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626B1 - 대용량 교환기의 자동 호출 시뮬레이션(call simulation)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용량 교환기의 자동 호출 시뮬레이션(call simulation)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626B1
KR900003626B1 KR1019870009082A KR870009082A KR900003626B1 KR 900003626 B1 KR900003626 B1 KR 900003626B1 KR 1019870009082 A KR1019870009082 A KR 1019870009082A KR 870009082 A KR870009082 A KR 870009082A KR 900003626 B1 KR900003626 B1 KR 900003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call
control unit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9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537A (ko
Inventor
서기용
Original Assignee
대우통신 주식회사
이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통신 주식회사, 이경식 filed Critical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70009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3626B1/ko
Publication of KR890004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Supply Of Signal Current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대용량 교환기의 자동 호출 시뮬레이션(CALL SIMULATION) 시스템
제 1 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전반적으로 도시한 블럭다이어그램.
제 2 도는 본 발명에서 가입자 회선 제어부의 상세한 블럭다이어그램.
제 3 도는 본 발명에서 신호 수신기의 상세한 블럭다이어그램.
제 4 도는 본 발명에서 신호 송출부의 상세한 블럭다이어그램.
제 5 도는 본 발명에서 음성신호 출력부의 상세한 블럭다이어그램.
제 6 도는 본 발명의 신호 흐름도.
제 7 도(a)는 본 발명에서 중앙제어부의 메모리 억세스 타임 챠트도,
(b)는 본 발명에서 데이타 버스의타임 챠트도.
본 발명은 대용량을 갓는 자동교환기의 호(呼)처리 신호를 점검하는 자동호출 시뮬레이션 시스템(CALLSIMULATION SYSTEM)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호출 시뮬레이션 시스템이란 공중교환기 및 사설 교환기의 호출(Local call) 성능을 테스트하는 것으로서 교환기의 생산, 설치, 유지보스시 그 기능을 자체 점검하는 장치이며, 각 채널(가입자 번호)의 호출 테스트를 진행하는테 필요한 각종 정보 즉 총시도호, 완료호, 폴트(Fault), 파일(Fail) 발생호등의 데이타에 의해 교환기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에 의하여 각각의 가입자들로부터 두개의 전화선을 효율적으로 접속시킬 수가 있으며, 이의 시험 억세스(access)를 통해 다른선으로 선정된 호출을 완전하게 행할 수 있고 특히 예비 보수와 그 이외의 다른 진단(예 : 물트 파일발생호 등) 기능을 행하는데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와같은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보수처리 진단 기능 및 이에 관련된 회로와 보드 그룹 유니트가 시험억세스와 다른 스위칭 회로망을 통하여 시험 호출을 제공하는 단일 시험 호출 발생기도 있었다.
그러나 이 형태의 발생기는 현재의 교환국에 사용되고 디지탈 교환기에 적용하기에 쉽지 않다.
그 이유는 측정장치가 단일 방식에 의하여 점검에 필요한 데이타를 입출력시키므로 한정된 정보의 내용에 의하여 일괄적인 테스트 결과를 얻게 됨으로 정확한 교환기의 호출성능 분석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대용량(22,000BHCA)을 갖는 호출 장치로서 총시도호, 완료호, 폴트 및 파일 발생호 등의 통계데이타에 의하여 교환기의 성능을 효율적으로 분석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대용량의 사설교환기 및 공중교환기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장치상에서 단일 자동시험 기능이 자동으로 실시되고 기록되게 하는 교환기의 호출 발생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호출기능의 동작을 발생음으로서 확인할 수 있는 호출음 발생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호출 측정 장치의 발신 및 착신 단자는 각각의 가입자선에 맞물리게 되며 자동호출 시험회로의 호출 신호에 의해 링깅(ring ing)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소프트 웨어에 의한 가입자의 데이타입력은 모니터 및 키이보드에 의하여 선입력 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소포트 웨어는 어셈블리 언어로서 작성되어지며 호출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기본 기능(MFC 방식)을 위주로하여 구현 되었으나 모듈(Module) 구조를 가지고 있어 충분한 크기의 기억장치로서 추후의 기능보강과 프로그램의 확장이 용이하며, 전원이 턴온시 즉시 자기 진단에 이어 프로그램을 출력하고 각종 입력데이타(예 : 호처리시간, 가입자번호 입력, 통화된 데이타의 종류별 분류 등)에 의하여 호처리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필요시 유보 및 얻어진 정보는 반영구적으로 보존 가능케 하는 것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인 호출시험 측정 장치의 전체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로서 일반 사설 및 공중교환기(1)의 착신 및 발신단자에 가입자 회선 제어부(2)와 신호수신부(4)가 직렬로 연결이 되어지고, 그 출력단에는 신호 송출회로부(3)와 음성신호 출력부(5)가 연결되며 가입자 회선 제어부(2)에는 중앙 제어부(6)와 모니터 및 키이 보드부(7)가 연결되는 구성이다.
이를 제 6 도와 병행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제 6 도의 신호 흐름도에 의하여 동작을 하게 된다.
중앙제어부(6)는 최초 구동시 각 제어부의 릴레이 드라이브를 초기화시키고 모니터 및 키이보드부(7)를 구동하여 도시되지 않은 중앙처리장치(CPU, 기억장치, 주변소자, 각종 코오드 상태, 경보장치, 버스 등을 테스트 하게되며 이 결과 모니터 및 키이보드부의 모니터에 출력시켜 메뉴를 드라이브 하게 된다.
따라서 모든 모듈은 중앙제어부(6)에 의하여 통제되며 실시간 처리에 따라 다수의 모듈이 주기적으로 호출된다.
이와같이 제 6 도의 본 발명에 의한 신호 흐름도에 따라 주 전원을 온 되어진 상태에서는 중앙제어부(6)의 CPU 및 주변회로가 초기상태가 되면서 셀프 테스트가 이루어지고, 중앙제어부(6)와 연결된 모니터 및 키이보드부(7)를 통하여 각종 데이타를 입력시킨 이후 교환기(1)의 호처리 시험을 위한 명령을 주게되면 본발명의 장치가 동작을 하게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첫번째 페이지에 입력되는 데이타는 테스트 하고 져는 교환기(1)에서 각각의 착신 가입자 전화번호와 발신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입력시키게 된다.
입력시킬 수 있는 디지트는 최대 7디지트로서 CH 000∼CH 063까지는 발신가입자 번호가 입력되고 Ch 064∼Ch 127은 발신 가입자 번호가 입력되어져 128 회선을 동시 테스트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두번째 페이지에는 다이알링을 위한 후크-오프 및 후크-온 시간과 호출과 호출 사이의 지연시간 및 착신가입자 측으로 일정신호를 보내주는 시간을 지정하여 입력시킨다.
세번째 페이지에는 입력된 발신 64채널 중에서 테스트 하고 져는 채널만을 지정하게 되며, 네번째 페이지에는 본 장치에 의하여 일정한 테스트를 수행한 뒤 그 시간동안 수행된 전체 호출수 및 폴트, 화일수를 종합하여 모니터 및 키이보드부(7)를 통하여 나다낼 수 있게하며 폴트 종류별 또는 각 채널별로 통계데이타를 출력시킬 수가 있게 한 것이다.
이와같이 입력되는 데이타는 모두 공전램(static RAM)에 저장되며, 그 각각의 데이타는 각 페이지의 번호 호출에 의해 출력되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 이상이 없으면 중앙제어부(6)는 발신자가 후크-오프 상태가 되도록 제 2 도의 가입자 회선제어부(2)에 명령을 하게 된다.
그 가입자 회선 제어부(ALIC : Analg Line Interface)는 가입자의 회선을 선택 제어하는 회로부(Subcriber Line Inter face Bard)로서 실제로는 8개의 보드가 실장되며 각 보드는 8개의 동일회로서 구성되어 각 회로당 1채널(1 subscribe Line pair)을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갖게 된다.
이로써 교환기(1)에 연결되는 착신단자(AB BB)와 발신단자(AA BA)를 통해 링신호 호출 수신부(8) 및 버스송신기(10)에 연결되어 데이타 신호(D0-D7)와 라이트 신호(
Figure kpo00001
)에 의해 링신호를 검출하게 되고 레드신호(IORD)에 의해 링깅신호의 호출을 검출하고 동작을 하며 중앙제어부(6)로부터 어드레스 단자(Add)를 통하여 입력되는 어드레스 신호가 레코오더(12)와 로직회로(11)를 거쳐 그 버스 송신기(10)에 입력이 되면 래치(13)와 릴레이 드라이브 회로부(14)를 구동시켜 릴레이(18)를 제어함과 동시에 루우프 형성 회로부(15)를 제어함으로서 연결된 릴레이(16,17)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릴레이(16,17)의 동작에 의해 그 출력단자(AA,BA,AB,BB)를 통해 신호 수신부(4) 즉(APIC : Analg per pherae Interface Circuit Board)가 착신측의 루우프-클로오스 기능을 행하여 그 결과를 중앙제어부(6)에 전달될 수 있도록 셋팅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또한 송수신부(8)는 착신단자(AA,BB)에서의 착신신호가 그 송수신부(8)에 입력이 되면 이 신호가 래치와 버퍼부(9)를 통하여 발진부(10,13)에 전달되게 하며 그 접속되는 톤 수신 제어부(11)와 루우프-클로스 호출 제어부(12)를 통하여 신호수신부(4)에 전달되게 함으로서 착신특이 후크-온 동작을 중앙제어부(6)가 감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모니터 및 키이보드부(7)를 통해 중앙제어부(6)에 각 데이타가 입력된 상태에서 중앙제어부(6)는 어드레스 단자(Add)를 통하여 데코오더(12)에 후크-오프시키기 위한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시킨다.
이 어드레스 신호가 로직회로(1l)를 거쳐 버스 송신기(10)에 입력이 되면 보스 송신기(10)는 중앙제어부(6)로부터 입력되는 가입자 번호의 데이타를 입력시키게 된다.
즉 중앙제어부(6)의 CPU가 오프-후크 상태를 만들기 위하여 버스 송신기 라인에 데이타(D3) 하이 신호를 입력시키게 되면 버스 송신기(10)를 통해 인버팅된 로우신호가 릴레이 드라이브 회로부(14)에 입력됨으로서 릴레이(l8)를 구동시킨다.
릴레이(18)가 구동됨에 따라 루우프 형성회로부(15)는 발신측(AA,BB)에 접속되고 래치부(13)를 거친 로우신호(
Figure kpo00002
)는 루우프 형성회로부(15)에 입력되어 동작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루우프 형성회로부(15)는 교환기(1)의 발신단자(AA,BB)로부터 후크-오프되는 발신음(DialTone)이 입력이 되고 이 신호는 릴레이(17)에 의하여 신호 수신기(4)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후크-오프의 발신음은 중앙제어부(6)에 의하여 설정시간(ms) 동안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링신호 호출 수신부(8)는 신호송출회로부(3)로부터 링깅되는 다이알 신호를 검출하는 기능을 갖게되며, 이 신호는 버퍼(9)와 버스송신기(10)를 통하여 래치부(13)에 입력됨으로서 릴레이 드라이브 회로부(14)를 구동시킴으로서 릴레이(16)가 동작하여 링깅되는 호출음이 신호수신부(4)에 전달되어 질 수 있는 기능을 갖게 한 것이며, 이의 링깅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루우프 형성회로부(15)가 동작하지 않게 되어 신호수신부(4)는 중앙제어부(6)에 폴트의 발생을 알리게 되는 것이다.
이때 링깅되는 시간(ms)는 이미 입력된 데이타에 의해 제어된다.
제 3 도는 신호수신기(3)를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며, 중앙제어부(6)에 전달되는 데이타 및 제어신호를 받아 착신측의 루우프-클로오스 기능을 행하여 그 결과를 중앙제어부(6)에서 읽어 갈 수 있도록 셋팅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데이타와 어드레스 신호에 의하여 동기되는 버스 송수신부(19)에 래치와 버퍼부(20)가 연결되어 신호발진부(21)로 부터의 "TTON" 신호가 전달되게 하며 래치와 버퍼부(20)에서의 "CHT"의 신호가 신호발진부(21)에 전달되어 톤 수신 제어부(22)에서의 "TON"신호가 입력됨으로서 그 신호에 의하여 병렬 연결되는 루우프-클로스 호출 제어부(23)와 신호 발진부(24)가 동기되는 구성이다.
이로서 교환기(1)의 발신단자(AA,BA)로부터 입력된 발실심음이 톤 수신제어부(22)에 입력되어지는데 이때 버스송수신부(19)에는 중앙제어부(6)에서 발신음이 들리는 가를 확인하기 위해 발신음 확인 데이타(D1)를 그 버스 송수신부(19)에 입력시킨다.
그러면 데이타(D1)의 신호가 래치와 버퍼부(20)를 통해 인버팅되어져 루우프-클로스 호출 제어부(23)에
Figure kpo00003
신호를 입력시킨다.
이에 루우프-클로스 호출 제어부(23)가 동작을 하여 루우프를 형성하게 됨으로서 래치와 버퍼부(20)는 버스 송수신부(19)를 통하여 중앙제어부(6)에 발신음의 검출을 알리게 되는 것이다.
발신음이 검출된 이후 신호송출회로부(3)에서의 호출음 신호가 가입자 회선제어부(2)의 링신호 호출수신부(8)에서 검출되면 그 호출음이 루우프-크로스 호출제어부(23)를 후크-오프 동작하도록 한다.
그러면 신호발진부(24)에서의 발진된 800HZ 신호가 교환기(1)에 의해 형성된 착·발신간 통화로를 통하여 발신측 단자(AA,BA)에 입력이 된다.
이에 톤 수신제어부(22)는 이 신호를 검출하여 래치와 버퍼부(20)에 통화 수신신호인 TON 신호를 전달함으로서 버스 송수신부(19)를 통한 중앙제어부(6)가 통화 신호를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 설정된 통화 시간이 끝나게 되면 루우프-클로오스 호출제어부(23)는 후크-온 되는 것이다.
제 4 도는 신호송출 회로부로서 DTMF 신호를 발진시켜 교환기(1)로 보내는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며 중앙제어부(6)의 제어신호(
Figure kpo00004
)에 의하여 J-K 플립플롭(26)이 동기되면서 카운터(27)를 동작시키면 데코오더(25)에 입력되는 어드레스 신호(Add)에 의하여 카운터(27)는 발진기(29)를 순차 동작시켜 버스 트랜스부(28)에 입력되는 각각의 가입자번호(28)에 따른 신호를 발진하여 중폭부(30)와 트랜스부(31)를 통해 가입자 회선 제어부(2)에 입력시키면 그 가입자 회선 제어부(2)는 이 발진신호를 교환기(1)의 발신단자(AA,BA)에 입력시켜 그 교환기(1)가 발진신호에 따라 착신측의 가입자 번호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제 5 도는 음성신호 출력부(5)의 상세한 블럭구성도로서 가청음을 들을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총 32채널로서 중앙제어부(6)에서 선택되는 채널의 코오드 셀렉트신호에 의하여 디코오딩된 신호가 입력이되면 라인드라이브(32) 와 데코오더(33) 및 래치(34)를 거쳐 릴레이드라이브(35)에 입력이 되어 다수의 군집으로 되어있는 릴레이(36)를 순차적으로 동작시켜 교환기(6)의 발신단자(AA,BB)에 인가되는 링깅신호를 증폭부(37)와 음성증폭부(38)에서 가청음으로 증폭하여 스피이커(39)를 통해 링깅신호음을 발할수 있도록 한것이다.
제 6 도는 본 발명의 신호 흐름도로서 초기상태에서 테스트하고 져는 채널의 이상유무를 점검한 이후 이상이 없으면 발신 가입자가 후크-호프와 같은 상태로서 가입자회선 제어부(2)내의 발신 루우프 형성 회로부(15)를 구동시켜 발신음을 기다리게 된다.
교환기(l)로 부터 발신음이 입력되면 이 발신음이 들리는지를 체크하기 위해 신호수신부(4)를 동작시켜 루우프-클로오스 호출제어부(23)와 톤 수신제어부(22)에 의해 수신여부를 조사한 다음 그 결과를 중앙제어부(6)에 보고한다. 이때 발신음이 검출되지 않으면 중앙제어부(6)는 모니터에 폴트 및 파일의 발생여부를 출력시켜 이상이 있음을 알리게 되며 또한 모든 동작은 초기 상태로서 다시 후크-오프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발신음이 검출되면 다이알링(Dialig)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신호 송출 회로부(3)가 각채널(가입자 전화번호)의 데이타를 DTMF 신호 발생회로에서 아날로그 신호를 변환시키고 증폭회로에서 교환기(1)에서 감지할 수 있을 정도의 레벨로 증폭시킨후 교환기(1)에 입력시키면, 교환기에서는 이 신호로서 발신측에서 원하는 착신측으로 스위칭을 하여 준다.
이에 교환기(1)에서는 착신측으로 스위칭을 한 이후 착신측에 호출음(Ring)을 울려주게 된다.
이때 가입자 회선제어부(2)의 링신호 호출 수신부(8)에서는 호출음을 검출하게 되고 그 호출음이 정상적으로 검출되었으면 신호수신부(4)내의 루우프-클로스 호출 제어부(23)를 구동시켜 착신측 역시 후크-오프시켜 주며, 착·발신 상호간의 통화로를 확인하기 위해 신호발진부(21)에서의 800HZ 신호가 교환기(1)의 착신측 단자(AA,BB)로 송신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교환기(1)에 의해 형성된 착발신간 통화로를 통하여 800HZ의 신호음이 발신측으로 정확히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발신음 검출때와 마찬가지 경로를 통하여 신호수신부(4)에서의 톤 수신제어부(22)가 테스트음을 검출하게 되는 것이다. 테스트음이 검출되면 한통화 즉 호출이 완료된 것으로 착발신은 모두 후크-온이 되어 다시 초기상태로 되면서 상기의 동작을 반복 수행하는 것이다.
이의 과정에서 각 발생되는 데이타 즉 폴트 및 파일이 중앙제어부(6)에 의하여 각 폴트 및 파일이 발생시에는 그 시점부터 다시 초기상태로 되어져 1회의 호출기능을 마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공중교환기 및 사설교환기의 호처리능력을 측정하고 성능을 시험하는 테스트 장비로서 교환기의 제작, 설치 및 우지보수시 빠른 시간내에 다수의 채널을 점검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5)

  1. 통상의 전화 교환기(l)에 있어서 그 발신 및 착신 단자에 발신음과 착심음을 송출 또는 검출하는 가입자 회선제어부(2)와 검출된 신호를 체크하는 신호수신부(4)를 직렬 연결하고 그 사이에 신호송출 회로부(3)와 톤 신호를 발생하는 음성신호 출력부(5)를 연결하여 교환기(1)의 착신단자에서의 신호가 전달되도록 접속하고 가입자 회선제어부(2)의 발·착신 신호를 제어하는 중앙제어부(6)와 모니터 및 키이보드부(7)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대용량 교환기의 자동호출 시뮬레이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가입자 회선제어부(2)는 발신단자(AA,BA)와 착신단자(AB,BB)에 릴레이(16,17)와 링신호 호출수신부(8) 및 루우프 형성회로부(15)를 각각 연결하고 링신호 호출수신부(8)에는 버퍼(9)와 버스 송신기(10)를 연결하여 래치부(13)에 접속되게 하며, 버스송신기(10)에는 로직회로(11)와 레코오더(12)를 직렬 연결하며, 루우프 형성회로부(15)는 래치부(13)와 릴레이 드라이브 회로부(14) 및 릴레이(18)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교환기의 자동호출 시뮬레이션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신호송출회로부(3)는 데이터와 어드레스신호에 의해 동기되는 버스 송수신부(19)에 래치와 버퍼부(20)를 연결하여 신호 발진부(21)로 부터의 "TTON" 신호가 전달되게 하며, 래치와 버퍼부(20)에서의 "
    Figure kpo00005
    "의 신호가 신호발진부(21)에 전달되어 톤 수신제어부(22)에서의 "TON" 신호가 입력되게 하며 그 신호에 의해 병렬연결되는 루우프 클로스 호출제어부(23)와 신호발진부(24)가 동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교환기의 자동호출 시뮬레이션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신호수신부(4)는 데코오너(25)와 플립플롭(26)에 의해서 카운터(27)에서의 신호가 발진기(29)에 전달되고 그 발진기(29)는 버스 트랜스부(28)에서 전달되는 데이타에 의해 발진을 하여 증폭부(30)와 트랜스부(31)를 거쳐 가입자 회선 제어부(8)에 전달됨으로서 발신 루우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교환기의 자동호출 시뮬레이션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음성신호 출력부(5)는 중앙제어부(6)의 제어신호가 라인 드라이브(32)와 데코오더(33) 및 래치(34)를 거쳐 릴레이 드라이브(35)에 전달되면 릴레이(36)에 의하여 착신측 링깅신호가 증폭부(37)와 음성증폭부(38)를 통해 스피이커(39)로 가청음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교환기의 자동호출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9870009082A 1987-08-20 1987-08-20 대용량 교환기의 자동 호출 시뮬레이션(call simulation) 시스템 KR900003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9082A KR900003626B1 (ko) 1987-08-20 1987-08-20 대용량 교환기의 자동 호출 시뮬레이션(call simulation)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9082A KR900003626B1 (ko) 1987-08-20 1987-08-20 대용량 교환기의 자동 호출 시뮬레이션(call simulation)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537A KR890004537A (ko) 1989-04-22
KR900003626B1 true KR900003626B1 (ko) 1990-05-26

Family

ID=19263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9082A KR900003626B1 (ko) 1987-08-20 1987-08-20 대용량 교환기의 자동 호출 시뮬레이션(call simulation)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362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537A (ko) 198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75051B (zh) 一种onu语音功能检测方法及系统
KR900003626B1 (ko) 대용량 교환기의 자동 호출 시뮬레이션(call simulation) 시스템
US5818904A (en) Collaborative trunk testing method and system
KR100206304B1 (ko) 내부 호 처리가 가능한 원격가입자 수용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S5980052A (ja) 加入者回路試験方式
JP2543755B2 (ja) 共通線信号方式における試験方式
JPS62253292A (ja) ボタン電話装置
KR940008116B1 (ko) 장치 상호간 통화를 위한 오더와이어(order wire)회로
JPH01222552A (ja) リモート交換機交替試験方式
JPS6374364A (ja) ボタン電話装置
KR100318962B1 (ko) 자동중계기에서온후크다이얼링을이용한회선시험장치및방법
JPH0537634A (ja) 構内交換機
JPH09270853A (ja) 擬似呼試験装置の自己試験装置
RU31892U1 (ru) Система коммутации
JPH0223761A (ja) 交換機試験用の擬似呼発着信装置
KR20060064079A (ko) 사설 교환기의 호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JPS63151197A (ja) ボタン電話装置
JPH05292562A (ja) 電話交換機
JPS62199196A (ja) 平衡回路網の設定方式
JPH02260746A (ja) 応答装置
JPS63220643A (ja) 擬似呼試験装置
KR20030001760A (ko) 디지털라인 진단기능이 구비된 키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H0514497A (ja) 電話回線切替試験装置
JPH03265261A (ja) 通話路設定試験装置
JPH033585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02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