-pul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0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 H03F1/3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in case of switching on or off of a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52Circuit arrangements for protecting such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 Measurement Of Resistance Or Impedance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푸시풀 증폭기 출력단의 과부하 방지회로
도면은 상보형 출력트랜지스터를 가진 푸시풀 중폭기 출력단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부하임피던스 10 : 차동증폭기
20 : 비교기
본 발명은 출력에는 부하임피던스가 기준전위로 접속되어 있고, 푸시풀 증폭기의 출력단내에 흐르는 출력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최소한 하나의 감지소자를 가진 트랜지스터로 된 푸시풀 증폭기 출력단의 과부하를 막기 위한 회로에 관한 것이다.
출력단의 과부하를 막기 위한 회로는 예로써 독일특허 DE-PS 33 11 955에 기술되어있다. 여기서는 출력단에 있는 감지저항에 의해 출력전압에 비례하는 전압이 발생하는데, 이 전압은 미리 주어진 출력전류의 초과시 측정 및 접속장치를 통해 출력단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그런데 제시된 회로는 출력전류를 절반만 감지한다. 따라서 이 회로는 정확도가 충분치 못하며 예로써 하이파이장치대의 고가의 출력단에 부적당하다. 게다가 공지된 회로는 넓은 허용범위를 갖기 때문에 출력단의 규정된 차단점이 얻어질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과부하시에 출력단의 규정된 차단점을 정확하게 얻어내는데 있다. 이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르는 푸시풀 중폭기 출력단의 과부하 방지 회로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은 에미터가 서로 상보적으로 접속된 출력 트랜지스터(1) 및 (2)를 가진 공지된 푸시풀 증폭기 출력단의 회로구성을 보여주는데, 출력트랜지스터의 클렉터는 동작 전압전위(+UB1) 및 (-UB1)와 접속 되어있다. 예를들면 라우드스피커 형태인 부하임피던스(3)는 푸시풀 증폭기의 출력단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다. 부하임피던스의 다른 출력은 기준 전위 예를들면 접지로 연결되어 있다. 푸시풀 증폭기의 출력단내에 흐르는 폐로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에미터라인내에 각각 저항(4) 및 (5)이 접속되어 있다. 페로전류를 조절하기 위해 출력트랜지스터(1) 및 (2)의 베이스사이에 접속된 트랜지스터(6)가 사용된다. 입력단(7)을 거쳐 입력신호(UE)가 공급되는데, 이 입력신호(UE)는 전치증폭기(8) 및 구동트랜지스터(9)를 거쳐 푸시풀 증폭기의 출력단을 구동시킨다. 저항(4) 및 (5)에서 기준전위에 대해 측정된 전압이 나오게된다. 폐로전류 및 부하임피던스(3)를 통해 페로전류 중폭되어 흐르는 부하전류로 형성되고, 저항(4)에서 나온 전압은 차동증폭기(10)의 비반전 입력단에 공급되고 저항(5)에서 나온 전압은 차동증폭기(10)의 반전입력단에 공급된다.
차동증폭기(10)의 출력단에는 도면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같은 신호가 발생한다. 이 신호에는 폐로전류에 해당하는 값(UR) 및 신호전류에 해당하는 값(US)이 함께 놓인다. 차동증폭기(10)의 반전 입력에 부의 신호값이 공급됨으로써, 출력의 위상이 약 180°정도 반전되는 현상이 생긴다. 차동증폭기(10)에 대한 공급전압(UB2)이 최대한 푸시풀 증폭기의 출력단에 대한 공급전압(UB1)보다 작기 때문에, 차동증폭기(10)에는공급된 신호전압이 분할비 정도 경감되어야하는데, 이때 분할비는 (R11+R12)/R11로 되는 저항값 비율이다. 차동증폭기(10)는 V=R12/R11의 증폭율을 갖는다.
차동증폭기(10)의 출력신호는 비교기(20)의 펄스-입력에 놓이고, 이 비교기(20)의 (-)입력은 기준전위(Uref)에 놓이며, 이 기준전위(Uref)는 저항(21) 및 (22)으로 구셩된 전압분배기에 의해 발생되며, 이 전압분배기는 동작전압(+UB2)와 기준전위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차동중폭기(10)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위(Uref)를 초과하면, 즉시 비교기(20)의 출력이 고전위로 가는데, 이 고전위는 예를들면 푸시풀 증폭기 출력단의 입력에 접속된 트랜지스터(25)를 구동시키며, 이 트랜지스터는 입력신호(UE) 단락시키기 때문에 과부하가 중지된다. 과부하가 제거되면 즉시 트랜지스터(25)가 다시 차단되고 출력단의 클럭위치, 예를들면 구동트랜지스터 (9)를 차단시킴으로써도 행해질 수 있다.
출력단이 표준동작일 정우에 비교기(20)의 출력에는 기준전위가 놓이는데 반해 과부하일 경우에는 동작전압(UB2)와 연결된 저항(28)의 값에 의해 미리 주어진 크기(+Ua)로 상승한다. 이러한 전위상승은 저항(23) 및 콘덴서(24)를 거쳐 트랜지스터(25)의 베이스로 전송되며 이 트랜지스터는 도통된 상태가 된다. 이로인해 비교기(20)의 기준 전압입력이 기준전위로 접속되기 때문에 비교기의 출력은 확실하게 고전위로 유지된다. 따라서 콘덴서(24)는 충전되고, 트랜지스터(25)는 베이스의 제어에 의해 오랫동안 도통된다.
콘덴서(24)가 충전되면, 트랜지스터(25)가 차단되고 기준전압(Uref)이 비교기에서 다시 작용하도록 저항(27)에 나타나는 트랜지스터(25)의 베이스 에미터전압이 강하된다. 뮤우트시그널에 의해 과부하가 없어지면, 비교기의, 출력이 기준전위로 간다 이로인해 콘덴서(24)가 다이오드(26)를 통해 충분히 방전되기 때문에 새로운 주기에 대한 초기상태가 된다.
과부하가 계속되면, 비교기의 출력은 즉시(+UB2) 전위로 다시 상승하고 과부하가 사라질때까지 과정을 반복한다. 이러한 과정은 도면에 파형도 a,b 및 c로 표시되어있다.
한편, 푸시풀 증폭기내에 있는 페로전류를 조절하기 위해 푸시풀 증폭기가 과부하되는 동안 상응하는 시그널이 라인(29)를 통해 페로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Claims (6)

  1. 출력에는 부하임피던스가 기준전위로 접속되어 있고, 푸시풀 증폭기의 출력단내에 호르는 출력전류를 검출하기 위해 최소한 하나의 감지소자를 가진, 트랜지스터로된 푸시풀 증폭기의 출력단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회로배열에 있어서, 푸시풀 증폭기의 출력단(1,2)의 각 분기에 감지소자(4,5)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이 감지소자에서 기준전위에 대해 측정된 전압이 발생되며, 이 전압은 차동증폭기(10)의 각 입력(+/-)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차동증폭기의 출력은 비교기(20)의 한입력과 연결되어 있고, 비교기의 다른입력은 기준전위(Uref)에 놓이며, 비교기(20)에 공급된 입력전압이 기준전위(Uref)를 초과했을때 비교기(20)의 출력에서 푸시풀 증폭기의 출력단(1,2)을 차단하기 위한 신호가 나오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증폭기 출력단의 과부하 방지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차단을 위한 신호가 푸시풀 증폭기 출력단의 입력에 직접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차단을 위한 신호가 구동단(9)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4. 제1,2 또는 3항에 있어서, 푸시풀 증폭기의 출력단이 과부하될때 비교기(20)의 출력신호가 타임유니트(23,24,27) 및 이 타임유니트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스위치(25)를 거쳐 비교기(20)의 기준전압입력을 기준전위로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타임유니트는, 비교기(20)의 출력과 전자스위치(25)의 제어전극사이에 직렬 접속된 저항(23) 및 콘덴서(24)와 전자스위치(25)의 제어전극 및 기준전위사이에 접속된 저항(2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다이오드(26)는 그 캐소드가 비교기(20)의 출력과 연결되도록 저항(23)과 병렬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KR1019870005069A 1986-05-23 1987-05-22 푸시풀 증폭기 출력단의 과부하 방지회로 KR9000070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617477 1986-05-23
DEP3632077.3 1986-05-23
DE3632077.3 1986-05-23
DE19863632076 DE3632076A1 (de) 1986-05-23 1986-09-20 Schaltungsanordnung zur automatischen einstellung des ruhestromes in einer gegentaktendstuf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748A KR870011748A (ko) 1987-12-26
KR900007032B1 true KR900007032B1 (ko) 1990-09-27

Family

ID=258440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5068A KR900007031B1 (ko) 1986-05-23 1987-05-22 푸시풀 증폭기 출력단에서 폐로전류를 자동으로 조절하기위한 회로
KR1019870005069A KR900007032B1 (ko) 1986-05-23 1987-05-22 푸시풀 증폭기 출력단의 과부하 방지회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5068A KR900007031B1 (ko) 1986-05-23 1987-05-22 푸시풀 증폭기 출력단에서 폐로전류를 자동으로 조절하기위한 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249729B1 (ko)
KR (2) KR900007031B1 (ko)
AT (1) ATE67352T1 (ko)
DE (2) DE3632076A1 (ko)
ES (1) ES2025575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44112A1 (de) * 1987-12-01 1989-06-15 Carl Spitzenberger Verstaerkeranordnung
IT1229860B (it) * 1988-11-09 1991-09-13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Amplificatore audio integrato con regolazione unificata delle funzioni di "mute" e "stand by" e dei transitori di commutazione.
DE3920802A1 (de) * 1989-06-24 1991-01-10 Telefunken Electronic Gmbh Pull- und push-verstaerkerschaltung mit ruhestromstabilisierung
DE4308287C2 (de) * 1993-03-02 1995-01-19 Jochen Herrlinger Elektrischer Leistungsverstärker und Verfahren zu dessen Betrieb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55958A5 (ko) * 1969-08-07 1971-05-14 Ibm France
JPS5323419Y2 (ko) * 1972-11-20 1978-06-16
DE2822037C2 (de) * 1978-05-20 1980-07-24 Braun Ag, 6000 Frankfurt Schaltungsanordnung zur Regelung des Arbeitspunktes bei einem Gegentakt-B-Verstärker
US4207475A (en) * 1978-07-31 1980-06-10 Kepco, Inc. Efficient bipolar regulated power supply
JPS56160112A (en) * 1980-04-30 1981-12-09 Sony Corp Biasing circuit of electric power amplifier
DE3343110C1 (de) * 1983-11-29 1985-05-30 Deutsche Thomson-Brandt Gmbh, 7730 Villingen-Schwenningen Transformatorlose Gegentaktendstuf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67352T1 (de) 1991-09-15
EP0249729B1 (de) 1991-09-11
EP0249729A1 (de) 1987-12-23
DE3632076A1 (de) 1987-11-26
KR900007031B1 (ko) 1990-09-27
DE3772856D1 (de) 1991-10-17
ES2025575T3 (es) 1992-04-01
KR870011748A (ko) 1987-12-26
KR880004637A (ko) 198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7482B1 (ko) 전류검출회로
US5907238A (en) Power source monitoring arrangement and method having low power consumption
US3054910A (en) Voltage comparator indicating two input signals equal employing constant current source and bistable trigger
US3290520A (en) Circuit for detecting amplitude threshold with means to keep threshold constant
US5495155A (en) Device in a power delivery circuit
EP0596473A1 (en) Circuit for monitoring the drain current of a MOSFET
US5210475A (en) Current sensing circuit for use with a current controlling device in a power delivery circuit
US3694748A (en) Peak-to-peak detector
US5032774A (en) Current sensing circuit for use with a current controlling device in a power delivery circuit
KR900007032B1 (ko) 푸시풀 증폭기 출력단의 과부하 방지회로
EP0789458A1 (en) Circuit with overload current protection for power transistors
EP0058005B1 (en) Protection circuit for an output transistor
US3931547A (en) Protection circuit
GB2027307A (en) Transistor power amplifier protection circuit
US3436560A (en) Voltage level detector with tunnel diode
JP2515332B2 (ja) プッシュプル出力段を過負荷から保護するための回路装置
US3988642A (en) Electronic cut out for a circuit to be protected
US3602832A (en) Low zero-offset transducer apparatus
KR0156673B1 (ko) 전원전압 감시회로
KR920007127Y1 (ko) 드롭아웃 검출회로
US3986056A (en) Circuit for transforming a trigger signal into a pulse
US3983415A (en) Semiconductor switching circuit
SU1198488A2 (ru) Двухпол рный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ый источник питани (его варианты)
JP2773156B2 (ja) 定電圧保護装置
JP2589744Y2 (ja) 光電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