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035B1 - 데이터 표시장치의 오입력문자 자동변환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표시장치의 오입력문자 자동변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035B1
KR900005035B1 KR1019870011389A KR870011389A KR900005035B1 KR 900005035 B1 KR900005035 B1 KR 900005035B1 KR 1019870011389 A KR1019870011389 A KR 1019870011389A KR 870011389 A KR870011389 A KR 870011389A KR 900005035 B1 KR900005035 B1 KR 900005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data
routine
characters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1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7166A (ko
Inventor
신봉연
유춘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70011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035B1/ko
Publication of KR890007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데이터 표시장치의 오입력문자 자동변환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표시장치의 오입력문자 자동변환방법을 적용한 전자식타자기의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표시장치의 오입력문자 자동변환방법을 처리순서를 나타낸 전체흐름도.
제3도는 제2도의 전체흐름도에서 범위입력루틴의 상세흐름도.
제4도는 제2도의 전체흐름도에서 변환루틴의 상세흐름도.
제5도는 제2도의 전체흐름도에서 수정루틴의 상세흐름도.
제6도는 제2도의 전체흐름도에서 인자루틴의 상세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중앙처리장치 20 : 키보드
30 : 롬 40 : 램
50 : 디스플레이 60 : 전자식타자기 인자구동장치
70 : 키 스켄 루틴 80 : 범위입력루틴
90 : 변환루틴 100 : 수정루틴
110 : 인자루틴
본 발명은 데이터 표시장치의 오입력문자 자동변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식타자기, 워드프로세서(Word Processor) 또는 퍼스널컴퓨터 등의 데이터 표시장치에 있어서, 영문 대문자, 영문 소문자 또는 한글의 동작모드에서 모드를 잘못 인식하여 키입력된 다른 모드의 문자를 현재의 동작모드에서도 문자를 재입력하지 않고 해당 동작모드의 문자로 자동변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식타자기, 워드프로세서 및 퍼스널컴퓨터 등의 데이터 표시장치에는 에디터(Editor)기능이 있어서 문자를 편집 및 정정할 수 있고, 여러 모드 즉, 영문 대문자와 영문 소문자 및 한글모드에서 문자를 인자 또는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데이터 표시장치는, 임의의 동작모드에서 키입력되어 인자 또는 디스플레이된 문자를 다른 모드의 문자로 재작성되어야 할 경우, 잘못 입력된 문자를 지우고 인자 또는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모드의 문자를 다시 키입력해야 하는 방법을 이용한 장치였다.
즉, 현재 동작되는 영문 대문자의 모드에서 "sepcification"의 영문 소문자로 인자 또는 디스플레이해야하는데 "SEPCIFICATION"로 잘못 키입력되어 표시되었다면, 전자식타자기에서는 정정하고자 하는 최종키입력된 문자(N)부터 또는 최초문자(S)의 위치부터 인자된 글자를 지워 다시 영문 소문자 모드에서 키입해야 했고 그리고, 워드프로세서 및 퍼스널컴퓨터에서는 디스플레이에 나타나는 커서(Cursor)를 정정하고자 하는 문자의 위치로 이동시켜 영문 소문자모드에서 재입력해야만 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잘못 키입력된 "SPECIFICATION"을 "specification"으로 정정하려면, 잘못 입력된 문자를 지우고 원하는 모드에서 문자를 키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문자를 정정해야 하는 시간이 많이 소비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데이타 표시장치에 있어서 현재 동작되는 모드에서 키입력되어 표시된 문자를 다른 모드의 문자로 자동으로 변환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오입력문자의 자동변환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표시장치의 오입력문자 자동변환방법은 키보드(Key Board)를 통해 문자를 키입력하는 키스캔루틴(Scan Routine)과, 변환하고자 하는 범위를 입력하여 처리하는 범위입력루틴과, 표시된 문자를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의 문자로 변환하는 변환루틴과, 표시(인자 또는 디스플레이)된 문자를 지우는 수정루틴(전자식타자기인 경우만 적용) 및 변환된 문자를 인자하는 인자루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전자식타자기에 적용한 회로도로서, 10은 중앙처리장치로서 시스템을 제어 및 데이터를 처리하는 회로이고, 20은 키보드(Key Borad)로서 중앙처리장치(10)에서 출력되는 스캔펄스(Scan Pulse)에 의해 키코드(Key Code)를 출력하는 키매트릭스(Key Matrix)장치이며, 30은 메모리 롬(ROM)으로서 중앙처리장치(10)에서 시스템을 제어 및 데이타 처리를 위한 수단 즉,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40은 메모리 램(RAM)으로서 처리된 데이타를 저장하거나 전자식타자기 인자구동장치(60)로 전송하는 데이터 또는 전자식타자기 인자구동장치(60)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회로이고, 50은 디스플레이로서 데이터를 표시한다.
제1도에서, 일반적으로 키입력된 데이터를 프린터로 전송하려면, 키보드(2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는 중앙처리장치(10)에 의해 램(40)에 저장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50)에 문자로 표시되고, 키입력된 데이타가 모두 램(RAM)에 저장되면 전자식타자기 인자구동장치(60)로 전송되어 인자된다.
이와 같이 제1도는 본 발명을 전자식타자기에 적용한 개략도이나 롬(30)에는, 키보드(20)의 키입력문자를 중앙처리장치(10)에 의해 램(40)에 저장하는 키스캔루틴인 처리수단과, 변환하고자 하는 문자의 변환범위를 입력하여 처리하는 범위입력루틴인 처리수단과, 변환하려는 문자들을 원하는 모드로 변환하는 변환루틴인 처리수단과, 인자된 문자를 제거하기 위해 전자식타자기 및 인자구동장치(60)를 제어하는 수정루틴인 처리수단 및 변환이 완료된 문자를 표시(또는 인자 및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루틴인 처리수단, 즉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의 처리수단들을 이용하여, 현재의 동작모드에서 키입력된 문자를 다른 모드의 문자로 자동으로 변환하는 것을 제2도에서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오입력문자 자동변환방법의 처리순서를 나타낸 전체흐름도이다.
제1도의 전자식타자기의 개략도와 제2도의 흐름도에서, 중앙처리장치(10)에서는 키스캠루틴(스텝 70)에 따라 스캔펄스를 키보드(20)에 제공하여 키입력을 감지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10)는 변환기능을 갖는 변환키의 입력이 아니면 이에 해당하는 키입력의 데이터처리를 행하고, 변환키의 입력이 있으면 범위입력루틴(스텝 80)으로 들어가서 변환하고자 하는 문자들의 범위를 입력받도록 처리한다.
상기의 범위입력이 완료되면 변환루틴(스텝 90)으로 들어가서 다른 모드의 문자로 변환하고, 이어 수정루틴(스텝 100)으로 들어가(전자식타자기인 경우) 인자된 문자를 지운 다음 다시 키스캔루틴(스템 70)에 의해 실행키가 입력되는가를 판별한다.
실행키의 입력이 아니면 그에 해당하는 키입력 처리를 하고, 다시 키입력을 감지하여 실행키의 입력이 있으면, 입자루틴(스텝 110)에 의해 변환된 문자를 인자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오입력문자 자동변환방법의 범위입력루틴(스텝 80)의 흐름도이고, 제4도는 변환루틴(스텝 90)의 흐름도이며, 제5도의 수정루틴(스텝 100)의 흐름도이고, 제6도는 인자루틴(스텝 110)의 흐름도이다.
먼저, 제3도에 도시한 범위입력루틴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제3도에서, 키스캔루틴(스텝 70)에 의해 키입력을 감지하는데, 스텝 81에서 세트 키(Set Key)의 입력을 판별하여 키보드상의 세트 킵의 입력이 아니면 그에 따른 키입력 처리를 하고 다시 키입력을 감지한다.
만일, 세트키의 입력이 있을 때에는 스텝 82에서 플랙(Falg)이 세트되었는가를 체크한다.
상기 플랙은 메모리인 램(40)의 1바이트(Byte)를 지정하여 이용하고, 중앙처리장치(10)에서 플랙의 8비트 데이타를 액세스하고 체크하여 변환하고자 하는 문자범위의 시작과 끝을 구별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플랙이 세트되어 있다면 스텝 85와 스텝 86에 의해 범위의 끝을 가르키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 즉 메모리인 램(40)의 특정영역인 변환문자범위의 끝을 지정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이하 END 버퍼라 칭함)에 전자식타자기 인자구동장치(60)의 캐리지(Carriage) 위치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어 플랙을 클리어한다.
그리고, 플랙이 세트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83과 스텝 84에 의해 램(40)의 다른 특정영역을 버퍼로 하여, 이 버퍼(이하 START 버퍼)에 현재의 캐리지 위치데이터를 저장하고, 플랙을 세트시킨다.
즉, 플랙이 세트되어 있지 않으면 START 버퍼에 변환하고자 하는 시작문자의 위치데이터를 저장한 후 다음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플랙을 세트시킨다.
이와 같이 스텝 82에서 플랙의 세트유무를 판별한 다음 스텝 87에서 다시 플랙을 체크하는데, 이때 플랙이 세트되어 있으면 즉, 스텝 82에서 플랙이 세트되어 있지 않아 스텝 83,84에서 START 버퍼에 현재 위치데이타를 저장한 다음 플랙을 세트시켰으면 키스탠루틴(스텝 70)으로 되돌아가서 스텝(85,86)에 따라 END 버퍼에 변환하고자 하는 끝문자위치데이타를 저장한 다음 플랙을 클리어하고, 플랙이 세트되어 있지 않으면 즉 스텝 82에서 플랙이 세트되어 스텝 85,86에서 END 버퍼에 현재 위치데이타를 저장한 다음 플랙을 클리어시켰으면, 스텝 88에서 START 버퍼와 END 버퍼의 데이터를 비교한다.
만일, START 버퍼의 데이터가 END 버퍼의 데이터보다 클때에는 이 두 데이터를 바꾸어서 저장하고 리턴한다.
그리고, 상기한 범위입력루틴이 실행이 완료되면 변환할 범위의 문자를 변환하는 변환루틴이 실행된다.
제4도를 참조하여 변환루틴(90)를 설명하면, 제4도에서, 먼저 세이브포인터(Save Pointer)를 클리어하여 초기화시키고, 사용자가 상기의 범위입력루틴(스텝 80)의 실행으로 지정한 범위의 시작문자위치 데이터를 START 버퍼에서 독출하여 리드포인터(Reas Pointer)에 저장한다.
세이브포인터는 사용자가 지정한 범위의 변환된 문자, 즉 변환된 문자를 저장하도록 지시하는 일종의 버퍼 또는 레지스터이고, 리드포인터는 사용자가 지정한 범위의 변환할 문자, 즉 변환할 문자를 읽어내기 위한 버퍼 또는 레지스터이다.
따라서, 메모리의 문자디스플레이용 영역에 저장된 키입력문자중 변환할 문자를 지정하는 리드포인터에 의해 문자를 독출하고(스텝 91), 스텝 92에서 시프트(Shift)문자인가를 판단한다.
만일, 시프트문자이면 스텝 93에서 메모리의 1바이트로된 시프트플랙(Shift Flag)을 세트시키고, 아스키 코드(ASCII Code)를 키매트릭스에 의한 키코드(Key Code)로 변환(스텝 94)하며, 변환하고자 하는 문자의 모드인 현재모드를 세트(스텝 95)시킨다. 세트된 현재모드에서 키코드를 다시 아스키코드로 변환(스텝 96)하고, 이 변환된 데이터(문자)를 세이브포인터가 지정하는 장소(메모리)에 저장하며, 리드포인터의 저장데이터와 END 버퍼의 저장데이터가 동일한가를 비교(스텝 97)하여 동일하면 리턴하고 또는 동일하지 않으면 스텝 98, 스텝 99에 의해 세이브포인터와 리드포인터의 저장데이터를 각각 1씩 인크리먼트(Increment)해서 상기의 동작은 반복 수행한다.
상기의 세이브포인터와 리드포인터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는 메모리의 데이터를 지정하는 어드레스이고, 서프트플랙은 시프트문자를 판별하기 위한 메모리상의 지정플랙이다.
이와 같은, 범위입력루틴에 의해 지정된 범위의 문자들은 상기 변화루틴에 의해 지정된 모드의 문자로 변환이 완료되면, 전자식타자기인 경우 용지에 이미 문자가 인자되었기 때문에 수정루틴(스텝 100)을 수행한 다음 인자루틴(스텝 110)을 수행하지만, 워드프로세서와 퍼스널컴퓨터인 경우에는 바로 인자루틴(스텝 110)을 수행한다.
다음은 제5도의 흐름도에 의거하여 전자식타자기의 수정루틴을 설명한다.
먼저, 용지에 인자된 문자를 삭제한 다음 변환된 문자를 삭제된 영역에 다시 인자하려면, 제1도의 전자식타자기 인자구동장치(60)의 캐리지(Carriage)를 사용자가 지정한 END 버퍼에 저장한 데이터에 따른 위치로 이동(스텝 101)시키고, 1글자를 삭제(스텝 102)한 다음 스텝 103에 캐리지 위치를 START 버퍼의 데이터에 따른 위치와 비교한다.
만일, 스텝 103의 비교동작에서 일치하지 않으면 캐리지를 좌측으로 1글자분만큼 이동(스텝 104)시킨 다음 1글자를 삭제하기 위해 스텝 102가 수행되는 데, 이와 같은 스텝으로 캐리지가 START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에 따른 위치까지 글자의 삭제동작이 반복수행된다.
그리하여 캐리지 위치와 스타트 버퍼에 저장된 데이타가 일치하면 캐리지가 START 버퍼의 데이터에 따른 위치까지 도달한 것으로 간주되어, 변환된 문자를 저장한 메모리의 어드레스를 갖는 세이브포인터의 데이터는 저장버퍼에 일시 저장(스텝 105)되고, 상기 세이브포인터는 클리어(스텝 106)되어 초기화된 다음 수정루틴이 메인루틴으로 리턴된다.
이어서,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흐름도의 인자루틴(스텝 110)이 수행되는 데, 세이브포인터의 어드레스가 지정하는 데이트, 즉 변환된 문자를 독출(스텝 120)하여 한글인지를 판단(스텝 111)하여 한글 문자이면 한글모아쓰기루틴(스텝 112)이 수행된다.
한글문자가 아니면 1글자를 인자하고 캐리지를 오른쪽으로 1글자분만큼 이동(스텝 118)시키며, 세이브포인터의 데이터와 상기의 저장버퍼의 데이터를 비교(스텝 119)하고, 스텝 119에 의해 두 데이터가 일치하면 변환된 문자를 모두 인자한 것으로 간주하여 리턴되며, 한편 일치하지 않으면 세이브포인터의 데이터를 1인 크리먼트(스텝 117)하여 상기 스텝 120을 다시 수행한다.
한편, 한글모드에서는 한글모아쓰기루틴(스텝 112)이 실행되어 1글자가 완료되었는가를 판단(스텝 113)하는 데, 1글자가 완료되지 않았다면 세이브포인터와 저장버퍼의 데이타가 일치하는 가를 비교(스텝 121)하여 일치하지 않을 때 상기의 스텝 117을 수행하고, 스텝 121의 비교동작에서 일치할 때와 1글자모아쓰기의 완료시에는 1글자를 인자함과 동시에 캐리지를 오른쪽으로 1글자분만큼 이동(스텝 114)시키며, 아울러 세이브 포인터와 저장버퍼의 데이터를 비교(스텝 115)한다.
스텝 115에 의해 두 비교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으면 모아쓰기버퍼에서 인자한 1글자만큼의 데이터를 삭제(스텝 116)한 다음 세이브포인터의 데이터를 1인크리먼트하는 스텝 117을 수행하고, 일치하면 메인루틴으로 리턴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표시장치의 모드가 다른 오입력문자의 수정을 자동으로 하여, 오입력문자의 정정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키입력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간단한 키조작으로 인자된 오입력문자의 삭제와 수정된 문자를 자동인자하여 이용자의 편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전자식타자기, 워드프로세서 또는 퍼스널컴퓨터와 같은 데이터 표시장치에 있어서, 키입력문자의 오입력을 롬(30)에 내장되어 있는 처리수단에 따라 중앙처리장치(10)가 수행하여 오입력문자를 자동으로 변환함에 있어서, 키보드(20)의 키매트릭스에 따라 키입력된 문자를 중앙처리장치(10)에 의해 메모리의 디스플레이영역에 저장하게 하는 키스캔루틴(스텝 70)의 처리수단과, 변환키 입력시 변환하고자 하는 문자의 변환범위를 START 버퍼와 END 버퍼에 저장하여 지정하는 범위입력루틴(스텝 80)의 처리수단과, 상기의 변환범위의 문자를 원하는 모드의 문자로 변환하는 변환루틴(스텝 90)의 처리수단과, 인자된 문자를 제거하기 위해 전자식타자기 인자구동장치(60)를 제어하는 수정루틴(스텝 100)의 처리수단과, 상기 키스틴루틴(스텝 70)의 처리수단에 의해 실행키의 입력이 있을시 변환된 문자를 인자하는 인자루틴(스텝 110)의 처리수단으로 이루어져 데이터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장치의 오입력문자 자동변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범위입력루틴(스텝 80)의 처리수단은 아래와 같은 스텝(가-바)으로 데이터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장치의 오입력문자 자동변환방법. (가)키스캔루틴(스텝 70)의 실행으로 키입력하여 세트키의 입력을 판별하는 스텝(81)과, (나)세트키의 입력시 메모리의 1바이트로 지정된 플랙의 데이터를 액세스하여 세트되었는가를 판별하는 스텝(82)과, (다)상기 플랙이 세트되지 않았을 때 START 버퍼에 변환하고자 하는 범위의 시작 문자위치데이터를 저장한 다음 플랙을 세트시키는 스텝(83,84)과, (라)(나)의 스텝에서 플랙이 세트되었을때 END 버퍼에 변환하고자 하는 범위의 끝문자 위치데이터를 저장한 다음 플랙을 클리어시키는 스텝(85,86)과, (마)(다)와 (라)스텝의 실행 후 플랙이 세트되었는 가를 판별하여(스텝 87), 세트되었을 때에는 상기의 키스캔루틴(스텝 70)을 수행하고, 세트되지 않았을 때에는 START 버퍼와 END 버퍼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리턴하는 스텝(88)과, (바)(마)스텝의 START 버퍼의 데이터가 END 버퍼의 데이터보다 클 경우에는 두 버퍼의 데이터를 교환하여 저장한 다음 리턴하는 스텝(89).
  3. 제1항에 있어서, 변환루틴(스텝 90)의 처리수단은 변환문자의 범위입력완료시 아래와 같은 스텝(가-아)으로 데이터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장치의 오입력문자 자동변환방법. (가)변환된 문자의 데이터를 지정하는 어드레스를 갖는 세이브포인터를 클리어하는 스텝과, (나)START 버퍼의 데이터를 독출하여 메모리의 문자 디스플레이영역에 저장된 키입력문자중 변환할 문자를 지정하는 리드포인터에 저장하는 스텝과, (다)리드포인터가 지정하는 문자를 독출하여 시프트문자인가를 판단하는 스텝(91,92)과, (라)시프트문자인 경우에는 시프트플랙을 세트시킨 다음(스텝 93) 시프트문자가 아닌 경우와 같이 문자의 아스키코드를 키매트릭스의 키코드로 변환하는 스텝(94)과, (마)상기의 키코드를 변화하고자 하는 문자의 모드로 세트시킨 다음 다시 아스키코드로 변환하는 스텝(95,96)과, (바)다시 변환된 문자의 아스키코드를 세이브포인터가 지정하는 장소에 저장하는 스텝과, (사)리드포인터와 END 버퍼의 데이터를 비교하여(스텝 97) 일치하지 않을시에는 세이브포인터와 리드포인터의 데이터를 각각 1씩 인크리먼트하여 상기의 (다)스텝으로 진행하는 스텝(98,99)과, (아)(사)스텝에서 비교한 두 데이터가 일치할 때에는 리턴하는 스텝.
  4. 제1항에 있어서, 전자식타자기에서만 적용되는 수정루틴(스텝 100)의 처리수단은 문자변환의 완료시 아래와 같은 스텝(가-다)으로 데이터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장치의 오입력문자 자동변환방법. (가)전자식타자기 인자구동장치의 캐리지를 END 버퍼의 데이터에 따른 위치로 이동시켜 인쇄용지에 인자된 1글자를 삭제하는 스텝(101,102)과, (나)현재의 캐리지위치와 START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에 따른 위치에 비교하여(스텝 103), 일치하지 않으면 캐리지를 좌측으로 1글자분만큼 이동시킨 다음(스텝 104) 캐리지가 START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에 따른 위치까지 글자의 삭제를 위해 (가)스텝의 1글자 삭제동작을 수행하는 스텝과, (다)또한 (나)스텝에서 일치하면 저장버퍼에 세이브포인터의 데이터를 저장한 다음 세이브포인터를 클리어하고 리턴하는 스텝(105,106).
  5. 제1항에 있어서, 인자루틴(스텝 110)의 처리수단은 문자변환완료시 아래와 같은 스텝(가-바)으로 데이터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장치의 오입력문자 자동변환방법. (가)세이브포인터가 지정하는 문자를 독출하여(스텝 120) 한글인지를 판단하는 스텝(111)과, (나)(가)스텝에서 한글문자가 아니면 1글자를 인자한 다음 캐리지를 오른쪽으로 1글자분만큼 이동하고(스텝 118), 세이브포인터와 저장버퍼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할 때 리턴하는 스텝(119)과, (다)(가)스텝에서 한글문자이면 한글모아쓰기루틴을 수행한 다음(스텝 112) 1글자의 완료를 판별하여(스텝 113) 1글자가 완료되지 않았을 때 세이브포인터와 저장버퍼의 데이터를 비교하는 스텝(121)과, (라)(나)스텝과 (다)스텝에서 세이브포인터와 저장버처의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 세이브포인터를 1인크리먼트하여 다시 (가)스텝을 수행하는 스텝(117)과, (아)(다)스텝서 1글자완료의 판별시 1글자를 인자한 다음 캐리지를 오른쪽으로 1글자분만큼 이동하여(스텝 114) 세이브포인터와 저장버퍼의 데이터를 비교하는 스텝(115)과, (바)(마)스텝에서 비교 데이터가 일치할 시에는 리턴하고, 또한 일치하지 않을 시에는 모아쓰기버퍼의 1글자분만큼의 데이터를 클리어하여(스텝 116)(라) 스텝을 수행하는 스텝.
KR1019870011389A 1987-10-14 1987-10-14 데이터 표시장치의 오입력문자 자동변환방법 KR900005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1389A KR900005035B1 (ko) 1987-10-14 1987-10-14 데이터 표시장치의 오입력문자 자동변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1389A KR900005035B1 (ko) 1987-10-14 1987-10-14 데이터 표시장치의 오입력문자 자동변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166A KR890007166A (ko) 1989-06-19
KR900005035B1 true KR900005035B1 (ko) 1990-07-18

Family

ID=19265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1389A KR900005035B1 (ko) 1987-10-14 1987-10-14 데이터 표시장치의 오입력문자 자동변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0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137B1 (ko) * 1998-07-22 2006-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로그 파일의 자동 변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166A (ko) 1989-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4457A (en) Character string input system
US5734749A (en) Character string input system for completing an input character string with an incomplete input indicative sign
US4916656A (en) Text processing system having search-and-replace function for both character and attribute data
KR900005035B1 (ko) 데이터 표시장치의 오입력문자 자동변환방법
JPH0117184B2 (ko)
US5745911A (en) System for performing spell check functions on a printing device without operator intervention
EP0292726B1 (en) Correction buffer
US4863296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4955734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5013167A (en) Bounded word replace function for an electronic typewriter erasing a zone bounded by erroneous characters
JP4189040B2 (ja) 文章校正装置および文章校正方法
JPS6010348B2 (ja) 半角・全角文字の自動変換方式
JP2575650B2 (ja) かな漢字変換装置
JP2833650B2 (ja) 文書処理装置
US5060184A (en) Word processing apparatus
JP2573183B2 (ja) かな漢字変換装置
JP3371435B2 (ja) 入力モード自動設定方法あるいは入力モード自動設定装置
JPH0719189B2 (ja) データ入力装置
KR0130902B1 (ko) 문자작성기기의 탭 지정 방법
KR940003627B1 (ko) 컴퓨터의 문자 변환방법
JP2845235B2 (ja) 文書データ処理装置
JP2761606B2 (ja) 文書データ処理装置
JP3052339B2 (ja) 文書データ処理装置
JPS61239975A (ja) 印字装置
JP2697901B2 (ja) 文字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2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