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186Y1 - 송풍장치 - Google Patents

송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186Y1
KR900006186Y1 KR2019840000306U KR840000306U KR900006186Y1 KR 900006186 Y1 KR900006186 Y1 KR 900006186Y1 KR 2019840000306 U KR2019840000306 U KR 2019840000306U KR 840000306 U KR840000306 U KR 840000306U KR 900006186 Y1 KR900006186 Y1 KR 9000061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rotor
frame
shaft
sh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03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317U (ko
Inventor
에쓰 지 신바라
Original Assignee
산요덴끼 가부시기가이샤
이노우에 가오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143383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57431A/ja
Priority claimed from JP3615383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61628A/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끼 가부시기가이샤, 이노우에 가오루 filed Critical 산요덴끼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63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3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1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1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송풍장치
제1도는 제1실시예를 표시하는 측단면도.
제2도는 제2실시예를 표시하는 측단면도.
제3도는 제3실시예를 표시하는 측단면도.
제4도는 제3실시예의 요부 정면도.
제5도는 제4실시예에서 발췌한 요부의 일부 측단면도.
제6도내지 제12도는 제5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6도는 본 발명의 송풍장치인 환기선의 종단면도.
제7도는 날개, 셔터등을 제외한 배면도.
제8도는 제7도에서 커버를 제외한 배면도.
제9도는 요부 확대 단면도.
제10도는 전동기의 배면도.
제11도는 전동기의 측면도.
제12도는 급전코오드 인출부분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1 : 환기통 1a : 실외측 개방부
1b : 실내측 개방부 2,102 : 틀체
3,103 : 셔터 4,104 : 작동간
5,105 : 지지틀 6,108 : 전동기
7,109 : 회전축 8 : 스핀너
9,111 : 송풍날개 10,112 : 바람통
11,106 : 앞커버 12,122 : 앞케이스
13,123 : 뒷케이스 14,121 : 고정자
15,20,25 : 축받이 16,125 : 회전자
17 : 출수통 18,27 : 권취축
19 : 원통형수부 20,23 : 축수
21 : 수체 24 : 돌편
25,119,145 : 인장스프링
본 고안은 벽면에 실내회로 연동하도록 형성한 개구에 틀체를 고정하여 설치하되, 그 틀체의 일측 개구부에는 조작끈에 의하여 개폐하는 수매의 셔터를 설치하여 틀체의 일측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하며, 틀체 내부의 중앙부에는 회동이 자재롭게 지지되는 고정자를 가지는 전동기와 그 전동기의 회전자에 고정되는 송풍날개가 회전자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반발하여 회전하는 고정자에 조작끈의 권취부를 형성하여 고정자의 회전력을 권취부에 유효하게 이용되게 하며, 고정자의 회전력이 인장력으로서 원활하게 변환할 수 있도록 하여 고정자의 회전력에 의한 반발회동의 회전력으로 셔터가 원활하게 개폐하면서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킬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선행되는 기술로서 일본국 특공소 30-9035호 (환기팬 문짝 개폐장치)와 일본국 실공소 46-11247호(송풍장치) 및 일본국 실개소 50-43549호가 제안되었다.
즉, 상기의 특공소 30-9035호에 있어서는 환기팬용 전동기의 고정자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시켜 상기의 고정자에 동작하는 진동기의 회전반발력을 이용하여 문짝을 개폐토록 하는 환기팬 문짝 개폐장치의 구조로서, 이는 환기팬의 전방에 배치시킨 문짝을 환기 문짝용 전동기의 운전정지에 수반하여 자동적으로 개폐하도록 한 것이었으며, 또한, 실공소 45-11247호에 있어서는 바람통을 형성하는 틀체와 바람통을 개폐하는 셔터와 셔터의 개폐동작을 하는 작동간과, 작동간에 연결된 연결간과 계합되어 작동하는 계합부를 가지고 틀체에 회동이 자재롭게 지지된 고정자를 가진 정역회전이 가능한 전동기와, 이 전동기의 회전자에 고정한 송풍날개를 구비하여 송풍날개를 구동할 때에 고정자에 발생하는 반대 작용에 의하여 셔터를 개폐작동하도록 한 송풍장치의 구조로, 특히 정, 역회전의 가능한 전동기의 회전자에 의하여 송풍날개를 구동시키는 동시에, 셔터에 관련시킨 고정자를 회동지 자재롭게 지지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자에 고정된 송풍날개를 구동할 때에 고정자에 발생하는 반대작용에 의하여 셔터를 개폐작동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상기의 특공소 30-9035호와 실공소 45-11247호의 공보에 게제된 종래의 기술내용은 회전자에 대한 고정자의 회전반대력을 이용하여 셔터를 개폐하는 것이었으나, 이들은 조작끈의 권취부에 의하여 셔터를 개폐하는 것이 아니고, 링크제를 밀어내리고 밀어올리므로서, 셔터가 개폐되도록 하는 것인바, 이는 고정자의 회전 반대력의 효율을 충분하게 이용할수 없으며, 고정자에 무리한 힘이 작용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실개소 50-43549호에 기제된 공보의 내용은 고정자의 회전력을 그대로 셔터의 회전력으로서 사용한것이나, 셔터는 개구를 닫히지 않게 하는 판을 이동시켜 개폐하는 구조로서 개구면적이 작게되며, 배기저항이 크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제반결점을 충분하게 해소하기 위하여 벽면등에 고정되는 틀체와 그 틀체의 일단개구를 폐색하는 셔터와 그 셔터를 개폐하는 조작끈과, 전술한 틀체내부 중앙에 회동이 자재롭게 지지되는 고정자를 가지는 전동기와 그 전동기의 회전자에 고정되는 송풍날개와 전술한 회전자에 대해서 반발회전하는 전술한 고정자에 형설한 조작끈의 권취부로서 송풍장치를 형성함으로서 고정자의 회전력을 회전력으로서 권취부의 힘에 유효하게 이용하고 회전력을 원활히 인장력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된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과 실시에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에서 부엌등의 벽면에 천설한 개구에 장착되는 환기통(1)은 판금을 절곡, 프레스, 접합시킨 사각통상 틀체(2)와 그 틀체(2)의 실외측 개방부(1a)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복수에의 셔터(3)와, 그 셔터(3)를 동시에 개폐시키는 연결간(4)과 전술한 틀체(2)안에 장착되는 지지틀(5)와, 그 지지틀(5)에 회동이 자재롭게 장착되는 전동기(6)와 전동기(6)의 회전축(7)에 스핀너(8)로 밀착이 자재롭게 고정되는 송풍날개(9)와, 전술한 틀체(2)의 실내측개구(16)에 착탈이 자재롭게 장착되는 바람통(10)을 형성한 앞커버(11)로서 형성된다.
전술한 전동기(6)은 앞케이스(12)와 뒷케이스(13) 안에 압입지지되는 고정자(14)와 전술한 앞케이스(12)와 뒷케이스(13)의 중앙에 형성하여 설치한 축받이(15)로 축지되는 전술한 회전측(7)이 압입된 회전자(16)으로서 형성된다.
전술한 앞케이스(12)의 중앙으로부터는 회전축(7)이 돌출되어 있고, 그 회전측(7)을 둘러싸는 것처럼 앞케이스(12)에는 축수통(17)을 돌설하고 있다.
전술한 뒷케이스(13)의 중앙에는 회전축(7)과 동축방향으로 뻗는 추지권취축(18)을 돌설하고 있다.
전술한 지지틀(5)의 중앙에는 밑에 원통형의 수부(19)를 형성하고, 수부(19) 중앙에는 축수(20)을 압입하고 있으며, 전술한 지지틀(5)에는 수부(19)에 씌우는 것처럼 별체인 수체(21)을 나사(22)로 고정하고 있다.
전술한 수체(21)은 앞케이스(12)의 축수통(17)에 축수(23)으로서 회전축(7)에 축설하여 전술한 전동기(6)은 권취축(18)과 축수통(17)에 전술한 축받치(20),(23)으로 축지함으로서 원통형의 수부(19) 및 수체(21)안에 축지되고, 나아가서는 전술한 틀체(2) 내부 중앙에 전동기(6)가 회동이 자재롭게 저지되게 하였다.
권취축(18)은 수부(19)로 부터 돌출하고, 회전축(7)은 수체(2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하였다.
돌편(24)를 형성시킨 연결간(4)에는 틀체(2)의 실외측 개방부(1a)로 수메의 셔터(3)를 연설하며, 돌편(24)에는 인장스프링(25)에 의하여 틀체(2)에 걸리게 하여 인장스프링(25)는 작동간(4)를 상부로 힘을 가하도록 설치되어 셔터(3)을 항상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도록 하였다.
돌편(24)에는 연결간(4)를 아래쪽으로 끌어당기는 조작끈(26)의 일단을 걸어 놓고, 권취축(18)에는 조작끈(26)의 다른 일단을 걸어 주고 있다.
이 조작끈(16)은 가는 강선을 꼬아서 제작하여 조작된 대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조작끈(26)은 보호튜우브(27)로 피복되어 있고, 피보호튜우브(27)의 일단을 틀체(2)에 고정하고, 다른 일단은 수부(19)에 고정되어 있다.
셔터(3)가 폐방상태에는 조작끈(26)은 거의 해이됨이 없이 인장되어 있고, 권취축(18)에는 약간의 조작끈(26)이 권취되어 있다.
틀체(2)에는 셔터(3)의 개방각도를 규제하는 동기(28)이 형성되어 있고, 돌편(24)가 전술한 돌기(28)에 맞닿음으로서 연결간(4)의 상하작동이 규제되도록 하였다.
셔터(3)의 개방과, 폐방동작을 설명하여 보면, 도시하지 않는 스위치를 ON시켜줌에 따라서 전술한 전동기(6)이 구동되면 전술한 고정자(14) 및 회전자(16)이 서로 회동이 자재롭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서로 상반하는 방향으로 서로 회동하려 한다.
이때에 회전자(16)에는 송풍날개(9)가 장착되고, 고정자(14)의 일측에 축지된 권취축(18)에는 전술한 조작끈(26)이 장착되어 있지만 회전저항은 송풍날개(9)에 의한 편이 크기 때문에 처음에 고정자(14)가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고정자(14)의 회전에 의해서 전술한 권취축(18)에 조작끈(26)이 권취되고, 돌편(24)가 돌기(28)에 맞닿을 때까지 작동간(4)가 하향 작동하면서 셔터(3)이 개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셔터(3)이 개방되면, 조작끈(26)의 보다 많은 권취가 저지되면서, 고정자(14)의 회전이 정지되게되며, 고정자(14)가 정지하면 회전자(16)에 가해지는 회전력은 보다 커지면서 회전자(16)은 정상회전을 시작한다.
스위치가 절환되면 전동기(6)은 정지하고, 고정자(14)를 회전시키려고 했던 힘이 소멸됨에 따라서 셔터(3)은 자중 및 전술한 인장스프링(25)에 의한 부세력으로 폐방되고, 그와 동시에 조작끈(26)은 권취축(18)로 부터 되감겨지고, 고정자(14)로 초기의 상태로 되돌아 간다.
또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원통형의 수부(19)를 지지틀(5)에 일체로 형성한 것이지만 수체(21)과 마찬가지로 별체로 형성한 후에 지지틀(5)에 나사로 고정할 때에도 같은 효과를 얻을수가 있다.
또한. 조작끈(26)은 직물이나 가죽등을 꼬아서 제작한 것이라도 무방하며, 동시에 보호튜우브(27)로 바꿔서 안내홈 활차등으로 안내시켜도 좋다.
다음은 제2실시예, 제3실시예, 제4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되, 제1실시예와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회전자(16)의 회전축(7)을 추기하는 축받이(15)를 안쪽 중앙에 형성한 앞케이스(31)과 뒷케이스(32)안에서 회전자(16)이 축지하였다.
전술한 앞케이스(31)과 뒷케이스(32)안에 압압지시킨 링상축수(33)안에 고정자(14)를 압압지시킨다.
따라서, 회전자(16) 및 고정자(14)는 전술한 앞케이스(31)과 뒷케이스(32)안에 회전이 자재롭게 장착된다. 앞케이스(31)과 뒷게이스(32)는 나사(34)로 지지틀(5)에 고정하며, 고정자(14)에는 회전축(7)의 삽통공(35)을 형성한 권취통(36)을 고정하고 있다.
전술한 뒷케이스(32)의 아랫벽 삽통공에 보호튜우브(27)의 일단이 고정되고, 보호튜우브(27)안에 삽통된 조작끈(26)은 전술한 권취통(36)의 세통부(37)이 권취된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조작끈(26)의 권취부분도 포함해서 앞케이스(31)과 뒷케이스(32)안에 내장한 것으로서, 가동부분에 대한 기름등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동기(6)의 고정자(14)의 외주부에 링상축수(41)를 피감하고, 앞케이스(l2)와 뒷케이스(13)의 맞닿은 가장자리에 협지하고 있다.
전술한 축수(41)을 환상취부제(42)로 지지틀(5)에 나사(43)으로 고정한 것이다.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종래에 환기통(1)로 사용되고 있었던 전동기(6)의 부착용 가장자리를 바꿔서 링상축수(41)을 장착한 것이고, 제1, 제2실시예와 비교해서 전동기(6), 조작끈(26) 권취부분을 소형화할 수 있는것이다.
또한,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술한 보호튜우브(27)의 다른 일단을 수동부분으로서 지지틀(5)에 고정한 탄성체(44)로 지지한 것으로, 감기와 되감기를 할 때의 충격이 효율적으로 흡수되는 것이다.
제4실시예에서는 제3실시예에서 사용된 링상축수(41)에 대신해서 굴림축수(51)를 사용한 것으로, 전동기(6)의 외주 중앙부에 레일부(52)를 형성하고, 환상취부제(53)의 한쩍 3개소에 전술한 굴림축수(51)를 장착하고 취부제(53)으로 전동기(6)을 회전이 자재롭게 지지틀(5)에 장착한 것이다.
따라서, 제3실시예에 비해서 값이 싼 축수를 사용할 수가 있어서 원가절감에도 유익한 것이 된다.
제1, 제2, 제3, 제4실시예에 모두다 조작끈(26)을 고정자(14)의 회전반력을 이용해서 권취하는 것으로서 작동간(4)를 하향작동하도록 한 것으로, 회전력의 힘의 손실을 적게해서 하향당김력으로 변경할 수 있고, 토오크적으로 작은 회전반력을 가지고 원활하게 셔터(3)을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링등의 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해서 셔터(3)의 개방기구에 관해서는 종래의 수동개방식의 환기통의 기구를 유용할 수 있고, 종래의 환기통으로 부터의 이행이 원활하게 실시되는 것이다.
더우기, 조작끈(26)의 권취부에 치차, 클럿치등의 복잡한 기구가 필요없고 구조도 간략화되는 것이다.
제2, 제3, 제4 실시예의 것은 고정자(14)의 외주 중앙부를 회전이 자재롭게 지지한 것으로 해서, 제1실시예처럼 축수통(17)과 권취축(18)과의 축의 중심을 맞출 필요가 없고, 회전 중심정도가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 모두 조작끈(26)의 권취부분은 고정자(14)의 회전력을 받은 부분보다 소경으로 만든 것으로 인해서 작은 토오크의 회전력으로 큰 토오크의 권춰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제5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고저 한다.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송풍장치인 환기통(101)은 실벽등의 개구에 장치되는 판금제틀체(102)와 그 틀체(102)의 실외쪽 개구에 축받이 되는 개폐가 자재로운 복수개의 셔터(103)와 그 셔터(103)을 연동개폐하는 연결간(104)와 전술한 틀체(102)안에 가설된 지지틀(105)와 당해 지지틀(105)에 나사로 고정되는 앞뒤로 나누어지는 컵상 앞커버(106)과 뒷커버(107)와 그 두커버(106)(107)안에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동기(108)과 전술한 앞커버(106)으로 부터 돌출하는 전술한 전동기(108)의 회전축(109)에 스핀너(110)로 착탈이 자재롭게 장착해서 이루어지는 날개(111)과 전술한 틀체(102)의 실내쪽 개구에 착탈이 자재롭게 장착되는 바람통(112)를 형성한 전면패널(113)으로 형성한다.
셔터(103)은 일측단부에서 틀체(102)에 유지되고, 셔터(103)과 연결간(104)는 그 연결간(104)에 돌설한 축수편(114)를 전술한 셔터(103)에 형성한 세로길이구멍에 끼워 걸리도록 하여 실시하고 있다.
전술한 연결간(104)의 상부와 중앙부 및 하부에는 돌부(115),(116),(117)을 형성하고 있다.
틀체(102)의 연결간(104)의 중부로부터 윗쪽에는 계지체(118)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계지체(118)은""자 형으로 형성되어 전술한 틀체(102)에 용접등으로 고정하고 있다.
연결간(104)의 중앙부의 돌기(116)과 계지체(118)과의 사이에는 전술한 연결간(104)를 상부로 힘이 가해져서 셔터(103)를 폐방상태로 보호유지하는 인장스프링(119)를 탄력성있게 설하여져 있다.
전술한 틀체(102)에는 셔터(103)의 폐방상태에 있어서 연결간(104)의 하부돌기(117)에 근접 대향하는 규제돌기(120)을 형성하고 있다.
전동기(108)은 고정지(121)를 내면에 압지한 컵상 앞케이스(122)와 뒷케이스(123)을 비치하고, 그 두케이스(122)(123)의 중앙에 지지한 메탈축수(124)에 회전자(125)의 회전축(109)를 축지하고, 앞케이스(122)로 부터 회전축(109)를 돌출시키고 있다.
전술한 앞케이스(122)의 전면 중앙에는 회전축(109)가 삽통하는 통상의 축수(126)을 형성하고 있다. 뒷케이스(123)의 후면 중앙에는 통상의 권취부(127)을 돌설한 취부제(128)을 장착하고 있다.
앞커버(106)과 뒷커버(107)의 내면 중앙에는 축수(129)를 형성하고 있다.
전술한 축수(126)과 권취축(127)을 축수(129)로 축지함으로서 전동기(108)을 두 커버(106),(107)안에 회동이 자재롭게 지지시키고 있다.
전술한 권취축(127)은 뒷커버(107) 중앙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전동기(108)로의 급전코오드(130)은 복수개의 리이드선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급전코오드(130)은 뒷케이스(123)의 후면 외주부로 부터 안출되고, 뒷케이스(123)의 후면에 떨어지지 않고 서로 맞닿듯이 구불린 후에 전술한 권취축(127)의 앞쪽으로 까지 배선되고, 그 위에 절곡되어 권취축(127) 안으로 삽통된다.
전술한 급전코오드(130)의 뒷케이스(123)으로 부터 안출되어서 권취축(127)의 앞쪽에 이르는 부분에는 보호튜우브(131)을 씌우고 있다.
그 보호튜우브(131)의 씌워진 급전코오드(130)부분은 취부제(128)에 형성한 지지부(132)로 지지되고, 전술한 뒷케이스(123)의 후면으로부터 부상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권취축(127)에 상통되는 급전코오드(130) 부분에는 보호튜우브(131)를 씌우고 있다.
당해 보호튜우브(131)은 권취축(127)의 내경과 거의 동등한 외경을 갖고, 권취축(127)의 길이보다 약간 길게형성되어 있다.
보호튜우브(131)은 권취축(127)의 양단으로부터 돌출함으로 해서 급전코어드(130)이 권취축(127)의 양단에 직접 접촉해서 손상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전술한 권취축(127)으로 부터 인출되고, 지지틀(105)에 안내 되어서 걸려 있게 되는 급전코오드(130)부분에는 보호튜우브(134)가 씌워져 있다.
따라서, 급전코오드(130)은 권취축(127)의 전후근방의 부분, 소위 절고된 부분에는 보호튜우브가 씌워져있지 않고, 전술한 급전코오드(130)이 노출되어 있다.
그래서 전술한 급전코오드(130)을 전동기(108)의 회전중심인 권취축(127)내에 삽통시킴으로써 전동기(108)의 회전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되며, 전동기(108)의 회전에 끼치는 영향도 적다.
또한, 전동기(108)의 회전에 따라서 비틀링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급전코어드(130)의 절곡부분은 보호튜우브(131),(133),(134)로 씌우지 않고 있기 때문에 보호튜우브(131),(133),(134)의 비틀림으로 인한 주름에 의해서 급전코오드(130)을 압축하는 일도 없고, 원활하게 비틀림의 힘을 흡수할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권취축(127)의 선단에는 요입륜(135)와 절입구(136)을 형설하고 있다.
권취측(127)에는 원판상의 계지체(137)을 장착하고 있으며, 계지체(137) 중앙에는 권취축(127)이 감삽하는 삽통부(138)과 삽통부(138)에 안쪽을 향해서 돌출하는 절입구(136)에 계합하는 돌부(139)를 형성하고, 그돌부(139)에서 계지체(137)의 권취축(127)에 대한 위치결정과 회전중지를 실시하고 있다.
전술한 계지체(137)의 권취축(127)으로부터의 빠짐멈춤은 전술한 요입륜(135)에 감입되는 링상 빠짐멈춤부제(140)으로 실시된다.
전술한 계지체(137)의 외주부분에는 지지구멍(141)을 형성하고 있다.
전술한 뒷커버(107)의 후방에는 고정부재(142)로 보호튜우브(143)의 일단을 장착하고 보호튜우브(143)의다른 일단을 계지체(118)에 장착하고 있다.
그 보호튜우브(143)은 완만한 만곡으로 대략 "L"자 모양으로 가설된다.
보호튜우브(143) 안에는 셔터 개폐조작용 조작끈(144)가 상통되고, 일단은 인장스프링(145)를 끼워서 연결간(104)의 상부 돌기(115)에 장착된다.
전술한 조작끈(144)의 선단에는 둥근형태의 취부부(146)을 형성하여 권취축(127)의 아랫쪽으로부터 지지구멍(141)로 삽통하과 취부부(146)을 전술한 빠짐멈춤부재(140)과 계지체(137)과의 사이에서 권취축(127)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셔터(103)의 개폐기구는 권취축(127)과 계지체(137) 및 조작끈(144)로 구성되어있다. 전기한 조작끈(144)의 권취부분인 개폐기구는 커버(147)로 피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147)은 탄성걸림편(148)로 뒷커버(107)에 장착되어 있다.
전술한 커버(147)에는 조작끈(144)를 상통시킨 보호튜우브(143)의 선단에 형성한 홈통(149)에 감합하는 절결부를 형성하고 있으여, 보호튜우브(143)의 일단은 커버(147)에 의해서도 저지된다.
전술한 커버(147)에는 권취축(127)으로 부터 인출된 보호 튜우브(134)를 씌운 급전코오드(130)을 삽통 계지하는 "ㄴ"자형 절결부(150)과 절결부(150)과 절결부(150)으로 부터 인출된 급전코오드(130)을 뒷커버(107)과의 사이에서 협지하는 압지부(151)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급전코오드(130)은 권취축(127)으로 부터 인출된후에 이완됨이 없이 커버(147)로부터 인출되는 것으로 인해서 계지체(137)에 접촉해서 손상하는 일이 없다.
전술한 앞커버(106)이 측면경사부의 양쪽 및 아랫쪽에는 전동기(108)의 냉각용통기구멍(152)을 형성하고, 뒷커버(107)의 수직면상부에는 마찬가지로 냉각통기구멍(153)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전수한 송풍날개(111)의 회전에 따라서 앞커버(106)의 냉각용통기구멍(152)로부터 침입한 공기는 전동기(108)의 주면을 흘러서 뒷커버(107)의 냉각용통기구멍(153)으로 부터 배출되고, 전동기(108)을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전동기(108)의 운전을 정지하고 앞커버(106) 및 뒷커버(107) 내의 더운 공기는 상승하여 뒷커버(107)의 냉각용통기구멍(153)으로 부터 배출되며, 따라서, 앞커버(106)의 냉각용 통기구멍(152)로부터 찬공기가 흡입되어서 전동기(108)이 정지한 후에도 효율적으로 냉각되는 것이다. 전동기(108)의 주면에는 돌부(154)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동기(108)의 앞케이스(122)와 뒷케이스(123)을 접합하는 축수편(155)를 돌부(154)에 창착하여 큰나사(156)을 결착하므로서 전동기(108)을 형성하였으며, 전술한 앞커버(106)과 뒷커버(107)의 내면에는 전술한 돌부(154)에 중합하는 돌부(157)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뒷커버(107)의 수직면내면에 탄성재료로 성형한 돌부(157)을 장착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는 스위치를 조작해서 전동기(108)을 구동시키면 전동기(108)이 회동이 자재롭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회전자(125)에 회전력이 발생하는 동시에 고정자(121)은그 반력으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함에 따라서 고정자(121)에 가해지는 반력은 앞커버(106)과 뒷커버(107)에 의해서 권취축(127)에 전달되고, 전술한 조작끈(144)를 권취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조작끈(144)가 권취되게 되므로서 연결간(104)는 전술한 완층 인장스프링(145)를 경유해서 연결간(104)를 인장스프링(119)에 대항해서 하방으로 당겨지면서 셔터(103)이 개방되게 된다.
셔터(103)이 개방된 상태에서 연결간(104)의 중앙부의 돌부(116)는 틀체(102)에 돌설한 돌기(158)에 맞닿게하고, 연결간(104)의 하강작동을 저지하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연결간(104)의 하강작동을 지지함으로서, 조작끈(144)의 권취는 완료되어 고정자(121)이 멈추게되어 전동기(108)은 정상으로 회전한다.
또한, 전동기(108)은 구동중에 조작끈(144)가 절단되는 일등의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전술한 고정자(121)의 회전을 저지하는 부재가 없으면, 고정자(121)와 회전자(125)가 상반하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게속하고, 전술한 급전코오드(130)의 단선이나, 그에 따라는 누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며, 또한 전동기(108)이 구동상태에서 정지되면 전술한 고정자(121)의 반력이 없어짐으로 인하여 조작끈(144)가 되감겨지지만, 되감는 힘이 강하면 권춰초기이상으로 되감겨져서 거꾸로 권취되어 정지하는 일이 발생 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재구동되면 고정자(121)는 조작끈(144)가 느슨해지고, 거꾸로 권취된 분만큼 강하게 회전하여 조작끈(144)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게 되어 조작끈(14)가 단선되는 일이 발생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전동기(108)와 앞커버(106), 흑은 뒷커버(107) 사이에 합치하는 돌부(154),(157)을 형성하여 주므로서, 전기(108)은 1회전의 범위안에서만 정역회전을 하고, 그 밖에는 정·역회전을 할 수 없으므로, 상기의 제반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조작끈(144)의 권취량을 정확히 전술한 전동기(108)의 1회전으로 맞춤으로 해서 셔터(103)의 개폐시의 충격을 감소시킬수 있다.
또한, 전술한 셔터(103)이 폐방된 상태에서 전술한 돌부(154),(157)이 합치하도록 설정함으로서 조작끈(144)의 감기시작의 충격을 감소할 수 있으며, 조작끈(144)의 절단도 감소시킬수 있다.
더우기, 본 실시예처럼 돌부(154),(157)의 한쪽을 탄력성 제료로 성형함으로서 전술한 돌부(154),(157)의 충돌에 의한 출격을 완화할 수 있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고정자를 회전자와 마찬가지로 회동이 자재롭게 장착하고, 고정자의 반발회전력을이용해서 연결간을 하향하는 조작끈을 권취하도록 했기 때문에, 클러치등의 복잡한 기구가 필요없고 구조가 간략화되는 동시에, 고정자의 반발회전력을 권취력으로 이용하므로서, 힘의 손실없이 유효하게 이용할 수있으며, 셔터를 원활하게 개폐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벽면에 형성한 개구에 삽입 장착하는 틀체(2)에, 틀체(2)의 실외축 개방부(1a)를 개폐하는 수매의 셔터(3)과, 틀체(2) 실내측개구(1b)에 장착하는 풍동(10)을 형성한 앞커버(11)과, 풍동(10)내에 위치한 송풍날개(9)를 구동하는 전동기(6)를 구비하며, 전동기 (6)의 회전자(16)의 회전축(7)은 축받이(15)로, 회전자(16)의 외부측에 위치하는 고정자(14)는 축받이(20),(23)으로 각가 회전자재롭게 축지하여 지지틀(5)에 의하여 틀체(2)의 중앙부에 설치하였으며, 전방으로 돌출한 회전축(7)의 단부에는 송풍날개(8)를 장착하며, 고정자(14)와 일체로, 회전자(16)과 회전 중심을 동일하게 하여 회전되게 하며, 회전자(16)과 반대방향으로 돌출하는 권취부(18)을 형성하였으며, 셔터(3)에는 셔터(3)을 연동 개폐하기 위한 연결간(4)을 유설하여 연결간(4)의 돌편(24)과 권취부(18)를 조작끈(26)으로 연결하여 결합시킨 송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자(14)를 압입지지하고, 회전자(16)를 회동자제하게 지지하는 전동기(6)의 전후케이스(12)(13)을 틀체(2)의 내부중앙에 회동자재하게 지지하여서된 송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틀체(2)의 내부 중앙에 고정되는 전후케이스(31)(32)내에 고정자(14)와 회전자(16)을 회전자재하게 지지시켜서 된 송풍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 전동기(6)의 회전자(16)는 회전축(17)의 양단부에서 회전자재롭게 축지되게 하며, 회전자(16)의 외측에 위치하는 고정자(14)는 이 고정자(14)의 외주부에서 회동자재롭게 지지시켜서된 송풍장치.
KR2019840000306U 1983-02-25 1984-01-16 송풍장치 KR90000618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31433 1983-02-25
JP3143383A JPS59157431A (ja) 1983-02-25 1983-02-25 送風装置
JP3615383A JPS59161628A (ja) 1983-03-04 1983-03-04 送風装置
JP58-36153 1983-03-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317U KR840006317U (ko) 1984-12-03
KR900006186Y1 true KR900006186Y1 (ko) 1990-07-09

Family

ID=26369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0306U KR900006186Y1 (ko) 1983-02-25 1984-01-16 송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618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317U (ko) 198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71475B2 (ja) 換気扇
ES2197286T3 (es) Dispositivo de accionamiento por motor electrico.
KR900006186Y1 (ko) 송풍장치
KR101283203B1 (ko) 창호 단열장치
JP2616612B2 (ja) パイプ用換気扇
ATE58204T1 (de) Rolladen fuer dachfenster.
EP0270297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ventilators
JPS6347976B2 (ko)
CN214501550U (zh) 一种智慧校园教室用便于拆卸的换气装置
CN214536770U (zh) 卷帘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JPS6347977B2 (ko)
KR102566422B1 (ko) 루버용 자동 및 수동 겸용 개폐장치
JPS6347975B2 (ko)
CN112594908B (zh) 卷帘机构及空调器
KR100415409B1 (ko) 복층유리 사이에서 햇빛을 차단하는 차단장치를 고정하는고정프레임 및 이것을 구비한 창문
KR200398800Y1 (ko)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
KR950000371Y1 (ko) 창문용 셔터의 방충통기 장치
KR20050080151A (ko)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
JPH0714751Y2 (ja) ダンパー装置
KR900003839Y1 (ko) 휴대용 소형 선풍기
KR200154002Y1 (ko) 패키지형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JPH02130341A (ja) ダンパー装置
JPS6330484B2 (ko)
JPS59157431A (ja) 送風装置
KR970000569Y1 (ko) 비닐하우스용 비닐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704

Year of fee payment: 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