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169B1 - Mfc 전화기를 이용한 무선 원격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Mfc 전화기를 이용한 무선 원격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169B1
KR900005169B1 KR1019870007674A KR870007674A KR900005169B1 KR 900005169 B1 KR900005169 B1 KR 900005169B1 KR 1019870007674 A KR1019870007674 A KR 1019870007674A KR 870007674 A KR870007674 A KR 870007674A KR 900005169 B1 KR900005169 B1 KR 900005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igital signal
unit
output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7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243A (ko
Inventor
이강선
Original Assignee
이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선 filed Critical 이강선
Priority to KR1019870007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169B1/ko
Publication of KR890003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MFC 전화기를 이용한 무선 원격 제어장치
제1a도는 본 발명에서의 송신부측의 블록 구성도, (b)는 본 발명에서의 수신부측의 블록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서의 송신부측의 디지털신호 발생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에서의 송신 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에서 수신부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정류부 20 : 입력신호 절환회로부
30 : DTMF 신호 판별 및 디지털신호 발생부
40 : 클록펄스 발생부 50 : 비밀번호 설정 및 비교회로부
60 : 기기번호 설정 및 디지털신호 출력부
70 : 온/오프 신호설정부 80 : 인가 전원구동부
90 : 리세트(Reset)회로부 100 : 발진부
110 : 변조부 120 : 고주파 발진부
130 : 중간주파 증폭 및 송신부 140 : 고주파 증폭부
150 : 국부발진부 160 : 주파수 변환부
170 : 고주파 수신용 집적회로부 180 : 반전회로부
190 : 디지털신호 판별부 200 : 기기번호 설정부
210 : 구동출력부 IC1~IC3: 비교 IC,
IC4: 엔코오더(Encoder) IC IC5, IC6: 아나로그 스위치
IC7~IC12: 데이터 래치(Date Latch) IC13: 펄스발생 IC
IC14~IC16: 카운터 IC IC17: 고주파 수신용 집적회로 IC
IC18: 토운 디코오더(TONE dECODER) IC
IC19, IC20: 디코오더(Decoder) IC F/F : 플립플롭(Flip - Flop)
TR1~TR13: 트랜지스터 FET :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N1, N2: 낸드게이트 A1~A8: 앤드게이트
R1~R41: 저항 C1~C16: 콘덴서
D0: 브리지 다이오드 D1~D9: 다이오드
ZD : 제너다이오드 I1~I4: 인버터
Con1, Con1: 콘버터 X-TAL1, X-TAL2: 수정발진소자
L1~L4: 쵸우크 코일 SW1~SW5: 전자스위치
Ry1~Ry3: 릴레이 S1: 릴레이(Ry1)의 접점
S2-1: 릴레이(Ry2)의 a접점 S2-2: 릴레이(Ry2)의 b접점
S3: 릴레이(Ry3)의 접점 IFT1~IFT4: 중간주파트랜스
OSC : 발진코일 ANT1, ANT2: 안테나
본 발명은 MFC(전자식)전화기에 전송되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의 약칭임) 신호를 이용하여 원거리에 설치된 각종 전기, 전자기기를 무선으로 온/오프 제어할 수 있도록한 무선 원격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원격 제어장치에 있어, 앞서 제안된바 있는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는 송신부에서 송출된 광신호를 수신부의 수광소자에서 받아들여 수신호로를 구동시키고, 이에 따라 수신부에 접속된 전기, 전자기기의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한 것이므로, 만일 송신부와 수신부의 사이에 장애물이 존재할 경우, 송신부에서 송출된 광신호는 수신부에 전달될 수가 없는 것이어서, 원격 제어를 할수 있는 범위가 장애물이 없는 공간으로 제한되는가 하면 송ㆍ수신부가 일직선상에 일치되는 각도에서만 동작되므로 사용상의 제한이 뒤따랐다.
또한, 이와 같은 결점을 보완코져 제안된바 있는 무선신호를 이용한 원격 제어장치는, 송ㆍ수신에 사용되는 신호가 단일의 것이어서 근거리에 인접하고 있는 동일 종류의 원격 제어장치를 사용시에는 기기 상호간의 혼신으로 인하여 오동작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점을 보완하여 고안된바 있는 1987년 실용신안등옥 출원 제 7026호(명칭 고주파 신호를 이용한 원격 제어장치)는 장애물 및 원격 송ㆍ수신 각도에 제한없이 원격 제어의 동작을 효과있게 행하게 하고, 또한 스위치의 조합으로 송출 신호를 암호화하여 일정의 수신기에 접속된 전기기기만을 제어하도록 하므로서 혼신으로 인한 오동작의 방지는 물론,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어서 신뢰도 및 실용성 향상에 기여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고주파 신호를 이용한 원격 제어장치는, 저출력의 무선신호를 이용한 것이므로 그 사용범위가 일정 지역내로 한정되는 것이어서 장시간 동안 외출시에는 전기기기의 온/오프 제어를 할 수 없는 결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감안하여 송신부를 MFC 전화기와 연결 접속하고, 이에 전속되는 DTMF 신호를 이용하므로서 무선신호를 이용할 수 없는 원거리에서도 일정의 수신 장치에 접속된 전기기기의 온/오프 제어동작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서와 같이 MFC 전화기에 전송되는 DTMF 신호를 정류하는 정류부(10)와, 링(Ring) 신호로서 전화기의 후크(Hook) 스위치를 도통시키고, 입력되는 DTMF 신호를 판별하여 이에 해당되는 디지털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신호 발생부(30)를 접속시키고 입력신호 절환부(230), 디지털신호 발생부(30)의 출력신호를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의 신호와 비교하여 주는 비밀번호 설정 및 비교회로부(50), 각 데이터 래치(IC7~IC12)의 구동을 위한 클록펄스를 발생하는 클록펄스 발생부(40), 회로에 전원을 약 2.5초 동안 인가시키는 인가전원 구동부(80), 원격 제어 대상기기의 온ㆍ오프 제어신호를 결정하는 온/오프 신발생부(70), 원격 제어 대상기기의 번호 설정 및 디지털신호 출력부(60)와 모든 디지털신호를 리세트(Reset)시키는 리세트 회로부(90)를 접속하여 디지털신호 발생회로를 구성하고, 이에 제3도의 발진부(100), 변조부(110), 고주파 발진부(120), 중간주파 증폭 및 송신부(130)를 접속하여 구성된 공지의 무선송신 회로를 접속하여 송신부를 구성한다.
또한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주파증폭부(140), 국부발진부(150), 주파수 변환부(160), 필터 및 고주파 수신용 집적회로부(170)로 구성된 공지의 고주파 수신회로에 입력신호를 반전시키는 반전회로(180)를 접속하고, 이에 기기번호 설정부(200)의 신호와 입력되는 신호를 비교하여 기기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신호 판별부(190)와 디지털신호 판별부(190)로부터의 신호로서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구동출력부(210)를 접속하여 수신부를 구성한다.
미설명 기호 화살표(↑)는 전원 단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MFC 전화기의 선로에는 평상시에 직류성분의 전원이 인가되고 있으나 전화를 걸거나, 또는 전화가 걸려올 때에는 음성신호가 포함된 교류성분의 DTMF 신호가 선로를 따라 전송되어 상대방과 통화를 하게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MFC 전화기에 전송되는 DTMF 신호를 디지털신호 발생회로가 접속된 송신부에 인가하고, 수신부는 제어대상기기와 접속하므로서, 원거리에 있는 사람도 전화만 걸면 수신부에 접속된 전기, 전자기기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즉 송신장치가 접속된 수신측의 MFC 전화기에 대하여 전화를 하게 되면 수신측의 전화기는 수신기를 들지 않아도 링신호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디지털신호 발생회로와 접속된다.
이때 전화를 거는 사람은 링신호가 중단되는 착신음을 듣게되어 송신장치와 접속 되었음을 인지하게 되고, 이어서 미리 설정해 놓은 비밀번호 및 제어기기의 번호와 전원의 온/오프 해당번호를 MFC 전화기에서 차례로 눌러주면 디지털신호 발생회로는 이때의 DTMF 신호에 의하여 해당펄스신호를 발생시키고, 동시에 송신장치가 구동되어 해당 디지털신호를 송출하게 되는 것이고, 이때 수신부에서는 송출된 신호를 받아 기기번호와 전원의 온/오프 신호를 판별하여 이에 접속된 전기, 전자기기의 온ㆍ오프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미리 혼신에 의한 오동작 방지를 위하여 제2도에 도시한 디지털신호 발생회로를 구동시키기 위한 비밀번호를 미리 설정하여 전자스위치(SW1~SW3)로 세트(set)시키고, 제4도의 수신부는 이에 접속될 제어 대상기기의 번호를 지정하여 전자스위치(SW4, SW5)로 번호를 맞춘다.
이러한 상태에서 원거리에 떨어진 사람이 일정기기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하여 송신부가 접속된 MFC 전화기의 번호를 다이얼하면 전화기의 링신호는 제2도의 디지털신호 발생회로의 입력단자(1), (2)로 입력되어 정류부(10)에서 정류되고, 이어서 이 신호는 릴레이(Ry1)의 접점(S1) a 및 저항(R4)을 통하여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에는 링 신호입력에 의한 펄스를 출력하게 되어 카운터 IC (IC16)에 인가된다.
이때 전화를 걸고 있는 사람은 비밀번호와 기기번호, 전원 온/오프 신호를 MFC 전화기의 키를 눌러 주므로서 해당 디지털 펄스신호가 출력단자(3)를 통하여 출력되는 것으로 다음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의 비밀번호는 234이고, 제어 대상기기의 번호는 15이며, 이 15번 기기의 전원은 온 시키려고 할 때 사용자는 "234251"(마지막 숫자 1은 전원 온 신호이고, 오프하려고 할 때에는 0을 누른다)와 같이 조합된 숫자를 차례로 눌러주면 되는 것이다.
우선 제2도의 각 전자스위치(SW1~SW3)는 미리 2, 3, 4의 번호를 설정하고 또한 제4도의 기기번호 설정부(200)에 구성된 가가 전자스위치(SW4, SW5)도 1과 5의 번호를 설정하여야 한다.
이때 처음의 숫자 2를 눌러주면 2에 의한 MFC 전화기의 DTMF 신호는 저항(R8) 및 콘덴서(C5), 저항(R9)를 통하여 펄스발생 IC(IC13)에 입력되어 그의 출력단자(DCBA)에는 8421 코오드로 변환된 신호"10"이 출력되고, 클롭 출력단자(차)로는 하이상태의 클록펄스 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펄스발생 IC(IC13)의 출력(DCBA)에 일측 입력단자가 각각 접속되어 있는 앤드게이트(A4~A1)는 타측 입력단자에 공통 입력되고 있는 하이상태를 클록펄스 신호에 의하여 게이트 되므로 각 앤드게이트(A4~A1)의 출력신호 0, 0, 1, 0은 데이터 래치(IC7~IC11)의 입력단자(DCBA)에 가해지게 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펄스발생 IC의 클록출력단자(차)에서 출력된 하이상태의 클록펄스 신호는 카운터 IC(IC14)에 입력되어 그의 출력단자(Q1)로 하이상태의 신호를 출력하여 데이터 래치(IC7)를 구동시키게 되므로, 비교 IC(IC1)의 각 입력단자(DCBA)에 0010의 신호를 입력시키게 된다.
여기서 전자스위치(SW1)에는 이미 2라는 숫자가 설정되어 있는 것이어서, 그의 출력(dcba) 역시 0010의 신호가 되고, 이 신호는 비교 IC(IC1)에 입력되므로 비교 IC(IC1)는 전자스위치(SW1)에서 입력되는 신호와 DTMF 신호에 의하여 변환된 디지털신호와는 비교하여 동일 신호임을 판단하므로서 하이상태의 신호를 출력하여 낸드게이트(N1)의 입력단자 ①에 인가시키게 된다.
이어서 비밀번호중 두 번째의 숫자 3을 누르면, 3에 의한 DTMF 신호는 저항(R8), 콘덴서(C5) 및 저항(R9)을 통하여 펄스 발생 IC(IC13)에 입력되어 그의 출력단자(DCBA)에는 8421 BCD 코오드로 변환된 신호 0011가 출력되고, 또한 클록 출력단자(CK)로는 하이상태의 클록펄스가 출력되어 각 앤드게이트(A4~A1)의 타측 입력단자에 입력되므로, 각 앤드게이트(A4~A1)의 출력 0, 0, 1, 1은 데이터 래치(IC7~IC11)의 입력단자(DCBA)에 인가된다. 그러나, 이때 카운터 IC(IC14)는, 펄스발생 IC(IC13)의 클록 출력인 하이상태의 클록펄스 신호에 의하여 출력단자(Q2)로만 하이상태의 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이에 의한 데이터래치(IC8)가 구동되어 "11"의 신호를 비교 IC(IC2)의 입력단자(DCBA)에 인가시킨다.
이때 비교 IC(IC2)는 전자스위치(SW2)에 이미 설정된 "3"이라는 숫자의 출력(dcba) 신호(0011)와 비교하여 일치함을 판단하고, 출력단자(out)로 하이상태의 신호를 출력하여 낸드게이트(N1)의 입력단자 ②에 인가하게 된다.
이어서 비밀번호의 마지막 숫자인 "4"를 눌러주면,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구동되어 카운터 IC(IC14)의 출력(Q3)의 하이상태의 신호에 의하여 4로 인한 DTMF 신호가 변환된 디지털신호는 비교 IC(IC3)에 입력되고, 이때 비교 IC(IC3)는 전자스위치(SW3)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하이상태의 신호를 출력하여 낸드게이트(N1)의 입력단자 3에 인가하게 되므로 낸드게이트(N1)는 로우상태의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또한 이 신호는 인버터(I1)을 통하므로서 하이상태의 신호로 반전되어 각 앤드게이트(A5~A8)의 일측입력단자에 입력된다.
이때 기기번호 "15"의 첫 번째자리 숫자인 1을 눌러주면 펄스발생 IC(IC13)의 출력단자(DCBA)에는 8421 BCD 코오드로 변환된 신호(0001)를 출력하게 되고, 또한 클록출력단자(CK)에도 하이상태의 클록펄스신호를 출력하므로서 각 앤드게이트(A4~A1)의 출력은 0, 0, 0, 1을 유지하게 되어 가가 데이터래치(IC7~IC11)의 입력단자(DCBA)에 가해지게 된다.
그러나 아나로그 스위치(IC5)는 그때까지 구동원이 없으므로 구동되지 못하고 0, 0, 0, 1의 신호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기기번호의 두 번째 숫자 5를 MFC 전화기에서 눌러주면 "5"에 의한 DTMF 신호가 변환된 디지털신호(0101)를 펄스발생 IC(IC13)에서 출력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구동되고, 이때 카운터 IC(IC14)의 출력(Q5)에 의하여 아나로그 스위치(IC6)의 입력단자(DCBA)에서 0101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비밀번호와 제어대상 기기의 번호를 입력시킨 사용자는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 온ㆍ오프를 결정하는 번호의 키(Key)를 걸고있는 MFC 전화기에서 눌러 주어야 하는데, 예시에서와 같이 기기를 온시키기 위한 신호의 번호 1을 눌러주면 1에 의한 DTMF 신호가 펄스발생 IC(IC13)에 입력되어 출력단자(DCBA)로는 0001의 상태를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또한 클록출력단자(CK)로는 하이상태의 클록펄스를 출력하게 되므로, 각 앤드게이트(A4~A1)의 출력은 각각 0, 0, 0, 1의 상태로 나타나게 되고, 그 중에서 애드게이트(A2, A1)의 출력신호 0, 1의 데이터래치(IC12)의 입력단자(BA)에 인가되고 카운터 IC(IC14)는 펄스발생 IC(IC13)의 클록펄스에 의하여 출력단자(Q6)로만 하이상태의 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앤드게이트(A7)는 하이상태를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또한 이 하이상태의 신호는 데이터래치(IC12)를 구동시키게 되므로 입력단자(BA)의 입력신호(01)를 출력단자(ba)로 출력하므로 출력단자(a)의 1 상태의 신호는 인버터(I3)를 통하여 로우상태의 신호로 반전되어 트랜지스터(TR4)의 에미터에 가해지게 된다.
한편 출력단자(Q6)까지 하이상태의 신호를 출력한 카운터 IC(IC14)는 이때에 출력단자(Q7)로 하이상태의 신호를 출력하여 앤드게이트(A8)의 타측 입력단자에 인가시키게 되므로 앤드게이트(A8)는 하이상태의 신호를 출력하여 인버터(I2)에서 반전된 로우상태의 신호가 카운터 IC(IC15)에 입력된다.
이때 카운터 IC(IC15)는 저항(R25) 및 콘덴서(C9)로 설정되는 시정수에 의하여 약 2.5초동안 하이상태의 신호를 출력하게 되는데, 이 하이상태의 신호는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TR3)를 도통시키므로 릴레이(Ry2)가 구동되어 릴레이(Ry2)의 접점(S2-2)이 온 상태가 됨에 따라 아나로그 스위치(IC5-IC6) 및 트랜지스터(TR5)의 베이스에 하이상태의 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이때 아나로그 스위치(IC5, IC6)에는 하이상태의 신호가 인가되므로 아나로그 스위치(IC5)가 구동되어 입력단자(DCBA)에 유지되고 있던 디지털신호(0001)를 엔코오더IC(IC4)에 인가시키게 되고, 또 아나로그 스위치(IC6)의 입력단자(DCBA)에 유지되고 있던 디지털신호(0101)도 엔코오더 IC(IC4)에 인가된다.
한편 저항(R28)을 통하여 트랜지스터(TR5)의 베이스에 인가된 하이상태의 신호는 트랜지스터(TR5)를 도통시키게 되므로, 트랜지스터(TR4)의 베이스에는 로우상태의 신호가 인가되어 트랜지스터(TR4)를 도통시키게 된다.
이때 트랜지스터(TR4)의 에미터 단자에 인가되고 있는 로우상태로 변환된 전원 온 신호는 트랜지스터(TR4)를 통하여 엔코오더 IC(IC4)에 입력되므로 엔코어더 IC(IC4)는 기기번호 및 전원 온 신호가 설정된 디지털신호를 로우상태의 디지털신호로서 출력단자(3)를 통하여 출력하고, 또한 이 신호는 제3도에 도시환 바와 같이 공지의 송신부 입력단자(3')에 입력되어 로우상태의 디지털신호는 역방향 접속의 다이오드(D6)를 통하여 발진부(100)에 가해지게 되는데 이때의 디지털신호는 발진신호와 혼합되어, 변조부(110)를 통하여 변조되고, 이어서 고주파 발진부(120)의 수정발진소자(X-TAL2)의 발진주파수에 의한 안정된 고주파 신호에 혼합되어 중간주파 증폭 및 송신부(130)에서 적절히 증폭된 후 송신안테나(ANT1)를 통하여 송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4도에 도시한 수신안테나(ANT4)에서는 송신부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받아 고주파 증폭부(140)에서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여 주파수 변환부(160)에 가해지게 된다.
이때 주파수 변환부(160)에서는 국부발진부(150)로부터 생성된 도 하나의 고주파 신호와 혼합되고 필터 및 고주파수 신용 집적회로부(170)에 인가되어 중간주파 증폭 및 검파를 행하므로 고주파 수신용 집적회로부(170)의 출력단자(4)에는 제2도에 도시한 디지털신호 발생회로의 출력단자(3)로 출력된 기기번호와 전원 온 신호가 설정된 로우상태의 디지털신호가 나타나게 되고, 이 신호는 저항(R31) 및 트랜지스터(TR12)를 통하여 반전된 신호 즉, 하이상태의 디지털 신호로 반전되어 디코오더 IC(IC19, IC20)에 가해지게 된다.
이때 디코오더 IC(IC19, IC20)에는 전자스위치(SW4, SW5)에 이미 설정된 번호(SW4는 1, SW5는 5)에 의하여 8421 BCD 코오드로 변환된 신호가 공통으로 입력되고 있고, 디코오더 IC(IC19)의 입력단자(E)에는 저항(R35)을 통한 하이상태의 신호가 계속 입력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디코어더 IC(IC19)의 입력신호 형태는 "0001 0101 1"가 되고, 디코어더 IC(IC20)의 또 다른 입력단자(E)는 접지되어 있어서 로우상태의 신호가 계속 입력되고 있는 상태가 되므로, 디코어더 IC(IC20)의 입력신호 형태는 "0001 0101 0"이 되는 것이어서, 제2도에서의 15번기기를 온 시키기 위한 디지털 출력 신호는 디코어더 IC(IC20)의 입력신호와 동일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디코어더 IC(IC20)의 출력단자(out)에서는 하이상태의 신호를 출력하여 플립플롭(F/F)을 세트(set)시키므로 플립플롭(F/F)의 출력(Q)은 하이상태가 되고, 이 하이상태의 신호는 저항(R41)을 통하여 트랜지스터(TR13)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TR13)가 도통되어 릴레이(Ry3)를 구동시키므로 그의 접점(S3)이 온 상태가 되므로서 릴레이(Ry3) 접점(S3)의 양단에 접속된 15번 기기의 전원인 온 되는 것이다.
만일 사용자가 일정 기기를 제어하고자 하여 송신부가 접속된 MFC 전화기에 전화를 걸어 호출하고, 비밀번호 및 기기번호 또는 온ㆍ오프 신호를 번호를 누르는 도중에 잘못 누르게 되면 사용자는 사용하고 있는 MFC 전기의 "*" 버턴을 눌러주므로서 모든 디지털신호를 리세트(Reset)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때에 "*" 버턴에 의한 DTMF 신호는 펄스발생 IC(IC13)에 인가되어 출력단자(DCBA)에 1011의 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그중에 "DBA" 출력신호인 "111"신호가 낸드게이트(N2)의 입력단자(DBA)에 입력되어 로우상태의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또 이 신호는 인버터(I4)를 통하여 반전된 하이신호가 카운터 IC(IC14)의 리세트단자(R)와 카운터 IC(IC16)의 리세트단자(R)에 입력되어 모든 디지털신호를 리세트 시키므로 모든 디지털 회로는 최초의 상태로 전환되므로 잘못 눌러진 번호를 수정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의 예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밀번호를 설정한 상태에서 비밀번호가 틀린 신호가 입력되면 어느 기기도 온ㆍ오프 제어를 할 수 없게 되는 것이고, 또한 제1도의 인가전원 구동부(80)에서 릴레이(Ry2)는 저항(R25)과 콘덴서(C9)로 설정되는 시정수에 의하여 2.5초동안 구동되어 전원을 공급하게 되므로, 이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있는 무선송신 회로 역시 약 2.5초동안 디지털신호를 송출하게 되므로 회로의 전원 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때 제3도 수신부의 구동 출력부(210)에서는 최초의 세트 또는 리세트 신호가 플립플롭(F/F)에 인가되어 이때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므로 약 2.5초후에 송출신호가 중단되어도 구동출력 회로부(210)는 온 또는 오프의 제어동작을 계속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본 발명은, 원거리의 임의의 장소에서도 송신장치가 연결된 전화기에 대하여 전화를 걸고, 이에 미리 설정하여 놓은 번호의 키를 MFC 전화기에서 눌러주면 이때 전송되는 MTMF 신호에 의하여 송신장치가 구동되므로 수신부에 접속된 전기ㆍ전자기기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서 종래 사용 범위가 한정되는 결점을 보완하여 일상 생활에서의 편리함을 제공함은 물론, 비밀번호를 설정하므로서 오동작을 방지하고, 또한 릴레이를 약 2.5초 동안 구동시켜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므로 소비전력을 격감시킬 수가 있는 것이어서, 경제적이고도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

  1. MFC 전화기에 전송되는 DTMF 신호를 이용한 무선 원격 제어장치에 있어서, MFC 전화기에 전송되는 DTMF 신호를 정류하는 정류부(10)의 출력단자에 링 신호로서 전화기의 후크스위치를 도통시킴과 아울러 입력되는 DTMF 신호를 판별하여 이에 해당되는 디지털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신호 발생부(30)를 접속시키고 입력신호 절환부(20)를 접속하고, 상기 디지털신호 발생부(30)의 출력신호를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의 신호와 비교하여 비밀번호 설정 및 비교회로부(50)와, 각 데이터 래치(IC7~IC12)의 구동을 위한 클록펄스를 발생하는 클록펄스 발생부(40)와, 각 회로부에 대략 2.5초 동안 전원을 인가시키는 인가전원구동부(80)와, 원격 제어 대상기기의 온ㆍ오프 제어신호를 결정하는 온/오프 신호 설정부(70)와, 원격 제어 대상기기의 번호 설정 및 디지털신호 출력하는 기기번호 설정 및 디지털신호 출력부(60)와 전 회로의 디지털신호를 리세트(Reset)시키는 리세트 회로부(90)와를 연결 접속하여 디지털신호 발생회로부를 구성하며, 상기 기기번호 설정 및 디지털신호 출력부(60)의 출력단자(3)에 발진부(100), 변조부(110), 고주파 발진부(120), 중간주파 증폭 및 송신부(130)로 구성된 공지의 무선송신 회로를 접속하여 송신부를 구성하는 한편; 또한, 수신부는 고주파증폭기(140), 국부발진부(150), 주파수변환부(160), 필터 및 고주파 수신용 집적회로부(170)로된 공지의 고주파 수신회로에 입력신호를 반전시키는 반전회로(180)를 접속하고, 반전회로(180)의 출력단자에 기기번호 설정부(200)의 신호와 입력되는 디지털신호를 비교하여 기기의 온ㆍ오프 결정을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신호 판별부(190)와 디지털신호 판별부(190)로부터의 신호로서 제어대상기기의 전원을 온ㆍ오프시키는 구동출력부(210)와를 연결접속 함으로써, DTMF 신호를 디지털신호를 변환하여 송출시키어, 이 송출신호에 의하여 수신부에 접속된 전자기기의 온ㆍ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FC 전화기를 이용한 무선 원격 제어장치.
KR1019870007674A 1987-07-15 1987-07-15 Mfc 전화기를 이용한 무선 원격 제어장치 KR900005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7674A KR900005169B1 (ko) 1987-07-15 1987-07-15 Mfc 전화기를 이용한 무선 원격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7674A KR900005169B1 (ko) 1987-07-15 1987-07-15 Mfc 전화기를 이용한 무선 원격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243A KR890003243A (ko) 1989-04-13
KR900005169B1 true KR900005169B1 (ko) 1990-07-20

Family

ID=19263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7674A KR900005169B1 (ko) 1987-07-15 1987-07-15 Mfc 전화기를 이용한 무선 원격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1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580B1 (ko) * 2000-02-15 2003-06-25 이동기 곡물 및 수산물 건조장치
KR100376912B1 (ko) * 2000-08-10 2003-03-26 주식회사 인터텍 텔리 원격 제어 장치 및 그의 전원 제어 방법
KR102588144B1 (ko) * 2023-03-28 2023-10-11 서중원 수평형 폐배터리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243A (ko) 1989-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6404A (en) Security arrangement for cordless telephone system
US4313227A (en) Light energy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US5315645A (en) Communication apparatus utilizing digital optical signals
US4176254A (en) Emergency roadside telephone system
JP3793939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キーガード実現方法
US4291197A (en) Remote telephone system
US4332981A (en) Cordless telephone
KR950003286B1 (ko) 리모트 송수신 장치
US8289133B2 (en) Mobile-controlled electric entrance device
KR900005169B1 (ko) Mfc 전화기를 이용한 무선 원격 제어장치
US4887078A (en) DTMF-Code controlled lock device
US3988549A (en) Keyboard type telephone station adapted to transmit dialling pulses and multifrequency signals
JPH0123037B2 (ko)
US4167655A (en) Push button to rotary dial converter systems
JPS6051335A (ja) 多局インタ−ホンシステム
EP1393245B1 (en) Communication between a transponder and an interrogator
US4309664A (en) Digital energy line sensor
JPS6312599Y2 (ko)
KR900006431Y1 (ko) 고주파 신호를 이용한 원격 제어장치
JPS6343932B2 (ko)
KR970003984B1 (ko) 700국과 장거리 전화 자동 제어 방법
KR910000382Y1 (ko) 무선전화기 도용방지 회로
KR880002762Y1 (ko) 4선공통 10회로 인터폰
KR900007610B1 (ko) 무선전화장치의 다이얼임펄스 발생회로
SU1450103A1 (ru) Электронное рел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