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090B1 - 자외선 차단 조성물 및 이들 조성물을 함유한 제제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 조성물 및 이들 조성물을 함유한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090B1
KR900004090B1 KR1019870015354A KR870015354A KR900004090B1 KR 900004090 B1 KR900004090 B1 KR 900004090B1 KR 1019870015354 A KR1019870015354 A KR 1019870015354A KR 870015354 A KR870015354 A KR 870015354A KR 900004090 B1 KR900004090 B1 KR 900004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weight
weight percent
sunscreen
fatty am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5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7057A (ko
Inventor
시.더블류.게오르갈라스 아더
Original Assignee
챨스 오브 더 릿즈 그룹 리미티드
페트릭 볼란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챨스 오브 더 릿즈 그룹 리미티드, 페트릭 볼란드 filed Critical 챨스 오브 더 릿즈 그룹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880007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7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0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ic acid derivatives; Salt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외선 차단 조성물 및 이들 조성물을 함유한 제제
본 발명은 향상된 자외선 차단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며 그 본체의 성질을 향상시키는 빛차단 또는 선블록(sunblock)제제에 관한 것이다.
빛 차단 및 선블록 제제는 노출된 피부의 심한 태양 그을림에 대하여 우수한 보호를 제공한다. 이들 제제는 다양한 파장 길이를 가진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작용제를 포함한다. 예를들면, 지구의 대기에 도달한 태양으로부터 자외선 복사선은 대표적으로 두개의 범위로 나뉘며, 그 하나는 자외선-A 범위(320-400nm의 파장길이)이고 다른 하나는 자외선-B범위(290-320nm의 파장길이)이다. 수많은 자외선-A 및 자외선-B 차단 조성물 또는 작용제는 종래의 기술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다.
다른 등급을 가진 이들 에너지는 다양한 파장길이의 자외선 복사선에 노출된 피부로 흡수되므로, 빛차단제제는 그속에 병합된 자외선-A 및 자외선-B 차단제의 양을 변화시켜 태양에 의해 그을리는데 걸리는 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제조된다.
그러나, 통상 시판되는 많은 빛차단 또는 선블록 제제는 풀장 또는 해수욕장에서 수영등을 즐기는 동안에 피부로 부터 씻겨져 버리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많은 피부부위는 의도된 바와는 달리 더 많은 양의 자외선 복사선에 노출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물에 씻겨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자외선 차단 조성물을 개발하는것, 즉 이들 성질을 향상시키는 것은 종래의 기술에서도 시도를 한 바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자외선 차단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을 함유한 빛차단 또는 선블록 제제의 성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향상된 자외선 차단 조성물은 산기 및 지방아민을 가진 자외선 차단제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병합된 결과의 자외선 차단 조성물 및 제제는 그 성질을 개발하는 것에 의해 수(水)저항을 보다 크게 향상시킨다.
더우기, 본 발명에 따라서, 1이상의 자외선 차단제로 구성된 빛차단 또는 선블록 제제가 제공되며, 거기서 자외선 차단제는 지방 아민과의 결합으로 산기, 물, 및 선택적인 1이상의 피부 연화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방향제, 염색제 또는 킬레이트제를 함유한다.
빛 차단 또는 선블록 제제는 이들이 산기 및 1이상의 지방 아민을 가진 자외선 차단 화합물을 함유하여 제조될때, 더 큰 본체 성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사실상, 산-함유 자외선 차단제 및 지방 아민의 반응 생성물은 이러한 향상된 성질을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이들 반응 생성물은 향상된 자외선 차단 조성물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와 같은 것은 본 발명에서 특히 관심사가 되고 있다.
하나의 구체적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빛차단 또는 선블록 제제는 산기를 가지며, 자외선-A(320-400nm) 및 자외선-B(290-320nm)영역내의 빛을 흡수하는 조성물, 그리고 1이상의 지방아민을 함유하며, 또한 물, 피부 연화제, 유제, 비후제, 방부제, 염색제, 방향제, 산화방지제등을 대표적으로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제는 오일-내-물 형태의 유제가 양호하며, 그 이유는 이러한 형태의 유제가 생성물에게 보다 좋은 화장 감각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제품은 물-내-오일 유제, 크림기초 또는 오일 기초로서 제제될 수도 있다. 성분의 선택에 따라서, 이러한 조성물은 플라스틱 압축 튜브내에 충전될 수 있는 반-고체, 크림-형태의 물질로 될 수 있거나, 또한 플라스틱 압축 용기내에 충전될 수 있는 로션 형태의 `물질로 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방아민과 산기를 가진 자외선 차단제의 결합에 따라서 변화한다. 지방아민은 지방, 코코넛 오일, 두유, 해유, 유채유등으로부터 추출되는 1차, 2차 또는 3차 아민일 수도 있다. 또한, 그것은 1차 에테르아민, 즉, 지방산 대신에 알코올로부터 추출되는 지방아민일 수도 있다. 또한 지방아민은 지방 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민염의 친지방성 유도체일 수도 있다.
적합한 지방 아민으로는 라우르 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민(Lexamine L-13), 올레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민(Lexamine O-13), 리신올레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민(Lexamine R-13), 스테아르아미도에틸 에탄올아민(Chemical base 39), 스테아르아미도에틸 디에틸아민(Chemical base 6532), 코코일이미다졸린(Miramine CC), 및 알킬디메틸아민(ADMATM2) 일 수도 있다.
지방 아민 이외에도, 다른 아민 또는 염기도 본 제제에서 자외선-차단제의 용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것으로는 수용성 아민(예를 들면, 트리에탄올 아민), 암모니아 또는 알칼리 하이드록사이드를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어 있지는 않다.
본 발명에 따라서, 지방아민은 대표적으로 산기를 가진 자외선-A 및 자외선-B 차단제와 둘다 결합된다. 이외에도, 지방아민은 한개의 또는 다른 자외선 차단제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향상된 자외선 차단 조성물은 약 0.25 : 1 및 2 : 1, 양호하게는 약 0.5 : 1-1.2 : 1 사이의 자외선 차단제(A 및/또는 B)의 몰랄비를 가진 지방 아민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빛차단 또는 선블록 제제는 약 0.5와 20중량%, 양호하게는 1과 8중량% 사이의 지방아민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산기를 가진 적합한 자외선-A 차단제로는 설이소벤존(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 ; Uvinul MS-40), 티옥트산(지방산)등을 들 수 있다. 설이소벤존은 양호한 자외선-A 차단제이다. 바람직한 자외선-A 차단제는 약 0.25-20중량%의 양으로 최종 제품내에 존재하며, 양호하게는 전 제제의 약 1-8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제제가 빛을 차단 및 극소화할 목적으로 제조되거나 그을림을 허락하건 않건간에, 상기 양은 선택되는 차단제에 따라서 변화한다.
산기를 가진 적합한 자외선-B 차단제로는 2-페닐벤즈 이미다졸-5-설폰산(Eusolex
Figure kpo00001
232), p-아미노벤조산, 살리실산, 메톡시신남산, 신남산, 페럴릭(ferrulic)산등을 들 수 있다. Eusolex
Figure kpo00002
232는 양호한 자외선-B 차단제이다. 바람직한 자외선-B 차단제는 전 제제의 약 0.25-20중량%, 양호하게는 약 1-8중량%의 양으로 최종 생성물내에 존재한다. 본 제제가 빛을 차단 및 극소화할 목적으로 제조되거나 그을림을 허락하건 않건 간에, 본 제제는 선택되는 차단제에 따라서 변화한다.
본 제제내에 함유된 자외선 차단제의 전량은 약 0.5와 20중량% 사이에 있으며, 제제가 선블록 또는 비차단 물질이건 아니건 간에, 상기 양은 항상 존재한다.
지방아민 자외선 차단제 이외에도, 본 제제는 약 60-95중량%의 용제(예를 들면, 에탄올, 이소프로판올등)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지방아민 및 자외선 차단제 이외에도, 본 제제는 약 50-90중량%의 물(양호하게는 약 60-80중량%의 물), 약 1-20중량%의 피부 연화제(양호하게는 약 1-5중량%), 약 1-10중량%의 유화제(양호하게는 약 1-5중량%), 약 0.05-2중량%의 방부제 및 산화방지제(양호하게는 0.1-1중량%) 및 약 1중량%미만의 방향제, 염색제 및 킬레이트제(EDTA 등)를 함유할 수도 있다.
적합한 유화제로는 미네랄오일, 아보카도유, 스쿠알렌, 옥틸팔미테이트, 코코아 버터, 참기름, 석유, 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디메티콘(예를들면, 실리콘225)등을 들 수 있다. 본 제제는 몇개의 이들 피부 연화제 또는 화장료에 사용되는 다른 피부 연화제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양호하다.
적합한 유화제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20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폴리소르베이트 2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100 스테아레이트, 폴리에털렌 글리콜 20 스테아릴 에테르(Brij 78, Steareth 20), 폴리소르베이트 80(Tween 80)등을 들 수 있다. 본 제제는 2이상의 이들 유화제 또는 화장료에 사용되는 다른 유화제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양호하다.
적합한 방부제로는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Germall 115), 메틸파라벤(Tegosept M), 콰터늄-15(N-(3-클로로아릴)헥사아미늄 클로라이드(Dowicil 200), 프로필 파라벤(Tegosept P), 디메틸디메토일 히단토인(Glydant), 벤질알코올 및/또는 페녹시에탄올등을 들 수 있으며, 양호한 산화 방지제로는 부틸레이트화 히드록시아니솔, 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 킬레이트 및 시트린 산(Tenox 2)을 들 수 있다. 이들 제제는 산화 방지제 혼합물 및 1이상의 방부제, 또는 다른 방부제, 그리고 화장료에 사용되는 산화 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이 양호하다.
언급된 바와 같이, 성분의 %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본 제제는 로우션 또는 반-고체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들면, 로우션과 같은 제품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물은 최종 제품의 약 60-65중량%의 양으로 함유되곤 하며,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스르비톨, 폴리에틸렌 글리콜(예를들면, Carbowax 400)등과 같은 1이상의 흡습제는 최종 제품의 약 20중량%까지 함유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약 0.05-1중량%, 양호하게는 약 0.05-0.3중량% 범위내의 양을 가진 비후제를 함유할 것이다. 본문에서 사용되는 비후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스테아르옥시디메티콘,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또는 크산탄 검을 들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받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내에 선택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는 스킨 콘디셔닝제로는 알라토인, d- 또는 dl- 펜탄올, 가수분해 동물 단백질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콘디셔닝제는 약 0.01-5중량%, 양호하게는 0.05-2중량% 범위 이내의 양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양은 궁극적인 스킨 제조의 농도에 따라 다르다.
이들 제조 공법은 사용되는 성분에 따라서 변화한다. 예를 들면, 하나의 이러한 공법에 있어서, 첫번째 수용성 혼합물은 필요에 따라서, 자외선 차단제, 트리에탄올아민과 같은 수용성 유기염기, EDTA와 같은 킬레이트제 및 다른 수용성 성분을 탈이온수내로 혼합시켜 제조한다. 이것을 완전히 혼합한 다음, 약 70℃의 온도로 통상 가열한다. 지방아민을 하나만 또는 알코올과 함께 가하여 완전한 수용성 혼합물을 제조한다.
두번째 혼합물은 디메티콘 유제등의 피부연화제를 소량의 탈이온수, 필요에 따라서는 1이상의 유화제와 혼합시켜 제조한다. 첫번째 및 두번째 혼합물을 실온에서 스위프(Sweep) 혼합하여 유제를 형성한다. 다음에 소량의 탈이온수내에서 방부제 및 다른 소정의 성분으로 구성된 세번째 혼합물을 실온에서 유제에 가하여 완전한 소정의 제제를 형상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양호한 선블록 제제는 약 70중량%의 물, 약 4중량%의 Eusolex
Figure kpo00003
232 약 4.5중량%의 트리에탄올 아민, 약 5중량%의 메톡신남산, 약 2.5중량%의 살리실산, 약 1중량%의 설이소벤존, 약 4중량%의 코코일 이미다졸린, 약 3중량%의 피부연화제, 약 5중량%의 유화제, 약 0.35중량%의 비후제, 1중량%까지의 결합된 방부제, 산화 방지제, 방향제 및 킬레이트제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태양에 의한 피부 그을림을 보호는 하지만 점차적으로 그을리는 양호한 빛차단 제제는 약 80중량%의 물, 약 4중량%의 Euso1ex
Figure kpo00004
232, 약 1중량%의 설이소벤존, 약 6중량%의 코코일 이미다졸린, 약 3중량%의 피부연화제, 약 5중량%의 유화제, 약 0.35중량%의 비후제, 및 약 1중량%의 결합된 방부제, 산화 방지제, 방향제 및 킬레이트제를 함유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서 더욱 논의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기재되었음을 알아야 한다.
[실시예 1]
하기의 조성물을 가진 로우션 형태의 선블록 제제를 하기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성 분 중량%
혼합물 I
탈이온수 70.0
Euso1ex
Figure kpo00005
232(자외선-B 차단제) 4.0
메톡시신남산(자외선-B 차단제) 5.0
살리실산(자외선-B 차단제) 2.5
설이소벤존(Uvinul MS-40; 자외선-A 차단제) 1.0
트리에탄올아민(자외선차단제의 용해성) 4.5
코코닐 이미다졸린(Miramine CC ; 지방아민) 4.0
EDTA(킬레이트제 ) 0.10
혼합물 II
디메티콘 유제(Silicon 225 ; 피부연화제) 5.0
탈이온수 5.0
혼합물 III
Germall II(방부제) 0.2
Glydant(방부제 ) · 0.3
탈이온수 1.0
자외선 차단제, 트리에탄올아민, EDTA 및 지방아민을 물내에 혼합시켜 수용성 혼합물 I을 제조하였다. 이들 혼합물을 투명해질 때까지 약 70℃에서 지속시켰다.
그후 혼합물 II의 디메티콘 유제 및 물을 실온에서 상기 방법으로 형성된 혼합물 I에 가하고, 완전히 혼합하였다. 마지막으로, 방부제 및 물로 구성된 혼합물 III을 실온으로 가하여 소정의 제제를 만들었다.
[실시예 2]
하기의 조성물을 가진 로우션 형태의 빛 차단 제제를 실시예1에서 개시된 바와같이 제조하였다.
성 분 중량%
혼합물 I
탈이온수 80.0
Eusolex
Figure kpo00006
232(자외선-B 차단제) 4.0
설이소벤존(Uvinul MS-40; 자외선-A 차단제) 1.0
코코닐 이미다졸린(Miramine CC ; 지방아민) 6.0
EDTA(킬레이트제) 0.1
혼합물 II
디메티콘 유제(Silicon 225 ; 피부연화제) 5.0
탈이온수 5.0
혼합물 III
Germall II(방부제) 0.2
Glydant (방부제 ) 0.3
탈이온수 1.0
[실시예 3]
하기의 조성물을 가진 로우션 형태의 빛 차단 제제를 하기 언급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성 분 중량%
혼합물 I
Eusolex
Figure kpo00007
232(자외선-B 차단제) 4.0
설이소벤존(Uvinul MS-40 ; 자외선-A 차단제) 2.0
스테아르아미도에틸 디에틸아민
(Chemical base 6532; 지방아민) 8.0
에탄올 86.0
상기 성분을 약 70℃로 가열하고 완전히 혼합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하자마자, 이들 혼합물은 본 발명의 로우션을 형성하였다. 알코올을 증발시키자, 점성을 가진 노란색 페이스트(paste)를 형성하였으며, 이러한 페이스트는 본 발명에 따른 수분산성 성질을 가진 자외선-차단 조성물임이 밝혀졌으며, 또한 이러한 페이스트는 다른 제제로서도 사용할 수 있었다.

Claims (15)

  1. 산기를 포함하여 1이상의 자외선 차단제가 지방 아민과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함유 자외선 차단제가 설이소벤존 및 티옥트산을 함유한 자외선-A 차단제와 2-페닐 벤즈 이미다졸-5-실폰산, 살리실산, 메톡시신남산, 신남산 및 페럴릭산을 함유한 자외선-B 차단제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 아민이 라우르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민, 올레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리신올레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민, 스테아르 아미드 에틸 에탄올 아민, 스테아르 아미도 에틸 디에틸 아민, 코코일 이미다졸린 및 알킬 디메틸아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지방아민 : 산기를 함유한 차단제의 몰랄비가 약 0.25 : 1-약 2 : 1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지방아민 : 산기를 함유한 차단제의 몰랄비가 약 0.5 : 1-약 1.2 : 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의 자외선 차단 화합물이 용제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차단 또는 선블록 제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가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8. 산기를 함유한 1이상의 자외선 차단제가 지방아민, 물 및 선택적인 1이상의 피부 연화제, 유화제, 방부제, 산화 방지제, 방향제, 염색제 또는 킬레이트제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 차단 또는 선블록 제제.
  9. 제 8 항에 있어서, 1이상의 자외선 차단제가 설이소벤존 및 티옥트산으로 구성된 자외선-A 차단제의 군으로 부터 선택되며, 또한 2-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살리실산, 메톡시신남산, 신남산 및 페럴릭산으로 구성된 자외선-차단제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아민이 라우르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민, 올레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리신올레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민, 스테아르아미도에틸 에탄올아민, 스테아르아미도에틸 디에틸아민, 코코일 이미다졸린 및 알킬디메틸아민으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산기를 함유하는 약 0.25-약 20중량%의 자외선-A 차단제, 산기를 함유하는 약 0.25-약 20중량%의 자외선-B 차단제, 약 0.5-약 20중량%의 지방아민, 약 50-약 90중량%의 물, 약 1-약 20중량%의 피부연화제, 약 1-약 10중량%의 유화제, 약 0.05-약 2중량%의 방부제및 산화방지제, 그리고 약 1중량% 미만의 방향제, 염색제 및 킬레이트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12.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산기를 함유하는 약 1-약 8중량%의 자외선-A 차단제, 산기를 함유하는 약 1-약 8중량%의 자외선-B 차단제, 약 1-약 8중량%의 지방아민, 약 60-약 80중량%의 불, 약1-약 5중량%의 피부연화제, 약 1-약 5중량%의 유화제, 약 0.1-약 1중량%의 방부제 및 산화방지제, 그리고 l중량%미만의 방향제, 염색제 및 킬레이트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13. 제 8 항에 있어서, 최대 선블록 보호를 하기 위하여 약 70중량%의 물, 약 4중량%의 2-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약 4.5중량%의 트리에탄올아민, 약 5중량%의 메톡시신남산, 약 2.5중량%의 살리실산, 약 1중량%의 실이소벤존, 약 4중량%의 코코일 이미다졸린, 약 3중량%의 피부연화제, 약 5중량%의 유화제, 약 0.35중량%의 비후제, 그리고 1중량%까지의 결합된 방부제, 산화 방지제 및 킬레이트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14. 제 8 항에 있어서, 점차적으로 피부를 그을리게 하는 빛 차단 형태를 이루기 위하여, 약 80중량%의 물, 약 4중량%의 2-페닐벤즈 이미다졸-5-설폰산, 약 1중량%의 설이소벤존, 약 6중량%의 코코일 이미다졸린, 약 3중량%의 피부연화제, 약 5중량%의 유화제, 약 0.35중량%의 비후제, 및 약 1중량%의 결합된 방부제, 산화 방지제, 방향제 및 킬라이트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15. 제 7 항에 있어서, 약 2중량%의 실이소벤존, 약 4중량%의 2-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약 8중량%의 스테아르 아미도 에틸 디에틸아민, 약 86중량%의 에탄올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KR1019870015354A 1986-12-30 1987-12-30 자외선 차단 조성물 및 이들 조성물을 함유한 제제 KR900004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4772886A 1986-12-30 1986-12-30
US947,728 1986-12-30
US947728 1986-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057A KR880007057A (ko) 1988-08-26
KR900004090B1 true KR900004090B1 (ko) 1990-06-15

Family

ID=25486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5354A KR900004090B1 (ko) 1986-12-30 1987-12-30 자외선 차단 조성물 및 이들 조성물을 함유한 제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1) EP0275719A3 (ko)
JP (1) JPS63233912A (ko)
KR (1) KR900004090B1 (ko)
AU (1) AU607174B2 (ko)
BR (1) BR8707151A (ko)
DK (1) DK689987A (ko)
EG (1) EG18282A (ko)
FI (1) FI875686A (ko)
IE (1) IE873539L (ko)
MA (1) MA21145A1 (ko)
MY (1) MY101537A (ko)
NZ (1) NZ223055A (ko)
PH (1) PH24675A (ko)
PT (1) PT864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2135A (en) * 1993-02-25 1996-09-03 Estee Lauder, Inc. Sunscreens containing plant extracts
FR2706766B1 (fr) * 1993-06-21 1995-08-18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filtrantes contenant un agent hydrophile comportant au moins un radical acide
US5503824A (en) * 1993-12-09 1996-04-02 Lentini; Peter Skin tanning compositions
DE4421038C2 (de) * 1994-06-16 1997-02-06 Goldwell Gmbh Sonnenschutzmittel
US6153176A (en) * 1995-01-20 2000-11-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w pH sunscreen compositions
DE19645318A1 (de) * 1996-11-04 1998-05-07 Beiersdorf Ag Stabile Lichtschutz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grenzflächenaktiven Glucosederivaten und wasserlöslichen UV-Filtersubstanzen
EP0979645B1 (en) * 1998-07-16 2006-04-12 DSM IP Assets B.V. Light screening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siloxane type UV-B screening agent and a benzimidazol type UV-B screening agent
DE19834816A1 (de) * 1998-08-01 2000-02-03 Merck Patent Gmbh Verwendung von Ectoin oder Ectoin-Derivaten in kosmetischen Formulierungen
US6808701B2 (en) 2000-03-21 2004-10-26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Conditioning compositions
US7048910B2 (en) 2000-09-07 2006-05-23 Merck Patent Gmbh Use of ectoine or ectoine derivatives for oral care
DE10111039A1 (de) * 2001-03-06 2002-09-12 Beiersdorf Ag Verwendung von Wirkstoffkombinationen aus alpha-Liponsäure und dermatologisch verträglichen Substanzen, die Lichtabsorption im UV-A-Bereich und/oder UV-B-Bereich zeigen, zur Herstellung von kosmetischen oder dermatologischen Zubereitungen zur Behandlung und/oder Prophylaxe der Symptome der intrinsischen und/oder extrinsischen Hautalterung sowie zur Behandlung und Prophylaxe der schädlichen Auwirkungen ultravioletter Strahlung auf die Haut
EP1432400A1 (en) 2001-09-18 2004-06-30 Ciba SC Holding AG Use of guaiol for treating the skin
DE10214257A1 (de) 2002-03-28 2003-10-16 Merck Patent Gmbh Verwendung von kompatiblen Soluten zur Inhibierung der Freisetzung von Ceramiden
US8790623B2 (en) * 2005-01-18 2014-07-29 Il'Oreal Composition for treating keratin fibers, comprising at least one aromatic alcohol, at least one aromatic carboxylic acid, and at least one protecting agent
JP4880425B2 (ja) * 2006-11-07 2012-02-2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オゾン検知素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0730A (en) * 1962-08-03 1967-07-11 Colgate Palmolive Co Pressurized emulsion quick breaking foam compositions
US3670074A (en) * 1971-01-22 1972-06-13 Cyril Doner Sunscreen formulation containing triethanolamine neutralized 2-hydroxy-4-methoxy-benzophenone-5-sulfonic acid
LU83912A1 (fr) * 1982-01-29 1983-09-02 Oreal Application des beta amino enones comme agents filtrant les radiations u.v.-a.
US4701321A (en) * 1982-05-06 1987-10-20 Soft Sheen Products, Inc. Liquid detergent with sunscreen agent
US4683134A (en) * 1985-12-13 1987-07-28 Victor Palinczar Waterproof sunscreen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75719A3 (en) 1988-08-10
PT86483B (pt) 1990-11-20
DK689987A (da) 1988-09-30
BR8707151A (pt) 1988-08-02
EP0275719A2 (en) 1988-07-27
FI875686A0 (fi) 1987-12-22
DK689987D0 (da) 1987-12-29
PT86483A (en) 1988-01-01
JPS63233912A (ja) 1988-09-29
PH24675A (en) 1990-09-07
AU607174B2 (en) 1991-02-28
NZ223055A (en) 1990-10-26
KR880007057A (ko) 1988-08-26
FI875686A (fi) 1988-07-01
MA21145A1 (fr) 1988-07-01
IE873539L (en) 1988-06-30
AU8310187A (en) 1988-06-30
MY101537A (en) 1991-11-30
EG18282A (en) 199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4090B1 (ko) 자외선 차단 조성물 및 이들 조성물을 함유한 제제
US5204090A (en) Waterproof high-SPF sunscreen compositions
JP2812690B2 (ja) ソルビン酸トコフェロールを含有する光保護組成物
CA2461126C (en) Sunscreen compositions
EP0216084B1 (en) Improved sunscreen and moisturizer
US4663157A (en) Sunscreen compositions
EP1108419B1 (en) Cosmetic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e
US5672337A (en) Amido photostabilization of dibenzoylmethane sunscreens
US20060110415A1 (en) Topical Delivery System for Cosmetic and Pharmaceutical Agents
US20070041924A1 (en) Sebum Control Compositions Based on Saponins and Sapogenins
AU599194B2 (en) Moisture-resistant skin treatment compositions
JP2001527032A5 (ko)
WO1997025973A1 (en) Compositions for treating hair or skin
JP2001072531A (ja) 化粧品配合物またはスキンケア用配合物の耐水性を改善する添加物
US6858200B2 (en) Sunscreen formulations
CA3004589A1 (en) Pet care cleansing composition
WO2005099675A2 (en) Sunscreen compositions with spf enhancer
PT1765274E (pt) Composições para o cuidado da pele
US6419907B1 (en) Use of cupric complex of 3,5-disopropylsalicylic acid by way of a cosmetic product and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this compound for protecting the human epidermis against UV radiation
US20040047823A1 (en) Use of ergothioneine and/or its derivatives as an anti-pollution agent
DE4230076C2 (de) cis-Urocaninsäure als Antioxidans
JP3415200B2 (ja) 皮膚外用剤
JPH09291016A (ja) 頭髪化粧料
US7993630B2 (en) Protection of skin from UV and peroxide
JPH08231348A (ja) 毛髪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12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