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934B1 -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934B1
KR900004934B1 KR1019870003852A KR870003852A KR900004934B1 KR 900004934 B1 KR900004934 B1 KR 900004934B1 KR 1019870003852 A KR1019870003852 A KR 1019870003852A KR 870003852 A KR870003852 A KR 870003852A KR 900004934 B1 KR900004934 B1 KR 900004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ylon
weight
polyamide resin
relative viscosity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3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2708A (ko
Inventor
홍동근
아기정
임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이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이상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19870003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4934B1/ko
Publication of KR880012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2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9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기계적 성질 및 열적 성질이 매우 우수한 폴리아미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아미드 수지는 강인성과 내마모성이 뛰어난 고유의 기능성을 가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서 전기전자분야, 건축용 자재, 자동차 부품 등 산업용의 자재로서 그 용도가 급격히 증가하여왔다. 그러나 폴리아미드 수지는 열변형 온도 등으로 표시되는 내열성이 낮으며, 그 강인성으로 인해 균열전파에 대한 저항성 및 노치(notch) 저항성이 약하고 깨지기 쉬운 결함을 갖고 있어 압출이나 주형시에 때때로 커다란 실패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폴리아미드의 기계적 물성을 증진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이 개발되었는데, 통상의 방법으로는 (1) 나일론 6, 나일론 66 혹은 나일론6/66 등의 폴리아미드 수지에 올레핀 중합체 등의 이종수지를 배합하는 폴리며 블렌드 법. (2)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또는 폴리머블렌드에 유리섬유나 미네랄 등의 충진제 및 가소제 또는 물성개량제 등의 첨가제를 배합해주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선 기술의 예로, 영국 특허 제998,439호에서는 선형 폴리아미드 50 내지 99%에 0.1 내지 10몰 %의 산그룹을 갖는 올레핀 공중합체 1 내지 50% 조성물을, 미합중국 특허 제3,845,163호에서는 폴리아미드 60 내지 85중량%에 금속치환 산그륨 함유 올레핀 중합체 15 내지 40중량%로 된 조성물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들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는 고기능성 물성을 요구하는 성형품에 만족할 정도의 강도를 갖고 있지 못하며, 미합중국 특허 제4,174,358호에서는 광물질을 사용한 강화제와 폴리아미드의 조성물중에서, 사용되는 폴리아미드 메트릭스 수지의 수평균 분자량, 입자크기, 영률 등을 한정한 조성물을 미합중국 특허 제4,314,929호에서는 소성규산 칼슘과 α-올레핀 및 폴리아미드와를 조합시킨 조성물을 예시하고 있다. 이들 방법에 의하면 폴리머와 충진제간의 친화성 및 유동성 등의 물성과 가공성이 개선되기는 하나 그 증가폭이 미미하여 사용 용도에 제한을 받아왔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나일론 수지 조성물의 제결점을 개선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나일론 6 또는 나일론66 등 통상의 폴리아미드 수지에 나일론 46을 얼로이 할 경우 그 강성 및 가공성형성 등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뿐만 아니라 충진제와의 결속에너지 강화와 강성이 증가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나일론 46의 폴리아미드 수지와의 얼로이 배합에 대한 시도는 지금까지의 어느 선행 기술에도 시사된바 없거니와, 더욱이 얼로이 원료로 사용되는 각 성분수지의 상대점도 및 용융온도를 한정하므로서 가장 큰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어느 누구도 시도한바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나일론 6과 나일론 66과 같은 폴리아미드 수지에 나일론 46을 얼로이하여 나일론 6과 나일론66의 기계적 물성 및 내열성을 현저하게 개량시킨 고기능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나일론 6과 나일론 66에 유리섬유나 미네랄을 충진시킨 조성물 보다 열에 대한 안정성 및 기능성이 우수하고 친화성과 유동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제조하므로써 폴리아미드나 폴리페닐술폰과 같은 특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영역에서도 사용가능한 고기능성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일반식(Ⅰ)의 단위를 갖는 나일론 46 수지 5 내지 95중량% 일반식(Ⅱ)의 단위를 갖는 나일론 66, 혹은 일반식(Ⅲ)의 단위를 갖는 나일론 6 수지 각각 95 내지 5중량%로 구성된 얼로이 폴리아미드 수지 100중량부에 유리섬유와 같은 섬유상 충진제 혹은 탈크(활석), 마이카(운도) 등의 미네랄을 2 내지 50중량부로 조성시킨다.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3
상기식에서 n는 20,000부터 60,000까지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나일론 46은 아디프산과 1,4-디아미노부탄으로 이루어진 공중합체로서 그 제법은 "저어널 오브 폴리머 사이언스" 제15권(1977년판) 제537 내지 545면('Journal of Polymer Science" vol.15, 1977, PP537-545) 및 네덜란드 특허 출원 8,001,763호와 8,001,764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적정 수준의 나일론 46은 상대점도 2.5 내지 5.0(20℃, 96% 황산 100㎖중 폴리머 1g용액)을 가진 것이 좋으며, 나일론 6는 통상의 방버인 카프로락탑과 같은 락탑을 개환 중합하여 제조한 것으로 적정 상대점도가 2.4 내지 3.0(20℃, 96% 황산 100ml중 폴리머 1g용액)을 가진 것을, 나일론 66는 헥사메틸렌디아민과 아디핀산을 축합반응시켜 얻은 적정 상대점도 2.4 내지 3.5(20℃, 96% 황산 100ml중 폴리모 1g용액)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사용되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46의 상대점도가 각각 상기 범위의 미만인 경우는 기계적 강도가 불량하며 이상인 경우에는 유동성 및 성형제품의 표면광택성이 불량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강화섬유로는 유리섬유, 섬유질 마그네슘 무기화합물, 섬유상 칼륨티타네이트, 흑연, 카본 섬유, 아라미드 섬유등이 있으며 보강 미네랄은 입자크기가 10μ이하의 탄산 칼슘, 규회석, 카올린, 탈크, 운도, 석면, 카본블랙 및 아황산 몰리브덴 등 통상의 충진제가 사용된다. 이들 충진제의 양은 폴리아미드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50중량부가 적당하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조성물 제조에 사용되는 혼합기로서는 뱃치식(batch)혼합기, 연속혼합기, 1축 또는 2축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여 290° 내지 320℃에서 혼합하여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안료,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윤활제, 대전방지제 및 기타 수지 물성개량제로 사용되는 여러가지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여러가지 대조군의 제조방법 및 양 제품의 인장강도, 충격강도, 열변형온도 등의 비교에 의한 본 발명제품의 상슴효과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여기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다음의 시험방법을 각각의 성형용 칩에 적용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성형용 칩을 ASTM시험법에 의한 인장강도, 충격강도, 열변형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료로 제조하기 위해 300° 내지 330℃에서 스크류식 사출성형기를 사용하여 덤벨시편 및 두께 1/4인치 충격시험용 시편을 만들었다. 각 시편에 대해 23℃ 분위기하에서 아래의 ASTM규정에 따라 시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kpo00004
[실시예 1]
상대점도 2.6, 용융온도 224℃인 나일론 6(코오롱 상품명 : KOPA KN131) 80중량%와 상대점도 3.3, 용융온도 295℃인 나일론 46(DSM 상품명 : STANYL) 20중량%의 조성비로 조성하여 실린더 온도가 300° 내지 330℃로 유지된 용융 혼합용 압출기에서 혼합 압출하여 성형용 칩을 제조하였다. 이 성형용 칩을 열풍건조기로 온도 120℃에서 6시간 정도 건조시켜 상기 실시예에 기술한 방법에 의거 특성 시험용 시편을 제작하고, 상기한 ASTM의 규정에 따라 각종 특성치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나일론 6과 나일론 46의 중량비 80/20을 50/50으로 한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특성 시험용 시편을 제작하고 상기한 ASTM의 규정에 따라 각 특성치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나일론 6과 나일론 46의 중량비 80/20을 20/80으로 한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특성시험용 시편을 제작하고 상기한 ASTM의 규정에 따라 각 특성치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1]
상대점도 2.6, 용융온도 224℃인 나일론 6(KOPA KN131)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특성시험용 시편을 제작하고, 이 시편에 대해 각 특성치를 상기 ASTM의 규정에 따라 분석 시험하였다.
[실시예 4]
상대점도 2.8, 용융온도 264℃인 나일론 66(코오롱 상품명 : KOPA KN331) 80중량%와 상대점도 3.3, 용융온도 295℃인 나일론 46(DSM 상품명 : STANYL) 20중량%의 조성비로 조성하여 실린더 온도가 300° 내지 330℃로 유지된 용융 혼합용 압출기에서 혼합 압출하여 성형용 칩을 제조한 다음, 이 성형용 칩을 열풍건조기로 온도 120℃에서 6시간 정도 건조시켜 시험용 시편을 제작하고, 상기한 ASTM의 규정에 따라 각 특성치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4의 나일론 66과 나일론 46의 중량비 80/20을 50/50으로 조성한 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특성시험용 시편을 제작하고 상기한 ASTM의 규정에 따라 각 특성치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4의 나일론 66과 나일론 46의 중량비 80/20을 20/80으로 조성한 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특성시험용 시편을 제작하고, 상기한 ASTM의 규정에 따라 각 특성치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2]
상대점도 2.8, 용융온도 264℃인 나일론 66(KOPA KN331)을 사용하여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특성시험용 시편을 제작하고, 이 시편에 대해 각 특성치를 상기한 ASTM의 규정에 따라 분석 시험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각각 동일한 상대점도 및 용융온도를 갖고 있는 나일론 6과 나일론 46의 중량비가 80/20이 되도록 조성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리 섬유 30중량부를 첨가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특성 시험용 시편을 제작한 다음 상기한 ASTM의 규정에 따라 각 특성치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7의 나일론 6과 나일론 46의 중량비 80/20을 50/50으로 조성한 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특성 시험용 시편을 제작한 다음 상기한 ASTM의 규정에 따라 각 특성치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7의 나일론 6과 나일론 46의 중량비 80/20을 20/80으로 조성한 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특성 시험용 시편을 제작한 다음 상기한 ASTM의 규정에 따라 각 특성치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3]
상대점도 2.6, 용융온도 224℃인 나일론 6(KOPA KN131)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리섬유 30중량부를 첨가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7와 동일한 방법으로 특성 시험용 시편을 제작하고, 이 시편에 대해 각 특성치를 상기한 ASTM의 규정에 따라 분석시험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4와 각각 동일한 상대점도 및 용융온도를 갖고 있는 나일론 66과 나일론 46의 중량비 80/20이 되도록 조성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리 섬유 30중량부를 첨가하여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특성 시험용 시편을 제작하고, 상기한 ASTM의 규정에 따라 각 특성치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0의 나일론 66과 나일론 46의 중량비 80/20을 50/50으로 조성한 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특성 시험용 시편을 제작하고, 상기한 ASTM의 규정에 따라 각 특성치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0의 나일론 66과 나일론 46의 중량비 80/20을 20/80으로 조성한 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특성시험용 시편을 제작한 다음 상기한 ASTM의 규정에 따라 각 특성치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4]
상대점도 2.8, 용융온도 264℃인 나일론 66(KOPA KN331)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리섬유 30중량부를 첨가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특성시험용 시편을 제작하고, 이 시편에 대해 각 특성치를 상기한 ASTM의 규정에 따라 분석 시험하였다.
[실시예 13]
유리 섬유 30중량부 대신에 미네날 탈크 30중량부를 첨가하는 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특성 시험용 시편을 제작한 다음 상기 ASTM의 규정에 따라 각 특성치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5]
상대점도 2.6, 용융온도 224℃인 나일론 6(KOPA KN131) 100중량부에 대하여 미네랄 탈크 30중량부를 첨가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특성 시험용 시편을 제작하고, 이 시편에 대해 각 특성치를 상기한 ASTM의 규정에 따라 분석시험하였다.
[실시예 14]
유리 섬유 30중량부 대신에 미네날 탈크 30중량부를 첨가하는 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특성 시험용 시편을 제작한 다음 상기 ASTM의 규정에 따라 각 특성치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6]
상대점도 2.8, 용융온도 264℃인 나일론 66(KOPA KN331) 100중량부에 대하여 미네랄 탈크 30중량부를 첨가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4과 동일한 방법으로 특성시험용 시편을 제작하고, 이 시편에 대해 각 특성치를 상기한 ASTM의 규정에 따라 분석 시험하였다.
[표 1]
Figure kpo00005
표 1에서 보듯이 폴리아미드 얼로이 성분으로서 나일론 46이 조합된 조성물은 매우 뛰어난 인장강도, 충격강도 및 열변형온도를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외에 본 발명품은 사출 성형시 기존 사출기를 이용하여 특수 엔지니어링 프라스틱 영역의 성형품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나일론 6과 나일론 66으로 된 폴리아미드 수지 95 내지 5중량% 나일론 46 수지 5 내지 95중량%로 조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 충격 강도를 갖는 얼로이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나일론 6과 나일론 66으로 된 폴리아미드 수지가 20 내지 50중량%이고 나일론 46수지가 50 내지 80중량%로 이루어진 고충격 강도를 갖는 얼로이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나일론 6의 상대점도는 2.4 내지 3.0이며, 나일론 66의 상대점도는 2.4 내지 3.5, 나일론 46의 상대점도는 2.5 내지 5.0 범위의 수지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얼로이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4. 나일론 6나 나일론 66 수지 95 내지 5중량% 나일론 46 수지 5 내지 95중량%으로 조성된 얼로이 폴리아미드 100중량부 당 섬유상 충진제 혹은 미네랄 충진제를 2 내지 50중량부 첨가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충진제가 유리 섬유, 탈크, 마이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충진제로 조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1019870003852A 1987-04-22 1987-04-22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900004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3852A KR900004934B1 (ko) 1987-04-22 1987-04-22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3852A KR900004934B1 (ko) 1987-04-22 1987-04-22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2708A KR880012708A (ko) 1988-11-28
KR900004934B1 true KR900004934B1 (ko) 1990-07-12

Family

ID=19260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3852A KR900004934B1 (ko) 1987-04-22 1987-04-22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49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8346A1 (en) * 2010-10-29 2012-05-0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amide composite structures 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WO2015084055A1 (ko) * 2013-12-04 2015-06-11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내열성 및 충격강도가 개선된 나일론 블렌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31856A (ko) * 2016-05-23 2017-1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296B1 (ko) * 2013-04-18 2016-09-19 롯데첨단소재(주) 굴곡탄성율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8346A1 (en) * 2010-10-29 2012-05-0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amide composite structures 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CN103180133A (zh) * 2010-10-29 2013-06-26 纳幕尔杜邦公司 聚酰胺复合结构及其制备方法
CN103189200A (zh) * 2010-10-29 2013-07-03 纳幕尔杜邦公司 重叠注塑的聚酰胺复合结构及其制备方法
WO2015084055A1 (ko) * 2013-12-04 2015-06-11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내열성 및 충격강도가 개선된 나일론 블렌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31856A (ko) * 2016-05-23 2017-1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2708A (ko) 1988-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68071A (en) Polyamide resin molding composition
US4528335A (en) Polymer blends
EP0523445B1 (de) Thermoplastische Formmassen aus semikristallinem und amorphem Polyamid, deren Verwendung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CA1105637A (en) Pbt molding compositions
KR950001856B1 (ko) 저온 내충격성 및 안료 상용성을 갖는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CA2642925A1 (en) Partially aromatic copolyamides with a high crystallinity
US3472916A (en) Copolymers of ethylene and alkyl acrylates as plasticizers in polycarbonamide resins
JPS59133250A (ja) フエノ−ル化合物含有ポリアミド
KR100197887B1 (ko)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
US5028649A (en) Polyethylene terephthalate molding compounds with sodium stearate and polyester amides
US4229340A (en) Glass fiber-reinforced polyethylene terephthalate/polyamide blends
KR900004934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JPS6160861B2 (ko)
JPS6140262B2 (ko)
CA2046761A1 (en) Polyarylene sulfide resin molding composition
JPH0447711B2 (ko)
JPS62218445A (ja) ガラス繊維強化ポリアミド組成物
US5705550A (en) Polyar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EP0009757A1 (en) Polyamide resin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JPS6164751A (ja) ナイロン樹脂組成物
US4810744A (en) Injection moldable glass fiber reinforced polyester with improved surface finishes
JPH0198665A (ja) 耐衝撃性ポリアミド成形用混和物
US4847330A (en) Thermoplastic molding materials based on nylons and ethylene copolymers
JPS63137955A (ja) 成形用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H0613641B2 (ja) ガラス繊維強化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5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