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497Y1 - 콘트롤 도어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콘트롤 도어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497Y1
KR900005497Y1 KR2019870020243U KR870020243U KR900005497Y1 KR 900005497 Y1 KR900005497 Y1 KR 900005497Y1 KR 2019870020243 U KR2019870020243 U KR 2019870020243U KR 870020243 U KR870020243 U KR 870020243U KR 900005497 Y1 KR900005497 Y1 KR 9000054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iston
cylinder
open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02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2217U (ko
Inventor
김규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202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497Y1/ko
Publication of KR8900122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22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4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4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1Locks; La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콘트롤 도어의 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제한 상태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일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피스턴 발췌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제1의 실시예시를 나타내는 발췌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작동상태 측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제3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8도는 제7도의 작동상태 측면도.
제9도는 제7도의 설치상태 측면도.
제10도내지 제12도는 제7도의 피스톤 실시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캐비넷 2 : 도어
5,51 : 연결봉 52 : 연결쇠
53 : 연결편 6 : 회전구
7,71,72,73,74,75 : 피스톤 8 : 레일홈
81,104 : 오일홈 10,101,102,103 : 실린더
11 : 고정볼트 12 : 브라켓트
13 : 누름구 14 : 스프링
15 : 걸림편 16 : 록커
본 고안은 도어가 자중에 의해서 열릴때 이에 설치된 피스톤과 실린더의 댐핑작용으로 부드럽고 원활하게 열리도록 하며 개폐동작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한 콘트롤 도어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각종 전자기기의 콘트롤부에 설치된 도어를 보면, 양단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개폐토록 되어있었고 도어는 도어개폐용 스위치를 이용하여 개폐토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도어 개폐시 급작스런 동작에 의해서 도어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충격정도에 따라서는 콘트롤부가 흐트러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와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도어에 점성이 높은 구리스등을 매설하여 댐핑작용을 할수 있는 것이 안출된 바 있으나, 이는 댐퍼장치와 함께, 스프링을 설치하여야 하는 폐단이 있었고, 또 도어개폐 동작중에 구리스가 유출되어 불결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캐비넷(1)의 일방에 콘트롤부를 개폐하는 도어(2)를 설치하고 도어(2)에는 힌지부(3)와 연결돌출부(4)를 형성하며 연결돌출부(4)에는 연결봉(5)을 설치하여 이의 선단에 회전구(6)를 설치한다.
회전구(6)에는 레일홈(8)을 형성시킨 피스톤(8)을 체결구(9)로 체결설치하여 피스톤(7)을 실린더(10)에 삽입설치하고 실린더(10)에는 고정볼트(11)와 브라켓트(12)를 설치하여 고정볼트(11)의 선단은 피스톤(7)의 레일홈(8)에 삽입되게 하며 바라켓트(12)에는 고정편을 설치하여 실린더(10)를 캐비넷(1)에 고정설치토록한다.
제4도는 본 고안의 피스톤을 설치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피스톤(71)에 연결봉(51)의 회전구(6)를 설치하고 회전구(6)의 일방에 누름구(13)를 스프링(14)으로 탄력 설치 시킨 것이다.
제5도내지 제6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실린더(101)에 삽입되는 피스톤(72)에 연결쇠(52)를 일체화시킨 상태로 고정하고 연결쇠(52)의 일단은 도어(2)의 연결돌출부(4)에 연결토록 한 것으로서 15는 도어(2)의 걸림편이고 16은 걸림편(15)을 록킹하는 록커이다.
제7도내지 제9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고정편(17)을 설치하고 브라켓트(121)를 설치한 실린더(102)에 피스톤(73)을 설치하며 피스톤(73)에는 고정핀(91)으로 고정설치되는 연결핀(63)을 설치토록 구성하여서 된것으로 16은 록커이다.
제10도내지 제12도는 제7도의 피스톤 실시예로서 제10도에서와 같이 피스톤(74)에 연결편(54)을 설치하고 이를 고정핀(92)으로 관통토록 설치하고 피스톤(74)의 외주면에는 오일홈(81)을 형성한 것이며, 제12도에서와같이 실린더(103)의 내벽에 오일홈(104)을 형성하고 이에 피스톤(75)을 설치토록 구성한 것으로 실린더와 피스톤에 각각 요철부를 형성하여 이들을 상호 결합할 수도 있게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2도에서와 같이 도어(2)가 닫혀진 상태에서 이를 열기 위하여 도어(2)를 누르면 피스톤(7)의 레일홈(8)일단에 걸려있던 실린더(10)의 고정볼트(11)가 피스톤(7)을 회전시키게 되며 피스톤(7)이 하강예비상태로 있게되고 이어서 도어(2)와 피스톤(7)의 자중으로 피스톤(7)이 하강되고 도어(2)가 열리게 되며 피스톤(7)의 레일홈(8)끝단이 고정볼트(11)에 걸리므로서 열림 동작이 완료된다.
이때, 실린더(10)와 피스톤(7)사이에 저점도의 오일을 주입하게 되면 댐핑효과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으며, 피스톤(7)에 연결된 연결봉(5)의 회전구(6)는 다소의 각도변화에도 무리없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체결구(9)와 누름구(13) 및 스프링(14)은 피스톤(7)(71)과 연결봉(5)(51)의 결합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해준다.
한편, 도어(2)를 닫게되면 상기의 역동작으로 도어(2)가 닫히면서 피스톤(7)의 레일홈(8)하단이 고정볼트(11)에 걸리게되므로 도어(2)가 닫힌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 제6도는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도어(2)를 밑면 이의 걸림편(15)이 록커(16)에서 해제되고 동시에 피스톤(72)이 이의 자중과 도어(2)의 자중으로 열리게 되며 도어(2)를 닫게 되면 상기의 역으로 동작하게 된다.
또한, 제8도에서와 같은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피스톤(73)이 상기와 같이 동작하게 되어 도어를 개폐하게되고 피스톤(74)이나 실린더(103)에 오일홈(81)(104)을 형성하여 작동을 보다 원활하게 할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의 개폐장치로서 동작이 부드럽고 원활하여, 급작스런 동작이 일어나지않으므로 도어등이 손상될 염려가 없을뿐만 아니라, 도어 개폐시의 충격이 거의 없기 때문에 콘트롤부가 흐트러지지 않는 점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5)

  1. 캐비넷(1)의 일방에 콘트롤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설치함에 있어서, 도어(2)의 일방에 실린더(10)와 피스톤(7및 회전구(6)를 가진 연결봉(5)으로 구성된 개폐장치를 설치하고 연결봉(5)의 일단은 도어(2)에 연결하여 피스톤(7)의 작용으로 도어가 개폐토록 구성하여서된 콘트롤도어의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피스톤(7)의 외주면에 걸림부를 가진 레일홈(8)을 형성하고 실린더(10)에는 고정볼트(11)를 설치하여 피스톤(7)을 제어토록 하여서된 콘트롤도어의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피스톤(71)에 누름구(13)를 설치토록 하여서된 콘트롤도어의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실린더(101)에 연결쇠(52)를 연결하고 연결쇠(52)의 일단은 걸림편(15)을 형성한 도어(2)에 연결토록 하여 도어(2)의 걸림편(15)은 캐비넷에 설치되는 록커(16)에 로킹토록 구성하여서된 콘트롤도어의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실린더(102)에 설치되는 피스톤(73)에 연결편(53)을 고정핀(91)으로 유설토록 설치하여서된 콘트롤도어의 개폐장치.
KR2019870020243U 1987-11-23 1987-11-23 콘트롤 도어의 개폐장치 KR9000054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0243U KR900005497Y1 (ko) 1987-11-23 1987-11-23 콘트롤 도어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0243U KR900005497Y1 (ko) 1987-11-23 1987-11-23 콘트롤 도어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217U KR890012217U (ko) 1989-07-15
KR900005497Y1 true KR900005497Y1 (ko) 1990-06-20

Family

ID=19269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0243U KR900005497Y1 (ko) 1987-11-23 1987-11-23 콘트롤 도어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49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217U (ko) 198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5497Y1 (ko) 콘트롤 도어의 개폐장치
KR0138847Y1 (ko) 차량용 도어핸들 댐핑장치
KR920002155Y1 (ko) 가전제품의 도어 고정장치
KR960000869Y1 (ko) 도어의 힌지구조
US2742311A (en) Door and gate latch
KR900002192Y1 (ko) 전자기기의 도어장치
KR920001879Y1 (ko) 가전제품의 도어 고정장치
KR930003188Y1 (ko) 콤바인의 엔진실 도어 록킹장치
KR0120658Y1 (ko) 세탁기의 뚜껑 개폐장치
KR910009308Y1 (ko) 턴테이블의 덮개장치
KR900003354Y1 (ko) 냉장고 도어의 닫힘장치
KR940004280Y1 (ko) 배터리 커버 자동 개폐장치
KR0173629B1 (ko) 도어 체크 링크의 오일 충진구조
KR910008076Y1 (ko) 브이티알의 콘트롤부 도어 오픈장치
KR200151467Y1 (ko) 벽걸이형 기기의 도어개폐장치
KR200174112Y1 (ko) 연료 주입구 개폐장치
KR910005983Y1 (ko) 스프링이 내설된 도어 댐퍼장치
KR940004120Y1 (ko) 가전제품의 도어 개폐장치
JPH035667Y2 (ko)
JPS5815574Y2 (ja) 家具類における扉の蝶番装置
KR960006830Y1 (ko) 가전제품의 도어힌지 구조
KR950005596Y1 (ko) 창문 잠금구
KR200141274Y1 (ko) 리모트 콘트롤러의 도어 개폐 장치
KR910008770Y1 (ko) 자동 경첩
KR920000820Y1 (ko) 전기, 전자 제품의 콘트롤부 도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