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383B1 - 유리 배치 물질 액화 용기의 측벽 보호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 배치 물질 액화 용기의 측벽 보호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383B1
KR900005383B1 KR1019870000832A KR870000832A KR900005383B1 KR 900005383 B1 KR900005383 B1 KR 900005383B1 KR 1019870000832 A KR1019870000832 A KR 1019870000832A KR 870000832 A KR870000832 A KR 870000832A KR 900005383 B1 KR900005383 B1 KR 900005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ing
container
drum
powder
refrac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0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7852A (ko
Inventor
에이 래디키 프랜시스
노엘 휴우즈 게리
크로오드 긋드 헨리
Original Assignee
피이피이지이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팃드
헬렌 에이 패브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이피이지이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팃드, 헬렌 에이 패브릭 filed Critical 피이피이지이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팃드
Publication of KR870007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7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04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in tank furn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4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in revolving cylindrical furn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00Charging the melting furnaces
    • C03B3/02Charging the melting furnaces combined with preheating, premelting or pretreating the glass-making ingredients, pellets or cullet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42Details of construction of furnace walls, e.g. to prevent corrosion; Use of materials for furnace wa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42Details of construction of furnace walls, e.g. to prevent corrosion; Use of materials for furnace walls
    • C03B5/425Preventing corrosion or ero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42Details of construction of furnace walls, e.g. to prevent corrosion; Use of materials for furnace walls
    • C03B5/44Cooling arrangements for furnace wa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11/00Heating processes for glass melting in glass melting furnaces
    • C03B2211/70Skull melting, i.e. melting or refining in cooled wall crucibles or within solidified glass crust, e.g. in continuous walled vessel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리 배치 물질 액화 용기의 측벽 보호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상부 내화물 라이닝과 임의적인 냉각 수단이 설치된 회전 액화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직 단면도.
제2도는 바람직한 내화물 라이닝 구조를 나타내는, 액화 용기 상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드럼 11 : 뚜껑
21 : 분말 라이닝 22 : 버너
35,38 : 내화물 라이닝 36 : 링
41 : 분무 시일드 50 : 지지링
51 : 지지봉 53,54 : 상하부 지지 블록
61,70 : 휘일
본 발명은 열에 의해 용융될 수 있는 유리 배치(glass batch)와 같은 물질을 액화시키기 위한 용기의 측벽을 보호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제4,381,934호에는 유리 배치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의 액화 방법이 기재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배치 물질과 같은 분발 물질 자체의 라이닝(lining)층이 용기 내부의 가혹한 온도로부터 용기의 측벽을 보호하기 위한 단열재로 작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 라이닝층은 용기의 중앙 공동부(cavity)를 둘러싸고 있으며, 액화된 물질이 용기로부터 자유롭게 흐르게하고 라이닝층 상에 비교적 차가운 물질을 공급함으로써 유지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한가지 장점은, 유동상 생성물이 오염성 내화물질과 과도하게 접촉함이 없이 그리고 용기벽의 강제 냉각으로 인한 과도한 열손실 없이 배치를 액화시키기 위해 고온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다.
내화벽 상의 물질의 용융은 미국 특허 제1,831,619호 : 제1,889,511호 : 제2,006,947호 : 및 제2,593,197호에 기재된 것처럼 종래 기술로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구조는 비교적 소량의 생성 물질이 비교적 큰 면적의 내화 물질과 접촉하게 되어, 내화물의 침식으로 인한 생성 물질의 상당한 오염 가능성이 있다는 결점을 가진다.
수냉식 용융 용기의 종래 기술의 예들이 미국 특히 제2,834,157호, 제3,917,479호, 및 제4,061,487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각각은 용기의 사실상 전체 측벽 부분을 보호하는 주요 냉각 요소로서 물을 이용하며, 그 결과, 냉각 유체와 용기내 용융된 물질 사이에 발생되는 큰 온도 차이로 인하여 용기 벽을 통하여 다량의 에너지가 낭비된다.
전술한 미국 특허 제4,381,934호의 액화 방법은 강제적인 외부 냉각을 이용하지 않고 용기 측벽의 열에 의한 중대한 열화(deterioration)를 방지하면서 오랫동안 연속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가끔 유리 배치 물질의 라이닝층이 불규칙하게 침식될 수 있지만, 이 시스템은 용기에 추가 배치 물질을 공급함으로써 자체 보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액화 용기 내부의 정상 상태 조건이 파괴되면, 때때로 용기의 상부 부분의 라이닝의 두께는, 충분한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용기의 열적 왜곡 또는 다른 열화를 야기할 수 있는 온도에 용기의 측벽부분이 노출될 수 있을 정도로 감소될 수도 있다. 배치 벽 두께의 불안정은, 예를들어 시동중이나 배치 공급 속도의 변화 또는 가열 속도의 변화시에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정상 작동시에도 중간 높이의 배치 라이닝층이 더 급속히 침식되어, 상부 라이닝을 깎아내어 결국 상부 지역으로부터 라이닝층을 급격히 붕괴시킬 수가 있다. 이런 이상 상태는 짧은 시간 지속되면 큰 문제가 없으나, 이들이 오래 지속되거나 자주 발생하는 경우에는, 용기를 고온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의 열적 왜곡은, 액화 공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용기를 회전시킬 때 동적 불안정을 야기시키므로 특히 문제가 된다.
미국 특허 제3,689,679호에는 용기의 일부가 냉각되는 약간 다른 방식의 실리카 용융 공정이 기재되어 있다. 이 공정에서는, 활성 용융 영역내의 측벽 지역의 대부분이 냉각된다. 그러나, 이 특허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라이닝 표면에서 액화시키는 것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용기내 공동부의 표면에서 유리 배치 물질이 액화되고, 그 용기의 1차적 열 보호는, 액화될 물질인 분말 물질, 바람직하게는 배치 물질 자체의 단열라이닝에 의해 제공된다. 비정상 작동중 라이닝층의 두께가 과도하게 감소되었을 경우 열에 의한 부당한 열화로부터 용기 측벽을 보호하기 위하여, 용기의 상부부분에 내화물 라이닝이 설치된다. 그 내화물의 노출 면적이 비교적 작고 대부분의 경우 내화물이 단지 일시적으로만 노출되므로 내화물과 액화되는 물질 사이의 접촉은 매우 적다. 내화물 라이닝은 분말 라이닝이 최소 두께 이하로 감소되었을 때 용기를 열적으로 안정화시키고, 접촉은 분말 라이닝이 완전히 없어지는 부위에서만 때때로 이루어진다. 작동 변수를 조정하여 분말 라이닝을 복원시킴으로써 내화물을 덮도록 하고, 그리하여 내화물의 노출이 최소로 되게 한다.
임의적으로는, 내화물 라이닝 부위에서 용기의 상부부분을 냉각시킴으로써, 비정상 작동중의 용기의 열안정성을 부가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내화물 라이닝의 단열 효과 때문에, 액화 공정에서 냉각에 의한 열손실이 거의 생기지 않는다. 분말 라이닝이 손상되지 않은 때에는, 냉각에 의한 에너지 손실이 더 적다. 더욱이, 냉각은 오직 제한된 면적에서 일시적으로만 현저한 열 전달을 달성한다. 이 냉각은 용기 측벽 외부에의 물 분무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도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서, 액화 용기의 기본적 구조는, 강으로 제작될 수 있고 측면 형상이 대체로 원통형이며 상부가 개방되고 배출구를 제외하고 바닥 부분이 폐쇄된 드럼(10)이다. 이 드럼(10)은 다음에 상세히 설명될 방식으로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고정된 지지체를 구비한 뚜껑(11)에 의하여 액화 용기내에 사실상 둘러싸인 공동부가 형성된다. 뚜껑(11)은 내화 세라믹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화로(furnace) 제작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알려진 바와같은 여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구조는 여러개의 내화 블록(12)으로 조립되고 위쪽으로 도움식으로 블록한 아치형 구조이다. 도시된 대표적인 아치형 구조에 있어서, 아치형 블록들은 주변 지지 구조물(13)상에 얹힌다. 판 블록(14)이 드럼(10)의 상부테의 약간 아래에서 연장하고, 고정된 지지판(15)에 의하여 지지된다. 아치형 내화 블록(12)과 판 블록(14) 사이의 간격을 폐쇄하기 위해 밀봉 블록(16)이 설치될 수 있다. 단일체의 편평한 매달림 구조가 뚜껑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말 상태의 배치 물질이 수냉식 공급 슈우트와 같은 공급 수단(20)에 의하여 가열 용기의 공동부내로 공급될 수 있다. 분말 배치 물질의 라이닝(21)이 드럼(10)의 내벽에 유지되어 단열 라이닝으로 작용한다. 드럼이 회점함에 따라, 공급수단(20) 즉, 공급 슈우트가 배치 물질을 그 라이닝(21)의 상부 부분으로 보낸다. 배치 물질을 액화시키기 위한 가열은 뚜껑(11)을 관통하여 연장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버너(22)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분말 라이닝(21)의 넓은 지역쪽으로 화염을 보내도록 뚜껑의 주변을 따라 여러개의 버너(22)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분말 라이닝(21)의 넓은 지역쪽으로 화염을 보내도록 뚜껑의 주변을 따라 여러개의 버너(22)를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버너는 용기내의 가혹한 호나경으로부터 보호되도록 물로 냉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 가스는 뚜껑(11)의 구멍(23)을 통하여 용기로부터 빠져나간다. 라이닝(21) 표면의 배치 물질이 액화되면 용기의 바닥에 있는 중앙 배출구(25)까지 경사진 라이닝을 따라 흘러내린다. 이 배출구(25)에는 내화 세라믹 부싱(26)이 설치될 수 있다. 액화된 물질(27)의 흐름이 용기로부터 고정된 수집기(28)내로 자유롭게 떨어진 후, 용융 공정을 완료하도록 부가적인 처리를 받을 수 있다. 액화된 물질이 라이닝(21)의 표면으로부터 자유롭게 흐르기 때문에, 불완전 용융 상태로 드럼(10)을 통과한다. 그 시점에서, 액화된 유리 배치에는 다량의 기체 상태의 반응 생성물이 포함되는 것이 보통이고, 약간의 미용융 입자가 포함될 수도 있다.
회전하는 드럼(10)의 상부테와 고정된 뚜껑(11)사이의 접촉면에는, 물을 담고 있는 고정된 원형의 물통(30)과 드럼(10)으로부터 이 물통(30)내로 아래로 연장된 원형 플랜지(31)로 구성되는 대기 밀봉 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유사한 고정된 물통(32)과 드럼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플랜지(33)가 드럼의 하단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호 내화 라이닝의 한 실시예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내화물 라이닝(35)이 드럼(10)의 내측 상부 주변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그 내화물 라이닝(35)은 일반적으로 드럼의 작은 부분에만 필요하고, 주 보호 라이닝의 역할을 하는 분말 라이닝(21)이 대부분의 드럼 표면에 배치된다. 내화물 라이닝(35)과 액화 물질 사이의 접촉은, 비정상 상태에서 분말 라이닝(21)의 상부가 고갈된 경우에 일시적으로만 발생한다. 공급속도 또는 가열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분말 라이닝을 복원시켜 정상 작동 상태에서 내화물 라이닝(35)을 사실상 덮도록 한다. 분말 라이닝(21)이 포물체 형상으로 테이퍼져 있기 때문에, 이 라이닝의 상부는 얇고, 이에따라 용기 상부의 작은 부분만이 노출되고 내화물 라이닝(35)의 도움을 받는다. 분말 라이닝(21)의 하부는 두껍고 보다 안정되어 있으므로, 드럼 측면의 대부분에까지 내화물 라이닝을 연장시키더라도 아무 손해가 없지만, 이 드럼 하부는 분말 라이닝(21) 아래에서 단열되어 유지되므로 그러한 내화물 라이닝이 거의 또는 전혀 작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제작의 편의상 필요하다면 드럼 전체에 걸쳐 내화물 라이닝을 설치할 수도 있다.
내화물 라이닝(35)은 예를들어 링(36)에 의해 지지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내화물은 적절한 금형에서 주입되어 경화될 수 있도록 주조 가능한 시멘트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드럼(10의 내부에 용접되는 금속제 고정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주조된 내화물을 드럼에 부가시킬 수도 있다. 내화물 라이닝을 장착시키는 다른 바람직한 구조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드럼(10)의 확대부(37)가 제공되어, 내화물 라이닝(38)이 설치되는 계단부를 이룬다. 이 실시예에서도 고정구 주위에 내화 시멘트를 성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화물 라이닝(35) 또는 (38)의 두께는 비정상 작동 기간 동안 드럼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드럼 내부의 고온의 영향으로부터 금속제 드럼을 단열시키는데 충분하다. 요구되는 단열값은 관련된 특정 온도 및 구조에 달려있다. 예를들어, 두께 5㎝의 실리카 시멘트가 설명된 실시예에서 만족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드럼(10)의 형상 안정성을 한층 더 보장하기 위하여 내화물 라이닝이 외부 강제 냉각 수단과 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냉각은 내화물 라이닝이 설치된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적에 부여되어, 내화물이 충분한 단열을 제공하는데 실패했을때 금속제 드럼의 과열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출원인의 한국 특허 출원 제86-11779호(1986.12.30.출원)에 기술된 바와같이, 드럼(10)의 상부를 강제 냉각시키기 위하여 여러가지 냉각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냉각재는 예를 들어 물과 같은 액체, 또는 예를들어 공기와 같은 기체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드럼 상부의 외부를 향하여 물이 분무된다. 그 물은 도관에 의하여 물이 공급되는 분무 노즐과 같은 분무 수단(40)에 의해 분무되고, 그 분무는 분무 시일드(shield)(41)에 의하여 드럼에 매우 인접한 공간내로 한정될 수 있다. 사용된 물은 원형의 물통(42)내에 수집되어 도관(43)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그 도관(43)은 드럼(10)과 함께 회전하고 그 드럼의 측면을 따라 아래로 연장한다. 도관(43)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하부 대기 밀봉용 물통(32)내로 공급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내화물 라이닝과 마찬가지로, 외부 냉각은 내부 분말 라이닝(21)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은 제한된 측벽 부위에만 제공될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경우, 이 부위는 드럼 높이의 절반이내에 해당하는 드럼의 작은 상부부분이다. 정상적으로는 내부 분말 라이닝(21)이 드럼 측벽의 대부분을 위한 주열 보호 수단으로 작용하고, 내화물 라이닝은 보조열 보호 수단으로 작용한다. 내화물 라이닝에 의해 보호되는 드럼의 일부에 외부 냉각을 가하더라도, 드럼내에서 수행되는 가열 공정으로부터 매우 적은 열에너지만이 상실되고, 분말 라이닝이 존재할 때에는 더 적은 열 에너지만이 상실된다. 따라서, 열효율을 거의 또는 전혀 상실하지 않고, 필요한 것 이상으로 냉각 부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적어도 2㎝정도의 두께를 가진 분말 유리 배치물질의 라이닝이 효과적인 단열재이며, 두께가 더 얇더라도 이 배치 라이닝을 통한 열전달은 매우 적다는 것이 밝혀졌다. 냉각은 필요한 경우에만 작동시킬 수도 있으나, 열전달도 거의 없고 용기의 외부를 냉각제의 온도로 유지시키면 냉각 재개시의 열 충격을 피할 수 있으므로 냉각제의 흐름을 계속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드럼(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구동시키는 지지 수단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대체로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중공의 지지링(5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지지링(50)은 드럼을 둘러싸고 이 드럼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이 실시예에서 지지 링(50)을 드럼(10)에 연결시키는 링크 수단은 여러개의 지지봉(51)으로 이루어진다. 그 링크 수단 즉, 지지봉(51)의 수와 크기는 반비례하며 완전히 세워진 때의 특정 드럼의 중량에 따라 정해진다. 이론적으로는 3개의 지지봉이 드럼을 지지할 수 있지만, 4또는 그 이상(바람직하게는 8이상)의 봉을 사용하여 자전거의 스포우크와 같은 배열로 함으로써 지지링(50)에 대한 드럼(10)의 회전을 상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지지봉은 드럼의 반경 방향 면에 놓이지 않고, 드럼의 수직 축선과 교차하지 않는 수직 면을 따라 연장되며, 인접한 지지봉들의 면은 드럼의 수직축선의 양쪽에서 통과한다. 용기가 대형화될수록,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더 많은 지지봉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형태의 실시예에서는 지지봉의 수가 24개 정도로일 수 있다. 링크 수단의 바람직한 형태는 봉인데, 그 이유는 봉이 드럼의 측면에서 거의 방해가 되지 않고, 그래서 제작 및 정비시 손이 닿기 쉽게 하고, 공기가 자유롭게 순환되고, 엎질러진 물질의 축적이 일어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지지봉(51)은 그의 양끝에서, 구형 단부를 가진 너트들(52)에 의하여 정 위치에 보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너트들(52)은 각각 상하부 지지 블록(53,54)의 오목한 홈내에 각각 수용된다. 상부 지지 블록(53)은 채워진 용기의 무게 중심(C)보다 높은 위치에서 지지 링(50)에 장착된다. 상부 지지 블록(53)보다 상당히 낮은 위치에서 드럼(10)에 부착되는 주변 링(55)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하부 지지 블록(54)이 부착된다. 자동 중심 잡기 효과를 최적화시키기 위해서, 지지 봉(51)의 상단이 지지 링(50)과 결합되는 높이가 무게중심(C)의 높이보다 초과하는 정도를 최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들 사이의 현저한 높이 차이가 있기만 하면 자동 중심 잡기의 이점이 어느 정도 달성된다. 대부분의 경우, 실제적인 면을 고려하여 상부 결합 높이가 제한된다. 대표적으로, 고정된 뚜껑(11)의 구조적 지지 수단과, 뚜껑과 관련된 부속품 및 뚜껑과 드럼의 경계면이 드럼의 최상부 높이 이상으로 드럼 지지 부재를 연장시키려는 시도를 방해한다. 도시된 바와같이 분말 라이닝(21)은 테이퍼져서 원통형 드럼의 하부에서는 큰 두께를 가지므로, 무게 중심은 드럼 높이의 하반부내에 있게 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지지 높이는 드럼 높이의 상반부에 있다고 달리 표현될 수 있다.
지지봉(51)와 같은 링크 수단을 드럼에 부착하는 지점은, 비교적 온도가 낮고 그래서 열적 왜곡을 덜 받는 드럼 부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형 드럼의 하부로 갈수록 분말 라이닝(21)이 두꺼워지므로, 드럼의 하부가 부착위치로 더 바람직하다. 드럼의 상반부에서 부착시키는 것이 때로는 허용될 수도 있지만, 하반부가 더 바람직하다. 라이닝을 포함한 정규양의 물질로 채워진 용기의 무게 중심(C)의 높이 또는 그보다 낮은 위치에 부착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같은 대략 원통형 대신에, 용기(10)의 형태를 미국 특허 제4,496,387호에 도시된 것처럼 아래로 오므라드는 절두 원추형 또는 계단진형과 같은 다른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이 같은 경우, 무게 중심은 용기의 하반부내에 있지 않을 수 있으나, 바람직한 지지 높이는 무게 중심 위에 있고, 용기에의 부착 높이는 하반부에 위치한다.
지지링(50)의 밑면에는, 여러개의 테이퍼진 지지휘일(61)과 구름 접촉하는 테이퍼진 트랙(60)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 휘일(61)은 비임(63)과 같은 적절한 고정된 구조물에 고정된 베어링(62)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탱된다. 지지 휘일(61)은 드럼 및 그 내용물의 수직 하중을 받치며, 따라서, 지지 휘일의 수는 그 하중을 분포시키도록 선택되어야 하며, 도면에 도시된 전형적인 상업용 규모의 설비에서는 8개의 휘일이 적절한 것으로 간주된다. 트랙(60)의 접촉면은 드럼(10)을 향하여 아래로 테이퍼져 원추형 단면을 이룬다.
지지 링(50)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있는 다수의 휘일(70)에 의하여 드럼(10) 및 지지 링(50)에 측방 구속이 제공된다. 측방을 구속하는 휘일(70)은 드럼(10)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는 견고한 지지수단(7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적어도 3개, 바람직하게는 4개의 휘일(70)이 설치되고, 이 휘일(70)은 공기 타이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휘일들중 적어도 하나의 휘일(70)이 지지 링(50)을 회전시켜 드럼(10)을 회전시키도록 모우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구동된다. 휘일(70)은 회전 요소들에 대한 절대적인 구속수단으로 작용하기 보다는, 드럼의 축선이 의도된 위치로부터 벗어나거나 요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휘일(70)은 드럼 및 지지 링의 어떠한 수평 운동도 억제시키고, 트랙(60)과 지지 휘일(61) 사이의 원뿔형 접촉면이 주된 중심잡기 힘을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무게 중심 위의 높이에 있는 지지체에 의한 드럼 축선의 요동 운동의 감소는 휘일(70)의 억제 효과에 의해 보조된다.
본 발명은 유리 배치의 액화와 관련하여 기술되었다. 이 유리 배치는 판 유리, 유리 섬유, 용기용 유리, 규산나트륨, 그리고 어떤 형태의 특수 유리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엄격하게는 "유리"로 정의되지 않을 수도 있는 다른 유리상 물질 또는 세라믹 물질이나, 금속 광물과 같은 다른 물질의 액화에도 적용될 수 있다. 실제 실시에 있어서, 특히 판 유리를 처리할때 처리 배치와 액화용기 분말 라이닝이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화학적 조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들 사이에 약간 변동이 있어도 오염이 일어나지 않아 몇몇 경우에는 문제되지 않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Claims (9)

  1. 용기의 내부 측벽 부분상의 분말 유리 배치 물질의 라이닝으로 둘러싸인 공동부에 분말의 열 용융성 유리 배치 물질을 공급하고, 상기 분말 물질의 노출된 부분을 액화시키기 위하여 공동부에 열을 공급하고, 액화된 물질이 용기로부터 흐르도록 하고, 액화된 물질이 상기 라이닝으로부터 배출됨에 따라 추가 분말 물질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분말 라이닝의 두께를, 용기 측벽의 대부분을 공동부내의 열로부터 단열시키는데 충분하게 유지시켜 상기 유리 배치 물질을 액화시키는데 사용되는 용기의 측벽을 부당한 열적 왜곡으로부터 보호하는 방법에 있어서, 분말 라이닝 두께가 용기를 적절히 단열시키기에 충분하지 못한 용기의 작은 측벽 부위에서 용기의 내부에 내화물 라이닝을 제공함으로써 용기의 상기 작은 측벽 부위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배치 물질 액화 용기의 측벽 보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작은 측벽부위에 부여되는 냉각제가 상기 내화물 라이닝과 협동하여 상기 작은 측벽 부위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제 유체의 흐름이 측벽의 외측 표면에 분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상기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물 라이닝으로 보호되는 상기 작은 측벽부위가 용기의 상단부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물 라이닝의 두께는, 액화된 물질이 분말 라이닝으로부터 제거됨에 따라 추가 분말 물질이 공급되어 증가된 상기 작은 부위의 분말 라이닝의 두께가 시간에 따라 감소하여 라이닝의 두께가 최소로 되었을 때 내화물 라이닝이 열에 의한 열화로부터 상기 측벽의 작은 부위를 보호하는데 충분한 두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는 수직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분말 물질은 용기의 상단으로부터 공급되며, 액화된 물질은 용기의 하부에서 배출되고, 라이닝은 용기 상단의 비교적 얇은 부분까지 테이퍼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측벽과 바닥을 가지고 사실상 수직인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된 드럼(10)과, 그 드럼내로 분말 물질을 공급하는 공급 수단(20) 및, 드럼으로부터 액화된 물질을 배출시키는 배출구(25)로 이루어지고 열용융성 유리 배치 물질을 액화시키는데 사용되는 용기의 측벽을 보호하는 장치로서, 드럼(10)의 측벽 부분에 부분적으로 내화물 라이닝(35,38)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배치 물질 액화용기의 측벽 보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드럼(10) 측벽의 외측 표면에 대하여 액체 냉각제를 분무시키는 분무 수단(40)이 상기 내화물 라이닝과 협동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내화물 라이닝(35,38)이 드럼(10) 측벽의 상부 부분에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870000832A 1986-02-07 1987-02-02 유리 배치 물질 액화 용기의 측벽 보호 방법 및 장치 KR900005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827,041 US4676819A (en) 1986-02-07 1986-02-07 Ablation melting with composite lining
US827041 1986-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7852A KR870007852A (ko) 1987-09-22
KR900005383B1 true KR900005383B1 (ko) 1990-07-28

Family

ID=25248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0832A KR900005383B1 (ko) 1986-02-07 1987-02-02 유리 배치 물질 액화 용기의 측벽 보호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4676819A (ko)
KR (1) KR900005383B1 (ko)
CN (1) CN87100600B (ko)
AU (1) AU571382B2 (ko)
BR (1) BR8700467A (ko)
CA (1) CA1271041A (ko)
DK (1) DK166204C (ko)
EG (1) EG18292A (ko)
FI (1) FI81079C (ko)
IL (1) IL81388A0 (ko)
MX (1) MX164724B (ko)
MY (1) MY102129A (ko)
NZ (1) NZ218909A (ko)
PH (1) PH22681A (ko)
PT (1) PT84236B (ko)
ZA (1) ZA872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9390A (en) * 1986-11-06 1988-12-06 Ppg Industries, Inc. Batch melting vessel lid cooling construction
US5562363A (en) * 1994-05-20 1996-10-08 Stir-Melter, Inc. Apparatus for vitrifying hazardous waste
US5711635A (en) * 1994-05-20 1998-01-27 Stir-Melter, Inc. Apparatus for hazardous waste vitrification
US5536114A (en) * 1994-05-20 1996-07-16 Stir-Melter, Inc. Apparatus for vitrifcation of hazardous waste
US6237369B1 (en) 1997-12-17 2001-05-29 Owens 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Roof-mounted oxygen-fuel burner for a glass melting furnace and process of using the oxygen-fuel burner
JP4455844B2 (ja) * 2003-07-31 2010-04-21 Hoya株式会社 ガラスの製造装置、ガラス溶融容器用保護部材及びガラスの製造方法
JP4504823B2 (ja) * 2005-01-11 2010-07-14 Hoya株式会社 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製造装置、並びにこれらに用いる保護部材
DE102006019647B4 (de) * 2006-04-25 2010-03-04 Schott Ag Verfahren zum Dimensionieren einer drehbaren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r Schmelze sowie drehbare Vorrichtung
EP3313790B1 (en) * 2015-06-26 2022-03-30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Submerged combustion melter with vibration damping
CN106091675A (zh) * 2016-06-30 2016-11-09 芜湖鸣人热能设备有限公司 回收铜带材的环保熔化炉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31619A (en) * 1927-05-23 1931-11-10 Libbey Owens Ford Glass Co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molten glass
US1889511A (en) * 1928-07-26 1932-11-29 Hartford Empire Co Rotary glass melting furnace
US2006947A (en) * 1930-06-14 1935-07-02 Ferguson John Centrifugal glass-melting furnace
US2593197A (en) * 1949-09-29 1952-04-15 Owens Illinois Glass Co Inclined melter furnace and method of melting glass
US2834157A (en) * 1954-11-03 1958-05-13 Owens Illinois Glass Co Glass melting furnace
DE2110669C3 (de) * 1970-03-12 1975-09-11 Toshiba Ceramics Co., Ltd., Tokio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Verflüssigung eines fein zerkleinerten kieselsäurehaltigen Materials
US3917479A (en) * 1971-12-03 1975-11-04 Nat Res Dev Furnaces
US4061487A (en) * 1976-07-01 1977-12-06 Union Carbide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glass in a rotary furnace
US4381934A (en) * 1981-07-30 1983-05-03 Ppg Industries, Inc. Glass batch liquefaction
NZ208658A (en) * 1983-07-25 1987-03-31 Ppg Industries Inc Two-stage batch liquefaction process and apparatus therefor
US4668271A (en) * 1986-01-02 1987-05-26 Ppg Industries, Inc. Ablation melting with thermal protection
US4668272A (en) * 1986-01-02 1987-05-26 Ppg Industries, Inc. Support and drive system for rotating liquefaction vess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87100600A (zh) 1987-10-28
PT84236A (en) 1987-03-01
DK166204B (da) 1993-03-22
FI81079C (fi) 1990-09-10
US4676819A (en) 1987-06-30
DK62087D0 (da) 1987-02-06
ZA87296B (en) 1988-08-31
KR870007852A (ko) 1987-09-22
DK62087A (da) 1987-08-08
FI81079B (fi) 1990-05-31
EG18292A (en) 1992-10-30
PH22681A (en) 1988-11-14
PT84236B (pt) 1989-09-14
CA1271041A (en) 1990-07-03
BR8700467A (pt) 1987-12-08
AU6856687A (en) 1987-08-13
MY102129A (en) 1992-04-30
AU571382B2 (en) 1988-04-14
NZ218909A (en) 1988-08-30
FI870369A (fi) 1987-08-08
DK166204C (da) 1993-08-16
CN87100600B (zh) 1988-09-14
MX164724B (es) 1992-09-21
IL81388A0 (en) 1987-08-31
FI870369A0 (fi) 1987-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5383B1 (ko) 유리 배치 물질 액화 용기의 측벽 보호 방법 및 장치
EP0335042B1 (en) Improved cooling system and method for molten material handling vessels
US2834157A (en) Glass melting furnace
JPH0338215B2 (ko)
CN102639439B (zh) 旋转铸造工艺
KR900005382B1 (ko) 유리 배치 물질 액화 용기의 측벽 보호 방법 및 장치
EP1853865B1 (en) Electric arc furnace
KR900005176B1 (ko) 유리 배치 액화용 회전 가열 장치
EP0231516B1 (en) Ablation melting with composite lining
JPH0432006B2 (ko)
JPH0427173B2 (ko)
US3723631A (en) Skull melting furnace with removable bottom and process for furnace operation
JPH02297B2 (ko)
JPH05231631A (ja) 灰溶融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7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