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055Y1 - 오디오 시스템의 서라운드 효과음 발생회로 - Google Patents

오디오 시스템의 서라운드 효과음 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055Y1
KR900006055Y1 KR2019860016776U KR860016776U KR900006055Y1 KR 900006055 Y1 KR900006055 Y1 KR 900006055Y1 KR 2019860016776 U KR2019860016776 U KR 2019860016776U KR 860016776 U KR860016776 U KR 860016776U KR 900006055 Y1 KR900006055 Y1 KR 9000060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 filter
high pass
mode selection
selection switch
audi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67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8505U (ko
Inventor
이영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167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6055Y1/ko
Publication of KR8800085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85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0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0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1/00Two-channel systems
    • H04S1/002Non-adaptive circuits, e.g. manually adjustable or static, for enhancing the sound image or the spatial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디오 시스템의 서라운드 효과음 발생회로
제 1 도는 본 고안의 블럭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상세한 회로도.
제 3 도는 제 2 도에 있어서 지연부의 입출력신호와 모드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5 : 모드선택스위치 20 : 제1고역통과필터
30 : 제1지연부 40 : 제1저역통과필터
50 : 제2고역통과필터 60 : 제2지연부
70 : 제2저역통과필터 80, 90 : 제3, 제4고역통과필터
73, 93 : 오디오앰프 75, 95 : 스피커
본 고안은 좌, 우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인가해서 서라운드 효과(Surround Effect)음을 발생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서라운드 효과음을 발생하는 종래의 오디오 시스템은 서라운드 효과음이 발생모드가 하나로 고정되어 있고, 단지 서라운드 효과음 발생이 좌,우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지연시켜 출력시키기 때문에 단조로운 출력음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서로 다른 서라운드 효과음을 출력시키는 모드를 설정해서, 선택된 모드에 따라 서라운드 효과음을 발생시키는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블럭도로서, 오디오 시스템에서의 좌, 우채널의 오디오 신호중 우채널의 오디오 신호(RS)는 모드선택스위치(10)에 인가되는데, 이 모드선택스위치(10)의 스위칭에 따른 신호는 오디오 앰프(73)를 거쳐 우측스피커(75)에 인가되어서 일반적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모드선택스위치(10)의 다른 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는 고역필터링(Filtering)하는 제1고역통과필터(20)와 제1지연부(30) 및 저역필터링하는 제1저역통과필터(40)를 거쳐 오디오 앰프(73)에 인가되어서 서라운드 효과음이 발생되며, 모드선택스위치(10)의 또 다른 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는 제2고역통과필터(50)의 제2지연부(60) 및 제2저역통과필터(70)를 거쳐 오디오 앰프(73)에 인가되도록 하여서 상기한 제1저역통과필터(40)를 통해 출력되는 서라운드 효과음과 다른 서라운드 효과음이 발생된다.
그리고, 우채널 오디오 신호(LS)를 인가하는 모드선택스위치(10)와 연동으로 동작되는 스위치(15)는 좌채널 오디오 신호를 인가하는데, 이 모드 선택스위치(15)의 일단을 통한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앰프(93)를 거쳐 좌측스피커(95)에 인가되어서 일반적 오디오음이 출력되고, 모드선택스위치(15)의 다른 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는 제3고역통과필터(80)를 거쳐 앰프(93)에 인가되며, 또한 모드선택스위치(15)의 또 다른 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는 제4고역통과필터(90)를 거쳐 오디오 앰프(93)에 인가되도록 연결하여서 모드선택스위치(15)의 스위칭에 따라 효과가 다른 음을 출력시킬 수 있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상세한 회로도로서, 오디오 시스템의 우채널 오디오신호를 인가하는 모드선택스위치(10)는 일반 출력 모드일때 "ㄱ"단자로 스위칭되어 오디오신호가 오디오 메인 앰프(73)를 통해 우측스피커(75)에 인가되고, 제1서라운드 효과 모드일때 모드선택스위치(10)는 "ㄴ"단자로 스위칭되어서 인가된 오디오 신호(RS)가 콘덴서(C1)와 저항(R1, R2) 및 연산증폭기(OP1)에 대응되는 제1고역통과필터(20)와 저항(R14-R17)과 콘덴서(C2) 및 연산증폭기(OP2)에 대응되는 제1지연부(30)와 저항(R7, R8)과 콘덴서(C3) 및 연산증폭기(OP3)에 대응되는 제1저역통과필터(40)를 거쳐서 우채널 오디오 앰프(73)에 인가되며, 제2서라운드 효과모드일때 모드선택스위치(10)는 "ㄷ"단자로 스위칭되어서 인가된 오디오 신호(RS)가 콘덴서(C4-C6)와 저항(R9-R13) 및 연산증폭기(OP4, OP5)에 대응되는 제2고역통과필터(50)와 저항(R14-R17)과 콘덴서(C7) 및 연산증폭기(OP6)에 대응되는 제2지연부(60)와 저항(R18-R20)과 콘덴서(C8, C9) 및 연산증폭기(OP7)에 대응되는 제2저역통과필터(70)를 통해 우채널 오디오 앰프(73)에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한 우채널 오디오신호를 인가하는 모드선택스위치(10)의 스위칭에 따라 좌채널 오디오 신호(LS)를 인가하는 모드선택스위치(15)는 연동으로 조작되어서 일반출력 모드일때의 오디오 신호는 좌채널 오디오 앰프(93)를 거쳐 좌채널 스피커(95)에 인가되고, 제1서라운드효과 모드일때의 오디오 신호는 콘덴서(C12)와 저향(R24,R25) 및 연산증폭기(OP9)에 대응되는 제4고역통과필터(90)를 거쳐 좌채널오디오 램프(93)에 인가되며, 제2서라운드효과모드일 때에는 콘덴서(C10, C11)와 저항(R21-R23) 및 연산증폭기(OP8)에 대응되는 제3고역통과필터(80)를 통해 좌채널 오디오 앰프(93)에 인가된다.
다음은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회로동작을 제3도에 도시된 파형도에 입각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서라운드 효과모드일 때 모드선택스위치(10)의 "ㄴ"단자에 인가되는 우채널 오디오 신호는 콘덴서(C1)와 접지된 저항(R2)과 연산증폭기(OP1)의 제1고역통과필터(20)를 통과하여서 저역주파수가 제거되는데, 이 제1고역통과필터(20)의 컷오프(Cutoff) 주파수(Wc)는이고, 고역필터의 주파수 특성이 -20dB/Decade 로서 아주 천천히 필터링된다.
그리고, 상기한 고역필터를 통과한 우채널오디오 신호(Ei)는 제1지연부(30)를 거쳐 일정시간 지연되는데, 고역필터링된 신호(Ei)가 일정시간 지연되어 출력되는 신호(Vc)와의 관계를 나타낸 파형되는 제3도 (A)에 도시되어있다.
이와 같이 지연된 신호(Vo)는 저항(R7)과 접지된 콘덴서(C3)를 거쳐 연산증폭기(OP3)의 제1저역통과필터(40)에 인가되어서 고역주파수가 노이즈가 제거되는데, 이 제1저역통과필터(40)는 -20dB/Decade 주파수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제1저역통과필터(40)의 연산증폭기(OP3)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앰프(73)을 통해 스피커(75)에 인가되어서 서라운드 효과음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한 제1서라운드 효과모드의 모드선택스위치(10)가 "ㄴ"으로 스위칭되는 바와 같이 좌채널의 오디오 신호(LS)를 인가하는 모드선택스위치(15)도 "ㄴ"으로 스위칭되기 때문에 좌채널오디오신호가 콘덴서(C12)와 접지된 저항(R24)을 거쳐 연산증폭기(OP)로 인가되는 제4고역통과필터(80)에 인가되어서 고역필터링되고, 고역 필터링된 신호는 지연되지 않는 상태로 좌채널 앰프(93)을 거쳐 스피커(95)에 인가됨에 따라 서라운드효과음에 대한 좌우채널의 주파수특성이 제3도 (B)와 같이 출력된다.
한편, 제2서라운드 효과모드일때 모드선택스위치(10)는 "ㄷ"으로 스위칭되어서 이 스위치(10)를 통해 인가되는 좌채널 오디오 신호(RS)는 제2고역통과필터(50)를 거쳐 고역필터링되는데 이 제2고역통과필터(50)의 컷오프주파수(Wc)는의 특성을 갖는다.
이와같이 제2고역통과필터(50)의 출력신호는 제2지연부(60)에서 지연되고, 이 지연신호가 제2저역통과 필터(7)를 통해 오디오 앰프(73)에 인가되어서 서라운드 효과음을 발생한다.
따라서, 좌채널오디오신호(LS)도 모드스위치(15)의 "ㄷ"단자를 통해 제3고역통과필터(80)에 인가되어서 고역필터링되고, 이 고역필터링된 신호는 좌채널 오디오 앰프(93)에 인가되어서, 서라운드 효과음에 대한 좌,우 채널의 주파수특성이 제3도(C)와 같이 출력된다.
그리고, 일반적인 출력모드일 때, 좌,우채널 오디오신호(RS,LS)는 모드선택스위치(10, 15)의 "ㄴ"단자를 거쳐서 직접 좌,우 채널 오디오 앰프(73,95)에 각각 인가되어서 원래 상태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데, 일반적인 출력음에 대한 주파수 특성은 제3도 (D)에 도시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모드선택에 따라 서로 다른 서라운드 효과음을 발생하여서 정취자가 현장감있고 웅장한 음을 즐길수 있다.

Claims (1)

  1. 서라운드 효과음을 발생하기 위해 좌,우 채널의 스피커를 연결하는 오디오 시스템에 있어서, 오디오 시스템의 우채널 오디오 신호(RS)를 인가해서 모드에 따라 전환시키는 모드선택스위치(10)와 상기한 모드선택스위치(10)를 통해 인가되는 우채널 오디오신호를 고역필터링하는 제1고역통과필터(20)와, 상기한 제1고역통과필터(20)의 출력신호를 일정시간 지연하는 제1지연부(30)와, 상기한 제1지연부(30)의 출력신호를 저역필터링하는 제1저역통과필터(40)와, 상기한 모드선택스위치(10)를 통해 인가되는 우채널오디오 신호(RS)를 고역필터링하는 제2고역필터(50)와, 상기한 제2고역통과필터(50)의 출력신호를 일정시간 지연하는 제2지연부(60)와, 상기한 제2지연부(60)에서 출력된 신호를 저역필터링하는 제2저역통과필터(70)와, 오디오 시스템의 좌채널 오디오 신호(LS)를 인가해서 모드에 따라 전환시키는 모드선택스위치(15)와, 상기한 모드선택스위치(15)를 통해 인가되는 좌채널오디오 신호를 각각 고역필터링하는 제3고역통과필터(80)와 제4고역통과필터(90)를 연결하고, 상기한 모드선택스위치(10)와 제1저역통과필터(40) 및 제2저역통과필터(70)의 출력신호는 우채널 오디오앰프(73)를 통해 우채널스피커(75)에 인가하며, 모드선택스위치(15)와 제3고역통과필터(80)와 제4고역통과필터(90)이 출력신호는 좌채널오디오 앰프(93)를 통해 좌채널스피커(95)에 인가하도록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의 서라운드 효과음 발생회로.
KR2019860016776U 1986-10-31 1986-10-31 오디오 시스템의 서라운드 효과음 발생회로 KR9000060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6776U KR900006055Y1 (ko) 1986-10-31 1986-10-31 오디오 시스템의 서라운드 효과음 발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6776U KR900006055Y1 (ko) 1986-10-31 1986-10-31 오디오 시스템의 서라운드 효과음 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8505U KR880008505U (ko) 1988-06-29
KR900006055Y1 true KR900006055Y1 (ko) 1990-06-30

Family

ID=19256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6776U KR900006055Y1 (ko) 1986-10-31 1986-10-31 오디오 시스템의 서라운드 효과음 발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605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8505U (ko) 198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8095A (en) Acoustic apparatus
US4394536A (en) Sound reproduction device
KR960002472B1 (ko) 센터 모드 콘트롤 회로
US2835814A (en) Electrical musical instruments
US4955057A (en) Reverb generator
JPH05328481A (ja) 周波数2倍兼混合回路
KR100466475B1 (ko) 시프트회로를이용하여스테레오신호에서팬텀소스들을생성하기위한회로장치
JPH07177386A (ja) 画像輪郭強調装置
US4144790A (en) Choral generator
JPH08213862A (ja) 音響再生装置
KR900006055Y1 (ko) 오디오 시스템의 서라운드 효과음 발생회로
US20110199144A1 (en) Circuit arrangement for distorting an input signal
KR970003040B1 (ko) 연산증폭기를 사용한 다기능 서라운드 시스템의 음성변환회로
JPH0449320B2 (ko)
KR850003259Y1 (ko) 모조 스테레오
KR100193536B1 (ko) 위성 수신기의 오디오 신호 선택회로
JP2830444B2 (ja) 音声信号増幅回路
JPH07231497A (ja) オーディオ信号処理装置
KR930004928B1 (ko) 서라운드 신호 처리회로
KR900004473Y1 (ko) 모노음성신호의 유사스테레오음 발생회로
JP2669445B2 (ja) 音声ミューティング回路
JPS5926386Y2 (ja) 残響装置
KR870000715Y1 (ko) 오디오/비디오 제어기기의 저음음향확대 증폭회로
JPS6349937Y2 (ko)
JPS63254495A (ja) リバ−ブ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