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357Y1 - 장식용 앨범 - Google Patents

장식용 앨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357Y1
KR900005357Y1 KR2019870019504U KR870019504U KR900005357Y1 KR 900005357 Y1 KR900005357 Y1 KR 900005357Y1 KR 2019870019504 U KR2019870019504 U KR 2019870019504U KR 870019504 U KR870019504 U KR 870019504U KR 900005357 Y1 KR900005357 Y1 KR 9000053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bum
cover
earth
projection
dec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95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456U (ko
Inventor
민이홍
Original Assignee
민이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이홍 filed Critical 민이홍
Priority to KR20198700195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357Y1/ko
Publication of KR8900104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4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3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3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8Alb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5/00Sheets and objec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Means therefor; Albums
    • B42F5/02Stamp or like filing arrangements in albu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장식용 앨범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표지 1a : 절첩부
2 : 대지 3 : 지철고리
4 : 절취선 5 : 절첩선
6 : 돌기 6' : 삽지홈
본 고안은 앨범대지의 일부를 절취한 후 대지에 미리 형성한 홈과 돌기를 이용하여 각대지등을 조합하므로서 탁상용 액자로서도 사용이 될수 있게한 장식용 앨범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흑색대지 표면에 사진의 네 귀퉁이를 이용하여 사진을 붙일 수 있도록 접착식으로된 세모꼴의 보조구를 사용하는 코너식(Classic Style)의 앨범이 주종을 이루어 오다가 대지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필름을 씌운 자착식 앨범이 개발되었으며 합성수지 필름의 대중화가 시작된 무렵부터서는 투명필름 주머니에 사진을 끼워 보관할 수 있도록한 필름식이 출현하였고, 최근에는 백색의 대지에 필름주머니를 형성시킨 대지포식 앨범이 다양한 종류와 염가로 제공되고 있다.
이와같은 몇종류의 앨범은 사진의 보관 및 정리방식에 따른 분류이고 제본방식이나 대지의 소재에 다른 분류로서는 바인더식, 책자식, 우표식 또는 라미네이팅커버, 비닐커버, 천커버등으로 구분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앨범의 사용방식이 대개가 책장식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앨범을 꺼내어 볼때에만 그 앨범에 들어간 사진을 볼수가 있게 되어 있으므로 탁상위에 놓고 항상 블수는 없었다.
이러한 점은 물품의 기능이 다양화 하여가는 현대산업 사회의 물품성의 추세에 비추어 볼때에는 그 낙후성을 인정하지 않을수가 없었다.
또한 종래 앨범의 이러한 단순성이 실내장식을 해치는 원인이 되었다.
즉, 일반적인 책의 사이즈는 규격화되어 있지반 앨범은 대부분이 책보다는 크기가 더 크고 그 규격도 다양하여, 대부분의 앨범보관 위치가 책장이나 책을 보관하여 놓는 곳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볼때 책과 앨범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실내분위기를 다소 흐트려뜨려 실내 장식을 해치게 되는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또한 서랍등에 보관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도 그 문제점은 드러난다.
즉 앨범속에 편집시킨 사진을 보려고 할때에는 앨범을 서랍속에서 일일이 꺼낸후 보아야 하기 때문에 그 불편함 뒤따르므로 자주 볼가 없으며 특히는 사진을 볼 있는 위치에 재치하여 놓을수가 없다는 것이 기존 앨범의 가장 큰 취약점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결점들을 없애고 앨범의 본래 목적이외에 액자로서도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하에서 그 구조와 작용 및 효과를 첨부도면 제1도-제4도의 일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첨부도면 제1도와 제2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절첩부(1a)로 이어진 두장의 약간 두꺼운 종이로 된 표지(1)가 본 고안의 앨범의 본체역할을 하여 앨범전체를 지탱한다.
대지(2)는 다수매로 되어 있고 지철고리(3)로 표지(1) 중심부에 부착되어 좌우편으로 책장을 넘기듯이 회전할 수 있다.
이 대지(2)는 가용성이 풍부한 합성수지제로 만들어지며 제1도에서 맨왼쪽에 위치해 있는 대지(2)를 제외한 나머지 대지(2)는 첨부도면 제4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절취선(4)을 따라 절취하여 준다.
즉 대지(2)의 맨 바깥쪽에 위치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절첩선(5)이외에는 삼면을 절취선(4)을 따라 절개하여 주게되는데. 이때 돌기(6)가 형성된다.
이 돌기(6)는 후술하는 삽지홈(6')에 끼워져 대지(2)를 펼친 상태로 유지하여 주어 액자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절취선(4)을 따라 절취한후 인위적으로 절단부위를 젖히게 되면 절첩선(5)을 중심으로 첨부도면 제3도에서의 화살표 "가"방향으로 대지(2)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 절단부위에 사진이 삽입되는 필름주머니가 포개어진 채로 차례차례 부착되어 이루어진 필름보관부(7)를 접착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대지(2)의 바깥쪽으로 중간위치에 삽지홈(6')을 뚫어 상기 돌기(6)를 삽입시키므로서 대지(2)를 첨부도면 제1도의 상태가 되게 한다.
즉 절취선(4)을 따라 절단한후 필름보관부(7)가 부착된 절단부위를 젖히게 되면 대지(2)의 테두리부(2')만 남고 절단부위(필름보관부)가 젖혀져 나오게 된다.
이렇게 젖혀진 필름보관부(7)의 중간위치에 형성된 돌기(6)를 이 돌기(6)와 끼워맞춤이 되도록 역시 대지(2)의 바깥측 중간위치에 긴구멍으로된 삽지홈(6')을 뚫어 양자의 결합으로 인한 대지(2)의 형태를 완성한다(제1도).
첨부도면 제2도의 접혀진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제1도의 가장왼쪽에 있는 대지(2)의 삽지홈(6')에, 왼쪽에서 두번째 대지(2)의 돌기(6)를 삽입시키고 이어서 차례로 두반째, 세번째 대지(2)의 삽지홈(6')에 세번째, 네번째 대지(2)의 돌기(6)를 조합시키게 되면 각각의 대지(2)가 제1도의 형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조합된 본 고안의 앨범은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외부로 향한 필름보관부(7)의 면이 3면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면으로 부터 3,4,5,6면까지 다양하게 조합구성시킬 수 있어 소비자의 성향에 따라 선택되어 질수 있도록 그 다양성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는 것이다.
제1도의 도시한 것에서 돌기(6)와 삽지홈(6')의 결합상태가 나타단 것은 왼쪽에서 세번째 대지(2)의 삽지홈(6')에 네번째 대지(2)의 돌기(6)가 삽입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 제일 윗부분의 사진보관부(7)에 삽입된 사진을 다른것으로 교체하고자 할때나 제일 윗부분에 가리워진 그 밑쪽의 사진들을 보려할때에는 첨부도면 제3도에서 표현한 바와같이 인위적으로 책장을 넘기듯 필름보관부(7)를 넘겨 나가면서 한장한장 보면되는 것이고 첨부도면 제4도에서 표현한 바와같이 바깥측으로 트여진 구멍(도시없음)을 이용하여 필름보관부(7)내의 사진을 꺼내거나 넣어 사진의 교체를 행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A는 표지(1)중앙부로 대지(2)를 잡아매는 지철고리(3)를 고정하기 위한 리벳을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은 앨범을 구성하는 재질에 구애되지 않으므로 다양한 재질과 염가의 재질을 이용할수가 있으며 앨범의 본래목적은 물론이거니와 장식용으로서의 목적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절첩부(1a)를 갖는 두장의 표지(1)와 이 표지(1)의 중간부에 지철고리(3)를 고정시킨 것에 있어서, 절취선(4)과 절첩선(5) 및 필름보관부(7)가 각각 형성되고 접착되어 이루어진 사진 대지(2)와 상기 절취선(4)에 따라 형성된 돌기(6)를 이용하여 대지(2)의 바깥측 중간위치에 형성된 삽지홈(6')에 끼워맞춤시키므로서 일정형태를 이루어 장식용으로 사용이 될수 있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앨범.
KR2019870019504U 1987-11-11 1987-11-11 장식용 앨범 KR9000053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9504U KR900005357Y1 (ko) 1987-11-11 1987-11-11 장식용 앨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9504U KR900005357Y1 (ko) 1987-11-11 1987-11-11 장식용 앨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456U KR890010456U (ko) 1989-07-08
KR900005357Y1 true KR900005357Y1 (ko) 1990-06-18

Family

ID=19269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9504U KR900005357Y1 (ko) 1987-11-11 1987-11-11 장식용 앨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35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456U (ko) 198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9349A (en) Flexible transparent notebook and the like
US4838724A (en) Binder with pencil pocket
US8162204B2 (en) Pocket folder and blank for making same
US5715618A (en) Biennial photo album calendar
US5330281A (en) Device for mounting photographs and the like
US4844508A (en) Album binding device and method of binding
US6431606B1 (en) Memory album
KR900005357Y1 (ko) 장식용 앨범
US20020067037A1 (en) Souvenir travel guidebook and photo album system
KR100850291B1 (ko) 노트
US2557523A (en) Card holder
KR100661734B1 (ko) 밴드형 파일용 속지
KR200415835Y1 (ko) 물품 지지구
US3099464A (en) Plastic protectors for sheet material, book and magazine covers, and the like
US7398611B1 (en) Photo album insert
JP3042452U (ja) 折畳みブック
WO1989010846A1 (en) A stiffening means for a paperback book
JPH027778Y2 (ko)
JPH02120097A (ja) バインダー式ノートのリフィル
AU2004312433B2 (en) An album assembly
JPH0413194Y2 (ko)
JPH0616785Y2 (ja) カレンダー
JP3287803B2 (ja) 両面収納ケース
JPS6014606Y2 (ja) アルバム用表紙
JP3119456U (ja) 無線綴じ製本用ポリプロピレン・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6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