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695Y1 - 휴대용 전등에 전구를 부착하는 구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등에 전구를 부착하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695Y1
KR900005695Y1 KR2019900002972U KR900002972U KR900005695Y1 KR 900005695 Y1 KR900005695 Y1 KR 900005695Y1 KR 2019900002972 U KR2019900002972 U KR 2019900002972U KR 900002972 U KR900002972 U KR 900002972U KR 900005695 Y1 KR900005695 Y1 KR 9000056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light
flange
battery
battery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29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이찌 오오하시
Original Assignee
스카이라이크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게이이찌 오오하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60004826A external-priority patent/KR880000736A/ko
Application filed by 스카이라이크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게이이찌 오오하시 filed Critical 스카이라이크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20199000029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6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6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695Y1/ko
Priority to SG130494A priority patent/SG130494G/en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휴대용 전등에 전구를 부착하는 구조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종단측면도.
제2도는 제1도중 주요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회로도.
제4도는 종래의 휴대용 전등의 한예를 보여주는 종단측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주요부를 보여주는 종단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디 2 : 광원유니트
3 : 스위치 4 : 건전유지틀
5 : 전구 6 : 건전지
7 : 부착틀 8 : 렌즈
9 : 반사경 10 : 중앙접점
11 : 부착통 12 : 접편
13 : 걸림부 14 : 꼭지쇠
15 : 플랜지 16 : 선단면
17 : 잘라낸 부분 18 : 어스금속구
19 : 리드선
본 고안은 휴대용 전등에 전구를 부착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구를 전지유지틀에 부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등은 2개 내지 수개의 건전지를 전원으로 하는 휴대용 전등으로서, 보디, 광원유니트 및 스위치, 기타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디에는 건전지가 들어가 있고 광원유니트에는 포물면 형상이 반사경과 소형전구가 부착되어 있어전구로부터 발사되는 빛을 전방으로 향해 접속하여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전등에서는, 예컨대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공보 제54-128391호, 일본국 특허출원번호 60-271141호 공보와 첨부도면 제4도에서와 같이, 전구(31)를 반사경(32)에 부착하는 방식이 채택되어 있다.
그 때문에 종래의 휴대용 전등에서는 전구(31)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금속구(33)를 반사경(32)에 부착하는 동시에, 전구(31)를 지지금속구(33)에 고착시키기 위한 소케트(34)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따라서 휴대용 전등의 생산자로서는 부품점수와 그의 조립공정이 많아져서 필연적으로 생산 코스트가 높아지는 한편, 휴대용 전등의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전구(31)를 새것과 갈아 끼울때에 전구(31)나 소케트(34)를 잘분별하기 어렵다는 등의 불편이 발생한다.
더욱이 전구(31)의 플랜지(35)와 전지유지틀(36)의 어스금속구(37)는 유지금속구(33)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으며 어스금속구(37)는 유지금속구(33)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으며 그만큼 접점부분이 많아지므로 접촉불량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전구의 착탈이 용이하며, 전구와 어스금속구와의 접촉이 확실하게 행하여지는 휴대용 전등을 제공하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전구의 플랜지의 일개소 내지 수개소를 잘라낸 부분으로 형성하고, 한편 전지유지틀에는 전구의 금속구 외경보다 약간 크고, 플랜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되어 있는 부착통을 형성하고 있으며, 어스금속구는 그의 선단부를 상기한 잘라낸 부분 보다 약간 작도록 형성해서 이를 걸림부로 삼고, 이 걸림부를 부착통의 선단면보다 약간 돌출한 위치에서 안쪽으로 향하여 구부리고, 이 걸림부와 부착통의 선단면과의 사이에 플랜지를 끼워넣음으로써, 전구를 전지유지틀에 부착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은 본 발명을 소형 중간 건전지 4개를 사용하는 소형의 휴대용 전등에 적용한 일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면중 부호 (1)은 보다, (2)는 광원유니트, (3)은 스위치, (4)는 전지유지틀이다.
이들은 전구(5)가 광원유니트(2)에 부착되지 않고, 전지유지틀(4)에 부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이외에는, 기본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종래의 것과 변함이 없다. 즉, 보디(1)는 휴대용 전등의 본체를 이루고 있는 부분으로서, 내부에는 건전지(6)와, 이 건전지(6)를 보디(1) 내의 소정위치에 고정시키는 동시에 건전지(6)와 전구(5)를 연결하는 연결회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전지유지틀(4)이 장전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 보디(1)의 전면은 구멍이 트여있고 이곳에 광원유니트(2)가 부착되어 있으며, 다른 적절항 장소(도면에 제시한 휴대용 전등에서는 후단)에 전구(5)를 점멸시키기 위한 스위치(3)가 부착되어 있다.
광원유니트(2)는 이것을 보디(1)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틀(7)과 렌즈(8) 및 포물면 형상의 반사경(9)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이들 각 부재는 종래의 것과 거의 동일하지만, 반사경(9)의 중앙부에는 유지금속구는 부착되어 있지 않고, 후술하는 부착통(11)을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뿐이다.
전지유지틀(4)에는 상술한 반사경(9)의 삽입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착통(11)이 돌설되어 있는 동시에 그의 선단부에 걸림부(13)가 설치되어 있어 이에 의하여 전구(5)를 전지유지틀(4)에, 더욱 구체적으로는 부착통(11)에 부착하도록 되어 있다.
즉, 부착통(11)은 도면에 제시하는 바와같이 그의 내경이 전구(5)의 꼭지쇠(14)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 전구(5)는 꼭지쇠(14)의 부분만이 이에 끼워 넣어져서 플랜지(15)는 그의 선단면(16)에 걸려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걸림부(13)는 부착통(11)의 선단면(16)보다도 약간 돌출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 이 선단면(16)과 걸림부(13)와의 사이에 플랜지(15)가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도면에서 부착통(11)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일예를 제시하였지만, 본래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요는, 선단면(16) (반드시 원형형상으로 형성할 필요는 없다)이 소정위치에 있어 이에 전구(5)의 플랜지(15)를 걸어둘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라면 충분하다.
전구(5)는 플랜지(15)의 일개소 내지 수개소가 잘라져서 잘려진 부분(17)이 형성되어 있으며, 한편 걸림부(13)는 잘라진 부분(17) 보다도 약간 작도록 형성되어 있어 잘라진 부분(17)을 걸림부(13)에 합치시킨 상태로 꼭지쇠(14)를 부착통(11)에 삽입하면 플랜지(15)가 선단면(16)에 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이와같이 형성함으로써 꼭지쇠(14)를 부착통(11)에 삽입한 후, 곧 이것을 좌, 우 어느 한쪽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걸림부(13)에 대하여 잘라진 부분(17)의 위치를 겹치지 않도록 비키어 놓으면, 플랜지(15)가 선단면(16)과 걸림부(13) 사이에 끼워지게 되고, 전구(5)가 부착통(11)에 부착되어진다.
그러나, 제3도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4개의 건전지(6a-6d)를 각각 직열로 연결하고, 건전지(6a)와 (6b) 사이에 전구(5)를 부착하고 건전지(6c,6d) 사이에 스위치(3)를 부착한 일예를 표시하였다. 따라서, 그에 대응하여 전지유지를 (4)에는 전구(5)의 플랜지(15)와 건전지(6a)와를 도통하는 어스금속구(18a), 전구(5)의 중앙접점(10)과 건전지(6d) 사이를 도통하는 어스금속구(18d) 및 건전지(6d6c)를 도통하는 리드선(19c)이 부착되어 있으며, 보디(1)의 저면에는 건전지(6a,6d)간을 도통하는 리드선(19b) 및 건전기(6c,6d)간을 도통하는 접편(12)이 부착되어 있다.
물론, 상기 걸림부(13)와 어스금속구(18a)는, 일체적으로 연계되어 있는 것으로서, 걸림부(13)는 어스금속부(18a)의 선단 부분을 안쪽으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광원유니트(2)의 반사경(9)의 중앙부에 삽입구멍을 형성하고, 전지유지틀(4)에는 삽입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착통(11)를 돌설하고, 다시 그의 선단면(16)으로부터 약간 돌출한 위치에 전구(5)의 플랜지(15)에 형성된 잘라낸부분(17)보다 약간 작은 걸림부(13)를 부착하여 이것을 어스금속부(18a)와 일체화한 것으로서, 반사경(9)에는 전구(5)를 부착하기 위한 지지금속구나 소케트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구조가 극히 간단해져서 부품점수가 적어지고, 더욱이 조립공정수도 감소해서 생산코스트가 절감되며, 나아가서 사용자에 대해서는 전지를 교환할때에 소케트를 잃게 되는 등의 사고가 해소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보디(1)에 건전지와 전지유지틀(4)이 장전되어 있으며, 전면에 광원유니트(2)가 부착되어 있는 동시에 적소에 점멸스위치(3)가 형성된 휴대용 전등에 있어서, 전구(5)의 플랜지는 적어도 1개소의 잘라낸부분(17)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광원유니트(2)의 반사경(9) 중앙부에 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전지유지틀(4)에는 반사경의 삽입구멍에 대응한 위치에 전구의 꼭지쇠(14)의 외경보다 약간 크고 플랜지(15)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부착통(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부착통(11)의 선단면보다도 약간 돌출한 위치에 어스금속구(18a)의 선단부를 안쪽으로 구부려서 형성한 걸림부(1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등에 전구를 부착하는 구조.
KR2019900002972U 1986-06-18 1990-03-14 휴대용 전등에 전구를 부착하는 구조 KR9000056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2972U KR900005695Y1 (ko) 1986-06-18 1990-03-14 휴대용 전등에 전구를 부착하는 구조
SG130494A SG130494G (en) 1990-03-14 1994-09-07 Massag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4826A KR880000736A (ko) 1986-06-18 1986-06-18 휴대용 전등에 전구를 부착하는 구조
KR2019900002972U KR900005695Y1 (ko) 1986-06-18 1990-03-14 휴대용 전등에 전구를 부착하는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4826A Division KR880000736A (ko) 1986-06-18 1986-06-18 휴대용 전등에 전구를 부착하는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695Y1 true KR900005695Y1 (ko) 1990-06-28

Family

ID=26627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2972U KR900005695Y1 (ko) 1986-06-18 1990-03-14 휴대용 전등에 전구를 부착하는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69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30887A1 (en) Light emitting device, socket device and lighting device
HU214535B (hu) Zseblámpa
US5430624A (en) Mounting structure for a vanity mirror
US4774644A (en) Structure for mounting electric bulb in portable flashlight
KR100301192B1 (ko) 차량용 전조등
US4720132A (en) Electrically conductive stiffening wire for a sun visor for vehicles
KR900005695Y1 (ko) 휴대용 전등에 전구를 부착하는 구조
CA2308079A1 (en) Vehicle lamp housing having multiple mounting means, and method of using same
US4764855A (en) Globe securement means
US4737892A (en) Switch arrangements in portable flashlights
US4612609A (en) Light assembly with removable bulb
US6241372B1 (en) One piece molded component high mounted stop lamp
KR900005696Y1 (ko) 휴대용 전등의 스위치
US4868724A (en) Electric torch with flexible casing
JPH0156481B2 (ko)
JPS6228076Y2 (ko)
JPH06139808A (ja) 電気部品保持装置
JP3174489B2 (ja) 車両用灯具
JPS6230241Y2 (ko)
KR0166516B1 (ko) 스페어램프가 부설된 램프장치
JPS6228075Y2 (ko)
USD331222S (en) Combined socket and connector for automotive lamp assembly
KR100350108B1 (ko) 헤드 램프 유니트의 벌브 어댑터 장치
JPS58881Y2 (ja) 自転車用前照灯
KR100581127B1 (ko) 선바이져 장착 클립의 전기적 와이어링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5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