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869Y1 - 도어의 힌지구조 - Google Patents

도어의 힌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869Y1
KR960000869Y1 KR92013197U KR920013197U KR960000869Y1 KR 960000869 Y1 KR960000869 Y1 KR 960000869Y1 KR 92013197 U KR92013197 U KR 92013197U KR 920013197 U KR920013197 U KR 920013197U KR 960000869 Y1 KR960000869 Y1 KR 9600008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stopper
guide surface
b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31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3656U (ko
Inventor
송준호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920131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869Y1/ko
Publication of KR9400036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6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8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8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어의 힌지구조
제 1 도는 본 고안의 요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제 4 도는 종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판 11 : 힌지공
12 : 보올트공 13 : 스토퍼
20 : 도어캡 21 : 걸림턱
22 : 안내면 23 : 삽입공
24 : 공간 30 : 부시
31 : 탄성걸림턱 32 : 플랜지
40 : 축봉 50 : 하부힌지
60 : 보올트
본 고안은 도어의 힌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구조가 간단하고 외관이 미려한 도어의 하부힌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힌지구조는 도어캡(5)에 스토퍼(1), 보강판(2), 부시(3)등의 부품으로 상호 조합하여서 된 구조로, 이는 구조가 복잡하므로 조립시 번거로웠고 생산비용이 상승하는 요인이 되었으며 특히, 도어의 힌지가 외부에 노출이 되므로 외관상 미려하지 아니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토퍼, 보강판, 부시의 기능을 부여한 고정판을 도어캡 내부에 설치하므로써 조립이 간단함은 물론 생산비용의 절감에 기여하며 외관이 미려한 도어의 힌지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고정판에 힌지공을 천공하고 스토퍼를 하향 절곡시키고, 원통형의 안내면과 스토퍼가 끼워지는 삽입공을 각각 천고한 도어캡을 형성하여 상기 도어캡 내부에 고정판을 설치하며 도어캡과 일체인 원통형의 안내면에 탄성 걸림턱과 플랜지로 이루어진 부시를 끼워 넣어 고정시킨 것으로, 도어를 하부힌지와 연결된 축봉에 삽입하여 도어가 열리고 닫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의 제 1 도와 3 도에서와 같이 일측단에 힌지공(11)을 천공하고 이 측부에 스토퍼(13)를 하향 절곡시키며 보올트공(12)을 천공한 고정판(10)이 있고, 도어캡(20)에 힌지공(11)이 삽입되도록 원통형의 안내면(22)을 형성하고 또 스토퍼(13)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삽입공(23)을 형성하며 하단에 일정크기로 턱을 두어 공간(24)을 형성한 다음 상기 고정판(10)을 도어캡(20)의 내부에 끼우고 원통형 안내면(22)의 상하단에 탄성걸림턱(31)과 플랜지(32)로 된 부시(30)를 삽입고정시켰으며 또한, 하부힌지(50)에 고정된 축봉(40)이 부시(3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구조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 21은 고정판(10)을 고정하는 걸림턱이고, 60은 걸림턱(21)과 같이 고정판(10)을 도어캡(20)에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보올트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인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힌지공(11), 보올트공(12), 스토퍼(13)로 이루어진 고정판(10)을 도어캡(20)의 내부에서 끼워서 도어캡(20)의 걸림턱(21)에 걸리도록 하고 도어캡(20)의 일측에 있는 원통형의 안내면(22)에 부시(30)를 삽입하여 각각 안내면의 상단에 탄성걸림턱(31)이 걸리도록 하며 보올트공(12)로 최종 결합하므로써 완성한 도어를 하부힌지(50)의 하부에서 축봉(40)을 끼워넣어 고정시켜 조립을 마친다.
이와같이 조립한 도어를 열고 닫을 때 도어캡(20)과 고정판(10)이 축봉(40)을 중심으로 같이 회전하고 동시에 스토퍼(13)는 하부힌지(50)에 천공한 원호형의 장공을 따라 회전하다 멈춤턱에 걸려서 멈추고 다시 반대동작으로 닫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스토퍼(13), 보강판 등의 기능을 고정판(10)에 부여하여 도어캡(20)의 내부에서 끼워 넣는 등의 간단한 동작으로 조립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비를 절감하고 조립시간을 단축하며 또한 외관이 미려한 등의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Claims (1)

  1. 도어의 힌지를 구성함에 있어서, 힌지공(11)과 스토퍼(13)를 일체로 형성한 고정판(10)이 원통형의 안내면(22)과 스토퍼(13)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공(23)을 천공한 도어캡(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부에 탄성걸림편(31)을 형성하고 하부에 플랜지(32)를 미려한 부시(30)를 안내면(22)에 삽입, 고정하여서 된 도어의 힌지구조.
KR92013197U 1992-07-16 1992-07-16 도어의 힌지구조 KR9600008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3197U KR960000869Y1 (ko) 1992-07-16 1992-07-16 도어의 힌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3197U KR960000869Y1 (ko) 1992-07-16 1992-07-16 도어의 힌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656U KR940003656U (ko) 1994-02-21
KR960000869Y1 true KR960000869Y1 (ko) 1996-02-02

Family

ID=19336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3197U KR960000869Y1 (ko) 1992-07-16 1992-07-16 도어의 힌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86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656U (ko) 199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3851B2 (en) Hinge
KR880004192A (ko) 자동차 도어용 래치(latch)
KR960000869Y1 (ko) 도어의 힌지구조
KR100830657B1 (ko) 차량용 트레이
KR200144027Y1 (ko) 창문개폐용 연결암
KR0138847Y1 (ko) 차량용 도어핸들 댐핑장치
KR0122544Y1 (ko) 사물함 문짝의 구조
KR102621580B1 (ko)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
KR940000763Y1 (ko) 가전제품용 도어의 좌우 개폐장치
KR100199494B1 (ko) 버스 폴딩 도어의 가이드 롤러 지지구조
KR0173629B1 (ko) 도어 체크 링크의 오일 충진구조
KR930008557Y1 (ko) 문틀용 건축자재
JPH10220101A (ja) 門扉用ドアクローザ
JPH021426Y2 (ko)
KR830001200Y1 (ko) 철제가구용 경첩
KR200205929Y1 (ko) 건구용 경첩
KR940006645Y1 (ko) 철문 셔터용 캡
KR20200000623U (ko) 후시공 타입의 도어 틈새 차단 장치
JP3036564U (ja) 引き戸クローザ
KR930008288Y1 (ko) 대형 문짝용 호차의 보강장치
KR900002192Y1 (ko) 전자기기의 도어장치
KR920002381Y1 (ko) 출입문 자동 닫힘 경첩
KR930001038Y1 (ko) 힌지도어용 스토퍼
KR19980031461A (ko) 차량의 러기지도어 고정장치
KR950007588Y1 (ko) 배달물 투입구의 덮개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