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158B1 - 적외선 원격 조정을 통한 전화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적외선 원격 조정을 통한 전화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158B1
KR900005158B1 KR1019870005420A KR870005420A KR900005158B1 KR 900005158 B1 KR900005158 B1 KR 900005158B1 KR 1019870005420 A KR1019870005420 A KR 1019870005420A KR 870005420 A KR870005420 A KR 870005420A KR 900005158 B1 KR900005158 B1 KR 900005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telephone
call
signal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5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4765A (ko
Inventor
류영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70005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158B1/ko
Publication of KR880014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4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적외선 원격 조정을 통한 전화기의 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구체회로도.
제2도는 제1도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리모콘 송신부 20 : 수신부
30 : 마이컴 40 : 톤/펄스 다이알러
50 : 스피커폰 회로 60 : 인터페이스회로
70 : 훅크스위치
본 발명은 전화기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외선 원격조정 방식을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전화를 호출 및 피호출 할 수 있는 통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기는 전화기 전면에 부착되어 있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다이알링하여야 하므로, 전화기와 근접한 위치에서만 다이알링이 가능하였으며, 이로 인해 통화도 전화기와 근접한 거리에서 수행하여야만 하였다. 따라서 회의장 또는 사물실과 같이 다수인이 집결된 장소에서 통화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수개의 전화기를 연결하거나, 또는 전화기를 옮겨가면서 통화를 수행하여야 했었다. 또한 가정내에서도 전화기의 인접한 곳에서만 통화가 가능하므로 상기와 같은 불편함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기의 원격 조정을 통하여 원거리에서 호출 및 피호출이 가능하도록 통화거리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통화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화기의 동작을 리모콘을 통해 적외선으로 원격 제어하여 전화기의 사용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통화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구체회로도로서, 키패드(11), 송신기(12)와 발광적외선 다이오드(13)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키 눌림에 따라 발생되는 훅 오프/온 신호 및 다이알링 신호를 광변조하여 적외선 신호로 출력하는 리모콘 송신부(10)와, 수광적외선 다이오드(21), 수신기(22)와 인터페이스부(23)로 구성되어 상기 리모콘 송신부(10)의 광신호를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후 디지탈 신호화하여 출력하는 수신부(20)와, 상기 수신부(20)의 출력인 키 명령어(key command) 신호를 인지하여 해당 제어신호(TPEN, SPEN, HSEN)를 출력하는 마이컴(30)과, 상기 마이컴(30)의 제어하에 해당 다이알링 신호에 따른 복합 주파수 또는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톤/펄스 다이알러(40)와, 상기 마이컴(30)의 스피커폰 인에이블 신호(SPEN)에 의해 스피커(SP) 및 마이크(MIC)를 통해 통화회로를 형성하는 스피커폰회로(50)와, 상기 전화라인과 전화기간에 인터페이싱을 행하는 인터페이스회로(60)와, 상기 마이컴(30)의 훅크스위치 인에이블 신호(HSEN)에 의해 릴레이 접속이 제어되는 훅크스위치부(70)로 구성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흐름도로서, 리모콘 송신부(10)를 통해 "온"키 발생시, 수신부(20)를 통해 이를 인지하여 전화기의 스피커폰을 인에이블시키는 동시에 훅크스위치를 "온"시켜 전화루프를 형성하는 제1과정(가,나,다)와, 상기 제1과정(가,나,다) 수행 후 다이알링 키 발생시 다이알러를 제어하여 전화번호를 송출하는 제2과정(라,마,바,사)과, 상기 제1과정(가,나,다)을 통해 착신통화를 수행중이거나 상기 제2과정을 통해 발신통화를 수행중일 시 "오프"키 입력을 검사하며, 오프키 입력이 없을 시 통화중 상태를 유지하는 제3과정(아)과, 상기 제3과정(아)에서 "오프"키 입력시 스피커폰을 디스에이블시키고 훅크스위치를 "오프"시켜 전화루프를 단절한 후 상기 제1과정으로 되돌아가는 제4과정(자,차)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화기 본체에 부착된 키패드를 분리하여 리모콘 송신부(10)를 구성하고, 상기 리모콘 송신부(10)에서 발생하는 적외선 키 데이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수신부(20)를 전화기 본체에 내장한다. 따라서 리모콘 송신부(10)를 통해 훅크 온/오프 동작 및 다이알링 신호를 발생하므로서, 발신 및 착신 통화를 제어한다.
먼저 원격발신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리모콘 송신부(10)의 키패드(11)를 통해 "온"키가 발생되면, 송신기(12)는 상기 키 신호를 PPM(Pluse Phase Modulation) 방식으로 변조하며, 이 PPM 변조파가 발광적외선 다이오드(13)를 통해 적외선 신호로 방사된다. 이때 전화기 본체의 전면에 부착된 수광적외선 다이오드(21)는 상기 적외선 광신호를 수광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수신기(22)는 PPM 방식의 키 신호를 복조한다. 이후 상기 수신기(22)의 출력은 인터페이스부(23)를 통해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어 마이컴(30)으로 출력된다. 이때 마이컴(30)은 "온"키의 입력을 인지하여 훅크스위치 인에이블 신호(HSEN)를 출력하는 동시에 스피커폰 인에이블 신호(SPEN)를 출력하며, 이로 인해 훅크스위치(70)가 "온"되어 전화루프를 형성하고 스피커폰회로(50)가 인에이블되어 통화 준비 상태에 들어간다. 이후 사용자가 키패드(11)를 통해 연속적으로 다이알링을 하면, 상기와 같은 수순으로 리모콘 송신부(10)에서는 PPM 형태의 적외선 신호를 발생하며, 수신부(20)는 이를 복조하여 디지탈 형태의 신호로 마이컴(30)에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다이알링 신호를 인지하고 톤/펄스 인에이블 신호(TPEN)를 출력하여 톤/펄스 다이알러(40)를 동작시키고, 해당 키에 대한 데이타를 출력한다. 이로 인해 톤/펄스 다이알러(40)는 눌러진 키에 대한 다이알링 신호를 출력하는데, 상기 톤/펄스 다이알러(40)는 사용자의 세팅에 의해 톤 또는 펄스 신호의 전화기 용도에 맞게 선택되며, 톤식의 전화기는 복합 주파수를 출력하고 펄스식의 전화기는 단속비에 의한 펄스신호를 출력한다.
이후 사용자에 의한 키패드(11)의 다이알링이 종료되고, 국선측에서 응답하면 스피커폰회로(50)를 통하여 스피커(SP) 및 마이크(MIC)로 통화할 수 있다.
이후 통화가 종료시, 사용자가 키패드(11)상의 "오프"키를 누르면, 리모콘 송신부(10) 및 수신부(20)를 통해 마이컴(30)은 이를 인지한 후, 훅크스위치 디스에이블 및 스피커폰 디스에이블 신호를 발생하며, 이로 인해 훅크스위치(70)가 "오프"되어 전화루프가 단절되는, 동시에 스피커폰회로(50)가 동작 중지되어 통화를 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두번째로 원격 착신과정을 살펴본다.
피호출시(remote called) 사용자는 도시하지 않은 링거회로(ringer)를 통해 호출음(ring)을 듣게 되며, 이때 키패드(11) 상의 "온"키를 누르면 전술한 바와 같은 훅크스위치가 "온"되어 전화루프가 형성되고 스피커폰회로(50)가 인에이블되어 원격 발신 가입자와 통화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화가 종료됐을 시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키패드(11)상의 "오프"키를 누르면, 훅크스위치(70)가 "오프"되고 스피커폰회로(50)가 디스에이블되어 통화가 중지된다.
본 발명의 흐름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키 입력시 (가)단계에서 마이컴(30)은 수신부(20)를 통해 훅크 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온"키의 입력을 검사한다. 즉, 사용자가 키패드(11)를 통하여 "온"키를 누르면, 송신기(12)에서 이를 PPM 신호로 변환하며 발광적외선 다이오드(13)를 통하여 PPM 신호의 광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면 수광적외선 다이오드(21)에서는 상기 광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수신기(22)에서 검출된 PPM 신호를 복조한 후, 인터페이스(23)를 통해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마이컴(30)으로 출력한다. 이때 마이컴(30)이 "온"키 입력을 감지하면, (나)단계에서 스피커폰 인에이블 신호(SPEN)를 출력하여 스피커폰(62)을 동작시키며, (다)단계에서 훅크스위치 인에이블 신호(HSEN)를 출력하여 전화 루프를 형성시키므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통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이때 입력 착신시이면 통화과정이 수행된다.
이후 (라)단계에서 키 데이타 발생 유무를 하는데 이는 원격 발신시일 경우에 해당되며, 키패드(11)를 통해 키 데이타가 발생된 경우이면, (마)단계에서 다이알 명령인가 또는 기능키(function key) 명령인가를 검사한다. 상기 (마)단계에서 다이알 명령일시 (사)단계로 진행하여 마이컴(30)은 톤/펄스 다이알러(40)에 해당 번호에 대한 다이알 데이타를 출력하며, 이때 상기 (사)단계 수행 후 국선측의 가입자로부터 응답이 발생되면 원격 발신에 의한 통화가 수행된다. 상기 (마)단계에서 기능키의 입력이면 (바)단계로 진행하여 기능키 스토어(store), 포즈(pause), 클리어(clear), 플래시(flash) 등에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원격 발신 또는 착신에 의해 통화를 수행한 후 통화를 종료하고자 할 경우, 키패드(11)의 "오프"키를 누르면 수신부(20)를 통해 마이컴(30)은 (아)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자)단계에서 스피커폰회로(50)를 디스에이블시키며 (차)단계에서 훅크스위치(70)를 "오프"시켜 전화로 루프를 단절하고 상기 (가)단계로 되돌아간다. 그러면 전화기 시스템은 다시 다음 상태에 대한 준비 단계로 진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내 등에서 거리의 제한을 받지 않는 자유로운 통화가 가능하고, 스피커폰을 통하여 전화기를 이용한 회의 시스템을 구속할 수 있으며, 통화를 원거리에서 콘트롤할 수 있어 전화기 사용의 편리성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각종 키 신호를 적외선으로 발생하는 리모콘 송신부(10) 상기 리모콘 송신부(10)의 출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수신부(20) 및 전화기 제어부를 구비한 전화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리모콘 송신부(10)를 통해 "온"키 발생시, 수신부(20)를 통해 이를 인지하여 전화기의 스피커폰을 인에이블시키는 동시에 훅크스위치를 "온"시켜 전화루프를 형성하는 제1과정(가,나,다)와, 상기 제1과정(가,나,다) 수행 후 리모콘 송신부(10)를 통해 다이알링 키 발생시 다이알러를 제어하여 전화번호를 송출하는 제2과정(라,마,바,사)과, 상기 제1과정(가,나,다)을 통해 착신통화를 수행중이거나 상기 제2과정을 통해 발신통화를 수행중일 시 리모콘 송신부(10)의 "오프"키 발생 유무를 검사하며, 오프키 입력이 없을 시 통화중 상태를 유지하는 제3과정(아)과, 상기 제3과정(아)에서 "오프"키 입력시 스피커폰을 디스에이블시키고 훅크스위치를 "오프"시켜 전화루프를 단절한 후 상기 제1과정으로 되돌아가는 제4과정(자,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원격 조정을 통한 전화기 제어방법.
KR1019870005420A 1987-05-29 1987-05-29 적외선 원격 조정을 통한 전화기의 제어방법 KR900005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5420A KR900005158B1 (ko) 1987-05-29 1987-05-29 적외선 원격 조정을 통한 전화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5420A KR900005158B1 (ko) 1987-05-29 1987-05-29 적외선 원격 조정을 통한 전화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4765A KR880014765A (ko) 1988-12-24
KR900005158B1 true KR900005158B1 (ko) 1990-07-20

Family

ID=19261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5420A KR900005158B1 (ko) 1987-05-29 1987-05-29 적외선 원격 조정을 통한 전화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15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4765A (ko) 198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36813A (ko) 비전화 기능의 핸드세트를 갖는 무선 전화 시스템
KR900005158B1 (ko) 적외선 원격 조정을 통한 전화기의 제어방법
JPS63275248A (ja) 電話機
CN218416402U (zh) 一种酒店电话智能连接系统
KR950010480B1 (ko) 키폰 시스팀과 전화기와의 접속 장치 및 방법
JP2738481B2 (ja) ナースコール装置
KR100242410B1 (ko) 전화단말기에서통화시볼륨제어장치및방법
JPH0451637A (ja) 音声認識電話機における受話音量設定方式
KR0150042B1 (ko) 키폰 내선 그룹별 링신호 제어방법
JPS61281656A (ja) 電話機システム
KR900005155B1 (ko) 스피커폰의 자동응답 방법
KR970000350Y1 (ko) 자동 스피커 폰
JP2793202B2 (ja) 電話機
JPH0628868Y2 (ja) 宅内交換機におけるドアホン呼出装置
KR950007979B1 (ko) 전화기의 장거리전화 제어 시스템
KR0125317Y1 (ko) 통화로 자동연결용 전화기
KR0184504B1 (ko) 무선전화기에 병렬연결된 전화기의 발신잠금방법
JP2519096Y2 (ja) 握釦付電話機
KR100197058B1 (ko) 전화기의 통화로 자동전환장치
KR20060015979A (ko) 전화기의 통화 감시회로
JPS61240742A (ja) 電話機付属装置
KR20000049342A (ko) 전화기의 발신음 변환방법
KR19980038328A (ko) 무선전화기에서 자동 통화 구현에 따른 안내메세지 송출방법
KR19990020304A (ko) 리모콘을 이용하여 스피커폰 통화가 가능한 전화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1162049A (ja) ハンズフリー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