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884Y1 - 멜로디 제어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멜로디 제어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884Y1
KR900005884Y1 KR2019870001837U KR870001837U KR900005884Y1 KR 900005884 Y1 KR900005884 Y1 KR 900005884Y1 KR 2019870001837 U KR2019870001837 U KR 2019870001837U KR 870001837 U KR870001837 U KR 870001837U KR 900005884 Y1 KR900005884 Y1 KR 9000058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ody
switch
transistor
collecto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18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6747U (ko
Inventor
이상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예산업
이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예산업, 이상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예산업
Priority to KR20198700018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884Y1/ko
Publication of KR8800167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67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8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8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18Selecting circuits
    • G10H1/26Selecting circuits for automatically producing a series of to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555Tonality processing, involving the key in which a musical piece or melody is play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멜로디 제어 발생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계통도.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력부 2 : 전원부
3 : 제어부 4 : ROM
5 : 출력부 6 : 스피커
본 고안은 완구류에 사용되는 멜로디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스위치 단속시 마다 한음씩 발생하도록 한 멜로디 재생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계식 오르골(orgel)에서 멜로디 IC로 변천되어 음악이 연주되는 완구류는 일정한 곡을 일정한 음조로 반복 연주함으로써 쉽게 싫증이 나게 되었다.
이와같이 싫증이 나게된 후에는 단지 장식용으로 완구를 변해 버리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그리고 작동완구와 결합하여 동작되는 멜로디 발생장치도 있으나 이 작동은 음악적 감각을 부여하기 보다는 부수적 보조 역할로서 한정되었을 뿐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멜로디 발생장치는 소리를 듣는 것에 한정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어떤 음악이 기억소자에 기억되어 전원을 가하면 자동적으로 한곡이 완전히 끝날때까지 연주되는 음악완구와는 달리 멜로디의 제어선 스위치를 한번씩 단속시킬 때 마다 제어회로를 통하여 반도체 기억장치에 내장된 음악정보를 한음씩 발생시키게 한 것이다.
이는 제어선 스위치를 단속시키는 자가 스스로 연주되는 듯한 동적인 감각을 부여하였고, 악보를 읽을수 없는 저연령의 아동들이 박자 감각을 스스로 익힐수 있게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음악에 흥미를 갖도록 하였다.
또한 본 고안은 여러곡이 기억되어 있는 기억소자에서 분위기 및 취향에 따라서 선택하여 연주할 수도 있게 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 제1도에 따라 설명하면 전원스위치(SW2)를 눌러주면 자동적으로 처음 설정된 초기 조건의 음악이 준비되고 다시한번 눌러주면 다음으로 기억된 음악이 준비된다.
이와같이 스위치(SW2)를 눌러주는 회수에 따라서 기억된 다수의 음악 데이터들중 한곡이 순차적으로 준비된다.
이와같이 스위치(SW2)조작에 의하여 원하는 곡을 선택한 다음 단속 스위치(SW1)를 음조에 맞추어 동작키면 선곡된 음악이 연주된다.
이때 단속 스위치(SW1)를 3초 이상 계속 누르고 있으며 현재 선곡된 곡이 자동으로 연주되고 그 곡이 끝나면 곡선택이나 수동연주를 할 수 있게 되며, 30초 이내에 아무 동작도 취하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전원이 OFF 된다.
이를 도면 제2도 및 제3도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고안의 멜로디 발생장치는 전원을 ON/OFF시키고, 멜로디 IC 내부의 ROM에 내장된 다수의 음악 데이터들중 한곡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스위치(SW2), 스위치(SW2)의 ON에 따라 멜로디 IC를 ON시키기 위하여 다이오드를 통하여 그 베이스가 스위치(SW2)에 연결되고 그 콜렉터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2)와 그 콜렉터가 멜로디IC의 전원단자(Vcc)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1), 멜로디IC가 ON된 후에 재차 스위치(SW2)를 눌렀을때 다수의 음악데이타들 중 한곡을 순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그 베이스가 스위치(SW2)에 연결되고 그 콜렉터가 트랜지스터(Q1)이 콜렉터와 멜로디IC/의 I/O포트인 G1단자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3), 멜로디IC의 ROM에 내장된 음악데이타를 한 음정씩 단속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멜로디IC의 I/O포트인 G0단자에 연결된 스위치(SW1) 멜로디IC이 출력단자SK로 부터의 출력신호를 증폭시키는 트랜지스터(Q4), 트랜지스터(Q4)로부터의 증폭된 신호를 송출하는 스피커폰(6) 및 전원부(2), 입력부(1), 출력부(5), 멜로디IC를 제어하는 제어부(3) 및 다수의 음악데이타를 내장한 ROM(4)를 가진 상용 IC(National Semiconductor사의 COP413L)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회로의 동작상태에 따라 설명하면, 스위치(SW2)는 전원스위치, 및 멜로디IC에 내장되어 있는 ROM에 기억되어 있는 다수의 음악정보중 한곡을 순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겸하고 있다.
먼저 전원 스위치로서의 스위치(SW2) 기능 설명은 스위치(SW2)를 누르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전류가 인입되어 트랜지스터(Q2)가 도통하게되고 따라서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측과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전류가 인가된다.
이로써 트랜지스터(Q1)이 도통하여 멜로디IC의 전원단자(Vcc)에 전원이 인가된다.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IC는 동작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IC의 제어부(3)는 최초의 음악 데이터를 ROM에서 읽어 들인다.
이때 스위치(SW1)를 누르면 IC의 I/O 포트인 G0의 신호가 로우(low) 상태로 변하고 이를 IC의 제어부가 감지하여 한음정의 신호를 출력부(5)로 보내게 되며 IC의 출력단자SK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4)가 이를 증폭하여 스피커폰(6)을 구동하게된다.
IC의 출력단자 SK의 출력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궤환되어 전원이 ON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IC의 출력단자 SK의 출력이 30초 동안 없으며 전해 콘덴서(C1)에 충전되어 있던 전류가 방전되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가 로우상태로 바뀌고 따라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가 개방상태가 되어 IC의 전원단자(Vcc)로의 전원공급이 중단된다.
한음정이 신호출력이 있고난후 30초 이내에 스위치(SW1)를 누르면 다음 음정의 신호가 계속하여 발생하게되어 단속 스위치(SW1)의 단속속도에 맞추어서 연주되게 된다.
이때 스위치(SW1) 대신 스위치(SW2)를 다시 누르면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전류가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3)가 도통하게 되고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가 로우상태로 되어 IC의 I/O 포트인 G1의 신호가 로우 상태로 된다.
이를 IC내부의 제어부(3)가 감지하여 지정된 2번째 음악데이타를 읽어들인다.
이와같이 스위치(SW2)을 순차적으로 누름으로써 계속하여 ROM에 저장되어 있는 음악을 순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상태로 동작하는 본 고안의 멜로디 제어발생장치에 사용되는 단속 스위치(SW1)로는 수은 스위치, 포토 스위치, 공기압력 스위치, 자체중량 스위치, 음성동작 스위치, 리드 스위치등이 있으며, 제작된 완구류의 기능 및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고양이 완구류에 리드 스위치를 사용하였을때 고양이 완구를 자석반지를 끼고 쓰다듬으면 리드스위치가 점점 접속되어 곡을 연주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멜로디 제어발생장치가 내장된 완구류는 종래의 음악 완구류가 단지 일정한 곡을 반복 연주하게 되므로서 사용자가 싫증이 나서 장식용으로 놓아두는 등의 폐단을 해결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의 멜로디 발생장치는 스스로 연주하는 듯한 동적인 감각을 부여하였고, 악보를 읽을 수 없는 저연령의 아동들이 박자 감각을 스스로 익힐 수 있게 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음악에 흥미를 갖게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음악완구에 이용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멜로디 IC를 구비한 멜로디 제어발생장치에 있어서, 전원을 ON/OFF시키고 멜로디 IC 내부의 ROM에 내장된 다수의 음악 데이터들중 한곡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스위치(SW2), 스위치(SW2)의 ON에 따라 멜로디IC를 ON시키기 위하여 다이오드를 통하여 그 베이스가 스위치(SW2)에 연결되고 그 콜렉터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2)와 그 콜렉터가 멜로디IC의 전원단자(Vcc)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1), 멜로디IC가 ON된 후에 재차 스위치(SW2)를 눌렀을때 다수의 음악데이타들 중 한곡을 순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그 베이스가 스위치(SW2)에 연결되고 그 콜렉터가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와 멜로디IC의 I/O포트인 G1단자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3), 멜로디IC의 ROM에 내장된 음악데이타를 한 음정씩 단속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멜로디IC의 I/O포트인 G0단자에 연결된 스위치(SW1) 멜로디IC이 출력단자SK로 부터의 출력신호를 증폭시키는 트랜지스터(Q4), 및 트랜지스터(Q4)로부터의 증폭된 신호를 송출하는 스피커폰(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로디 제어발생장치.
KR2019870001837U 1987-02-17 1987-02-17 멜로디 제어 발생장치 KR9000058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1837U KR900005884Y1 (ko) 1987-02-17 1987-02-17 멜로디 제어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1837U KR900005884Y1 (ko) 1987-02-17 1987-02-17 멜로디 제어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6747U KR880016747U (ko) 1988-10-08
KR900005884Y1 true KR900005884Y1 (ko) 1990-06-30

Family

ID=19259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1837U KR900005884Y1 (ko) 1987-02-17 1987-02-17 멜로디 제어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88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6747U (ko) 198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20348A1 (en) A virtual music instrument with a novel input device
EP0220423B1 (en)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JPH04294394A (ja) 電子楽器
US5135426A (en) Toy stringed instrument
JPS6452276A (en) Random playing system in disk player
JPS6255792B2 (ko)
KR900005884Y1 (ko) 멜로디 제어 발생장치
JP2003010558A (ja) 音声出力玩具
JPS54123018A (en) Electronic instrument with automatic accompanying device
KR0111829Y1 (ko) 자동편곡 기능과 음이온 발생기가 부착된 가요반주기
JPH01313083A (ja) 音出し玩具
EP0092360A3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S6261158B2 (ko)
JP2968432B2 (ja)
JPS6296698U (ko)
JPH0314717Y2 (ko)
KR20000047056A (ko) 무대효과장치의 제어방법
JPH02304599A (ja) 電子楽器
JPS5931078B2 (ja) 電子楽器の自動伴奏装置
JPH0434756B2 (ko)
KR930003397Y1 (ko) 와이어레스리듬마이크로폰
KR100346041B1 (ko) 멜로디 재생장치를 갖는 민속 공예품
KR900001164A (ko) 모뎀의 톤 제네레이터를 이용한 멜로디 재생방법
JPS6365157B2 (ko)
CN2282245Y (zh) 电子口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