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596Y1 - 모타의 변속제어회로 - Google Patents

모타의 변속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596Y1
KR900006596Y1 KR2019870014815U KR870014815U KR900006596Y1 KR 900006596 Y1 KR900006596 Y1 KR 900006596Y1 KR 2019870014815 U KR2019870014815 U KR 2019870014815U KR 870014815 U KR870014815 U KR 870014815U KR 900006596 Y1 KR900006596 Y1 KR 9000065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resistor
motor
variable
contro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48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5547U (ko
Inventor
오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148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6596Y1/ko
Publication of KR8900055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5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5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5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11B15/442Control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타의 변속제어회로
제1도는 종래의 변속 제어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변속 제어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W11: 스위치 TR11-TR13: 트랜지스터
R11-R16: 저항 VR1, VR2: 가변저항
M11: 모타 D11-D14: 다이오드
ZD11: 정전압다이오드 C11, C12: 콘덴서
본 고안은 카세트 테크부 및 턴테이블 등에 사용되는 모타의 구동을 변속시키는 모타의 변속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제어회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저항(VR1)의 가변저항(VR1)을 가변시켜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압을 가변시키면,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 전류가 가변되면서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로 출력되는 전압이 가변되고, 모타(M1)에 인가되는 전압이 가변되어 모타(M1)의 구동속도가 가변되게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제어회로는 저항상태가 밸런스를 이루지 못하므로 모타를 안정된 상태에서 광범위하게 연속적으로 변속시킬 수 없는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함을 감안하여, 브리지의 밸런스를 이루게 하여 모타를 안정된 상태에서 광범위하게 연속적으로 변속시킬 수 없는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함을 감안하여, 브리지의 밸런스를 이루게 하여 모타를 안정된 상태에서 광범위하게 연속으로 변속시킬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제2도의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BAT)에 접속된 스위치(SW11)에 저항 (R11) 및 정전압다이오드(ZD11)를 직렬로 접속하고, 가변전항(VR11) 및 다이오드(D1)(D2)를 직렬로 접속하여 가변저항(VR11)의 가변단자를 트랜지스터(TR11)의 베이스에 접속하며, 트랜지스터(TR11)의 에미터는 저항(R12)에 접속함과 아울러 그 접속점을 다이오드(D13)와, 저항(R13) 및 가변저항 (VR12)을 통해 저항 (R14) 및 콘덴서(C11,C12), 트랜지스터(TR12)의 베이스에 접속하며, 트랜지스터(TR12)의 콜렉터는 콘덴서(C11) 및 트랜지스터(TR13)의 베이스에 접속하여 트랜지스터 (TR13)의 콜렉터를 저항(R15)을 통해 모타(M11)에 접속함과 아울러 그 접속점을 다이오드(D14)를 통해 상기 트랜지스터(TR12)의 에미터 및 저항(R16)에 접속하여 구성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위치(SW11)를 단락시키면, 배터리(BAT)의 전원이 스위치(SW11) 및 저항(R11)을 통해 정전압다이오드(ZD11)가 온되고, 정전압다이오드(ZD11)의 제너전압을 가변저항(VR11)을 통해 트랜지스터(TR11)가 온되므로 트랜지스터(TR11)의 에미터는 가변저항(VR11)의 가변에 따른 일정전압이 출력되고, 그 출력된 전압은 다이오드(D13)를 통해 트랜지스터(TR12)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TR12)의 콜렉터전류 즉, 트랜지스터(TR13)의 베이스전류가 가변저항(VR11)의 가변에 따라 일정하게 흐르면서 트랜지스터(TR13)가 온되어 그의 콜렉터로 일정전압이 출력되며, 그 출력된 전압은 저항(R15)을 통해 모타(M11)에 인가되므로 모타(M11)는 가변저항(VR11)의 가변에 따라 일정속도로 구동된다.
이때 접속점(A)은 가변저항(VR12)에 의해 브리지의 밸런스를 이루게 되므로 가변저항(VR11)을 가변시켜 모타(M11)를 변속시켜도 제어특성은 저하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브리지의 밸런스를 설명하면, 트랜지스터(TR11)의 에미터에서 다이오드(D13) 및 트래지스터(TR12) 저항(R16)으로 흐르는 전류(I1)와 트랜지스터(TR13)의 콜렉터에서 저항(R14) 및 트랜지스터(TR12), 저항(R16)으로 흐르는 전류(I2)와, 트랜지스터(TR13)의 콜렉터에서 저항(R15) 및 다이오드(D14), 저항(R16)으로 흐르는 전류(I3)를 가변저항(VR12) 및 저항(R13)(R12)로 불리더(bleeder) 즉, 일정전류가 흐르게 함으로써 트랜지스터(TR12)의 베이스전류가 일정하게 흐르게 되고, 모타(M11)의 제어특성이 안정해지며, 또한 가변저항(VR11)으로 모타(M11)의 속도를 가변시킬때 가변저항(VR12) 및 저항(R13,R12)에 의해 접속점(A)이 전위가 안정해져 모타(M11)의 속도조절범위가 넓어지게 된다.
그리고, 콘덴서(C11,C12)는 스위치(SW11)의 온 및 오프시 접속점(A)의 전위가 급격히 변화되어 트랜지스터(TR12)가 과도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브리지의 배런스를 이루게 되므로 모타를 안정된 상태에서 변속시킴은 물론 모타를 광범위하게 변속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스위치(SW11)에 저항(R11) 및 정전압다이오드(ZD11)를 직렬로 접속하고, 그 접속점을 가변저항(VR11)을 통해 트랜지스터(TR11)의 베이스에 접속하여 그의 에미터를 저항(R12)에 접속함과 아울러 다이오드(D13)와, 저항(R13) 및 가변저항(VR12)을 통해 콘덴서(C11,C12) 및 트랜지스터(TR12)의 베이스, 저항(R14)에 접속하고, 트랜지스터(TR12)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TR13)의 베이스에 접속하여 트랜지스터(TR13)의 콜렉터를 저항(R15)을 통해 모타(M11)에 접속함과 아울러 그 접속점을 다이오드(D14)를 통해 트랜지스터(TR12)의 에미터 및 저항(R16)에 접속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타의 변속 제어회로.
KR2019870014815U 1987-08-31 1987-08-31 모타의 변속제어회로 KR9000065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4815U KR900006596Y1 (ko) 1987-08-31 1987-08-31 모타의 변속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4815U KR900006596Y1 (ko) 1987-08-31 1987-08-31 모타의 변속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547U KR890005547U (ko) 1989-04-20
KR900006596Y1 true KR900006596Y1 (ko) 1990-07-26

Family

ID=19267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4815U KR900006596Y1 (ko) 1987-08-31 1987-08-31 모타의 변속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65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680B1 (ko) * 2000-10-05 2003-07-28 김민정 절첩식 자전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680B1 (ko) * 2000-10-05 2003-07-28 김민정 절첩식 자전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547U (ko) 1989-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3386A (ko) 회전 속도 감지기
JPS63115213A (ja) 定電圧電源回路
KR860007748A (ko) 개선된 부하 구동특성을 갖는 반도체 집적회로
US4274036A (en) Rotational speed control circuit for a D.C. motor
US4227127A (en) Motor speed control circuit having improved starting characteristics
KR960004926B1 (ko) 유도성 픽업용 펄스 성형기
KR900006596Y1 (ko) 모타의 변속제어회로
US3988652A (en) Stabilized brushless motor drive circuit
SU854286A3 (ru) Регул тор дл управлени коэффициентомпЕРЕдАчи
JPH06333328A (ja) タイミング信号発生回路
US4506170A (en) Differential current distributing circuit
KR910007234A (ko) 진폭변조신호의 검출회로
KR860009541A (ko) 직류전동기의 속도 제어장치
JPH0562362B2 (ko)
US3777244A (en) Speed control device for a d.c. motor
US4041388A (en) Transistor circuit
KR830002150Y1 (ko) 소형 직류모우터의 속도 제어장치
US4603294A (en) Measuring device for the accurate adjustment of the start-of-measurement of a measuring transducer
SU1446686A1 (ru) Электропривод посто нного тока
KR870003643Y1 (ko) 음량 가변 회로
SU1372239A1 (ru) Индикатор снижени напр жени посто нного тока
DE58902165D1 (de) Schaltungsanordnung fuer eine spannungsgesteuerte konstantspannungsquelle mit eingangsseitigem r-c-glied.
JP2714151B2 (ja) 電流制限回路
SU1580528A1 (ru) Повторитель напр жени
KR870001208Y1 (ko) 스텝 모우터 전류응답속도 개선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