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941B1 - 휴대할 수 있는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할 수 있는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941B1
KR900006941B1 KR1019860009148A KR860009148A KR900006941B1 KR 900006941 B1 KR900006941 B1 KR 900006941B1 KR 1019860009148 A KR1019860009148 A KR 1019860009148A KR 860009148 A KR860009148 A KR 860009148A KR 900006941 B1 KR900006941 B1 KR 900006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de
central processing
stored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9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8245A (ko
Inventor
야스오 이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와타리 스기이치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033345A external-priority patent/JP25578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03879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96784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와타리 스기이치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70008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휴대할 수 있는 전자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할 수 있는 전자장치의 1실시예인 lC카드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IC카드의 기능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IC카드의 희로구성을 나타낸 개략 블럭도.
제4도는 데이터메모리가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제5도는 제4도에 있어서 영역 "0"에 기록되는 색인테이블의 예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제6도는 데이터와 더불어 기록되는 숙성정보의 비트구성도.
제7도는 기록명령데이터의 형식을 나타낸 도면.
제8도는 독출명령데이터의 형식을 나타낸 도면.
제9도(a) 및 제9도(b)는 본 발명에 따른 IC카드의 데이터 기록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제10도(a) 내지 제10도(e)는 제7도에 도시된 기록명령데이터의 형식에 응답해서 본 발명에 따른 IC카드가 데이터기록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11도는 데이터메모리의 영역에 데이터가 기억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제12도(a) 및 제12도(b)는 제8도에 도시된 독출명령에 응답해서 본 발명에 따른 IC카드가 수행하는 데이터의 독출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드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IC카드 2 : 카드독출/기록기
3 : 중앙처리장치(CPU) 4 : 키보드
5 : CRT표시장치 6 : 프린터
7 : 플로피디스크 11 : 독출/기록부
12 : 암호설정부/암호조합부 13 : 암호화/부호화부
15 : 제어소자(CPU) 15a : RAM
16 : 불휘발성 데이터 메모리 17 : 프로그램메모리
18 : 콘넥트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기술분야)
본 발명은 예컨대 금융시스템 또는 쇼핑밍시스템등에 사용되는 휴대할 수 있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불휘발성 데이터 메모리 및 중앙처리장치(CPU)와 같은 제어소자를 갖춘 IC 칩을 내장하고 있는 소위 IC카드라 불리워지는 휴대할 수 있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최근, 새로운 휴대할 수 있는 데이터기록매체로서 불휘발성 데이터메모리 및 CPU와 같은 제어소자를 갖춘 IC칩을 내장하고 있는 IC카드를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이러한 IC카드는 대부의 제어소자 또는 IC카드에 접속되는 IC카드독출/기록기로 데이터메모리에 기억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IC카드를 이용한 응용으로써 금융시스템 또는 쇼핑시스템등을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응용에서는 데이터의 정당성을 검사할 필요가 있게 된다. 즉, 데이터를 데이터메모리에 기록할 경우에는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함으로써 그 데이터가 정확하게 기록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되지만, 데이터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할 경우에는 그 데이터가 정확하게 독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없었다.
(발명의 목적)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해서 발명된 것으로, 데이터메모리에 기억된 데이터를 독출할 경우 그 데이터의 정당성을 확실하게 검사함으로서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된 휴대할 수 있는 전자장치를 제공하고자 항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할 수 있는 전자장치는, 변동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기억수단과, 이 데이터기억수단에 대해 데이터의 독출 및 기록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를 구비한 휴대할 수 있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접속된 호스트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변동데이터를 상기 데이터기억수단에 기억시킬 때 상기 변동데이터의 에러검출정보를 부가해서 기억시켜 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마른 휴대할수 있는 전자장치의 1실시예인 IC카드가 적용되는 홈뱅킹시스템 또는 쇼핑시스템등과 같은 단말장치로서 사용되는 카드취급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카드취급장치는 IC카드(1)를 독출 또는 기록하는 카드독출/기록기(2)와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보드(4)와, 키보드(4)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및 IC카드(1)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CRT표시장치(5), 상기 데이터를 기억하는 플로피디스크(7), 상기 데이터를 인쇄하는 프린터(6) 및, 카드독출/기록기(2)와 키보드(4), CRT표시장치(5), 프린터(6) 및 플로피디스크(7)를 제어하도록 접속되는 제어부(CPU;2)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IC카드(1)는 사용자가 휴대하고서 예컨대 상품구입등을 할 때 사용자만이 알고 있는 암호번호의 참조라던지 필요한 데이터의 기억등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IC카드(1)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독출/기록부(11)와 암호설정부/암호조합부(12), 암호화/복호화부(13) 및 이들 각 회로부를 관리하는 슈퍼 바이저(14)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독출/기록부(11)는 카드독출/기록기(2)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독출, 기록 또는 소거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암호설정부/암호조합부(12)는 사용자가 실정한 암호번호의 기억 및 독출금지처리를 수행함과 더불어 암호변호의 설정후에 그 암호변호를 조합하여 이후의 처리의 실행을 허용하게 된다. 또 암호화/복호화부(13)는 예컨대 통신회선을 매개해서 중앙처리장치(3)로부터 다른 단말장치로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의 통신데이터가 누설되거나 위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암호화나 암호화된 데이터의 복화화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암호화 표준의 암호화 알고리즘에 따라 데이터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슈퍼바이저(14)는 카드독출/기록기(2)로부터 입력된 기능코드 또는 데이터에 부가된 기능코드를 해독함으로써 필요한 기능을 선택해서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IC카드(1)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어소자(예컨대 CPU:15)와 기억대용을 소거할 수 있는 불휘발성 데이터메모리(16), 프로그램메모리(17) 및 카드독출/기록기(2)와의 전기적 접촉을 얻기 위한 콘넥트부(18)로 구성되어 있는데, 여기서 파선내의 중앙처리장치(15)와 데이터메모리(16) 및 프로그램메모리(17)는 IC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에서 프로그램메모리(17)는 마스크 ROM으로 구성되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게 되고, 데이터메모리(16)는 EEPROM으로 구성되어 각종 변동데이터를 기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메모리(16)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는바, 이들 각 영역은 다시 단일 또는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이들 각 블럭은 각 영역마다 소정의 바이트수로 구성되어 그 블럭을 단위로 해서 처리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 각 블럭은 속성데이터와 기억데이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할된 각 영역에서는 "0" 내지 "FF"가 할당되게 되는 바, 영역"0"에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 "0" 내지 영역 "FF"의 각각의 블럭대의 기억데이터의 바이트수와 영역의 선두어드레스 및 영역의 최종어드레스가 영역번호와 대응되어 할당된 색인데이블이 기억되어 있다. 이러한 색인데이블을 참조함으로써, 예컨대 영역"Or의 선두어드레스 "aaa"이고, 최종어드레스 "bbb"이며, 1블럭당 기억바이트수는 5바이트인 것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4도에 있어서 사선부는 속성데이터를 나타낸 것으로, 이 속성데이터는 가 블록마다 부가되어 대응하는 기억데이터가 유효한지 유효하지 않은지를 표시하는 식별자와 일련의 기억데이터가 복수개의 블럭에 할당되는 경우 최종데이터가 기억되는 블럭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갖추고 있다. 제6도는 속성정보의 비트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제6비트째는 블럭내의 기억데이터의 유효여부를 나타내는 식별자인 바, 이 비트가 "1"이면무효인 것을 나타내고, "0"이면 유효인 것을 나타내게 된다. 반면에 제7비트때인 일련의 데이터의 최종바이트가 포함되는 블럭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식별자인 바, 그 비트가 "1"이면 최종바이트가 포함되어 있지않은 블럭인 것을 나타내고, "0"이면 최종 바이트가 포함되는 블럭인 것을 나타내게 된다. 여기서, 제0 내지 제5비트째인 더미비트(dummybit)를 나타낸다
한편, 데이터메모리(16)에 데이터를 기록할 경우에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기록명령데이터가 사용되게 되는데, 이러한 기록명령데이터는 기록기능코드와 영역변호 및 기억데이터로 구성된다. 또 데이터메모리(16)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할 경우에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독출명령데이터가 사용되게 되는데, 이러한 독출명령데이터는 독출기능코드 및 영역번호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데이터메모리(16)에 대한 데이터기록동작을 제9도(a) 및 제9도(b)에 나타낸 플로우챠트를 참조해서 실명한다.
정상상태에서는 카드독출/기록기(2)로부터의 기록명령은 데이터대기상태로 되어 있게 된다. 단계 31에서 기록명령데이터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중앙처리장치(15)는 먼저 명령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기능코드가 기록용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게 되는데, 기능코드가 기록용이면 중앙처리장치(15)는 단계 33에서 명령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영역변호를 파라미터로 해서 제5도에 도시된 색인테이블을 참조하게 된다 만일 단계 33에서 대응되는 영역변호가 발견되지 않을 경우, 중앙처리장치(15)는 단계 35에서 영역미확인을 의미하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한 다음 단계 3l로 되돌아가게 된다 한편 단계 33에서 대응되는 영역번호가 발견되게 되면 중앙처리장치(15)는 영역번호에 대응하는 처리단위데이터와 선두어드레스 및 최종어드레스를 RAM(15a)에 기억시켜 놓게 된다 또한 중앙처리장치(15)는 명령데이터에 포함되는 기억데이터의 검사코드를 생성해서 그 기억데이터의 최후에 부가시켜 주게 된다.
그리고, 이 검사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기억데이터의 바이트수를 세어 RAM(15a)에 일시적으로 기억시켜주게 된다. 상기 검사코드의 생성은, 예컨대 기억데이터의 각 바이트데이터의 검사합코드를 생성한다든지 또는 각 바이트데이터의 배타적 OR(exclusive OR)를 취해주면 된다. 이렇게 RAM(15a)에 일시적으로 기억된 검사코드가 부가된 기억데이터를 명령데이터에 따라 지정된 영역에 기록할 경우, 중앙처리장치(15)는 단계 37에서 미기록영역의 선두어드레스를 찾게 된다. 이때 단계 37에서 "NO"라고 판단되면, 중앙처리장치(15)는 단계 39에서 미기록영역이 없다고 하는 의미의 응답데이터를 출력한 다음 단계 31로 되돌아가게 된다.
한편, 단계 37에서 "YES"라고 판단되면 중앙처리장치(15)는 그 어드레스를 RAM(15a)에 일시적으로 기억시켜 주게 된다. 이어, 중앙처리장치(15)는 기억되어 있는 기억데이터의 바이트수를 기억데이터의 선두에 부가시킨 다음 처리단위 데이터수로 분할한다. 그리고 중앙처리장치(15)는 단계 43에서 최초로 분할한 데이터를 지정된 영역에 기록한 다음, 단계 45에서 정확히 기록되었는지 기록되지 않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 판단은 예컨대 데이터를 기록한 후 즉시 데이터를 독출해서 돌출한 데이터와 기록하기 전의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만일 옳게 기록되지 않았다면, 중앙처리장치(15)는 단계 47에서 그 분할된 데이터가 무효인 것을 나타내는 속성정보를 부가시켜 주게 된다. 또한, 중앙처리장치(15)는 단계 49에서 그 분할된 데이터를 다시 다음의 미기록영역에 기록한 다음 단계 45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45에서 정확하게 기록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면, 그 분할된 데이터가 유효인 것을 나다내는 속성정보를 부가시켜 주게 된다 이어, 중앙처리장치(15)는 단계 53에서 기억데이터 모두가 지정영역에 기록되었는지 기록되지 않았는지를 판단하게 되는데, 모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단계 55에서 중앙처리장치(15)는 다음의 분할데이터를 다음의 미기록영역에 기록한 다음 단계 45로 되돌아가게 된다.
한편, 단계 53에서 모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중앙처리장치(15)는 단계 57에서 기록종료를 나타내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한 다음 단계 31로 되돌아가 명령 대기상태로 되게 된다. 여기서, 기록시에는 기억데이터의 최종바이트가 기억된 블럭이 최종블럭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이 블럭의 속성정보중 제7비트째를 "0"으로 설정하게 된다.
예컨대, 제10도(a)에 도시된 바와같은 기록명령데이터가 입력될 경우에는, 영역번호가 "2"이므로 제5도의 색인레이블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처리단위바이트수는 4바이트이다. 또한 기록기능코드를 확인할수 있게 됨과 더불어 미기록영역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입력된 명령데이터중에서 기억데이터가 추출되게 된다.[제10도(b)참조]. 다음에는 제10도(c)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억데이터에 검사코드를 부가시켜 주고, 제10도(D)에 기억데이터의 데이터길이를 기억데이터의 선두에 부가시켜 준다. 또한 제10도(e)에 도시된 바와같이 데이터길이가 부가된 기억데이터를 처러단위바이트수로 분할해서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영역"2"에 기억시키게 된다.
제11도에서 제1, 제6, 제11, 제16바이트째의 선부분이 속성정보를 나타내는 바, 이 예에서는 제6바이트째의 속성정보가 최종블럭인 것을 나타내는 플래크가 셋트되어 있고, 제1, 제11, 제16바이트째의 속성정보가 데이터가 유효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는 데이터메모리(16)에 대한 독출동작을 제12도(a) 및 제12도(b)에 나타낸 플로우챠트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IC카드(1)는 정상상태에서는 카드독출/기록기(2)로부터의 독출명령데이터의 입력을 대기하는 상태로 되어 있게 뇐다 만일 단계 59에서 카드독출/기록기(2)로 부터 독출명령이 입력되게 되면, 중앙처리장치(15)는 먼저 단계 59에서 명령데이터에 포함되는 기능코드가 독출용 코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게 되는 바, 독출용 코드이면 중앙처리장치(15)는 명령데이터에 부가되는 영역번호를 데이터메모리(16)의 영역 "0"으로부터 찾게 되는데, 발견하지 못하게 되면 중앙처리장치(15)는 단계 63에서 영역미확인을 의미하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한 다음 단계 59로 되돌아가게 된다.
한편, 단계 61에서 해당하는 영역변호가 발견되게 되면 대응하는 처리단위바이트수와 영역의 선두어드레스 및 최종어드레스를 RAM(15a)에 기억시킨 다음, 단계 65에서 독출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선두데이터가 들어 있는 블럭을 찾게 되는데, 발견하게 되면 단계 67에서 이 블록의 선두에 부가되어 있는 데이터 길이를 초기치로서 RAM(15a)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카운터에 셋팅시켜 준다 이어, 중앙처리장치(15)는 단계 69에서 다음에 이어지는 데이터를 1바이트 독출하고, 단계 71에서 독출된 데이터가 속성정보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게 되는데, 속성정보이면 단계 69로 되돌아가 다음 바이트를 독출하게 된다. 반면에 속성정보가 아니면 단계 73에서 독출된 데이터를 RAM(15a)에 기억시켜 주게 되고, 단계 75에서 카운터를 1만큼 감소시켜 주게 된다. 이어, 중앙처리장치(15)는 단계 77에서 카운터가 "0"으로 되었는지 되지 않았는지를 판단하여 "0"으로 되지 않았다면 단계 69로 되돌아가 단계 69로부터 단계 77까지를 반복하게 된다.
이와같이 해서 카운터가 "0"이 되면 기억시킨 데이터열은 더미데이터를 독출하지 않고 기록시에 입력된 데이터 전부가 RAM(15a)내에 일시적으로 기억되게 된다. 이어, 단계 79에서 이렇게 일시적으로 기억된 데이터열(data string)의 정당성을 검사하게 되는바, RAM(15a)에 기억된 데이터를 각 바이트마다 검사합 또는 배타적 OR를 취해 일시적으로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열의 최종바이트에 기록되어 있는 검사코드와 같게 되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비교하게 된다 단계 81에서 중앙처리장치(15)는 정당하지 않다고 판단되게 되면 단계 83에서 데이터가 정당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대는 응답데이터를 IC카드독출기/기록기(2)에 출력한다음 단계 59로 되돌아가게 된다. 한편, 단계 81에서 정당하다고 판단되면 중앙처리장치(15)는 RAM(15a)에 기억된 데이터열을 IC카드 독출/기록기(2)로 출력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기억데이터에 부가되는 검사코드를 중앙처리장치(15)내부에서 생성시켰지만, 외부장치 예컨대 카드독출/기록기로부터 입력된 검사코드를 그대로 부가해서 기억시켜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할 수 있는 전자장치로서 IC카드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카드형대로 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블럭형태 또는 펜슬형태로 된 것이어도 좋다. 또한, 휴대할 수 있는 전자장치의 하드웨어구성도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은 범위내에서 여러가지고 변형시켜 줄 수도 있다.

Claims (6)

  1. 변동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기억수단(15a)과, 이 데이터기억수단(15a)에 대해 데이터독출 및 기록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15)를 구비한 휴대할 수 있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15)가, 상기 휴대할 수 있는 전자장치(1)에 접속되는 호스트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변동데이터를 상기 데이터기억수단(15a)에 기억시킬 때, 상기 변동데이터의 에러검출정보를 부가해서 기억시켜 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할 수 있는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15)는 상기 변동데이터의 검사합코드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에러검출정보를 생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할 수 있는 전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15)는 상기 변동데이터의 배타적 OR된 코드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에러검출정보를 생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할 수 있는 전자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15)가, 상기 검사합코드 또는 배차적 OR된 코드를 포함해서 변동데이터의 데이터길이를 카운트하여 그 데이터길이와, 상기 검사합코드 또는 배타적 OR된 코드를 상기 에러검출 정보로서 상기 변동데이터와 함께 상기 데이터기억수단(15a)에 기억시켜 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할 수 있는 전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15)가, 상기 데이터기억수단(15a)에 기억된 변동데이터를 독출할 때 상기 검사합코드 또는 배타적 OR된 코드를 생성함과 더불어 상기 검사합코드 또는 배타적 OR된 코드를 포함해서 상기 변동데이터의 데이터길이를 카운트하고, 그 생성된 검사합코드 또는 배타적 OR된 코드 및 카운트된 데이터길이와 상기 데이터기억수단(15a)에 기억되어 있는 검사합코드 또는 배타적 OR된 코드및 데이터길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기록된 변동데이터가 정당성을 갖추고 있다고 판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할 수 있는 전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기억수단(15a)이 불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할 수 있는 전자장치.
KR1019860009148A 1986-02-18 1986-10-30 휴대할 수 있는 전자장치 KR9000069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345 1986-02-18
JP61-033345 1986-02-18
JP61033345A JP2557838B2 (ja) 1986-02-18 1986-02-18 Icカ−ド
JP38798 1986-02-24
JP61038798A JPS62196784A (ja) 1986-02-24 1986-02-24 携帯可能電子装置
JP61-038798 1986-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245A KR870008245A (ko) 1987-09-25
KR900006941B1 true KR900006941B1 (ko) 1990-09-25

Family

ID=26372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9148A KR900006941B1 (ko) 1986-02-18 1986-10-30 휴대할 수 있는 전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694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245A (ko) 1987-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37199B2 (ja) Icカ―ド
KR900002071B1 (ko) 휴대할 수 있는 전자장치
KR900002070B1 (ko) 휴대할 수 있는 전자장치
US4797543A (en) Selectable data readout IC card
KR900005212B1 (ko) 패스워어드를 변경할 수 있는 ic 카아드
US4734568A (en) IC card which can set security level for every memory area
US4839792A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ith a device for determining data validity
US4841131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means for checking data validity during read-out
JP3568970B2 (ja) Icカード発行装置
KR940007351B1 (ko) 휴대가능 전자장치
JP4891587B2 (ja) 携帯可能電子装置、icカードおよびicモジュール
JP3480746B2 (ja) 携帯可能電子装置
KR910009097B1 (ko) 휴대가능 전자장치
KR900006941B1 (ko) 휴대할 수 있는 전자장치
JPH10198776A (ja) 携帯可能情報記録媒体およびこれに対する情報書込/読出方法
JP2537200B2 (ja) 携帯可能電子装置
JPH11282991A (ja) Icカード
JPH01217689A (ja) 携帯可能電子装置およびicチップ
JP2537198B2 (ja) 携帯可能電子装置
JPS63145582A (ja) Icカード
JP2609645B2 (ja) 携帯可能電子装置
JPH1074243A (ja) Icカード
JPS62197848A (ja) 携帯可能電子装置システム
JPH0420509B2 (ko)
JP2675563B2 (ja) 携帯可能電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7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