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879Y1 - 안내 드럼 - Google Patents

안내 드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879Y1
KR900003879Y1 KR2019850016479U KR850016479U KR900003879Y1 KR 900003879 Y1 KR900003879 Y1 KR 900003879Y1 KR 2019850016479 U KR2019850016479 U KR 2019850016479U KR 850016479 U KR850016479 U KR 850016479U KR 900003879 Y1 KR900003879 Y1 KR 9000038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tape
magnetic tape
guide drum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64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8554U (ko
Inventor
후미아끼 사또
Original Assignee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이노우에 도시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4193422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34121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342384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34122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4193424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34123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15085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3800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5040552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41637Y2/ja
Application filed by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이노우에 도시야 filed Critical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85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85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8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8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2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simultaneous movement of head and record carrier, e.g. rotation of he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1Guiding record carrier on drum, e.g. drum containing rotating heads

Landscapes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안내 드럼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안내 드럼의 일부를 구성하는 고정드럼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2도 중 P-P선을 따라 취한 평면도.
제2도는 제1 실시예의 안내 드럼의 정면도.
제3a도 및 제3b도는 각각 변위 부재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제1도 중 Z-Z선 및 W-W선을 따라 취한 일부종단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안내 드럼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5도는 제4도 중 화살표 Z-Z에서 본 고정 드럼의 평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안내 드럼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일부 종단 측면도.
제7도는 상기 제3 실시예의 요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고정 드럼의 평면도.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안내 드럼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요부 확대 종단측면도.
제10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안내 드럼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11도는 제10도에 도시하는 고정 드럼의 평면도.
제1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5 실시예의 안내 드럼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고정 드럼의 평면도.
제13a도 및 제13b도는 일반적인 안내 드럼과 이것에 감겨진 자기 테이프의 주행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14도는 안내 드럼의 외주면을 부상하고 있는 자기 테이프의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확대 단면도.
제15a도 내지 제15e도는 각 실시예에 있어서의 회전 드럼상의 테이프 부상량을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안내 드럼 2 : 회전 드럼
3 : 고정 드럼 3a : 자기 테이프 안내부
3b :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 3c : 원형 오목부
3d : 대경부 3e : 오목부
6a,6b : 자기헤드 11 : 변위부
13 : 외측 변위면 14 : 내측 고정면
18,109 : 조정나사 109a : 돌기부
208 : 돌기부 209 : 탄성체
308,381 : 박막 T : 자기 테이프
본 고안은 자기 헤드를 설치하여 고정 드럼위를 회전하는 회전 드럼의 외주면에서 자기 테이프를 안내하는 나선 주사 방식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설치된 안내 드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기 테이프의 주행을 원활하게 하여 양호한 재생 화상을 얻도록 한 안내 드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나선 주사방식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는, 자기 테이프는 안내 드럼의 외주면에 소정의 각도 범위에 걸쳐서 나선상으로 감겨져서 주행하고 있다. 그 때문에, 통상적으로 안내 드럼의 하측에 있는 고정 드럼에는 자기 테이프가 나선상으로 소정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테이프 주행 안내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내 드럼과 자기 테이프간의 관계는 제13a도 및 제13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되어 있다.
즉, 안내 드럼(1)은 상측의 원통형 회전드럼(2)과 이것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전 지지하는 하측의 원통형 고정 드럼(3)으로 이루어지며, 자기 테이프(T)는 안내 드럼(1)의 양측에 이동 배치되는 한쌍의 안내기등(4,5)에 안내되어서 안내 드럼(1)의 외주면을 소정의 각도(약 0° 내지 185°) 범위에 걸쳐서 접촉하면서 화살표 X방향으로 주행한다. 이에따라, 회전 드럼(2)의 하면측의 창부분(2a)에 설치된 자기헤드(6a,6b)가 화살표 Y방향으로 고속(예를들어, 1800rpm)으로 회전하여, 안내 드럼(1)의 외주면의 자기 테이프(T) 위를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주사하여 영상 신호를 기록 또는 재생한다.
또, 안내 드럼(1)은 자기 테이프(T)가 자기 헤드(6a,6b)에 양호하게 접촉하도록, 하측의 고정 드럼(3)의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의 외경이 상측의 회전 드럼(2)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됨과 동시에, 자기 테이프(T)의 하단부를 안내하도록 대략 직각 형상으로 돌출한 테이프 안내부(3a)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 회전드럼(2)의 고속 회전에 의해 안내 드럼(1)의 의주면에는 유체역학적인 공기류가 발생하고, 이것이 안내 드럼(1)과 자기 테이프(T) 사이에 제14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공기층(공기막) (7)을 형성한다. 이 공기층(7)의 두께는 안내 드럼(1)에 대한 자기 테이프(T)의 감김부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공기류가 유입하는 자기 테이프(T)의 주행 방향 상류인 안내 드럼 (1)에 대한 입구부분(A)에서는 가장 두껍고, 중앙부분(B) 및 출구부분(C)으로 옮겨짐에 따라 서서히 얇아지는 경향이 있다. 특히, 출구부분(C)에 있어서의 공기류는 화살표 D방향으로 유출할 때, 이 높은 돌출 압력에 의해 안내드럼(1)의 내부와 외부에서 압력차가 생긴다. 이 압력차가 생기는 요인으로서는 회전드럼(2)과 고정드럼(3)간의 반경차 및 양자간의 간격, 자기헤드(6a,6b)의 부착 창부분(2a)의 형상, 크기, 테이프 장력등이 고려되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자기 테이프(T)는 안내드럼(1)의 외주면에서는 제14도중 이 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부상하고 있지만, 그 출구부분(C)에 있어서는 자기 테이프(T)는 제14도중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안내드럼(1)의 외주면에 급격히 접근한 상태로 되고, 안내드럼(1)의 테이프 감김면에 있어서의 테이프 장력이 불균일하게 되어, 자기 헤드(6a,6b)와 자기 테이프(T)간의 균일한 접촉이 유지되지 않고, 휨(Skew) 조정이 행해지지 않게되며, 그 결과 호환성이 얻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기류에 의한 회전 드럼(2)에 대한 자기 테이프(T)의 부상량(h)관계는 제15a도 내지 제15e도의 곡선 I에 도시한 바와같이 안내드럼(1)의 입구부분(A)으로부터 중앙부분(B) 및 출구부분(C)에 걸쳐서 서서히 작아져서 변화하고 있는 것을 알수 있다. 특히, 자기 테이프(T)가 중앙부분(B)을 통과하여 출구부분(C)에 도달하는 곳에서는 마이너스측에, 즉 직경이 작은 고정 드럼(3)측에 옮겨져 있으므로, 자기 테이프(T)는 고정 드럼(3)측에 밀착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출구부분(C)에서는 안내 드럼(1)의 외주면으로부터 공기층(7)의 두께보다 약간 큰 칫수로 돌출하여 설치된 자기 헤드(6a,6b)는 자기 테이프(T)의 급격한 접근과 동시에, 자기 헤드(6a,6b)의 도피 방향의 회전에 의해서 자기 테이프(T)가 이를 때리고 통과하게 되므로서, 자기 테이프(T)의 진동 원인이 된다.
이에 따라, 자기 테이프(T)나 자기 헤드(6a,6b)에의 손상 및 자기 헤드(6a,6b)에의 자기 테이프의 자본 부착 등에 의해서 양호한 화상의 기록 및 재생을 곤란하게 하고 있다.
그래서, 비록 자기 헤드(67,6b)의 회전 드럼(2)으로부터의 돌출량을 작게한 경우에는 자기 테이프(T)에 의한 헤드 타격 현상은 줄어들지만, 입구부분(A)에 있어서의 자기 테이프(T)와 자기 헤드(6a,6b)간의 접촉이 유지되지 않는등의 불합리가 생긴다.
또, 이 자기 헤드(6a,6b)가 자기 테이프(T)를 때리는 것은 자기 헤드의 회전에 대한 항력이 60Hz에서 펄스적(주기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모터등의 회전력을 자기 헤드(6a.6b)에 전달하는 회전드럼(2)의 회전이 혼란해질 뿐아니라, 자기 테이프(T)와 안내 드럼(1)과의 밀착 상태에 의해 모터의 부하 토오크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이들의 소비 전력이 크게 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게다가, 회전 드럼(2)의 회전 교란에 의한 회전 불균일성 및 자기 테이프(T)의 진동 [고정 드럼(3)과 자기테이프(T)와의 미끄럼 접촉 이동에 의한 자려 진동]등에 의해, 재생된 신호에는 시간축 변동이 일어나고, 그 결과로서 재생 화면에는 지터가 현저하게 나타나게 되어, 양호한 화상을 재생함에 있어서 장해가 되었다.
또, 최근 금속 테이프 및 합금 박막 테이프등의 증착 테이프등이 차례로 개발되고 있지만, 이들 테이프는 굽힘 강도가 크기 때문에, 상기한 종래 구성의 안내드럼(1)으로는 균일한 헤드 터치를 얻기가 점점 곤란하게 되어 출력이 저하한다든지 하는 등, 상기의 요인에 의해 양호한 기록 및 재생을 바라기가 더욱 어렵게 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히기 위해, 고정 드럼의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의 전 주위에 걸쳐 박막을 형성한 것으로서 예를들어 일본국 실개소 제57-149560호 공보에 도시된 바와같은 안내 드럼이 제안되어 있지만, 이것은 자기 테이프의 출구 부분에 있어서의 부압에 의해 생기는 자기 테이프에 의한 자기 헤드의 헤드 타격 현상을 해결하는데는 미치지 못하며, 상기한 종래의 것과 마찬가지의 결점을 갖고 있다.
또한, 고정 드럼의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의 전 주위에 걸쳐 미소 돌기를 형성한 것으로서 예를들어 일본국 실개소 제59-14154호 공보에 도시된 바와같은 안내 드럼이 제안되어 있지만, 이것은 자기 테이프의 입구 부분에서는 돌기에 의해 테이프 부상량이 너무 크게 되어, 이 입구부분에 있어서의 자기 테이프와 자기 헤드간의 접촉 상태가 유지되지 않는등의 결점이 생기는 경향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각종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자기 헤드가 설치되고 고정 드럼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전 드럼을 구비하여, 외주면에서 자기 테이프를 안내하는 안내 드럼에 있어서, 상기 고정 드럼에 설치된 자기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출구부분 근방에 걸친 적어도 일부분에 자기 테이프와 안내 드럼사이의 밀착 상태를 경감시키기 위한 간격 유지부재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의 입구 부분으로부터 중앙부분에는 상기 간격 유지부재를 설치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드럼을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간격 유지부재가 상기 중앙 부분으로부터 출구부분 근방에 걸쳐서 드럼의 직경을 가변할 수 있는 변위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드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간격 유지부재가 상기 회전 드럼의 직경보다 뻗어나온 대경부를 고정드럼에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드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간격 유지부재가 돌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드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간격 유지부재가 돌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드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간격 유지부재가 박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드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라서, 고정 드럼(3)의 테이프 미끄럼럼 접촉면(3b)의 입구부분(A)을 제외하고, 이들의 중앙부분(B)으로부터 출구부분(C)에 걸쳐서 자기 테이프와 안내 드럼사이의 간격 유지부재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특히 출구부분(C)에 있어서의 자기 테이프(T)의 안내 드럼에 대한 밀착 상태가 경감되어, 지터등이 없는 양호한 화상의 재생을 가능하게 하고, 모터 부하등을 경감할 수가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의 각각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중 제13도 및 제14도에 도시하는 종래의 안내 드럼(1)과 동일한 구성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예]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안내 드럼의 일부를 구성하는 고정 드럼을 도시하며, 제2도중의 P-P선을 따라 취한 고정 드럼의 평면도, 제2도는 제1 실시예의 안내 드럼의 정면도, 제3a도 및 제3b도는 각각 변위부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제1도 중 Z-Z선 및 W-W선을 따라 취한 일부 종단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안내 드럼(10)은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회전 드럼(2)의 하측에 설치된 고정드럼(3)의 자기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의 중앙부분(B)으로부터 출구부분(C) 근방(제13도에 도시)에 걸친부분(약 90°내지 185°의 범위)의 상단부에 형성된 원호 형상의 오목부(15)내에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오목부(15)와 대략 대응한 형상의 호형 변위부(11)가 부착되어 있다.
즉, 변위부(11)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원호가 95°의 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단부로부터 타단부 근방에 이르는 위치에 대략 동심상으로 형성된 원호형상의 홈부(12)를 거쳐서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의 일부를 형성하는 탄성 변위가능한 외측 변위편(13) 및 고정 드럼(3)에 고정되는 내측 고정편(14)으로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의 일부를 형성하는 외측 변위편(13)은 제2도 및 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로 감에 따라 순차로 직경이 커지게 한 역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변위부(11)는 그 타단부를 고정 드럼(3)의 중앙부분(B)에 배치한 상태로 제3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부를 나사(16)에 의해 고정함과 동시에, 일단부측의 내측 고정편(14)은 제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가 고정 드럼(3)에 나사(17)에 의해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이 고정 상태에서 그 상단면이 고정 드럼(3)의 상면과 대략 일치하고, 또 하단면이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과 대략 일치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같이 고정드럼(3)에 대해 변위부(11)를 부착해주므로서, 그 외측 변위편(13)은 자유 상태로 된다.
또한, 18은 선단부에 순차로 직경이 작게되는 테이퍼 형상의 돌기부(18a)를 형성한 조정 나사이며, 이것은 그 돌기부(18a)를 변위부(11)의 일단부의 홈부(12)내에 진입하는 바와같이 배치한 상태로 고정드럼(3)의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의 배면측으로부터 나선 결합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안내드럼(10)에 있어서, 제113동 되한 바와같이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의 위를 테이프 안내부(3a)를 따라 미끄럼 접촉하는 자기 테이프(T)에는,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의 중앙부분(B)으로부터 출구부분(C) 근방에 걸쳐서 생기는 부압에 의해서 제15a도중 곡선 I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 테이프(T)가 고정 드럼(3)측에 접근하는 상태로된 경우에는,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상의 상기 중앙부분(B)으로부터 출구부분(C) 근방에 걸쳐서 배치된 변위부(11)와 협동하는 조정나사(18)를 드라이버(19)등에 의해 홈부(12)내에 서서히 진입시키므로서, 외측 변위편(13)이 제1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고정드럼(3)의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으로부터 순차로 돌출한다. 따라서, 안내 드럼(10)상을 주행하는 자기 테이프(T)는 외측 변위편(13)에 의해 강제적으로 부상되어지기 때문에, 안내드럼(10)의 출구부분(C) 근방에 있어서의 자기 테이프(T)의 밀착상태가 회피된다.
이와같이 조정해주므로서, 회전드럼(2)에 대한 자기 테이프(T)의 테이프 부상량(h)은 제15a도 중 곡선 Ⅱ로 도시한 바와같이 드럼의 중앙부분(B)으로부터 출구부분(C) 근방에 걸쳐서, 즉 테이프 접촉각의 약 120° 내지 185°의 범위에 걸쳐서 마이너스측으로부터 플러스측으로 바뀌므로,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에 있어서의 테이프 장력이 거의 균일하게 된다.
그리고, 테이프 주행중, 재생화상을 모니터 등으로 감시하면서 변위부(11)의 외측 변위편(13)의 돌출량이 최적이 되도록 조정해주므로서, 자기 헤드(6a,6b)와 자기 테이프(T)의 안정된 접촉을 유지할 수가 있고, 휨조정등에 따른 호환성을 쉽게 얻을 수 있다. 또, 외측 변위편(13)에 의해 상기 테이프(T)와 안내 드럼(10)의 밀착 상태가 회피되므로서, 모터의 부하 토오크 증대나 이들의 소비 전력이 크게 되는 바와같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이 해소된다.
또, 상기 구성의 안내 드럼(10)에 의하면, 회전 드럼(2)에 작용하는 동력의 불균형을 강력히 억제하여 모터의 안정된 회전이 얻어짐과 동시에 자기 테이프(T)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 헤드(6a,6b)가 자기 테이프(T)를 일정한 주기로 반복하여 때리는 것에 기인한 회전드럼(2)의 눈에 띨 정도의 지터를 발생시키는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회전 속도 변동의 억제 및 자기 헤드(6a,6b)와 자기 테이프(T)의 손상을 방지하고, 그 결과 신호 재생시의 시간축 변동이 경감되어서, 지터가 나타남이 없이 고품질의 화상 기록 또는 재생이 행해질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안내 드럼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5도는 제4도 중 화살표 Z-Z에서 본 고정 드럼의 평면도로서, 양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고정 드럼(3)에 있어서의 자기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의 자기 테이프(T)의 출구부분(C)(제13도에 도시) 근방에는 고정드럼(3)의 배면부로부터 나선 결합하여 삽입시킨 조정가능한 복수개(본 실시예에서는 상하에 2개)의 조정나사(109)가 그 선단 원호형상부(돌기부)(109a)를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에 돌출시킨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이 조정나사(109)의 돌기부(109a)의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에 있어서의 돌출량은 후술하는 조정 작업에 의해 예를 들어 2내지 200μ 정도의 범위내에서 적절히 돌출되어 진다.
또, 돌기부(109a)는 고정드럼(3)의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에 있어서 상기 드럼 내외의 압력차에 의한 드럼에 대한 자기 테이프(T)의 흡착 요인을 가미한 뒤에, 접촉각 120°근방의 중앙부분(B)으로부터 출구부분(C)에 걸쳐서, 테이프 부상량(h)이 플러스측으로부터 마이너스측으로 바뀌는 부분에서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다수개 예를 들어 2내지 200μ의 범위에 걸쳐서 서서히 돌출시키는 쪽이 바람직하고 효과적이다. 또한, 조정나사(109)는 출구부분(C)에 1개만 설치하여도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안내드럼(10)에 있어서,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에 있어서의 조정나사(109)의 돌기부(109a)의 돌출량을 설정할 때에는,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자기 테이프(T)를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상에서 테이프 안내부(3a)를 따라 주행시킨 상태에서, 자기 헤드(6a,6b)와 자기 테이프(T)와의 접촉 상태를 측정기를 보면서 조정나사(109)를 고정드럼(3)의 배면부로부터 그 선단 돌기부(109a)가 서서히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에 돌출하도록 드라이버등으로 적절히 조정한다.
이렇게 하여, 돌기부(109a)의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으로부터의 돌출량이 예를들어 2내지 200μ의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되면, 조정나사(109)를 록 타이트등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고정한다. 이와같이하여 조정나사(109)의 돌기부(109a)에 의한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으로부터의 돌출량이 설정된 안내드럼(10) 상을 주행하는 자기 테이프(T)는 그 돌기부(109a)의 작용에 의해 강제적으로 부상되어 지기 때문에, 그 부상 상태는 제15b도중 곡선 Ⅱ로 도시한 바와같이 고정드럼(3)의 중앙부분(B)으로부터 출구부분(C)에 걸쳐서, 즉 테이프 접촉각의 약 120° 내지 185°의 범위에 걸쳐서 마이너스측으로부터 플러스측으로 바뀌므로서, 안내드럼(10)의 중앙부분(B)으로부터 출구부분(C)에 걸친 테이프의 밀착 상태가 회피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실시예에서와 거의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뿐 아니라, 특히 돌기부(109a)를 고정드럼(3)의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의 중앙부분(B)으로부터 출구부분(C)에 걸쳐서 예를들어 2내지 200μ의 범위에 걸쳐 서서히 돌출시키면, 자기 테이프(T)의 드럼에 대한 안정된 부상이 얻어지고, 이것의 드럼으로의 급격한 접근을 회피할 수가 있으므로, 자기 테이프(T)에 의한 헤드 타격 현상을 없게하여 지터등의 경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안내 드럼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일부종단 측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의 요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고정 드럼의 평면도로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안내 드럼(10)은 그 고정드럼(3)의 자기 테이프(T)가 미끄럼 접촉하는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의 중앙부분(B)으로부터 출구부분(C) (제13도에 도시)에 걸친 부분(약 120° 내지 190°의 범위)에는 입구부분(A)으로부터 중앙부분(B)에 이르는 외경보다 작은 직경을 구비한 원호형상의 오목부(3c)가 테이프 안내부(3a)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형성됨과 동시에, 이 원호형상의 오목부(3c)의 회전드럼(2)에 근접한 상단부에는 특히 출구부분(C)의 외경이 회전드럼(2)의 외경 칫수보다 예를들어 200μm 정도 뻗어 나오도록 매끄럽게 돌출한 원호형상의 대경부(3d)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즉, 테이프 안내부(3a)로부터 원호형상의 오목부(3c) 상단부까지는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구성하게 된다. 고정드럼 (3)의 테이프 안내부(3a)의 높이(P)와 원호형상의 오목부(3c) 내벽의 높이(P1)와의 관계는 P〈 P1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안내드럼(10)에 있어서, 제1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 위를 테이프 안내부(3a)를 따라 미끄럼 접촉하면서 주행하는 자기 테이프(T)에는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의 중앙부분(B)으로부터 출구부분(C)에 걸쳐서 생기는 부압에 의해서 제15c도중 곡선 I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자기 테이프(T)가 고정드럼(3)측에 접근하는 상태로 되지만,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상의 상기 중앙부분(B)으로부터 출구부분(C)에 걸쳐서 돌출형성된 원호형상의 대경부(3d)의 작용에 의해 강제적으로 부상되어 지기 때문에, 특히 출구부분(C)에서는 대경부(3d)의 돌출량이 크게 되어 안내 드럼(10)의 출구부분(C)에 있어서의 자기 테이프(T)의 밀착 상태가 회피된다.
또, 고정 드럼(3)의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의 출구부분(C)에 형성된 대경부(34)와 테이프 안내부(3a) 사이의 경사면에 의해서 주행하는 자기 테이프(T)에는 하향력(f)이 작용하기 때문에, 자기 테이프(T)는 테이프 안내부(3a) 위를 안정된 상태로 주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회전드럼(2)에 대한 자기 테이프(T)의 테이프 부상량(7)은 제15c도중 곡선 Ⅱ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드럼의 중앙부분(B)으로부터 출구부분(C)에 걸쳐서, 즉 테이프 접촉각의 약 120° 내지 185° 범위에 걸쳐서 마이너스측으로부터 플러스측으로 바뀌므로, 테이프 미끄럼럼 접촉면(3b)에 있어서의 테이프 장력이 대략 균일하게 되어, 자기 헤드(6a,6b)와 자기 테이프(T)간의 안정된 접촉을 유지할 수 있고, 휨 조정등에 따른 호환성을 쉽게 얻을 수 있다. 또, 고정드럼(3)의 출구부분(C)에서는 대경부(3d)에 의해서, 상기 자기테이프(T)와 안내드럼(10)과의 밀착 상태에 의해 생기는 모터의 부하 토오크의 증대나 이들의 소비 전력이 크게 되는 바와같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이 해소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실시예에서와 거의 유사한 통상의 효과가 얻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며,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드럼(3)의 중앙부분(B)으로부터 출구부분(C)에 상부의 회전 드럼(2)의 직경보다 큰 원호형상의 대경부(3d)를 돌출 형성하도록 하였지만, 이 원호형상의 대경부(3d)를 고정드럼(3)의 테이프 출구부분(C)의 근방에만 돌출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도 이 출구부분(C)에 생기는 부압에 의해 자기 테이프(T)의 드럼에 대한 급격한 접근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자기 테이프(T)에 의한 헤드 타격 현상을 없게하여 지터등의 경감에 기여하게 되기 때문에, 본 고안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4 실시예]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안내 드럼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9도는 그 요부확대 종단 측면도로서,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드럼(3)의 자기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의 자기 테이프(T)의 중앙부분(B)으로부터 출구부분(C) (제13도에 도시)에 걸친 부분에만, 경구(硬球)와 같은 복수의 미소돌기부(208)가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보다 약간 돌출한 바와같이 배치되어 있다. 이 돌기부(208)의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에 있어서의 돌출상태는 고정드럼(3)의 중앙부분(B)으로부터 출구부분(C)에 걸쳐서, 상기 드럼내외의 압력차에 의한 드럼에 대한 자기 테이프(T)의 흡착 요인을 가미한 뒤에, 서서히 (예를들면, 2내지 200μ 정도) 돌출시키는 쪽이 바람직하며, 또 테이프 부상량(h)이 플러스측으로부터 마이너스측으로 바뀌는 중앙부분(B)의 접촉각 120°근방으로부터 출구부분(C)에 걸쳐서 배치하면 효과적이다. 또, 돌기부(208)는 고정드럼(3)의 중앙부분(B)으로부터 출구부분(C)에 이르는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의 상부만이라도 좋고, 출구부분(C)에 1개만 설치하여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돌기부(208)의 배치 상태는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정드럼(3)의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에 천설된 복수의 오목부(3e)내에 있어서, 배면에 판스프링등의 탄성체(209)를 거쳐서 그 일부를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에 돌출시키는 바와같이 수납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안내드럼(10)에 있어서,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상을 테이프 안내부(3a)를 따라 미끄럼 접촉하는 자기 테이프(T)에는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의 중앙부분(B)으로부터 출구부분(C)에 걸쳐서 생기는 부압에 의해 제15d도중 곡선 I로 도시한 바와같이 자기 테이프(T)가 고정드럼(3)측에 접근하는 상태로 되지만,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 상의 상기 돌기부(208)의 작용에 의해 강제적으로 부상되어 지기 때문에, 안내드럼(10)의 중앙부분(B)으로부터 출구부분(C)에 있어서의 테이프의 밀착 상테가 회피된다.
따라서, 회전드럼(2)에 대한 자기 테이프(T)의 테이프 부상량(h)은 제5(d)도중 곡선 Ⅱ로 도시한 바와같이, 고정드럼의 중앙부분(B)으로부터 출구부분(C)에 걸쳐서, 즉 테이프 접촉각의 약 120° 내지 185°의 범위에 걸쳐서 마이너스 측으로부터 플러스측으로 바뀌므로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것과같은 통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뿐 아니라,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돌기부(208)를 고정 드럼(3)의 테이프 출구부분(C)에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이 출구부분(C)에 생기는 자기 테이프(T)의 드럼에 대한 급격한 접근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자기 테이프(T)에 의한 헤드 타격 현상을 없게하여 지터등의 경감에 크게 기여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드럼(3)의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의 중앙부분(B)으로부터 출구부분(C)에 걸쳐서 경구를 설치하였지만, 이 경우 대신에 예를들어 원통형의 롤러를 고정 드럼(3)의 축과 평행 방향으로 끼워넣든지, 선단부이 반구형상의 고정나사를 고정드럼(3)의 외주를 관통하여 설치된 나사 구멍에 나선 결합시켜 그 선단을 돌출시키는 등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돌기부를 형성하여도 좋고, 이 경우에 있어서도 중앙부분으로부터 출구 부분에 걸쳐서 이들을 서서허 돌출시키는 쪽이 바람직하며, 또 출구부분(C)만이라도 효과적이고, 롤러등은 테이프의 폭 방향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자기 테이프(T)를 균일하게 부상시키는데는 효과적이며, 본 고안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5 실시예]
제10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안내 드럼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11도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의 요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고정 드럼의 평면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안내 드럼(10)은 그 고정 드럼(3)의 자기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의 자기 테이프(T)의 중앙부분(B)으로부터 출구부분(C) (제13도에 도시)에 걸친 부분(약 120° 내지 190°의 범위)의 상부에 두께(t)가 약 20 내지 150μm, 폭(b)이 약 1 내지 2μm 정도의 박막(308)을 돌출 형성하고 있다. 또, 이 박막(308)은 예를들어 초음파 접착 수단 혹은 스퍼터링등의 박막 형성 수단에 의해 고정 드럼(3)상에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박막(308)의 소재로서는 예를들어 티탄 등과 같이 자기 테이프(T)와의 마찰계수가 낮은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좋다.
예를들면, 티탄의 마찰계수(μ)는 0.20이며, 그 밖의 소재로서는 현재 고정 드럼에 사용되고 있는 소재로서의 알루미늄의 마찰계수(μ)는 0.24, 또 스테인레스의 마찰계수(μ)는 0.17이고, 이중 알루미늄보다는 스테인레스 및 티탄등을 형성한 쪽이 마찰계수의 점에서 효과적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제5 실시예의 안내드럼(10)에 있어서, 제1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위를 테이프 안내부(3a)를 따라 미끄럼 접촉하는 자기 테이프(T)에는,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의 중앙부분(B)으로부터 출구부분(C)에 걸쳐서 생기는 부압에 의해 제15e도 중 곡선 I로 도시한 바와같이 자기 테이프(T)가 고정드럼(3)측에 접근하는 상태로 되지만,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상의 상기 중앙부분(B)으로부터 출구부분(C)에 걸쳐서 돌출형성된 박막(308)에 의한 작용에 의해 강제적으로 부상되어 지기 때문에, 안내드럼(10)의 출구부분(C)에 있어서의 자기 테이프(T)의 밀착 상태가 회피된다.
따라서, 회전드럼(2)에 대한 자기 테이프(T)의 테이프 부상량(7)은 제15e도중 곡선 Ⅱ로 도시한 바와같이 드럼의 중앙부분(B)으로부터 출구부분(C)에 걸쳐서, 즉 테이프 접촉각의 약 120° 내지 185° 범위에 걸쳐서 마이너스측으로부터 플러스측으로 바뀌므로서, 본 실시예 역시 상술한 실시예에서 얻어지는 것과같은 양호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1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5 실시예의 안내 드럼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고정 드럼의 평면도로서, 이 고정드럼(3)의 중앙부분(B)으로부터 출구부분(C) (약 90° 내지 190°)의 범위에 걸쳐서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박막(381)이 스퍼터링 및 이온 도금등의 박막 형성 수단에 의해서 형성됨과 동시에, 이 박막(381)은 중앙부분(B)으로부터 출구부분(C)에 걸쳐서 0 내지 150μm 정도로 순차로 두껍게 되도록 적층되어 있다. 이와같이 박막(381)을 중앙부분(B)으로부터 출구부분(C)에 걸쳐서 순차로 두껍게 형성하므로서, 드럼상의 테이프 부상량(h)은 제15e도중 곡선 Ⅲ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90° 내지 185°에 걸쳐서 미끄러운 곡선을 그리게 되어 안정된 테이프 주행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변형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자기 헤드(6a,6b)가 자기 테이프(T)를 일정한 주기로 반복하여 때리는 것에 기인한 회전드럼(2)의 눈에 띨정도의 지터를 발생시키는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회전 속도의 변동의 억제 및 자기 헤드(6a,6b)와 자기 테이프(T)의 손상을 방지하고, 그 결과 신호 재생시의 시간축 변동이 경감되어서, 지터가 나타남이 없이 고품질의 화상기록 또는 재생이 행해질 수가 있다. 또, 이와같이 박막(381)을 중앙부분(B)으로부터 출구부분(C)에 걸쳐서 순차로 두껍게 형성해 놓으면, 자기 테이프(T)의 걸림에 따른 테이프의 스택 슬립 현상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상당히 효과적이다.
또한, 본 제5 실시예에 있어서 박막(308,381)을 고정드럼(3)의 중앙부분(B)으로부터 출구부분(C)에 걸쳐서 형성하였지만, 박막(308.381)을 고정드럼(3)의 테이프 출구부분(C) 근방에만 돌출 형성하여도 좋고, 이 경우에도 이 출구부분(C)에 생기는 부압에 의해 자기 테이프(T)의 드럼에 대한 급격한 접근을 회퍼할 수 있으므로, 자기 테이프(T)에 의한 헤드 타격 현상을 없게하여 지터등의 경감에 기여하게 되기 때문에, 본 고안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상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안내드럼(10)에 대한 자기 테이프(T)의 접촉각이 185°인 경우의 예로 설명하였지만, 예를들어 접촉각이 270。인 경우에도 양호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실시예들로부터 또한 명백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주요 특징 구성인 간격 유지부재는 각각 변위부(11), 돌기부(109a), 대경부(3d), 돌기부(208), 및 박막(308또는 381)으로서 구체화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안내드럼은 고정 드럼의 자기 테이프 입구부분을 제외한 중앙부분으로부터 출구부분에 걸친 적어도 일부분에 자기 테이프와 안내 드럼사이의 밀착 상태를 경감시키기 위한 간격 유지부재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자기 헤드가 안내드럼 외주면상에 접촉하고 있는 자기 테이프를 주사할 때에 자기 테이프와 안내 드럼과의 간격이 적절히 유지될 수 있고, 특히 안내드럼의 출구부분의 부압에 의해 생기는 자기 테이프의 외부 교란에 의한 자기 헤드 회전 속도의 변동 및 자기 테이프의 진동을 억제하여, 지터 및 색얼룩등이 경감되고, 자기 헤드 및 자기 테이프가 손상됨이 없이 고품질의 화상 기록 또는 재생을 할 수 있는 등의 잇점이 있다.

Claims (8)

  1. 자기 헤드(6a,6b)가 설치되고 고정 드럼(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전 드럼 (2)을 구비하여, 외주면에서 자기 테이프(T)를 안내하는 안내 드럼에 있어서, 상기 고정 드럼(3)에 설치된 자기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의 중앙부분(B)으로부터 출구부분(C) 근방에 걸친 적어도 일부분에 자기 테이프(T)와 안내 드럼(1) 사이의 밀착 상태를 경감시키기 위한 간격 유지부재(11, 109a,3d,208,308,381)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의 입구부분(A)으로부터 중앙부분(B)에는 상기 간격 유지부재를 설치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드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부재는 상기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의 중앙부분(B)으로부터 출구부분(C) 근방에 걸쳐서 드럼의 직경을 가변할 수 있는 변위부(1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드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부는 상기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의 중앙부분(B)으로부터 출구부분(C) 근방에 걸쳐서 순차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드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부재는 돌출량을 조정가능하게 하는 돌기부(109a)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드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부재는 상기 회전 드럼(2)의 직경보다 뻗어나온 대경부(3d)를 고정드럼(3)에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드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부재는 돌기부(20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드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부재는 박막(308)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드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은 상기 테이프 미끄럼 접촉면(3b)의 중앙부분(B)으로부터 출구부분(C)근방에 걸쳐서 순차로 두껍게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드럼.
KR2019850016479U 1984-12-20 1985-12-10 안내 드럼 KR90000387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4193422U JPS6334121Y2 (ko) 1984-12-20 1984-12-20
JP193424 1984-12-20
JP19342384U JPS6334122Y2 (ko) 1984-12-20 1984-12-20
JP193422 1984-12-20
JP1984193424U JPS6334123Y2 (ko) 1984-12-20 1984-12-20
JP193423 1984-12-20
JP11150 1985-01-31
JP1115085U JPS6323800Y2 (ko) 1985-01-31 1985-01-31
JP1985040552U JPS6341637Y2 (ko) 1985-03-20 1985-03-20
JP40552 1985-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554U KR860008554U (ko) 1986-07-28
KR900003879Y1 true KR900003879Y1 (ko) 1990-05-03

Family

ID=27519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6479U KR900003879Y1 (ko) 1984-12-20 1985-12-10 안내 드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900003879Y1 (ko)
DE (1) DE35450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3562A (en) * 1987-06-03 1989-05-23 Hitachi Ltd. Rotary magnetic head cylinder device for suppressing vibrations ofa magnetic tape
JP2560357B2 (ja) * 1987-11-30 1996-12-04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ガイドドラム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80729A (ko) * 1961-07-10
JPS57149560U (ko) * 1981-03-13 1982-09-20
JPS5914154U (ja) * 1982-07-19 1984-01-28 ソニー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テ−プ案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554U (ko) 1986-07-28
DE3545062C2 (ko) 1989-05-24
DE3545062A1 (de) 1986-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43263B2 (ko)
KR900001620Y1 (ko) 가이드 드럼
KR900003879Y1 (ko) 안내 드럼
JPH0346114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US2848221A (en) Magnetic recorder drive mechanism
US5448439A (en) Rotary head and cylindrical drum tape guide assembly for tape record and reproduce apparatus
JPS6334122Y2 (ko)
JPS6323800Y2 (ko)
JPS6334121Y2 (ko)
JPS6341637Y2 (ko)
JPH04232639A (ja) 磁気記録装置のシリンダ装置
JP4538961B2 (ja) 記録再生装置
JP2976685B2 (ja) 回転ガイド及びそれを用いた記録再生装置
JP2789224B2 (ja) 情報記録再生用ドラム装置
JP2688823B2 (ja) 回転ヘッド装置
JPS5948856A (ja) 回転ヘツドアセンブリ
GB2308221A (en) A pinch roller type tape drive assembly
JP2641658B2 (ja) 回転ヘッドアセンブリ
JPH043355A (ja) 回転ヘッド装置
JPH0424491Y2 (ko)
JPH10105935A (ja) 磁気テープ記録再生装置
JPH02273313A (ja) ヘリカル走査式磁気記録装置
JPS60119658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2164257A (ja) 回転磁気ヘツドドラム装置
JPH0316010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316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