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209B1 - 중공유리용기의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중공유리용기의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209B1
KR900004209B1 KR1019870011112A KR870011112A KR900004209B1 KR 900004209 B1 KR900004209 B1 KR 900004209B1 KR 1019870011112 A KR1019870011112 A KR 1019870011112A KR 870011112 A KR870011112 A KR 870011112A KR 900004209 B1 KR900004209 B1 KR 900004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ntainer
holder
rod
hollow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1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5047A (ko
Inventor
보가츠키 한스-울릭히
Original Assignee
엘파트로닉 아게
스테판 버어넷트, 크라우스 홋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파트로닉 아게, 스테판 버어넷트, 크라우스 홋츠 filed Critical 엘파트로닉 아게
Publication of KR880005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5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9/00Blowing glass; Production of hollow glass articles
    • C03B9/30Details of blowing glass; Use of materials for the moulds
    • C03B9/40Gear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specially adapted for glass-blowing mach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07C5/12Sorting according to size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to particula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7C5/122Sorting according to size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to particula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bottles, ampoules, jars and other glassware
    • B07C5/124Sorting according to size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to particula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bottles, ampoules, jars and other glassware by means of mechanical measuring devices which may also control electrical conta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8Detecting presence of flaws or irregulari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Optical Measuring Cell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중공유리용기의 검사장치
제 1 도는 이 발명에 따르는 다수의 장치를 가지는 기계의 시험회전대(turntable).
제 2 도는 중공(中空)유리용기를 검사하는 동안의 수개상(相)에서의 이 발명에 따르는 장치의 센서소자.
제 3 도는 이 발명에 의한 장치의 센서소자의 부분적인 종단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센서소자의 분해도.
제 5 도는 이 발명에 따르는 장치의 대단히 단순화된 구성도를 나타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검사장치 14 : 중공유리용기
18 : 콘베이어 24 : 봉
34 : 근접스위치 50 : 스터드
이 발명은 센서소자와 이 센서소자에 의하여 작동되어질 수 있는 스위치 설비를 가지며 특히 스파이크(spikes) 또는 버어드 스윙(bird swings)의 형태로 된 결함들에 관하여 중공(中空)유리용기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유리 가공기계에서 중공유리제품의 제조에 있어서는 용융유리의 공급액적(液滴)(feed drip)이 정련로의 공급기 통로로부터 수집형(gathering mould)으로 인도되고 그안에서 플란저에 의하여 프레스되며 거기서부터 소위 패리슨(parison)이 180°만큼 뒤집히는 것에 의하여 완성형으로 이동 되어지며 사상취입(finish-blown)되고 그리고 배출되어진다. 만일 유리가 프레스 작업 도중에 최적의 온도를 갖지 않거나 또는 플란저가 불량하게 윤활되어진다면 이 플란저는 즉 패리슨벽의 내부표면으로 부터 또는 패리슨의 저면의 내부표면으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진행할때 패리슨으로 부터 필라멘트를 끌어 당길 수 있다.
상기의 필라멘트는 플란저 상의 "부착점 (sticking point)"에서 파멸하며 패리슨의 내부에 남아 있게 된다. 사상취입하는 동안에 저면으로부터 발생하는 필라멘트는 하방으로 취입되며 이 경우에 그의 형태를 유지할 수가 있으며 이것으로 인하여 완성된 중공유리 용기내에 스파이크(spike)가 잔류한다. 그러나 이 필라멘트는 역시 이미 수집형내에서도 측방으로 패리슨의 내벽에 접합한다.
상기의 내벽으로부터 발생하는 필라멘트는 마찬가지로 내벽에 접합한다. 사상취입에 있어서(닭장 또는 새집으로 알려진) 소위 버어드스윙이 그 다음에 형성된다. 그러한 버어드 스윙은 통상적으로 중공유리 용기의 하부의 ⅓에서나타난다. 그러한 스파이크와 버어드 스윙은 예를들면 좁은 입구를 가지는 병에서 보다 넓은 목부분을 가진 용기에서 더 자주 나타난다. 상기의 종류의 결함들은 크기의 정도의 점에 있어서 100,000개의 중공유리용기중에서 다만 한빈 발생하는 것이 사실이며, 그러므로 빈번한 결함들은 아니나 이들 용기가 음식물로 채워질 것이라면 그러한 결함들을 가진 중공유리용기들은 어떤일이 있더라도 폐기되지 않으면 안된다.
실제로 그러한 중공유리용기들이 액체가 아닌 충전재료(요구르트, 유아식품, 커피가루등)로 충전될 때 스파이크 및 버어드 스윙은 자주 절단되며 충전물 속에 남는다. 특히 넓은 목부분을 가진 용기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충전재료가 스푼류를 가지고 휘저어진다면 이들 스파이크 및 버어드 스윙은 마찬가지로 절단될 것이다.
유리공장에서 중공유리용기의 제조하는 동안에 상기와 같은 종류의 결함 즉 스파이크 또는 버어드 스윙이 발견된다면 예를들면 그 앞과 그 뒤의 완성된 중공유리용기의 5개의 파렛트가 차단되며 그러한 결함들은 이미 발생하면 격리되어서 발생하지 않고 빈번하게 나타나는 것이 항상 가정되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전체의 중공유리 용기는 손으로 선별되어진다. 가능한한 높은 생산속도를 성취하기 위하여 유리공장에서는 가능한한뜨거운 유리를 가지고 작업되어지며 여기서는 그러나 더 뜨거운 유리에 의하여 플란저의 윤활이 더 자주 손상되기 때문에 역시 그러한 결함들을 야기시키는 "플란저 부착"(plunger sticking)이 더 쉽게 일어난다. 소비도중의 상술한 위험 이외에도 그러한 결함들은 역시 이들이 유리공장에서 생산속도를 현저하게 저해하는 효과를 가질수 있다는 또 다른 불리점을 야기시킨다.
그러므로 선행기술에서는 그러한 결함들에 관하여 중공유리용기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들이 이미 있었으나 알려진 한에 있어서는 이 장치를 모두가 광학적인 시험으로 작업하는 것이다. 특허청구범위 제 1 항의 상위개념에서 주어진 종류의 그러한 공지된 장치(DE-OS 26 35 519)는 특히 균열, 유리이물체, 용융되거나 소결된 유리 또는 유사한 불완전한 형태에 있는, 중공유러용기의 내부-저면에서의 결함들의 출현을 확인하는역활을 한다. 상기의 목적을 위하여 광원들이 용기의 측벽을 통하여 유리용기의 저면의 내부표면을 균일하게 비추도록 다수의 광원들이 그렇게 배열되어 있다. 유리에 대한 이물체류의 부재시에는 대체로 전체의 광은 저면의 내부표면에 의하여 반사된다. 만일 유리에 대한 이물체가 출현한다면 이들 이물체위에 부딛치는 광은 반사되며 그리고 저부 표면을 통하여 광감지소자에 이송되며 그 다음에 이 광감지소자는 해당하는 유리용기는 불량으로 폐기되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스위치 장치 또는 배척장치를 작동시킨다.
기껏해야 현저한 크기의 스파이크들만 검출되어질수 있으며 그리고 저면상이 아닌 유리용기의 내벽상의 버어드 스윙 또는 다른 미세한 유리 필라멘트들은 전혀 검출되어질수 없다는 것이 상기의 공지된 검사장치의 불리점이다. 용기는 실제로 통상적으로 광학적인 주사(走査)의 경우에 강한 신호를 생성하는 형봉합부마아크(mould seam marks)를 포함한다.
나아가서는 용기의 저면은 통상적으로 마찬가지로 강한 신호를 생성하는 수집형(gathering mould)의 저면 보스 부분들(bosses)을 갖는다. 수집형의 저면 보스부분들보다도 상응하는 점에 있는 얇은 스파이크가 더 약한 신호를 생성할 것이다. 나아가서는 저면의 외측상에 있는 바나나 형상의 마아크들("knurling")은 대단히 강한 신호를 생성한다. 역시 저면 가까이에 있는 용기벽에 문자 도형은 강한 신호를 생성하며 이 신호들은 스파이크 또는 버어드 스윙의 신호들을 감추게 한다. 그러므로 그러한 광학적인 정치를 가지고는 정상적인 광학적 결함들 즉, 그 결함들에 대하여 이의가 없는 그러한 결함들과 진정한 결함들 사이를 구별하는 것은 대단히 곤란하다. 그 결과는 실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많은 중공유리 용기까지도 폐기되어지도록 광학적 시험의 강도가 조정되어지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이다. 벽에 밀접하게 부착하고 있는 필라멘트는 광학적으로 검출하기가 어렵다.
필라멘트는 이것이 유리로부터 나오는 곳인 그점에서 검출되어질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이것은 그곳에서 더 굵기 때문이다. 이것은 신호를 생성하며 그러나 형봉합 마아크, 유리중의 기포와 같은 것도 유사한 신호를 생성한다. 광학적인 검사의 감도가 형봉합 마아킹을 검출하지 못할 정도로 조정되어진다면 이때는 역시 버어드 스윙도 검출하지 못할 것이다.
유리용기를 검사하기 위한 또 다른 공지된 장치(DE-AS 24 37 759)는 기계적 감지소자로서 작동하며 이 기계적 감지소자는 이것이 굴곡할때 전기적 접촉을 통하여 지시 전류회로를 접속하며 그러나 이 장치를 가지고는 가장자리에 있는 즉 용기의 밀봉면에 있는 그리고 실로 용기의 가장자리 표면에서 개방되어 있었던 기포의 형태에 있는 결함들만이 검출되어질 수 있다.
나아가서는 장치들이 중공의 유리용기의 자동적인 검사를 위하여 공지되어 있으며(DE-PS 23 08 910 및 DE-AS 25 45 678) 그러나 이들은 마찬가지로 중공의 유리용기의 입구를 통하여 저면을 비추는 광학시스템으로 작동하며 그러므로 처음에 언급한 공지된 광학시험장치와 유사한 단점들을 갖는다.
그밖에도 역시 이미 고주파를 가지고 또는 전기용량적으로 작동하는 검사장치가 있으며(DE-PS 26 48 076 또는 24 10 110)이 장치로서는 액체 잔사들이 중공 유리 용기내에서 명백히 검출되어질 수 있으며 그러나 스파이크 및 버어드 스윙과 같이 여기에서 말하고 있는 종류의 결함들은 검출되어질 수 없다.
처음에 말한 공지된 광학적 시험장치를 제외하고는 다른 기술된 공지된 모든 검사장치는 역시 중공 유리용기들이 재사용될때 이들은 주로 검사하기 위한 것이며 그러나 이들이 유리 공장에서 생산된때 중공유리용기를 검사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 발명의 목적은 특히 스파이크 또는 버어드 스윙의 형태에 있는 결함들이 검사의 결과로서 폐기 되어지는 사용 가능한 중공 유리 용기가 없이 확실하게 검출되어질 수 있도록 특허청구범위 제 1 항의 상위개념의 장치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의 문제는 봉이 왕복운동할 수 있으며 이 봉에 의하여 센서소자가 용기 저면의 근처까지의 용기의 내부 밑으로 움직여질 수 있는 그러한 봉에 센서소자가 부착되어 있으며 그리고 센서소자는 봉으로부터 먼쪽에 압력부재를 가지며 이 압력부재는 장애물을 접촉하자마자 스위치 설비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해결된다.
이 발명에 의한 장치에서 압력부재는 한편으로는 장애물을 접촉하는 경우에 스위칭 설비가 작동하도록 그렇게 민감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예를들면 버어드 스윙 또는 스파이크와 같은 장애물을 파괴할 만큼 튼튼하다. 유리용기가 검사후에 전도되며 주어진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취출되면 절단된 필라멘트가 용기로부터 낙하한다. 그래서 이 장치는 광학적인 장치에 비하여 이것은 상기한 종류의 결함들을 검출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이들을 역시 제거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것은 그럴 필요가 없는데 왜냐하면 이 장치의 제어는 장애물의 접촉시에 봉이 즉시 철거되고 중공유리용기가 불량으로서 배출되기 위하여 배척설비가 작동되도록 그렇게 조정되어질 수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경우에 압력부재가 장애물과 접촉하는 일이 없이 봉이 용기의 저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에 까지 움직여진다면 이 중공유리 용기는 검사를 통과한 것이며 사용 가능한 것으로 간주된다.
장애물과의 접촉이 발생되는 일이 없이 센서소자가 저면가까이까지 움직인다면 어떤 경우에도 스위치 설비가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용기안에서의 현저한 광학적인 불균일성이 원인이 되어서 결함이 있는 것으로 폐기된 중공 유리 용기들은 이 발명에 의한 장치로는 발생할 수가 없다.
이것은 용기에 대하여 이 장치가 특별히 마련되어진 그러한 넓은 목부분을 가진 용기의 경우에는 특히 중요하며 왜그러냐하면 이들 용기에서는 여기서 말하고 있는 종류의 결함은 특히 불리하며 이 발명에 의한 장치는 그들 용기를 검사하는 동안에 유리공장에서 어떤 생산의 저하도 가져오지 않기 때문이다.
이 장치는 실로 역시 충전 장소에서도 쉽게 사용될 수 있으며 그러나 작업은 거기에서 통상적으로 이 발명에 의한 장치의 검사속도(시간당 300-400중공유리용기)를 몇배가 되게 능가하는 총전속도를 가지고 행하여진다.
이 발명에 의한 장치는 결함들을 확실하게 하며 여기에 추가하여 역시 제거하고 검사도중에 잘못된 결과를 방지하는 위치에 있을 뿐만 아니라 이것은 역시 튼튼한 구조를 가지며 다루기가 용이하다.
압력부재는 특히 스파이크나 버어드 스윙과 같이 장애물을 파괴하며 장애물과의 그와같은 접촉시에 스위칭 설비를 작동시키는 위치에 있는 어떤 튼튼한 부분품일 수가 있다. 스위칭 설비에 대한 압력부재의 신호부여는 순전히 기계적으로 행하여지거나 또는 압력부재가 압력의 작용시에 스위칭 설비의 작동을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압전재료로 되어 있다면 압전적으로 행하여질 수 있다.
이 발명의 유리한 형성은 종속항들의 대상을 형성한다.
특허청구범위 제 2 항에 의한 본 발명의 형성에 있어서 압축부재는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그리고 장애물과 접촉시에 근접 스위치에 접근하며 결과적으로 이것을 작동시키는 그러한 단순히 하나의 판이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근접 센서가 예를들면 유도적으로, 용량적으로 또한 광커텐(light barrier)에 의하여 작동되어질 수 있는 근접 스위치로서 사용되어질 수 있으며 마지막에 말한 경우에 광커텐은 판에 의하여 중단되는 것이다.
특허청구범위 제 3 항 및 제 4 항에 의한 발명의 형성에 있어서, 스리브와 이 스리브에 피봇트 연결된 판은 서로 교환할 수 있는 하나의 세트를 형성하며 이 세트는 검사되어질 중공유리 용기의 입구의 내경에 따라서 선택되어지며 그리고 예를들면 스리브의 상용하는 개구에서 볼을 파지하고 있는 홀더상에 스프링으로 미리 조여진 그러한 볼의 사용에 의하여 홀더에 용이하게 록크되어질 수 있다. 각각의 교환 세트에서 스리브는동일한 것이다. 즉, 이것은 상이한 직경을 가지는 판을 지닐 뿐이다.
비틀음 폐쇄식(twist-off-closure)의 중공유리 용기는 표준 시리즈에서 다만 몇가지 사이즈에서만 발생하며 그 결과로 예를들면 넓은 목부분을 가진 용기의 사이즈의 전체 범위는 적은 교환 가능한 세트를 가지고 커버하여질 수 있다.
청구범위 제 5 항에 의한 이 발명의 형성에 있어서 봉으로 부터 먼쪽에 있는 판의 측면은 이것이 미리 정하여진 저면부근에 있을 때 저면의 내측으로부터 대체로 동일한 거리에 있다.
이 미리 정하여진 거리는 예를들면 약 2mm일 수가 있다. 2mm의 상기의 허용차 범위내에 있는 예를들면 스파이크 형태에 있는 모든 결함들은 무시해도 된다. 용기의 저면이 정상적인 것보다 적어도 2mm만큼 더 두꺼운 그러한 중공 유리용기는 물론 폐기될 것이다. 통상적인 두께와 상이한 저면은 유리 가공기계에서의 결함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것은 불리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청구범위 제 6 항에 의한 본 발명의 형성에서, 수직으로 왕복하면서 움직여질 수 있는 봉의 보통의 경우에서 센서소자는 그 자체가 또 망원경의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의 봉에 메달리기 때문에 이 센서소자는 더욱 무거워서는 안되므로 스리브와 마찬가지로 판은 가벼운 재료로 되어 있다.
청구범위 제 7 항에 의한 본 발명의 형성에서는 프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판은 스파이크가 판으로 뚫고 들어갈 수 없도록 스프링 강으로 장갑되어 있다. 다만 중요한 것은 판은 가볍고 봉으로부터 먼측면에 단단한 피복을 갖는다는 것이다.
청구범위 제 8 항에 의한 이 발명의 형성에서 계수(joint)는 특히 간단한 구조를 갖는다.
청구범위 제 9 항에 의한 이 발명의 형성에서 스위칭 설비가 용기의 저면위에 아래로 접촉된다면 근접스위치는 동시에 작동된다. 그렇지 않으면 판이 장애물을 접촉할때 통상적으로 스위칭 설비의 다만 하나의 근접스위치만이 작동된다.
청구범위 제 10 항에 의한 이 발명의 형성에서 이 장치는 용기의 저면 상부에서 이미 검출되어진 몸체 결함과 저면 자체에서 검출되어지는 저면 결함 사이의 구별을 가능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의 2개의 종류의 결함을 구별하여 두는 것이 유리한데 왜냐하면 그 결과로서 검사중에, 성형작업중에 발견된 결함의 원인으로 유도한 흠의 성질에 관하여 결론을 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스위칭 설비가 판에 의하여 작동된다면 이것은 맨먼저 평가로직에 기록되며 이 평가로직은 그 다음에 배척장치와 신호지시 창치를 작동시킨다. 평가로직은 스위칭 설비의 작동이 중공유리용기의 내벽상의 버어드 스윙에 의하여 야기되었는지 또는 그의 스파이크에 의하여 야기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그 흠들이 얼마나 자주 일어나는가 등을 더 확인하기 위하여 결함이 나타난 구역을 역시 기록한다. 예를 들어서 버어드 스윙들이 발생했다면 이들의 빈도가 전자적으로 평가되어질 수 있다. 그래서 어떤 형에 의하여 버어드 스윙이 생성되었는가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해당되는 형으로부터 나온 모든 중공유리용기가 배척되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형번호 독취기가 이때에 작동되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발명에 따르는 장치의 특별한 이점은, 이장치와 함께, 동일한 출원인의 독일특허출원 P36 20 637.7호의 대상물을 형성하는 매달린 채로 배열된 유리용기의 응력시험을 위한 장치가 간단한 방법으로 응력시험으로부터 유리용기의 검사로 변환될 수 있다는 것에서 이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에서 찾아볼 수가 있다.
실제로 응력시험 장치의 타격봉은 다만 거기에 부착된 센서소자를 가지는 봉에 의하여 대체되어져야 하며 그리고 이 장치는 센서소자가 용기의 저면에 접촉하지 않고다만 저면의 근처에 움직여지도록 조정되어야한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하여 요구되는 투자비용은 낮게 유지될 수 있다. 그밖에도 중공유러용기는 동일한 장치를 가지고 단순한 변환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응력시험을 받게 하든지 결함검사를 받게할 수가 있다.
이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가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더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제 1 도는 다수의 검사장치(12)가 설치되어 있는 중공유리용기들을 검사하기 위한 기계의 시험회전대(10)를 나타낸다. 검사장치(12)를 별문제로 하더라도 시험회전대(10)는 독일특허출원 P 36 20 637.7-52에서 기술된 응력시험 장치에서의 시험회전대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 차이는 다만 거기에서 타격봉이 그때그때마다 용기저면위에 내려 놓여지며 이에 반하여 여기서는 검사장치(12)가 사용되며 이 검사장치의 센서소자가 마만 저면 가까이에 가져와 진다는 것과 그리고 중공유리용기(14)는 검사하는 동안에 매달려서 배열되어 있지 않고 각각의 경우에 회전테이블(16)위에 서 있다는 것이다.
중공유리용기(14)는 콘베이어(18)에 의하여 화살표(A)의 방향에서 시험회전대(10)으로 이송되며 이들 용기들은 상기 시험회전대로 제 1 도에서 좌측으로 들어간다. 제 1 도의 우측에서는 중공유리용기들(14)이 시험회전대(10)를 떠나며 콘베이어(18)에 의하여 화살포(B)의 방향으로 더 운송되어진다. 시험회전대(10)에는하나의 표시되지 않은 역전장치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이 역전장치는 나타날수도 있는 어떤 이물체가 중공유리용기로부터 밖으로 떨어져 나오도록 각각의 중공유리용기(14)를 그의 입부분(20)을 하방으로 회전한다. 동시에 중공유리용기들은 추가적으로 불어내어 질수가 있다.
제 1 도 및 제 2 도의 도해에 따르면 각각의 검사장치{12)는 수직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는 봉(24)에 고정되어 있는 센서소자(22)를 포함한다. 이 봉(24)은 튜브(26)내에 안내되어 있다.
각각의 검사장치(12)는 수취설비(28)위에 중앙에 배열되어 있으며 이 수취설비의 각각은 콘베이어(18)로부터 중공유리용기(14)를 받는다. 수취설비(28)의 원형통로에 이웃하며 제 1 도에는 볼수가 없는 굴곡통로가 배열되어 있으며 이 굴곡통로 위에는 마찬가지로 표시되지 않은 차들이 주행하며 이 차들의 각각에는 봉들(24)중의 하나가 조징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제 1 도에서 시계바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시험회전대에서 봉들(24)이 그들의 튜브(26)안에서 보이지 않는 굴곡통로에 따라서 상좌측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하방으로 그리고 그 다음에 우측을 향하여 다시 상방으로 움직임을 알수가 있다. 저부에서 센서소자(22)에 접합되어 있는 압력부재(30)가 저면상에서 2mm 초과하는 높이를 가지는 장애물이 없는 한, 봉의 하향운동의 끝에서 중공유리용기는 저면상부의 약 2mm에 있도록 각각의 봉(24)는 그의 차에 고정되어 있다. 봉들이 제 1 도에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계속해서 하방으로 움직이면 센서소자(22)를 가지는 봉(24)은 입구(20)로 안내되며 2mm 이상의 상기의 거리가 도달될때까지 하방으로 움직인다.
그 다음에 봉들은 다시 상방으로 움직이며 그리고 이 경우에 센서소자들을 중공유리용기(14)로부터 끌어낸다. 용기의 저면에 상기한 바와 같은 접근까지도 압력부재(30)가 어떤 장애물과 접촉하게 되지 않는다면 검사된 중공유리용기는 좋은 것으로 계수되며 그렇지 않으면 불량품으로서 배척되어지며 이것은 아래에 더 자세히 기술되어진다.
제 2 도는 검사하고자 하는 중공유리용기의 예로서 넓은 목부분을 가진 용기를 보인다. 여기에 기술된 실시예에서 센서소자(22)의 압력부재(30)는 쉽게 움직일 수 있는 판이다. 판(30)의 직경은 중공유리용기(14)의 입구(20)에 쉽게 바로 들어가질 수 있도록 그렇게 선정된다. 제 2 도의 표현에 따르면 중공유리용기(14)내에는 유리 필라멘트의 형태에 있는 2개의 엇갈림에 있으며 여기서 상부의 유리섬유 b는 소위 버어드 스윙(bird swing)이며 즉 용기의 내벽위의 한점으로부터 용기의 내부를 통과하며 용기의 내벽의 다른점까지 뻗치는 유리 필라멘트이고 그리고 하부의 유리 필라멘트 s는 소위 스파이크(spike)이며, 즉 용기의 저면으로부터 상부로 뻗치는 유리 필라멘트이다.
센서소자(22)는 3개의 상태에서 도해되어 있다. 즉, 첫번째로는 용기의 내부로의 도입전의 용기입구(20)위에서, 둘째는 용기의 내부에서 상부의 유리 필라멘트 b의 형태에 있는 장애물을 접촉한때 그리고 세번째는 저면 가까이의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상태이다.
제 3 도와 제 4 도의 표현에 의하여 센서소자(22)는 봉(24)에 고정되어 있고 3개의 근접스위치가 분리할 수 있도록 고정된 그러한 흘더(32)와, 판(30)을 가지는 스리브(36)로 구성되어 있다. 센서소자(22), 표시되지않는 전원 그리고 제 5 도에 표시된 평가논리(40) 사이의 연결을 생성한다. 도체가 봉(24)을 통하여 행하여진다. 검사장치(12)의 스위치 설비로서 여기서 기술된 실시예에서 사용된 근접스위치(34)는 시중에서 구득할 수 있는 표준 부품이다. 근접스위치(34)는 홀더(32)이 종축 주위에 대칭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각 조정할 수 있도록 클립(42)에 의하여 홀더에 고정되어 있다. 홀더(32)는 가벼운 재료(예를 들면 프라스틱재료, 알루미늄류)로 되어 있으며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리브(36)는 마찬가지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홀더(32)와 같은 재료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스리브는 하나의 저면벽(44)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저면벽은 저면에서 홀더(32)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근접스위치(34)를 위한 3개의 구멍(46)과 그리고 역시 하나의 중앙의 구멍(48)이 형성되어 있다. 판(30)은 그의 상부에 중앙의 스터드 보울트(5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스터드 보울트는 스크루(52)가 나합되어 있는 나사선이 형성된 구멍을 포함한다. 스크류(52)의 두부와 스터드(50) 사이에는 왓셔(54)가 배열되어 있으며 이 왓셔로서 판이 중앙의 구멍 둘레에서 지지되어 있다. 스터드 보울트(50)는 중앙의 구멍(48)가운데서 적당한 유격을 가지며 그리고 왓셔(54)의 하측까지의 스터드 보울트의 높이는 판의 상부가 저면벽(44)의 저면으로 부터 약 0.5mm의 거리 a에 있도록 그렇게 선정되어 진다.
상기의 방법으로 판(30)은 스터드 보울트(50), 왓셔(54), 스크류(52) 및 중앙의 구멍(48)로 되어 있는 계수(joint)를 사용하여 스리브(36)에 쉽게 움직일 수 있도록 매달려 있다. 관(30)이 예를 들어 제 2 도에 보인 종류의 유리 필라멘트와 같은 장애물과 접촉하지 않는 한 거리 a는 변하지 않고 유지된다.
근접스위치(34)의 하단부 전면은 저면벽(44)의 하측과 동일 평면에 있으며 그 결과로 간격 a는 역시 판(30)과 근접스위치(34) 사이에도 존재한다. 근접스위치(34)의 상기한 동일 평면상의 조정은 클립(42)를 사용하여 쉽게 만들어질 수 있다. 홀더상에서 스프링에 의하여 예비 부하된 볼(58)이 스리브(36)내에 있는 상응하는 개구(60)에 물리며 그래서 홀더에 스리브를 분리 가능하게 록크할때까지 판(30)를 가지는 스리브(36)가 홀더(32)로 밀려진다. 이 록크된 위치에서 근접스위치(34)의 하단부면은 저면벽(44)의 하측과 동일평면상에 있게된다. 구멍(46)은 근접스위치(34)보다 다소 콘 직경을 가지므로 근접스위치는 홀더(32)로의 스리브(36)를 미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스리브(36)과 판(30)은 하나의 세트를 형성하며 입구(20)가 상이한 내부 직경을가지는 중공 유리용기들이 검사되어 진다면 상기의 세트는 다른 세트와 교체된다. 용기의 내부의 될수록 큰 면적이 판에 의하여 덮혀질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판은 입구(20)를 통하여고 꼭 맞도록 각 세트의 판의 직경이 선정되어 진다.
제 5 도에서는 판에 의하여 덮혀질 수 없는 입구를 가진 용기의 입구밑의 구역이 사전에 의해 표시되었다. 버어드 스윙들(bird swings)은 통상적으로는 사선친 구역을 넘어서 용기의 내부로 돌출하므로 이들은 역시 플란저(plunger)(30)에 의하여 도달되어질 수 있다.
판이 여기에서 기술된 실시예에서 저면의 근처에서 가지는 2mm의 상술한 거리가 판과 저면 사이의 어느곳에서나 나타나게 하기 위하여 봉(24)로부터 먼쪽의 판(30)의 측면은 검사되어질 중공유리용기(14)의 저면의 볼록한 아아치부와 들어맞는 오목한 만곡을 갖는다.
판(30)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프라스틱 재료와 같은 가벼운 재료로 되며 봉(24)로부터 먼쪽의 그의 측면은 예를 들면 스프링 강의 단단한 피복(56)을 가지고 있으며 그 결과로 못이나 다른 뾰족한 이물체가 판을 손상할 수 없게 하기 위해서이다.
중공유리용기를 검사하기 위한 상술한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 센서소자(22)는 상기한 방법으로 중공유리용기(14)의 내부로 수직으로 움직여진다. 이 경우에 판이 제 2 도에서의 상부유리 필라멘트 b와 같은 장애물과 접촉하게 된다면 이것은 스리브(36)쪽을 향하여 상부로 전향되어지며 근접스위치(34)의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킨다. 여기서 기술된 실시예에서 봉(24)는 그의 하방으로의 운동을 계속하므로 상기한 유리 필라멘트는 판에 의하여 절단된다. 하방으로의 더 계속되는 운동의 동안에 판이 제 2 도에서의 하부 유리 필라멘트 s와 접촉하게 된다면 근접스위치의 적어도 하나가 다시 작동돠며 이 유리 필라멘트는 역시 절단된다.
검사 회전대에 전술한 바와 같이 역전장치가 뒤따라 접속된다면 절단된 유리 필라멘트는 뒤에 빈 유리용기(14)로부터 떨어져 나올 것이다.
빈 유리용기(14)내에서 판(30)에 대하여 장애물의 형태에 있는 결함이 없다면 이 판은 저면위의 2mm의 높이까지 움직이며 그리고 근접스위치(34)의 하나가 작동되는 일이 없이 다시 되돌아 간다.
상기의 빈유리용기는 좋은 것으로 간주되며 한편 용기안에서 적어도 하나의 근접스위치가 반응을 야기시킨 그러한 각각의 다른 중공유리용기는 불량으로서 간주된다.
근접스위치의 적어도 하나에 접근하는 판(30)의 결과로서 이 근접스위치가 작동된다면 이것은 도체(38)을 거쳐서 평가로직(40)에 신호를 전달한다. 그 신호를 야기시킨 중공유리용기(14)가 제 1 도에는 나타내지 않은 것으로서, 검사회전대로부터의 출구에 있을 수 있는 배출장치에 도착할때 배출장치가 작동되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평가로직(evaluation logio)이 그 다음에는 상응하는 신호를 배척장치(64)에 보낸다.
신호가 용기의 내벽상에서 버어드 스윙에 의하여 발생되었는지 스파이크(spike)에 의하여 발생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근접스위치(34)에 의하여 전달된 신호를 사용하여 평가로직(40)이 역시 신호를 일으킨 결함이 있는 용기의 내부의 그 구역을 기록한다. 그 다음에 거기에 연결된 신호표시장치(62)는 그 결함이 어떤 종류의 것이었던가를 표시한다. 버어드 스윙들이 결함으로서 나타났다면 그들의 빈도가 평가되어질 수가있다. 그래서 어느 형(mould)에 의하여 버어드 스윙들이 생산되고 있는지가 발견되어질 수 있다.
검사장치(12)는 역시 판(30)이 장애물과 접촉하게 되자마자 즉 센서소자가 뒤로 움직여지도록 그렇게 제어되어될 수도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제어에 더 큰 비용을 발생시킬 것이다. 그러므로 센서소자로서 결함을 파괴하며 그리고 중공유리용기(14)의 저면의 근방이내에까지 센서소자를 항상 움직이는 것이 간단하다. 만일 저면의 두께가 현재의 실시예에서 통상적인 값브다 2mm 이상을 초과한다면 센서소자는 분명히 저면위에 을러놓여지는 그 결과로 판은 3개의 근접스위치(34)모두를 작동시키고 그리고 이 빈유리용기는 역시 불량으로서 배척되어 진다. 두꺼운 저면은 "위험한"결함을 나타내지 않는것은 사실이나 그러나 이것은 문제가 된 형(mou1d)이 아마도 정확하게 작업하고 있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에 해당하는 신호는 신호표시장치(62)에 의하여 표시되어지며 그 결과로 해당하는 형에서 조처가 취하여 질수 있다.

Claims (10)

  1. 센서소자와 상기 센서소자에 의하여 작동되어질 수 있는 스위칭 설비를 가지며 특히 스파이크 또는 버어드 스윙의 형태로된 결함에 관하여 유리용기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봉에 의하여 센서소자가 용기내부로 저면 가까이까지 움직일 수 있는 그러한 왕복운동할 수 있는 봉(24)에 센서소자(22)가 부착되어있으며 상기의 센서소자는 봉(24)으로부터 먼쪽의 측면에 압력부재(30)을 포함하며 이 압력부재는 장애물을 접촉할때 스위칭 설비(34)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센서소자(22)는 봉(24)에 고정된 홀더(32)를 가지며, 압력부재는 용이한 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판(30)이며, 그리고 스위칭 설비는 홀더(32)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근접스위치(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스리브(36)가 홀더(32)에 해체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이 스리브에는 판(30)이 중앙의 계수(48,50,52,54)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판(30)의 직경은 검사되어질 중공유리용기(14)의 입구(20)의내부직경보다 약간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의 하나의 항에 있어서, 봉(24)으로부터 먼쪽의 판(30)의 측면은 검사되어질 중공유리용기(14)의 볼록한 아아치면에 들어 맞는 오목한 굴곡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챵치.
  6. 제 2 항 내지 제 4 항중의 하나의 항에 있어서, 판(30)은 가벼운 재료로 되어 있으며 봉(24)으로부터 면판의 측면에는 단단한 피복(56)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가벼운 재료는 프라스틱 재료이며, 단단한 피복(56)은 스프링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3 항 내지 제 4 항중의 하나의 항에 있어서, 스리브(36)은 중앙의 구멍(48)을 가지는 저면벽(44)을 포함하며 그리고 계수(48,50,52,54)는 유격을 가지고 중앙의 구멍(58)을 통과하여 안내된 판(30)의 스터드 보울트(50)을 가지며 이 스터드는 중앙의 구멍(48)둘레에 견부(54)에 의하여 지지되며 그리고 근접스위치(34)로부터 간격(a)을 두고 판(30)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2 항 내지 제 4 항중의 하나의 항에 있어서, 스위칭 설비는 홀더(32)의 종축 주위에 동일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근접스위치(34)를 가지며 홀더(32)에 조정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의 하나의 항에 있어서, 스위칭 설비(34)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음에 배출창치(64)와 신호지시장치(62)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870011112A 1986-10-10 1987-10-05 중공유리용기의 검사장치 KR9000042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4054/86-2 1986-10-10
CH4054/86A CH670891A5 (ko) 1986-10-10 1986-10-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047A KR880005047A (ko) 1988-06-27
KR900004209B1 true KR900004209B1 (ko) 1990-06-18

Family

ID=4268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1112A KR900004209B1 (ko) 1986-10-10 1987-10-05 중공유리용기의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4798096A (ko)
EP (1) EP0263271B1 (ko)
JP (1) JPS63103834A (ko)
KR (1) KR900004209B1 (ko)
AT (1) ATE62744T1 (ko)
BR (1) BR8705310A (ko)
CA (1) CA1285628C (ko)
CH (1) CH670891A5 (ko)
DE (2) DE3638415C1 (ko)
ES (1) ES2023155B3 (ko)
FI (1) FI874393A (ko)
GR (1) GR3002143T3 (ko)
SU (1) SU1605934A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9462A (en) * 1989-06-30 1991-02-05 Agr International, Inc. Impact sensor
US5675516A (en) * 1995-09-27 1997-10-07 Inex Vision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pushup of a molded glass container
FR2965344B1 (fr) * 2010-09-28 2013-04-05 Tiama Dispositif d'inspection pour les bagues et cols de recipients
CN107144461B (zh) * 2017-07-05 2023-07-14 四川大学 模拟断层处隧道应力特征的实验装置
WO2019190647A1 (en) * 2018-03-30 2019-10-03 Amgen Inc. Camera-based drug container inspection
CN110487719A (zh) * 2019-08-08 2019-11-22 晶锋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高分子电缆生产用高效检测装置
CN113976464B (zh) * 2021-12-23 2022-03-08 常州市苏南盛氏制辊机械有限公司 一种传动辊检测输送设备及其使用方法
CN115047176B (zh) * 2022-07-18 2024-03-19 山东通疆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中空玻璃检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52091A (en) * 1941-02-05 1944-06-20 Owens Illinois Glass Co Apparatus for gauging glassware
BE654724A (ko) * 1963-10-24
US3383483A (en) * 1966-06-08 1968-05-14 Owens Illinois Inc Inspecting wide mouth glass containers for spikes
DE2308910C3 (de) * 1973-02-23 1981-05-07 Datz, Hermann, Dr.Rer.Pol., 5470 Andernach Vorrichtung zum selbsttätigen Prüfen von Hohlgläsern, zum Beispiel Flaschen mit engem Hals, auf Schadstellen und Verunreinigungen durch Fremdkörper, Laugen- und Waschwasserreste
DE2410110C3 (de) * 1974-03-02 1985-01-31 Olaf A. 3504 Kaufungen Richter Verfahren zum automatischen Prüfen und Aussortieren von leeren Behältern mit Restbeständen von Medien, insbesondere von Flüssigkeiten
US4025202A (en) * 1975-08-07 1977-05-24 Ball Brothers Servic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the bottoms of hollow glass articles
US3955408A (en) * 1975-09-08 1976-05-11 Northup John D Fluidless bottle testing method and apparatus
DE2545678C3 (de) * 1975-10-11 1979-08-09 Kronseder, Hermann, 8404 Woerth Prüfvorrichtung für Glasflaschen
DE2648076C3 (de) * 1976-10-24 1984-05-24 Kronseder, Hermann, 8404 Wörth Vorrichtung zum Überprüfen des Füllzustandes von Getränkeflaschen
US4593369A (en) * 1983-01-12 1986-06-03 Adolph Coors Company Monitoring system for a container test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R3002143T3 (en) 1992-12-30
CH670891A5 (ko) 1989-07-14
FI874393A0 (fi) 1987-10-07
DE3769423D1 (de) 1991-05-23
EP0263271A3 (en) 1988-10-12
DE3638415C1 (en) 1987-08-06
EP0263271A2 (de) 1988-04-13
FI874393A (fi) 1988-04-11
JPS63103834A (ja) 1988-05-09
BR8705310A (pt) 1988-05-24
ATE62744T1 (de) 1991-05-15
CA1285628C (en) 1991-07-02
EP0263271B1 (de) 1991-04-17
KR880005047A (ko) 1988-06-27
ES2023155B3 (es) 1992-01-01
US4798096A (en) 1989-01-17
JPH0380730B2 (ko) 1991-12-25
SU1605934A3 (ru) 1990-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80624A (en) Bottle inspection apparatus
KR900004209B1 (ko) 중공유리용기의 검사장치
US6384421B1 (en) Vision system for industrial parts
US5461228A (en) Optical inspection of container dimensional parameters using a telecentric lens
US532215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returnables
AU730395B2 (en) Container sealing surface area inspection
US4209802A (en) Glass fragment detector
KR102413776B1 (ko) 컨테이너 제품들을 점검하기 위한 시험 장치
CA1118525A (en) Bottle inspection apparatus
FI79613C (fi) Anordning foer kontroll av ett genomskinligt kaerl.
AU750656B2 (en) Inspection of container mouth using infrared energy emitted by the container bottom
AU6895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hot glass containers
US2593127A (en) Electronic inspection of glass containers
JP2010507794A (ja) 光反射性欠陥を検出する光学検査ステーション
EP11215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glass containers for checks
KR20230021119A (ko) 물질 감지 장치
US4606746A (en) Method of monitoring the position of two movable side portions of a mould of a glassware forming machine
CA1181151A (en) Fused glass detector
US3355811A (en) Container gaging apparatus
US3438492A (en) Bird swing detector
CN110802791B (zh) 基于网格化图像处理技术的模压制盖机在线预警监测系统
US6621573B2 (en) Glass container inspection machine
CN204957063U (zh) 小包第六面扩展条盒外观检测装置及条盒端面检测系统
US3662883A (en) Bird swing detector
US4604122A (en) Method of sensing gobs of molten gla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