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474Y1 - 시계 - Google Patents

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474Y1
KR900005474Y1 KR2019870021462U KR870021462U KR900005474Y1 KR 900005474 Y1 KR900005474 Y1 KR 900005474Y1 KR 2019870021462 U KR2019870021462 U KR 2019870021462U KR 870021462 U KR870021462 U KR 870021462U KR 900005474 Y1 KR900005474 Y1 KR 9000054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ch
clock
ring
needle
ha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14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139U (ko
Inventor
이윤수
Original Assignee
이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수 filed Critical 이윤수
Priority to KR20198700214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474Y1/ko
Publication of KR8900141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1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4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4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5/00Time pieces of which the indicating means or cases provoke special effects, e.g. aesthetic effects
    • G04B45/02Time pieces of which the clockwork is visible partly or wholly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4Hands; Discs with a single mark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시계
제1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A부분의 상세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작동원리도.
제6도는 제4도의 B부분의 상세도.
본 고안은 시계바늘의 배면판이 투시되어 다양한 디자인의 요소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한 시계에 관한것이다.
종래에 시계의 무브먼트는 시계바늘 뒤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시계바늘뒤에는 별도의 문자판이 고정배치되어, 시계바늘이 회전하여 가리키는 문자를 통하여 시간을 알려주도록 되어 있었다. 이러한 방식의 무브먼트의 배치는 시계바늘의 배면판 즉 문자판이 시계내부에 고정되므로, 임의로 배면판을 교체시킬 수 없었으므로, 배면판부를 디자인의 요소로서 활용할 수 없었다.
최근 시계는 시각의 정밀도 보다는 다양한 디자인의 현출에 그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서, 시계의 무브먼트가 시계바늘의 배면부에 위치되도록하여 시계의 배면부가 그대로 투명한 상태로 내비치도록 함으로써, 시계바늘의 배면부에 별도의 배면판만을 착탈사키는 것이 가능토록하여 시계바늘의 배면부가 디자인요소로서 활용가능토록된 시계가 일본국 공개실용실안공보 실개소 48-108659, 소 56-111763등에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모두 중심부에 돌설된 축부분에 초침, 분침및 시침이 각각 고착된 투명회전판이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지고, 투명 회전판은 그 측부에 설치되는 무브먼트에 의하여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시계는 그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지만, 다수의 투명회전판을 관통하여 시간을 보아야 했으므로 선명도가 떨어지게되어 배면판을 디자인 요소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된 취지를 십분발휘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첫째, 시계바늘의 배면부를 다양한 디자인 요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계를 제공하기위한 것이며, 둘째, 시침, 분침, 초침등이 투명회전판을 통하지 않고 직접 보여지도록 함으로써, 보다 선명하게 배면부가 보여질 수 있도록한 시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시계바늘링(10), 무브먼트(20), 케이싱(30) 및 베아링부(40)으로 구성되는데, 시계바늘링(10)은 전체적으로 원형링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여 링의 외주면에는 치차부(11)가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12)에는 시계바늘(13)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또. 시계바늘링(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는 시침링(10a)과 분침링(10b)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초침링(10c)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이 종래 기술들과 다른점은 상기 시계바늘링(10)이 투명원판형으로 되어 있지 아니하고 링형으로 구성되며, 시계바늘(13)은 링의 내주면(12)의 한부분에 일체로 연결된다는 것이다.
이와같은 기술적 구성은 시간을 볼때 다수의 투명원판을 투시함으로써 야기되는 선명도의 저하를 방지하여준다.
또, 본 고안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는 시계바늘의 형상이 직선형으로 되어있으나, 시계바늘(13)이 링(10)의 내주면에 일체로 연결되어 시각을 표시하므로 다양한 디자인의 현출을 위해 보다 다양한 모양도 현출시킬수 있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무브먼트(20)는 상기 시계바늘링(10)의 치차부(11)와 맞물러져서 상기 링(10)을 회동시켜주는 시계바늘구동기어(21)을 가지고 있으며, 공지의 무브먼트와 그 구조가 다르다고 할 수 없으므로, 본 도면에서는 상세한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케이싱(30)은 상기 무브먼트(20)를 내장시키는 구조부로서, 전체적으로 중앙부가 비워진 도우넛 형상을 가진다. 전면부에는 문자판(31)이 배치되어 시계바늘이 있는 위치에서 시각을 판독할 수 있게하여 주고 문자판(31) 앞에는 앞투명간 지지부(32)가 케이싱 후면부에는 뒷투명판 지지부(33)가 형성되어 앞투명판(34)및 뒷투명판(35)이 그 지지부에 각각 끼워져 앞투명원판(34)를 관통해서 문자판(31)및 시계바늘(13)들뿐만아니라 배면부까지 투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계의 배면부를 디자인 요소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이때 뒷투명판(35) 뒤에는 별도의 디자인판(36)이 케이싱(30)에 착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계의 내부부분을 개폐하지 않고서도 디자인판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디자인 시계로서의 가치를 더욱 증진시켜 주도록 할수도 있다.
베아링(40)은 상기 시계바늘링(10)을 케이싱(30) 내에서 시계바늘 구동기어(21)와 맞물려서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여 주는 구조부이다.
일반적으로 베아링은 회전체의 중심부에서 회전에가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데 반하여, 본 고안에서는 회전체인 시계바늘링(10)을 그 주벽부에서 케이싱에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 시켜주는 구조를 택하고 있는 것이 종래의 것과 다른 점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시계바늘링(10)의 치차부(11)와 맞물려서 공회전하는 공기어(41)가 축봉(42)에 끼워져서 일정간격을 두고 케이싱(30)에 끼워지도록 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되어 있다. 이때 공기어(41)에는 시계바늘링(10)의 유동을 방지해주기 위하여 유동 방지편(43)이 시계바늘링의 앞뒤부분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무브먼트(20)으로 부터 전달되는 동력이 베아링(40)에 의해서 그 주변부에서 회동될 수 있게 지지되는 시계바늘링(10)들이 회동되어 각자의 시계바늘(13)들로 시, 분, 초를 가리키는 동작을 수행하는데, 종래기술과는 달리 시계바늘용 투명원판을 사용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시계의 배면부를 투시할 때 그 선명도가 증진되므로 시계의 배면판을 디자인요소로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그내면부에는 시계바늘이 일체로 연곁되고 그외부면에는 치차부가 형성되는 시계바늘링, 상기 시계바늘링의 치차부에 연결되는 시계바늘구동치차를 가지는 공지의 무브먼트 상기 무브먼트를 내장시키고 그 정면부에는 문자판부및 앞변유리지지부가 그 후면부에는 뒷판지지부가 형성되는 케이스부, 상기 시계바늘링을 그주변부에서 상기 케이싱부에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여 주는 베아링부로 구성되어 시계바늘의 배면판부를 보다 선명하개 디자인 요소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KR2019870021462U 1987-12-05 1987-12-05 시계 KR9000054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1462U KR900005474Y1 (ko) 1987-12-05 1987-12-05 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1462U KR900005474Y1 (ko) 1987-12-05 1987-12-05 시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139U KR890014139U (ko) 1989-08-10
KR900005474Y1 true KR900005474Y1 (ko) 1990-06-20

Family

ID=19270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1462U KR900005474Y1 (ko) 1987-12-05 1987-12-05 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47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139U (ko) 1989-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7709A (en) Rotating timepiece dial face construction with included movable decorative objects
US3162008A (en) Display device
JP5927810B2 (ja) 腕時計
JPH08504956A (ja) 透明アナログ時計
US4043116A (en) Timepiece comprising a flat display device exposed through an opening in a case
US2202581A (en) Time indicating mechanism
JP2004528551A (ja) 時計のムーブメント
US4382690A (en) Ultra-flat electronic watch
KR20030040077A (ko) 날짜 디스크를 포함하는 날짜표시 손목시계와 같은 시계를감고 시간을 맞추기 위한 장치
KR900005474Y1 (ko) 시계
US3911668A (en) Watch having one hand
US3545199A (en) Combined timepiece and compass
KR900005473Y1 (ko) 시 계
US3665700A (en) Watch with ornamental running indicator
US2444392A (en) Three-dimensional time indicator clock
GB2056126A (en) Ultra-flat electronic watch
US6270250B1 (en) Watch having an opening
US2380171A (en) Time indicating mechanism
US4163362A (en) Orbital clock
KR920002221Y1 (ko) 원 다이아그램 시계
US3495395A (en) Timepiece with a calendar mechanism
US2208366A (en) Clock
JPH0328395Y2 (ko)
JP6137381B2 (ja) 腕時計
JPH11194176A (ja) 時計の表示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12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