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820Y1 - 전기, 전자 제품의 콘트롤부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전자 제품의 콘트롤부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820Y1
KR920000820Y1 KR2019890008812U KR890008812U KR920000820Y1 KR 920000820 Y1 KR920000820 Y1 KR 920000820Y1 KR 2019890008812 U KR2019890008812 U KR 2019890008812U KR 890008812 U KR890008812 U KR 890008812U KR 920000820 Y1 KR920000820 Y1 KR 9200008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ain body
gear
lock
surf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88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1977U (ko
Inventor
김규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088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820Y1/ko
Publication of KR9100019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9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8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8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1Locks; La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 전자 제품의 콘트롤부 도어 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 확대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부발췌 확대 외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로크부재의 동작상태를 보인 확대 내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설치 사용상태 일부 절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코일스프링
3 : 로크핀 3' : 상단부
4 : 구동기어 5 : 전동기어
6 : 고정구 11 : 축공
14 : 외면부 15 : 내면부
31 : 로크홈 51 : 구동축
55 : 안내공
본 고안은 텔레비젼이나 브이티알(VTR)등과 같은 각종 전기, 전자 제품의 콘트롤부에 착설하는 도어의 개폐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도어 개폐장치에는 도어를 닫으면 임의로 열리지 않도록 하여주는 로크수단과, 도어를 자동으로 열리도록 하여주는 탄발수단 및 도어의 개폐동작이 부드럽게 되도록 댐퍼수단으로 구성하여 로크수단은 콘트롤부와 도어의 상단 중간부위에, 탄발수단은 힌지에 또 댐퍼수단은 콘트롤부와 도어의 측면부에 각각 부설토록 한 것이 있었는데, 이러한 장치는 상기 3종류의 수단들을 각기 별개로 구성하여 각각 다른 부위에 부설하였기때문에 제조 및 조립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번거롭게 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댐퍼본체의 외측면부에는 코일스프링으로 걸어주는 구동부재를 축착함과 동시에 이들 사이에는 댐핑 오일을 충진하며, 내측면부에는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력을 도어에 전달하여주는 전동부재를 축착하고, 이 전동부재에는 로크부재를 부설함으로서, 도어의 로크 및 자동열림과 개폐동작을 부드럽게 하여 주는 댐퍼 수단들을 하나의 부품으로 조합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1도 및 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댐퍼 본체(1), 이 본체의 외측면부에 결합되게 축착하는 구동부재, 이 구동부재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면부에 결합되게 축착하는 전동부재, 상기 구동부재와 본체의 외면부 사이에 걸어주는 탄발부재, 전동부재에 부설하여 본체의 내면부에 형성한 로크홈을 따라 동작되게 한 도어의 로크부재들로 구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댐퍼 본체(1)는 두께를 비교적 두껍게 한 원판형상으로 되게 성형하되 중앙에는 축공(11)을 횡으로 관통하게 뚫었으며, 이 축공의 양단 외주연부(12)와 본체 외, 내면의 외주연부(13)를 돌출되게 하므로 이들에 의해 외면부(14)의 일측에는 탄발부재인 코일스프링(2)의 일단을 걸어주는 걸이핀(21)을 둘출하였으며, 내면부(15)에는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의 로크부재인 로크핀(3)의 상단부(3')가 결합되는 로크홈(31)을 원호상으로 요입 형성하였고, 외주면의 상하 중간부위에는 결착공(17)이 뚫어진 결착편(16)들을 돌출하였다.
상기 구동부재는 내면중앙에 구동축(41)을 연설하고, 이 축의 중간부위는 결합턱(42)을 형성하며, 단부에는 탄성결착편(43)을 일체로 형성하고, 일측에는 상기 코일스프링(2)의 타단부를 걸어주는 걸이핀(22)을 돌출한 구동기어(4)로 구성하였다.
상기 전동부재는 그 중앙에 축공(51)을 뚫어 설치하고, 이 축공의 내단면에는 결합턱(52)을 형성하며, 외면 일측에는 결합부(53)를 요입 형성하고, 이 결합부의 중앙에는 결합공(54)을, 그 상부위치에는 원호상의 안내공(55)을 각각 뚫어 설치한 전동기어 (5)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립하는 것으로서, 본체(1)의 외면부(14)에는 구동기어(4)를, 내면부(15)에는 전동기어(5)를 각각 결합하되 구동축(41)이 상기 본체(1)의 축공(11)과 전동기어의 축공(51)을 관통하게 결합하면 그 단부의 탄성결착편(43)이 축공(51)의 외주면에 결착되며 동시에 상기 구동축( 41)의 중간부위에 형성한 결합턱(42)과 전동기어의 축공 내단면의 결합턱(52)이 서로 맞물리게 되므로 구동기어(4)와 전동기어(5)는 본체(1)를 사이에 두고 구동축(41)에 의해 양면에 축착되어 함께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걸이핀(21)(22) 사이에는 코일스프링(2)을 걸어주고 외면부(14)에는 댐핑오일을 충진시켜 주며 로크핀(3)은 전동기어(5)의 결합부(53)와 그 중앙에 뚫은 결합공(54)에 결착하는 고정구(6)로 결합부(53)에 축착하고, 그 상단부(3')는 원호상의 안내공(55)을 관통하여 전동기어(5)의 내측으로 들어가서 본체(1)의 내면부(15)에 원호상으로 요입 형성한 로크홈(31)에 결합되게 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탄발부재와 구동부재 및 전동부재와 로크부재들을 조립한 본체(1)는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착편(16)들의 결착공(17)을 이용, 고정스크류 (7)로 제품의 콘트롤부(8) 일측 내벽(8')에 고정 부착시켜 전동기어(5)가 콘트롤부(8 )에 축(9)으로 축착하는 도어(10)의 일측 연동편(10a)에 형성한 연동기어(10b)와 맞물리게 하면 되는 것으로 그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10)를 완전히 닫아주면 제4도 및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로크핀(3)의 상단부(3')가 로크홈(31)중에서 로크부(R)에 걸려있게 되므로 전동기어(5)가 회전되지 못하게 되어 이에 맞물려 있는 연동기어(10b)에 의해 도어(10)는 닫힌 상태에서 임의로 열리지 않게 로킹되는 것이며, 이때 코일스프링(2)은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축공(11)의 돌출된 외주연부(12)에 걸어지는 상태로 걸이핀(21)(22) 사이에서 늘어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10)를 열때에는 먼저 도어의 상단부를 제5도의 가성선( A)과 같이 손으로 조금 밀어주면 이때 밀리는 간격만큼 연동편(10a)이 축(9)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방향(H)으로 회전되므로 이에 형성된 연동기어(10b)와 맞물려 있는 전동기어(5)가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이 전동기어에 착설된 로크핀(3)의 상단부(3')가 로크홈(31)의 로크부(R)에서 벗어나 가상선(B) 위치로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로크핀(3)은 로킹상태에서 해제되며, 이에 따라 도어(10)의 로킹 상태도 해제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로크핀(3)의 상단부(3')가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은 이 상단부가 원호상의 안내공(55)을 관통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 안내공의 범위내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도어(10)에서 손을 떼어주면 이번에는 늘어난 상태로 있던 코일스프링(2 )이 수축력에 의해 제3도 가상선(P)과 같이 수축되는데, 이때, 본체(1)의 걸이편(21)은 고정되어 있는 것이므로 수축되는 코일스프링(2)의 타단부를 걸어준 걸이핀(22) 가상선(P') 위치로 당겨져 이동하게 되므로 결국 구동기어(4)가 화살표방향(C)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동기어(4)가 회전되면 그 구동축(41)에 형성된 결합턱(42)과 맞물려 있는 전동기어(5)의 축공(51) 내단면 결합턱(52)에 의해 회전력이 그 반대쪽의 전동기어(5)로 전달되기 때문에 이 전동기어는 제4도에서와 같이 화살표방향(D), 즉 구동기어(4)와 동일방향으로 회전되며, 이렇게 되면 연동기어(10b)에 의해 연동편(10a)이 제5도에서와 같이 화살표방향(H')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도어(10)는 자동으로 가상선( A')과 같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도어(10)가 완전히 열리게되면 로크핀(3)의 상단부(3')는 제4도 가상선(B)과 같이 로크홈(31)의 우측단부에 위치하게 되고, 이후 도어(10)를 닫으면 로크핀(3)의 상단부(3')는 로크홈(31)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되어 다시 로크부(R)에 걸리게 되며 코일스프링(2)은 다시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동작되는 본 고안은 본체(1)의 외면부(14)에는 댐핑오일을 충진하였기 때문에 구동기어(4)가 급속하게 회전되지 않고 서서히 부드럽게 회전되므로 도어( 10)의 개폐동작이 매우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것이며, 또 구동부재와 그 탄발부재 및 전동부재와 도어의 로크부재들을 본체(1)에 모두 결합시켜 단일 부품으로 제작하여 설치토록 함에 따라 설치작업도 간편하게 되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정정) 중앙에 축공(11)을 관통되게 뚫은 본체(1)의 외면부(14)에는 구동부재인 구동기어(4)를, 내면부(15)에는 전동부재인 전동기어(5)를 각각 결합하여 상기 축공(11)을 관통하게 구동기어(4)의 내면 중앙에 돌출형성한 구동축(41)으로 함께 회전되게 축착하며, 상기 구동기어(4)와 본체(1)의 외면부(14)사이에는 탄발부재인 코일스프링(2 )를 걸어주고 도어의 로크부재인 로크핀(3)은 고정구(6)로 전동기어(5)의 외측면 결합부에 축착하여 그 상단부(3')가 결합부 상측에 뚫은 원호상의 안내공(55)을 통해 내측으로 들어가 상기 본체(1)의 내면부(15)에 원호상으로 요입 형성한 로크홈(31)에 결합시켜 주므로 상기의 구동부재와 탄발부재 및 전동 부재와 도어의 로크부재들이 본체(1 )에 모두 결합되도록 구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
KR2019890008812U 1989-06-26 1989-06-26 전기, 전자 제품의 콘트롤부 도어 개폐장치 KR9200008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8812U KR920000820Y1 (ko) 1989-06-26 1989-06-26 전기, 전자 제품의 콘트롤부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8812U KR920000820Y1 (ko) 1989-06-26 1989-06-26 전기, 전자 제품의 콘트롤부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977U KR910001977U (ko) 1991-01-25
KR920000820Y1 true KR920000820Y1 (ko) 1992-01-31

Family

ID=19287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8812U KR920000820Y1 (ko) 1989-06-26 1989-06-26 전기, 전자 제품의 콘트롤부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8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977U (ko) 199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5607B1 (ko) 신발용 턴-로크 화스너
US5791805A (en) Locking device for telescoping elements
JPH02190589A (ja) ドア装置
KR920000820Y1 (ko) 전기, 전자 제품의 콘트롤부 도어 개폐장치
KR102020537B1 (ko) 2 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US6152509A (en) Coupling element
JPH0236862Y2 (ko)
KR930002987Y1 (ko) 밀고 당겨서 여는 도어록
KR920007325Y1 (ko) 모사전송기등의 잠금레버
KR900008452Y1 (ko) 카세트 테크의 도어 열림장치
KR910008770Y1 (ko) 자동 경첩
KR200332937Y1 (ko) 드럼세탁기의 리버시블 도어 구조
KR102248001B1 (ko) 유리문의 도어락 장치
KR960006830Y1 (ko) 가전제품의 도어힌지 구조
KR200202042Y1 (ko) 도어의 양방향 오픈장치
KR102248002B1 (ko) 유리문의 도어락 장치
KR0137083Y1 (ko) 브이씨알의 문개폐용 점성댐퍼
KR900005497Y1 (ko) 콘트롤 도어의 개폐장치
KR0120658Y1 (ko) 세탁기의 뚜껑 개폐장치
KR100628562B1 (ko) 와이어동력을 이용한 출입문용 양방향 잠금장치
KR100260916B1 (ko) 냉장고의 도어 록킹장치
KR910003857Y1 (ko) 음향기기의 데크도어 개폐장치
KR200371339Y1 (ko) 와이어동력을 이용한 출입문용 양방향 잠금장치
JPH059413Y2 (ko)
KR880002345Y1 (ko) 냉장고의 좌우 개폐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