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296B1 - 폐 합성섬유를 이용한 판재의 제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폐 합성섬유를 이용한 판재의 제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296B1
KR900006296B1 KR1019870013051A KR870013051A KR900006296B1 KR 900006296 B1 KR900006296 B1 KR 900006296B1 KR 1019870013051 A KR1019870013051 A KR 1019870013051A KR 870013051 A KR870013051 A KR 870013051A KR 900006296 B1 KR900006296 B1 KR 900006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ard
oil
waste
pressure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3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7864A (ko
Inventor
황희석
Original Assignee
황희석
유근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희석, 유근도 filed Critical 황희석
Priority to KR1019870013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6296B1/ko
Publication of KR890007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 Pap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폐 합성섬유를 이용한 판재의 제조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열매체 보일러 11 : 오일
12 : 펌프 13 : 판재
14,14' : 가압롤러 15 : 콘베이어
16 : 냉각기 17 : 폐 합성섬유
18 : 구동모터
본 발명은 폐 합성섬유(폐기물)로 판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로서, 특히 온도 반응에 민감한 화학사(化學系)의 특성을 고려하여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게 하는 가운데 판재의 성형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현재 화학 섬유의 이용도가 증대되어 각종 직물 및 의류를 비롯한 보온재등의 산업자제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반면에 이들의 폐품과 로스(lose)물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폐기물은 공장이나 쓰레기 하치장에서 대량으로 수거되고 있는데 이를 재생공장에서 완전히 용융시킨 후 일률적인 크기의 소재로 경화시켜 성형 공장에 공급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재생 방법은 용융→경화→성형의 다단계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생산 코스트가 높아 일반성형 제품과 비교할때 재생이득의 효과가 만족할 만큼 큰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최대의 재생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경제적 방법을 창안하였고, 이에 그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그 특징은 폐기물을 가압롤러에 의해 압출성형 하여서 직접 제품화 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화학 섬유는 온도에 민감한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를 성형하기 위해 온도를 상승시킬때, 고체에서 액체로 순간적인 용융이 일어나므로 성형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즉, 고체의 한계 온도까지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그 온도를 넘어서면, 액체로 녹아 버리기 때문에 성형이 가능한 멜트포인트(Melt Point)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하여는 특정한 장치가 요구되는 것이며, 이 경우 에너지 손실을 감소하는 경제적인 장치가 필요시 되는 것이다.
종래의 기술로서, 프레스 다이에 전열선을 장치하여 판재를 생산하려는 노력이 시도된바 있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전기적 장치는 프레스 다이내에서 열선이 접촉되는 부분과 비접촉 되는 부분의 온도차이가 있으므로 균질의 제품을 생산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열대체 보일러를 사용하여 200℃-300℃의 오일을 가압롤러의 내부에 순환 되도록 하려는 것으로, 멜트 포인트 온도를 일정하고 고르게 유지시켜 주므로서 양질의 판재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성형할 수있는 폐합성 섬유를 이용한 판재의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져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열매체 보일러(10)에서 200℃-300℃범위로 가온된 오일(11)을 도시되지 않은 온도감응기의 감응에따라 공급시키되, 펌프(12)에 의하여 가압된 오일(11)이 판재(13)를 성형하기 위한 공지된 다수의 가압롤러(14)(14')의 내부로 순환되게 하였으며, 상,하로 배열 설치된 다수의 가압롤러(14)(14')의 일측에는 콘베이어(15)를 착설하고, 타측에는 통상적인 냉각기(16)를 착설하면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압성 섬유를 이용한 판재의 제조장치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콘베이어(15)로부터 이송되는 폐합성 섬유(17)는 다수의 가압롤러(14)(14')에 압송 성형되며, 이들 가압롤러(14)(14')는 상,하로 배열 착설한 통상의 판재제조 장치에 있어서, 그 내부에 가열오일(11)이 순환되고, 다수의 가열롤러(14)(14')는 구동모터(18)에 의하여 회전되며, 벨트 연결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콘베이어(15)로부터 이송된 폐합성섬유(17)가 가압롤러(14)(14')에 이르러 상,하측의 가압롤러(14)(14')에 면접촉하면서 압축되어지고, 다수의 가압롤러(14)(14')를 통과 하면서 멜트포인트에서 잔재(13)로 성형된 후, 통상적인 냉각기(16)를 거쳐서 완제품으로 경화성형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폐 섬유를 압축시킴과 동시에, 균일한 멜트 포인트 온도를 가하여 판재의 성형이 이루어지며, 수초 후 이를 냉각시키므로서 완제품이 생산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폐 섬유를 압축 성형하여 판재로 재생시킴에 있어서, 폐 섬유의 특성상 멜트 포인트로 유지하여 성형시킨 수 있는 조건을 열매체 보일러에 의한 가열오일로 만족시켜 주므로서 균일하고, 신속한 제품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즉, 가열 오일은 물과 달라서 약 200℃-300℃온도 까지 끌어 올릴 수 있으므로 이 온도에서 반응하는 폐섬유류를 성형하기에 알맞으며 유체의 순환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항상 일정한 온도와 고른 분포로 판제의 성형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균질의 제품을 신속하게 생산할 수 있으며, 열손실이 적기 때문에 저렴한 운영비로 값싼 판재를 양산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열매체 보일러(10)에서 200℃-300℃범위로 가온된 오일(11)을 온도 감응에 따라 공급시키되, 펌프(12)에 의하여 가압된 오일(11)이 판재(13)를 성형하기 위한 공지된 다수의 가압롤러(14)(14')의 내부로 공급 순환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 섬유를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2. 콘베이어(l5)의 일측에 상,하측으로 다수의 가압롤러(14)(14')를 연속 설치한 통상의 판재 제조장치에있어서, 상기 가압롤러(14)(l4')의 내부에는 열매체 보일러(10)에서 공급되는 가열 오일(11)이 순환되게 하여 상기 가압롤러(14)(14')를 가온시키도록 구성하였으며, 가압롤러,(14)(14')의 일측에는 통상적인 냉각기(16)를 착설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 합성 섬유를 이용한 판재의 재조장치.
KR1019870013051A 1987-11-20 1987-11-20 폐 합성섬유를 이용한 판재의 제조 방법 및 장치 KR900006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3051A KR900006296B1 (ko) 1987-11-20 1987-11-20 폐 합성섬유를 이용한 판재의 제조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3051A KR900006296B1 (ko) 1987-11-20 1987-11-20 폐 합성섬유를 이용한 판재의 제조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864A KR890007864A (ko) 1989-07-06
KR900006296B1 true KR900006296B1 (ko) 1990-08-28

Family

ID=19266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3051A KR900006296B1 (ko) 1987-11-20 1987-11-20 폐 합성섬유를 이용한 판재의 제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62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864B1 (ko) * 1998-12-02 2003-02-19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연마툴용 접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864A (ko) 1989-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31507T1 (de) Verfahren zum kontinuierlichen herstellen von schaumstoffen.
JPH0152119B2 (ko)
DE3260588D1 (en) Method of deforming plastics pieces
SE9601021L (sv) Förfarande och formverktyg för framställning av krökta och härdade profilelement
WO2002030657A1 (en) A method, an apparatus and a matrix for making composite plates
KR900006296B1 (ko) 폐 합성섬유를 이용한 판재의 제조 방법 및 장치
US4511321A (en) Densification - pelletizing of organic materials
JPS56162629A (en) Method and device for extrusion molding of or the like rubber, thermal cross-linking synthetic resin
US4228076A (en) Method of densifying open-celled polyurethane material
ES484123A1 (es) Un metodo de producir cuerpos moldeados de material plasticoexpandido
SE7704474L (sv) Procede et dispositif a chauffage haute frequence pour la fabrication de profiles
US2766362A (en)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 by dielectric heating
JPS57135137A (en) Forming method for synthetic resin and apparatus therefor
KR100589828B1 (ko) 엘라스토머 성형제품 및 듀로머 성형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사출성형기계
CZ207393A3 (en) Process for preparing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material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FI900135A0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latexcellmaterial.
GR72977B (ko)
JPS56159127A (en) Manufacture of fresnel lens
KR200202388Y1 (ko) 폐섬유 및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합판 제조장치
EP0493538A1 (en) Manufacture of plastic products
KR100358071B1 (ko) 매트 솜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RU95116521A (ru) Прессование в форме
CN210190304U (zh) 一种用于履带式平板硫化机电热板的温控装置
PT753541E (pt) Massa de moldar a base de fibras vegetais processo para a formacao de corpos moldados e dispositivo para comprimir a massa de moldar bem como peca moldada
SU952625A1 (ru) Пресс-форма дл изготовлени изделий из полимерных материал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6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