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799Y1 - 회전식 오물 제거기 - Google Patents

회전식 오물 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799Y1
KR900003799Y1 KR2019870019485U KR870019485U KR900003799Y1 KR 900003799 Y1 KR900003799 Y1 KR 900003799Y1 KR 2019870019485 U KR2019870019485 U KR 2019870019485U KR 870019485 U KR870019485 U KR 870019485U KR 900003799 Y1 KR900003799 Y1 KR 9000037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tice
washer
cylinder
grating
rotation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94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304U (ko
Inventor
김을경
Original Assignee
김을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을경 filed Critical 김을경
Priority to KR20198700194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3799Y1/ko
Publication of KR8900103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3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7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7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01D33/067Construction of the filtering drums, e.g. mounting or sea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80Accessories
    • B01D33/803Accessories in which the filtering elements are moved between filtering operations ; Particular measures for removing or replacing the filtering elements; Transport systems for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drum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전식 오물 제거기
제1도는 본 고안의 격자 원통부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 표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단위 격자 요소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단위 격자 요소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부분 횡단면도.
제5도는 종래의 격자 요소의 측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격자 요소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격자통체 1' : 측면판
2,2' : 단위 격자 요소 3 : 와셔
3' : 돌출부 3" : 요입부
3'" : 통공 4 : 유입구
5 : 배출구 5' : 배수구
6 : 긁음구 7 : 연결봉
7' : 너트 8 : 축봉
9,9' : 베어링 10 : 풀리
10' : 벨트 11 : 감속모타
12 : 찌꺼기 13 : 종래의 격자 요소
14 : 와셔
본 고안은 분뇨 처리장, 오폐수 처리장등의 일차적인 오물처리 과정에서 분뇨 또는 오폐수내에 함유된 각종 협잡물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회전식 오물 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회전식 오물 제거기는 제6도에서 예시한 바와같이 유입구를 통해 이송되어 오는 오물 찌꺼기가 회동하는 격자 원통체의 표면에 부착하면 긁음구에서 이를 긁어내어 배출구로 배출되게 하고 이때 액체와 같은 작은 찌꺼기는 격자 원통내의 격자 요소의 간극 사이로 통과되어 통체 내부로 들어 갔다가 다시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빠져 나가도록 되어 있는바 이와같은 회전식 오물 제거기의 핵심적 역할을 하는 격자 원통체의 격자 요소는 제5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단일체로 되고 그 상간에 와셔를 개재시키고 있어 사용도중 격자 요소가 변형되거나 파손될 시는 격자 원통제를 전체적으로 해체를 해야 하므로 교체 작업에 있어 많은 불편이 있었고 재료 낭비등의 결점이 있었을뿐만 아니라 금형 제작에 있어서도 종래에는 격자통체와 같은 큰 금형이 요구되어 금형비가 월등히 비싸게 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결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인데 이의 고안 요지는 격자 요소를 분할형으로 구성하되 단위 격자 요소 자체에 돌출부와 요입부를 가진 와셔를 동시 형성하므로서 파손시에는 파손된 부분의 단위 격자 요소만 교체할 수 있게 한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입구(4)를 통해 유입된 오수가 감속모타(11)에 의해 회동되는 격자통제(1)의 격자 요소(2)에 의해 여과되게 하고 이때 여과된 오물 찌꺼기(12)는 격자통체(1)의 외주면에 접지되는 긁음구(6)에 의해 수거된 후 배출구(5)를 통해 배출되게 하고 작은 찌꺼기나 오수는 격자통체(1)내로 유입된후 배수구(5')를 통해 배출되게 한 것에 있어서 격자통체(1)를 구성하는 분할된 단위 격자 요소(2)(2')의 좌우단에 와셔(3)를 연설하되 와셔(3)에는 돌출부(3')와 요입부(3'") 및 통공부(3'")가 형성되게 하여 단위 격자 요소(2)(2')를 결합함에 있어서는 제4도 표시와같이 격자 요소(2)의 와셔(3) 요입부(3'")에 격자 요소(2')의 돌출부(3')가 연속적으로 접합된 상태에서 그 양단에 측면판(1')를 대접한 후 연결봉(7)으로 결합하여 너트(7')를 체결한 상태에서 측면판(1')의 축공으로 축봉(8)이 관삽된 구조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격자통체(1)의 격자 요소(2)(2')가 원형상으로 결합되어 있어 사용 과정중 단위 격자 요소(2)가 변형되거나 마손되면 마손된 격자 요소(2)만을 체결하고 있는 부분의 해당 연결봉(7)의 조임 너트(7')를 나해하여 해당 연결봉(7)만을 해지 시키면 마손된 단위 격자 요소(2)가 분리되어진다. 이때 새로운 격자 요소(2)만을 간편히 교체할 수 있고 또한 본 고안의 격자 요소(2)에는 와셔(3)가 연설되어 있고 이 와셔(3)에는 돌출부(3')와 요입부(3'")가 형성되어 있어 종래처럼 별도로 와셔(14)를 개재시키지 않아도 되며 단위 격자 요소(2)가 마손되면 마손된 부분의 격자 요소(2)만을 간단히 교체 사용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금형에 비해 현격히 작은 금형으로 단위 격자 요소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작 원가를 절감할 수 있어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격자통체(1)의 격자 요소를 구성함에 있어서 격자 요소를 분할된 단위 격자 요소(2)로 구성하고 격자 요소(2)(2') 양단에 돌출부(3')와 요입부(3'") 및 통공부(3'")를 형성한 와셔(3)를 연설함을 특징으로한 회전식 오물 제거기.
KR2019870019485U 1987-11-10 1987-11-10 회전식 오물 제거기 KR9000037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9485U KR900003799Y1 (ko) 1987-11-10 1987-11-10 회전식 오물 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9485U KR900003799Y1 (ko) 1987-11-10 1987-11-10 회전식 오물 제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304U KR890010304U (ko) 1989-07-08
KR900003799Y1 true KR900003799Y1 (ko) 1990-05-01

Family

ID=19269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9485U KR900003799Y1 (ko) 1987-11-10 1987-11-10 회전식 오물 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379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304U (ko) 198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0436A (en) Solid-liquid separator
JPS6190716A (ja) 動的ろ過装置
KR200162956Y1 (ko) 오폐수 처리장치
JP5531330B2 (ja) 回転加圧脱水機および回転加圧脱水機による汚泥の脱水方法
KR900003799Y1 (ko) 회전식 오물 제거기
KR102082719B1 (ko) 협잡물 처리기
US3008159A (en) Fluid operated sweeper
KR0121460Y1 (ko) 무전력 탈리액 여과장치
KR950002568Y1 (ko) 회전식 오물 제거기
JPH0112527B2 (ko)
JPH0378123B2 (ko)
KR960001582Y1 (ko) 회전식 협잡물 제거기
JPH0629797U (ja) し渣脱水機におけるし渣の洗浄装置
KR200143726Y1 (ko) 세정수압을 동력원으로한 스크린고정식 세정수처리장치
JPS6337056Y2 (ko)
CN213698927U (zh) 一种污水沉降处理污水池刮料装置
KR960005058Y1 (ko) 슬럿지의 탈수장치
KR200154687Y1 (ko) 축산폐수원심분리장치
JPS6213756Y2 (ko)
KR880004195Y1 (ko) 농수산물 고압 여과 장치
KR200301460Y1 (ko) 협잡물처리용 분리장치
KR850002148Y1 (ko) 싱크대용 오물 처리기
JPS5931299Y2 (ja) ベルトプレス形脱水機用回転式汚泥濃縮装置
KR960005861Y1 (ko) 잔반처리기의 브러쉬 교체장치
KR960008251B1 (ko) 탈수용 여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4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