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252Y1 - 스폰지 어깨패드의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스폰지 어깨패드의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252Y1
KR900003252Y1 KR2019870001440U KR870001440U KR900003252Y1 KR 900003252 Y1 KR900003252 Y1 KR 900003252Y1 KR 2019870001440 U KR2019870001440 U KR 2019870001440U KR 870001440 U KR870001440 U KR 870001440U KR 900003252 Y1 KR900003252 Y1 KR 9000032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nge
knife
feeding
frame
ai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14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5613U (ko
Inventor
장길현
이성윤
Original Assignee
장길현
이성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길현, 이성윤 filed Critical 장길현
Priority to KR20198700014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3252Y1/ko
Publication of KR8800156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56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2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2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6Shoulder-pads; Hip-pads; Bus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B26D5/22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having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mechanically connec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폰지 어깨패드의 가공장치
제1도는 본고안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고안의 일부 생략 평면도.
제3도는 본고안 스폰지 공급부의 회동구조도.
제4도는 본고안 스폰지 공급부의 측면도.
제5도는 본고안 스폰지 공급부의 단면도.
제6도는 본고안 스폰지 공급부의 작용평면도.
제7도는 본고안 나이프 작동체의 설치도.
본고안은 스폰지 어깨패드의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로울러에 이송벨트를 권착시킨 상, 하 후레임을 폭과 높이가 가변되는 측벽으로 일체화하여 스폰지 조출공간을 이루게 하고 상기 상, 하 후레임의 주동 로울러에는 그 양단에 각각 라쳇기어를 측설하여 에어실린더의 피스톤에 탄설된 체인을 상, 하에 걸쳐 기어링(Gearing)하고 상기 후레임의 저면에는 피봇(Pivot)을 축지구성하고, 다른 에어실린더로서 장치 전체를 일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하는 스폰지 조출기틀과, 이와같은 스폰지 조출기틀의 전방에 위치하되 벨트상의 나이프를 회동시키는 모터와 롤(Roll)을 구성하고, 평형상태를 유지하는 추를 가지며 일측 축단은 스폴라인(Spline)상으로 에어실린더의 피스톤에 랙(Rack)상태로 치합시켜서 되는 나이프 작동체로 이루어져, 스폰지 조출기틀로부터의 스폰지를 회동되는 나이프 작동체로 절삭 가공하는 스폰지 어깨패드의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알려진 동종류의 장치로는 한국특허공고번호80-1497호(명칭 : 양복용 어깨받침의 제조방법)가 공지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장치는 첫째, 스폰지의 좌, 우 두께를 조절하기 위하여 조출기를 전방에서 수개의 구동간을 직각으로 연결하여 이 구동간을 밀거나 당겨서 조출기틀을 좌, 우 회동토록 하는 것이었으나, 좌, 우 회동각도가 한정되거나, 고장율이 높은 문제점이 있고, 둘째, 나이프의 작동구조는 수평상의 회전풀리에 편심되게 나이프를 구성하여서 되는 것으로 나이프가 직접 회동되면서 전, 후진되므로 나이프가 빈번히 부러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셋째, 스폰지를 밀어내기 위한 조축기틀의 공급수단이 전연 제시되어 있지 않아 반복적인 수동조작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조출기틀 자체적으로 스폰지를 일정길이 밀어내는 수단이 필요로 되고, 동시에 그와같은 조출기틀의 좌, 우 회동수단을 새로이 하면서도 그 회동각도를 임의로 조절가능하여 스폰지 패드의 절삭 두께를 조절가능토록함이 필요로 되고, 절삭 나이프가 쉽게 절단되지 않는 새로운 수단이 필요로 된다.
본고안은 스폰지 이송거리를 조절가능하게하는 스폰지 이송수단이 부여된 조출기틀을 새로이 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으며 더불어 이와같은 자체적인 스폰지 조출수단이 강구된 조출기틀을 좌, 우 회동시킴에 있어 좌, 우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가능케 하는 회동수단을 새로이 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으며 특히, 본 고안은 스폰지 절삭시의 나이프 작동수단을 새로이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고안은 두 개의 로울러에 이송벨트를 권착시킨 상, 하 후레임을 폭과 높이가 가변되는 측벽으로 일체화하여 스폰지 조출공간을 이루게하고, 상기 상, 하 후레임의 주동로울러에는 그 양단에 각각 라쳇기어를 축설하여 에어실린더의 피스톤에 탄설된 체인을 상, 하에 걸쳐 기어링(Gearing)하고, 상기 후레임이 저면에는 피봇을 축지구성하고, 다른 실린더로서 장치 전체를 일정각도 회동가능하게하는 스폰지 조출기틀과, 이와같은 스폰지 조출기틀의 전방에는 벨트상의 나이프를 회동시키는 모터와 롤을 구성하고, 평성상태를 유지하는 추를 가지며 일측 축단은 스풀라인상으로 에어실린더의 피스톤에 랙상태로 치합시켜서 되는 나이프 작동체로 이루어져 스폰지 조출기틀로부터의 스폰지를 회동되는 나이프 작동체로 절삭 가공하는 것이다.
첨부도면에 따라 그 실시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고안은 전체적으로 스폰지 조출기틀(A)과 나이프작동체(B)로 구성된다.
스폰지조출기틀(A)은 상, 하 후레임(1)(1')을 측벽(2)(2')에 의하여 지지구성하고 그 측벽(2)(2')에는 이 상, 하 후레임(1)(1')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구(3)(3')가 좌, 우 측벽(2)(2')에 각각 구성되고, 각각의 상, 하 후레임(1)(1')에는 좌, 우 간격 조절구(4)(4')가 구성되며 후레임(1')의 전방으로 받침판(5)이 연설되어 있으며 각각의 후레임(1)(1')에는 벨트(6)(6')가 권착된 두 개의 로울러(7)(7')(7'')(7''')가 각각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좌, 우 측벽(2)(2')에는 체인(8)의 일측을 지지하고 이체인(8)의 타단은 상, 하 후레임(1)(1')각각의 축기어(9)(9')를 역S자 형태로 걸은 뒤 에어실린더(10)의 피스톤(11)에 연결된다.
이 피스톤(11)의 직하방에 피스톤(11)의 작동간격을 제어하는 조절구(13)가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상, 하 후레임(1)(1')전체는 후레임(1')의 저면에서 그중심이 피봇(14)상에 축지되어 회동가능케 되며 이때의 회동은 후레임(1')의 저면에 일체로된 작동암(12)을 별도의 에어실린더(10')의 피스톤(11')이 밀거나 당김으로써 이루어지며 그 회동각도는 각도조절구(13')(13'')에 의하여 한정된다.
본고안은 이와같은 스폰지 조출기틀(A)을 여러대 병설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나이프 작동체(B)의 나이프(15)길이에 따라 댓수가 정해진다.
나이프 작동체(B)는 후레임(16)내에 공동롤(Roll)(17)(17')(17'')과 주동롤(19)이 구성되어 나이프(15)를 권착하며 나이프(15)는 후레임(16)의 객구공간(20)을 가로지르게 된다.
이때의 나이프(15)는 벨트상의 나이프로서 롤(17)(17')(17'')(19)에 의하여 회동되는 구조이고 주동롤(19) 축상에 소형모터(18)가 장치되어 있다.
이와같은 나이프 구동수단을 구성한 작동체(B)는 전체적으로 일측으로 편심되어 축지되며 일측에는 축(21)일체의 작동체(B)를 일정각도 정역회동시키는 수단이 장치된다.
이것은 축(21)의 일단을 스풀라인상으로 구성하여 에어실린더(22)의 피스톤(23)단부에 형성된 랙(24)에 치합접동시켜서 된다.
미설명부호 25은 스폰지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고안은 스폰지(25)가 스폰지 조출기틀(A)의 상, 하 후레임(1)(1')사이로 공급되면서 나이프작동체(B)가 이 스폰지(25)를 상, 하로 절삭케 되는 것으로 회동되는 나이프(15)에 의하여 스폰지(25)는 곡면으로 절단된다.
이때 스폰지(25)의 공급이 항시 일정하게 공급된다면 절삭되는 두께 역시 항시 일정하게되나, 스폰지 조출기틀(A)전체는 후레임(1')저면의 피봇(14)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정, 역회동되기 때문에 절삭되는 스폰지는 항시 일측은 두껍고, 일측은 가늘게 절삭된다.
특히, 이와같이 삼각형상으로 절삭되면서도 상, 하면에서 만곡되지만 스폰지(25) 자체의 탄력으로서 그 만곡면이 좌, 우 횡방향으로도 곡선을 이룰 수 있다.
본고안은 상, 하틀(1)(1') 각각의 후방로울러(7)(7')축단부에 구성된 기어(9)(9')를 실린더(10)의 피스톤(11)에 연결된 체인(8)에 의하여 일정각도씩 회동시킴으로써 로울러(7)(7')를 동시에 회동시킬 수 있다.
이때 최초 로울러(7)(7')의 회동력은 상기 일측 실린더(10)에 의하여 가해진 접촉로울러(가)쪽에서는 정상으로 스폰지(25)를 접촉 이송시키나 반대쪽 노출로울러(나)쪽에서는 스폰지(25)와의 접촉면에서 슬립이 일어나 거의 이송이 없게 된다. (실제로 이송벨트(6)의 이송거리 정도와 동일하게 이송됨) 따라서, 이순간의 스폰지(25)절삭상태는 측면에서보면 만곡면을 이루고, 평면상태에서는 일측이 심하게 만곡면서 타측으로 꼬리를 이루듯이 절삭가공된다.
다시 이와같은 절삭상태에서 스폰지 조출기틀(A)전체는 반대로 일정각도 회동됨과 동시에 다른측벽(2')쪽의 실린더(10)가 작동되어 접촉 도롤러(나)쪽이 순간 회동되어 스폰지(25)의 정상 공급과 동시에 회동되는 쪽으로 스폰지(25)를 일정거리 강하게 이송시키며 그순간 다른 접촉로울러(가)쪽은 슬림현상으로 이송이 거의 없게 된다.
따라서, 일정하게 원호를 그리면서 밑에서 위로 절삭되는 나이프(15)가 탄력을 갖고 이송된 스폰지 선단을 절삭함으로써 상기와 반대방향의 스폰지 패드가 가공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고안은 종래 공지된 양복솜 어깨받침 장치가 갖는 구조적 결함을 개선하여 스폰지 이송거리를 조절가능하게 하는 스폰지 이송수단이 새로이 제안되었으며 더불어 스폰지 조출기틀 전체는 좌, 우 회동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스폰지의 두께조절이 자유롭게 되었으며 나이프 작동수단을 새로이 하여 절삭면이 만곡되게 절삭됨과 아울러 나이프의 절단이 거의 없는 나이프 작동수단을 제공하케 되는 것이다.

Claims (1)

  1. 두쌍의 로울러(7)(7')(7'')(7''')에 이송벨트(6)(6')를 권착시킨 상, 하 후레임(1)(1')을 폭과 높이가 가변되는 측벽(2)(2')으로 일체화 하여 스폰지 조출공간을 이루게하고, 상기 상, 하 후레임(1)(1')의 주동로울러(7)(7')에는 그 양단에 각각 라쳇기어(9)(9')을 축설하여 에어실린더(10)의 피스톤(11)에 탄설된 체인(8)을 상하에 걸쳐 기어링하고, 상기후레임(1)(1')의 저면에는 피봇(14)을 축지 구성하여 다른 에어실린더(10')로서 장치를 회동가능케하는 스폰지 조출기틀(A)과, 이와같은 스폰지 조출기틀(A)의 전방에 위치하되 벨트상의 나이프(15)를 회동시키는 모터(18)와 롤(19)(17)(17')(17'')을 구성하고, 일측축단은 스풀라인 상으로 에어실린더(22)의 피스톤(23)에 랙 상태로 치합시켜서 일정각도 반복회동되어 상기조출기틀(A)로부터의 조출스폰지를 절삭하는 나이프작동체(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폰지 어깨패드의 가공장치.
KR2019870001440U 1987-02-11 1987-02-11 스폰지 어깨패드의 가공장치 KR9000032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1440U KR900003252Y1 (ko) 1987-02-11 1987-02-11 스폰지 어깨패드의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1440U KR900003252Y1 (ko) 1987-02-11 1987-02-11 스폰지 어깨패드의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5613U KR880015613U (ko) 1988-10-06
KR900003252Y1 true KR900003252Y1 (ko) 1990-04-20

Family

ID=19259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1440U KR900003252Y1 (ko) 1987-02-11 1987-02-11 스폰지 어깨패드의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325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5613U (ko) 1988-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4702B1 (ko) 크로와쌍의 제조장치 및 방법
KR950011575B1 (ko) 충전물을 가지는 롤빵 제조장치
EP0211669A1 (en) Apparatus for continuously stretching dough
US5720990A (en) Food sheeter
US4811688A (en) Thermographic printing machine for a roller-supported continuous web
KR900003252Y1 (ko) 스폰지 어깨패드의 가공장치
US4934621A (en) Device for continuously feeding a web of material from a stock roll
JP3412128B2 (ja) 自動巻き寿司製造装置
JPS61277559A (ja) シート材積重ね機械
JP3777724B2 (ja) シート分割巻取装置
JP2004026351A (ja) 搬送装置
US3148416A (en) Mean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back drafting rolls on a drawing frame
GB2377154A (en) Food dough rolling apparatus
US3880548A (en) Ink pump
KR900003251Y1 (ko) 스폰지 어깨패드의 가공장치
US1357460A (en) Sheet-feeding machine
CN216105012U (zh) 一种烫金面料的转移膜分离装置
JPH0454897Y2 (ko)
JPS6251854B2 (ko)
EP0241606A1 (en) Spreading machine
CN211306487U (zh) 进料滚动式压纸装置
JP2664615B2 (ja) 合紙の供給装置
JPH0643074Y2 (ja) シートの押え装置
US1630707A (en) Sheet feeder
KR20070111134A (ko) 플로터의 원단 장력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5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