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243Y1 - 공기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243Y1
KR900005243Y1 KR2019880010068U KR880010068U KR900005243Y1 KR 900005243 Y1 KR900005243 Y1 KR 900005243Y1 KR 2019880010068 U KR2019880010068 U KR 2019880010068U KR 880010068 U KR880010068 U KR 880010068U KR 900005243 Y1 KR900005243 Y1 KR 9000052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efrigerant
cooling chamber
precooler
dry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00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0365U (ko
Inventor
정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00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243Y1/ko
Publication of KR9000003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3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2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2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5Drying gases or vapours by refrigeration (condens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기 건조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공기 건조장치 계통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공기 냉기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공기 냉각실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B-B선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응축수 분리기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C-C선 단면도.
제8도는 종래 고안이 적용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매압축기 2 : 냉매응축기
3 : 팬모터 4 : 냉매저장기
5 : 팽창밸브 6 : 공기냉각실
6a : 핀 6b : 냉매통과밸브
6c : 공기통로 7 : 바이패스밸브
8 : 공기 압축기 9 : 공기예냉기
9a : 핀(fin) 9b : 건공기통과튜브
9c : 습공기통로 10 : 응축수 분리기
11 : 분류판 12 : 드레인밸브
13 : 자동드레인기
본 고안은 각종 공압기기에 공급되는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건조장치에 있어서, 특히 냉동 사이클의 기본원리를 이용함과 아울러, 부품 및 열교환기의 구조를 효율적으로 개선보완시켜, 반영구적인 제습기능을 수행토록된 공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는, 도면 제8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공기를 공압기기로 보내기 위해 공기 압축기(8')로 부터 나온 고온 고압의 습한 공기를 실리카겔(Silicagel)과 같은 흡습제(14)가 들어있는 용기를 통과시켜, 습기가 제거된 건조 상태의 공기로 공압기기에 공급했는데, 이러한 과정속에서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흡습제(14)를 교한해야 하는 등에 문제점이 뒤따라, 각종 공압기기가 사용되는 자동제어 분야에 적용하기에는 커다란 결점으로 지적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일반적인 냉동 사이클을 이용함과 동시에 공기예냉실과 공기냉각실 및 응축수분리기의 구조를 개량시켜 공기압축기로 부터 배출되는 공기 경로에 순차적으로 배열 장치시킨 것으로서, 반영구적인 제습기능 수행과 응축수 자동 배수 및 에너지 절약을 그 목적으로 하며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압축기(1) 냉매 응축기(1), 팽창밸브(5) 및 공기 냉각실(6)이 기본 구성 요소인 냉동사이클에 있어서, 냉매응축기(2) 일정위치에 팬모터(3)를 설치하고 냉매압축기(1) 입구와 공기 냉각실(6) 출구쪽에 바이패스 밸브(Bypass Valve)(7)를 설치시키며, 냉매응축기(2)와 팽창밸브(5)사이에 냉매저장기(4)를 설치시킴과 아울러 공기 압축기(8) 출구쪽에 토출공기를 예냉키위한 공기 예냉기(9)를 설치시켜, 주된 제습기능을 수행하는 공기냉각실(6)에 연결설치시키고, 완전한 제습기능을 수행하는 응축수분리기(10)를 공기 냉각실(6)과 공기예냉기(9) 사이에 설치시키며, 또한 응축수를 외부로 배수키 위한 드레인 밸브(12) 및 자동드레인기(13)를 응축수 분리기(10)에 순차적으로 연결장치시켰으며, 도면 제2도, 제3도는 제1도의 공기 예냉기(9)의 상세한 단면도로서 공기 예냉기(9) 몸체 내부에는 외주면에 다수 돌기핀(fin)(9a)이 형성된 건공기 통과 튜브(9b)를 다수 설치시키고, 건공기통과 튜브들(9b)(9b')사이에 습공기 통로(9c)를 형성시킨 것이며, 또한 도면 제4도 5도는 제1도의 공기 냉각실(6)의 상세한 단면도로서, 공기 냉각실(6) 몸체 내부에는 다수의 돌기판(6a)이 외주면에 형성된 냉매튜브(6b)를 다수 설치시키고, 냉매통과 튜브들(6b)(6b')사이에 공기통로(6c)를 형성시킨 것이며, 도면 제6도, 제7도는 제1도의 응축수 분리기(10)의 상세한 단면도로서 일정경사각(θ)을 갖는 응축수 분리기(10) 내부에는 톱날 형상의 응축수 분류판(11)을 설치시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압축기(1)로 부터 토출되는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는 냉매응축기(2)에서 방열하고 팬모터(3)에 의해 냉각이 축진되어 응축된 저온 고압의 냉매 상태로 냉매저장기(4)를 통과하고, 파이프를 통하여 팽창밸브(5)로 들어가 팽창밸브(5)를 통과하여 냉매는 팽창 저온저압상태로 공기 냉각실(6)로 보내지고, 유입된 냉매는 증발 흡열 작용을 한후 냉매 압축기(1)로 복귀 하며 사이클은 계속 순환하게 되고, 공기 냉각실(6) 출구와 냉매압축기(1) 입구 도중에 설치된 바이패스밸브(7)는 냉매압축기(1)로 복귀되는 냉매와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 과냉도 혹은 과열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안정적 냉동사이클을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하고, 한편 대기중의 공기를 흡입압축 소출시키는 공기 압축기(8)로부터 토출되는 고온 고압의 습공기는 공기 예냉기(9)내부의 습공기 통로(9c)로 통과하며 전열 면적을 넓히기 위해 다수의 돌기핀(9a)이 형성된 건공기통과튜브(9b)내로 흐르는 차겁게 제습된 상태의 건공기와 1차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져 예냉된 상태로 공기냉각실(6)로 보내지고 공기 냉각실(6)내부에 다수돌기핀(6a)이 형성된 냉매통과 튜브(6b)내로 흐르는 냉매와 공기 예냉기(9)에서 예냉된 공기는 공기통로(6c)를 통과하며 2차 열교환 작용을 하게 되 공기 냉각실(6)로 유입된 공기중에 포함된 습기는 이슬점(Dew point)까지 내려가 일부는 응축하게되고, 나머지는 기준면에 대해 일정한 경사각(θ)를 갖으며 내부에 설치된 톱날 형상의 분류판(11)과 마찰되며, 완전히 제습되어 건공기 상태로 공기예냉기(9)를 통하여 공압기기사이클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응축수 분리기(10)내부에 발생된 응축수는 드레인밸브(12)를 거쳐, 일정 수준의 응축수가 차게되면 배수작용을 하고 배수가 끝나면 닫히는 자동 드레인기(13)를 통해 외부로 배출토록 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여 냉동 사이클의 원리를 이용함과 아울러 응축수 분리기(10)와 공기예냉기(9) 및 공기냉각실(6)의 구조를 특히 형태로 갖추게해 공기압축기(8)로 부터의 고온 고압의 습공기를 예냉시켜 공기 냉각실(6)로 보내게 함으로써, 냉매 압축기(1)의 가동률이 낮아져 그만큼의 소비전력을 낮추되 에너지 절약에 기여함은 물론 흡습제에 의한 제습으로 야기되는 주기적인 흡습제 교환의 불필요로 사용상의 편리성과 함께 자동 제어 분야를 한층더 발전시킨다는 등에 여러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냉매압축기(1), 냉매응축기(2), 팽창밸브(5) 및 공기 냉각실(6)를 기본 구성요소로 갖는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 공기 압축기(8)출구쪽에 공기 예냉기를 설치시키고 공기 예냉기(9)는 공기 냉각실(6)에 연결설치시키며, 공기냉각실(6)과 공기 예냉기(9)사이에 응축수 분리기(10)를 설치시켜 드레인 밸브(12) 및 자동드레인기(13)를 순차적으로 연결 장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공기 예냉기(9)몸체 내부에, 다수돌기핀(9a)이 형성된 건공통과 튜브(9b)를 다수 설치시키고, 건공기 통과 튜브(9b)(9b')들 사이에 습공기 통로(9c)를 형성시킨 구조가 포함된 공기 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공기 냉각실(6) 몸체 내부에, 다수 돌기핀(6a)이 형성된 냉매 통과튜브(6b)를 다수 설치시키고 냉매통과튜브들(6b)(6b')사이에 공기 통로(6c)를 형성시킨 구조가 포함된 공기 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일정한 경사각(θ)을 갖는 응축수 분리기(10)내부에 톱날 형상의 응축수 분류판(11)을 설치시킨 구조가 포함된 공기 건조장치.
KR2019880010068U 1988-06-28 1988-06-28 공기 건조장치 KR9000052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0068U KR900005243Y1 (ko) 1988-06-28 1988-06-28 공기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0068U KR900005243Y1 (ko) 1988-06-28 1988-06-28 공기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365U KR900000365U (ko) 1990-01-17
KR900005243Y1 true KR900005243Y1 (ko) 1990-06-15

Family

ID=19276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0068U KR900005243Y1 (ko) 1988-06-28 1988-06-28 공기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24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365U (ko) 1990-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8460B1 (ko) 개선된 냉각 건조법
CN207751204U (zh) 环境试验箱除湿、制冷系统
CN108800646B (zh) 一种蒸发冷空气源热泵机组
CN100359250C (zh) 一机双系统新型户式新风除湿机
CN108870878A (zh) 直接热泵集成变压干燥系统及方法
CN107726660A (zh) 回热式半解耦除湿热泵系统及方法
CN201152668Y (zh) 一种热泵干燥装置
BRPI0606856B1 (pt) dispositivo de secagem de gás
RU177549U1 (ru) Термоэлектрический осушитель сжатого газа
JP2530859B2 (ja) 都市ガス等の脱水方法
KR900005243Y1 (ko) 공기 건조장치
CN215892596U (zh) 一种除湿机
KR102373185B1 (ko) 에너지 절약형 듀플렉스 에어드라이어
CN1782615B (zh) 利用冷冻循环的烘干装置
RU39282U1 (ru) Термоэлектрический осушитель газов груздева
KR890001696Y1 (ko) 냉각제습 건조장치
KR101103431B1 (ko) 제습기의 열교환기
CN208959596U (zh) 一种压缩空气冷冻式干燥机
CN205461697U (zh) 一种压缩空气冷干机
CN106693625A (zh) 一种冷冻式高温压缩空气干燥器
KR200234358Y1 (ko) 냉매와 공기의 예냉방식을 이용한 냉동식 제습기
KR20060065032A (ko) 응축효율이 향상된 공기조화장치
CN204816168U (zh) 一种冷气循环式压缩空气冷冻干燥器
CN104165487A (zh) 独立控制制冷除湿装置及独立控制制冷除湿方法
KR100390047B1 (ko) 냉매와 공기의 예냉방식을 이용한 냉동식 제습시스템 및제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