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113Y1 - 고주파 가열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 가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113Y1
KR900003113Y1 KR2019900001541U KR900001541U KR900003113Y1 KR 900003113 Y1 KR900003113 Y1 KR 900003113Y1 KR 2019900001541 U KR2019900001541 U KR 2019900001541U KR 900001541 U KR900001541 U KR 900001541U KR 900003113 Y1 KR900003113 Y1 KR 9000031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otating plate
oven
rotation
roll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15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우끼 아오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918757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66396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to KR20199000015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31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1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1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05B6/6411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the supports being rotat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4Mode transformers or mode stirr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주파 가열장치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도는 전자레인지의 종단 정면도.
제2도 전자레인지의 회전구동기구를 확대한 종단정면도.
제3도 전자레인지의 로울러 호울더의 평면도.
제4도 전자레인지의 회전 접시의 저면(底面)도.
제5도는 전자레인지의 작용설명도.
제6도 및 제7도 본 고안의 로울러 호울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8도 내지 제10도는 종래의 전자레인지의 종단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오븐 25 : 모무터(회전구동기구)
27 : 회전접시 26 : 로울러 호울더
29 : 끼워 맞춤부 35, 45 : 로울러
42 : 안내부 4 : 미끌어져 움직이는 면
본 고안은 오븐안에 피가열물을 올려 놓은 회전접시를 구비한 고주파 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레인지등 고주파 가열장에 있어서, 피가열물을 높은 효율로 또한 균일하게 가열시키기 위하여 오븐안에 회전접시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제8도는 종래의 전자레인지의 회전 접시구동기구를 도시한 것으로 "1"은 오븐. "2"은 회전접시이다.
오븐(1)의 바닥에는 구동가구를 구성하는 모우터(3)가 설치되고, 이 회전축(4)에서는 전달축(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오븐(1)의 바닥면에는 로울러 지지판(6)에 축받이한 여러개의 로울러(7)가 설치되어 전술한 회전접시(2)를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하고 있다.
이 회전 접시(2)에는 전술한 전달축(5)과 걸어 맞추는 걸이 맞춤부(8)가 설치되어 전달축(5)의 회전력에 의해서 회전접시(2)가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로울러 지지판(6)이 오븐(1)의 바닥면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로울러 지지판(6)을 떼어낼수 없다.
따라서 오븐(1)안을 청소할때 로울러 지지판(6)이 방해가 되어 구석구석까지 청소할 수 없다.
따라서 전술한 로울러 지지판(6)주위에 식품의 국물이나 찌꺼기가 쌓이기 쉬우므로 비위생적이다.
그래서,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4)에 금속등의 전파반사 부재로 된 회전판(9)을 걸어 맞추어 설치하고 이 회전판(9)의 윗면에 내열 유리재의 전파 투과부재로 된 회전 접시(2)를 올려 놓은 것도 있다.
이것이 오븐(1)의 바닥면에 로울러 지지판(6)등의 튀어 나온 것도 없고 회전 접시(2)도 자유롭게 붙이고 뗄수 있으므로 청소능률이 대폭적으로 향상되었다.
그러나 제9도의 경우, 피가열물의 중량을 모우터(3)의 회전축(4)만으로 지지하고 있으므로 회전축(4)을 축받이 축수(軸受) (10)(11)를 튼튼하게 구성시킬 필요가 있어서 가격상승의 원인이 된다.
또한, 회전판(9)을 자유롭게 붙이고 뗄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회전축(4)과 걸어 맞추는 회전판(9)의 걸어 맞춤부(12)에 틈새를 둘 필요가 있으며, 피 가열물을 회전 접시(2)의 가장자리에 놓았을 경우, 전술한 틈새만큼 회전 접시(2)가 기울어 회전할때의 원심력과 어우러져 피가열물의 회전 중에 오븐의 벽면에 접촉되는 일이 있으며, 또한 축수(軸受)(10)(11)의 부분적인 마모가 발생한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제9도의 경우, 회전 접시(2)와 회전판(9)이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하므로 오븐(1)안의 전계(電界)가 식품에 대하여 그다지 변화하지 않으며 식품에의 전파를 흡수 특성도 좋지 않으며, 가열 효율도 나쁘다.
또한, 식품이 균일하게 가열되지 않아서 맛있는 가열조리를 만들 수 없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븐(1)의 바닥면과 회전접시(2)사이에 여러개의 로울러(12)를 축받이한 로울러 호울더(13)를 끼워서 장착한 것도 알려져 있다.
이것은 모우터(3)이 회전축(4)의 회전이 전달축(5)을 통하여 로울러(12)에 지지되어 있는 회전접시(2)에 전해 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접시(2) 및 로울러 호울더(13)는 자유롭게 붙이고 뗄수 있으며, 청소능률도 좋고 회전접시(2)의 구동기구도 구조적으로 간단하다.
그러나 전술한 각 로울러(12)는 회전접시(2)의 회전에 따라 오븐(1)의 바닥면 사이를 연동(連動)회전할 뿐이다.
이로 인하여 오븐(1)의 바닥면에 식품찌꺼기가 쌓여서 고형화된 경우나 먼지가 부착되었을 경우 전술한 로울러(12)의 회전 구동력이 약하므로 고형물이나 먼지에 의해 회전이 지지되어 정지해 버리는 일이 있다.
로울러(12)가 정지하면 회전접시(2)는 로울러(12)위를 슬립(slip)하면서 회전하거나 하지만, 이와 같은 상태가 계속되면 모우터(3)가 지나친 부하(負荷)상태가 되어 모우터(3)의 회전이 정지되어 버리는 일이 있다.
따라서 오븐(1)의 바닥면을 자주 청소하여서 고형물이나 먼지등의 부착물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술한 제10도의 경우, 로울러 호울더(13)가 회전접시(2)의 회전수에 대하여 약 1/2로 되어 있는데, 형상이 링(ring)형상을 하고 있으며, 또한 수지등의 유전체(誘電體)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파의 확산, 교반작용이 없으며 가열효율도 나쁘며 식품이 고르게 가열되지 않는다는 결점이 있다
더구나, 회전접시(2)가 회전하면 이에 따라 로울러 호울더(13)도 회전하지만 이 로울러 호울더(13)의 회전이 어긋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을 회전접시(2)에 형성한 링형상의 튀어 나온 곳(13a)과 오븐(1)의 바닥에 형성한 들어간곳(1a)이다.
이와 같은 경우, 로울러 호울더(13)가 회전중심이 어긋났을때, 튀어나온곳(2a)이나 들어간곳(1a)에 접속하여 로울러 호울더(13)자체를 회전 중심의 위치로 되돌리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지만, 회전의 중심으로 부터 먼곳, 즉 로울러(12)부분은 회전토오크(torque)가 약해서 접촉에 의해 회전접시(2)의 토오크가 약해지고 정상적인 회전을 할수 없게 된다거나 튀어나온 곳(2a), 오목한 곳(1a)에 식품찌꺼기가 먼지가 부착된 경우 토오크가 약하므로 로울러 호울더(13)의 회전이 방해되어 회전접시(2)가 돌지 않게 되는 일이 있었다.
또한, 식품을 회전접시(2)위에 놓고 로울러 호울더(13)에 올려 놓은 경우, 그 위치 결정이 튀어나온곳(2a)와 전달축(5)을 걸어 맞춤부 두군데이며 끼워 맞추기 어렵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각 종래예의 회전구동기구에 회전축(1)에 기어(gear)(14)(15)를 통하여 감속기구를 설치하고, 기어(15)에 캠(16)을 형성시키고 있다.
그리고, 그 캠(16)으로 마이크로 스위치(17)의 통단전(通斷電)ON,OFF을 하고 고주파의 출력을 낮추어서 해동(解凍)조리나 끊이는 조리를 할수 있는 것도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전자레이지의 회전 접시(2)의 회전수는 가열 효율의 향상 및 가열이 균일하지 않은 것을 줄이므로서 얻어져서 약 6-8rpm(7.5-10초/1회전)이 보통이다.
한편, 약(弱) 출력은 보통 출력의 약 50-40% 상당이며 기어(15)의 회전수를 약반감(약 3-4 rpm 15-20초/1회전), 캠(16)이 회전되어 마이크로 스위치(17)가 on,off 된다.
약 출력을 통상의 50%가 되도록 캠면을 형성시키면 마이크로 스위치(17)의 ON시간은 7.5-10초, OFF시간도 7.5-10초가 되며 이것을 반복하므로 출력을 낮출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직접 회전축(4)에 캠면(16)을 설치하면 주기가 7.5-10초로 약출력의 ON시간은 약 3.8-5초가 되며 고주파가 방사되는 시간이 너무나도 짧아서 맛있는 해동요리나 끊이는 조리를 할수 없으며, 또한 마이크로스위치(17)의 ON,OFF회수도 배가하여 수명이 저하된다.
따라서, 기어(14)(15)등의 감속기구가 필요하게 되어 구조가 복잡하며 가격상승의 원이이 되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항 사정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하는 바로서는 오븐안의 청소 능률의 향상을 도모하는 동시에 간단한 구조이면서 회전접시를 용이하게 붙이고 뗄 수 있으며 더구나 가열 효율의 향상과 가열이 균일하게 되지 않는 것을 감소시킬수가 있으며 또 회전접시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수 있는 고주파 가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회전구동기구에 의해서 회전하는 로울러 호울더를 오븐의 바닥면과 회전접시 사이에 끼워서 장착하고, 이 로울러 호울더에 회전접시 회전중심을 규제하는 끼워맞춤부를 설치하고, 또한 이 로울러 호울더에 오븐의 바닥면을 전동하면서 전술한 회전접시에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여러개의 로울러를 설치하는 동시에 전술한 끼워 맞춤부와 끼워 맞추는 회전접시의 안내부를 여러개로 분할한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겠다.
제1도중(21)은 고주파 가열장치의 본체이며, (22)는 오븐이다.
이 오븐(22)의 바닥에는 개구부(開口部)(23)가 설치되고 이 개구부(23)와 대향하는 하부에는 부착판(24)이 설치되어 있다.
이 부착판(24)에는 회전 구동기구를 구성하는 모우터(25)가 부착되고 이 회전축(26)은 전술한 개구부(23)를 관통하여 오븐(22)안의 바닥으로 튀어나와 있다.
한편, "27"은 피가열물을 올려 놓는 회전 접시이며 내열유리 플라스틱등의 전파투과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전접시(27)와 전술한 오븐(22)의 바닥면 사이에는 로울러 호울더(28)가 자유롭게 붙이고 뗄수있도록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이 로울러 호울더(28)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파를 반사하기 쉬운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즉, "29"는 윗면에 보스(boss)형상으로 설치되어 회전접시(27)의 안내부와 끼워 맞추는 끼워 맞춤부, "30"은 아래면에 튀어 나온 원통부로서, 이 원통부(30)에는 전술한 회전축(26)의 앞끝부분의 핀(pin)(31)과 걸어 맞춤부(3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걸어맞추는 곳(32)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여러개, 예를 들면 네 개의 로울러 지지막대(33)가 일체적으로 뻗어나와 있으며, 전파교반부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지지막대(33)의 앞끝의 절곡부에는 로울러 축(34)을 통해 로울러(35)가 자유롭게 회전할수 있도록 축방이 되어 있다.
따라서, 이 로울러 호울더(28)에 지지된 로울러(35)는 전술한 오븐(22)의 바닥면과 회전접시(27)의 아래면사이에 끼워져 장치되어 회전하는 로울러 호울더(28)의 회전에 따라 로울러(35)는 오븐(22)의 바닥면을 전동하고, 그 회전을 회전접시(27)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로울러(35)와 접촉하는 오븐(22)의 바닥면과 회전접시(27) 아랫면의 호울더 접촉면(36)(37)은 링궤도(38)(38)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모우터(25)의 회전축(26)에는 캠(40)이 끼워 붙어지고, 이 캠면에는 마이크로 스위치(41)가 접촉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회전접시(27)의 윗면과 오븐(22)의 바닥면의 틈새는 전파주파수 2450MHz의 대략λ/4 약(30.5㎜)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회전접시(27)의 바닥에 설치되어 로울러 호울더(28)의 끼워맞춤부(29)와 끼워맞추는 안내부(42)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환돌기(原環突起)를 여러개 예를 들면 3분할하므로써, 형성되고, 각 원호(圓弧)안내부(43)의 안둘레면에는 미끌어져 움직이는 면(4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미끌어져 움직이는 면(44)은 로울러 호울더(28)가 회전접시(27)의 1/2속도로 회전하므로 미끌어지기 쉽도록 원활하게 마무리 되어있다.
또, 회전접시(27)의 로울러 접촉면(37)은 로울러(35)로 부터의 구동력을 회전접시(27)로 전달시키기 위하여 거칠은 면으로 하여 마찰력을 크게하고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실시에의 작용을 대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모우터(25)에 전기를 통하게 하여, 회전축(26)은 소요된 회전수(예를 들면 3rpm)로 회전되고, 이 회전이 핀(30)을 통하여 로울러 호울더(28)에 전달된다.
로울러 호울더(28)가 회전하면 이 회전력에 의해서 로울러(35)가 오븐(22)의 바닥면 위를 전동한다.
로울러(35)가 전동하면 이 로울러(35)에 접촉하고 있는 회전 접시(27)로 회전력이 전달되어 로울러 호울더(28)와 같은 방향으로 로울러 호울더(28) 회전수의 2배(6rpm)로 회전한다.
즉,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초 A위치에 있었던 로울러(35)가 반회전하여서 B 위치에서 a만큼 나아가면, 회전접시(27)는 A위치의 로울러(35)와 접하는 X위치로부터 거리a만큼 뒤쪽의W위치 부분이 이동되어 Y위치에 온다.
따라서, 로울러(35)가 반회전하면 거리a만큼 로울러 호울더(28)가 진행되고, 회전접시(27)는 W위치에서 Y위치 2×a만큼 이동한다.
1회전하면 로울러(35)는 A-C로 b만큼 진행되고, 회전 접시(27)는 V-Z위치로 이동하며, 로울러 호울더(28)와 같은 방향으로 2배의 회전수로 회전한다.
이때 회전축(26)에 끼워 붙여져 있는 캠(40)은 회전축(26)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3rpm)하고, 캠면에 의해서 마이크로 스위치(41)가 ON,OFF된다.
이때, 약 출력을 통상출력의 50%로 하면 ON시간은 10초, OFF시간도 10초(주기 20초)가 된다.
이때, 회전접시(27)의 회전은 로울러(35)로 부터 회전구동력이 부여되는데 그 회전 중심은 끼워 맞추는부(29)와 안내부(42)에 의해서 규제되고 있으므로 토오크가 강하여 정상적인 회전을 할수 있으며 또한 끼워맞춤부(29) 및 안내부(42)는 회전접시(27)의 아래쪽에 있으므로 식품찌꺼기나 먼지가 부착되지 않아서 원활한 회전을 할수 있다.
게다가 전술한 안내부(42)는 여러개로 분할되어 있으므로 피가열불이 가열되어서 회전접시(27)의 온도가 상승하고, 또한 걸어 맞춤부(29)와 안내부(42)의 속도차에 의해서 마찰열이 발생해도 각 원호 안내부(43)의 틈새로 부터 방열 하여 온도 상승을 방지할수 있다.
또한, 안내부(42)는 회전접시(27)의 아래쪽에 있으므로 식품찌꺼기나 먼지등이 부착되기 어렵게 되어 있으나, 만일 부착되어도 회전에 따라서 원호 안내부(43)로 부터 밀려나와서, 원활한 회전을 할수 있다.
또한 전술한 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로울러(33)와 접촉하는 오븐(22)의 바닥면 및 회전접시(27)의 아랫면에 로울러 접촉면(36)(37)을 링궤도(38)(39)에 형성하였으므로 식품 찌꺼기나 먼지가 쌓여도 제거하기 쉬워서 청소능률이 향상되어 정상적인 회전을 기대할수 있으며, 또한 식품의 중량을 오븐 (22)의 바닥면의 전면으로 분산시키기 쉬우며, 잘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안정된 전계속에서 가열조리를 할 수 있다.
또, 전술한 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로울러 호울더(28)를 대략 십자(十字)형상으로 형성하여 여러개의 로울러 지지막대(33)를 설치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았으며, 제6도 또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해도 좋다.
즉, 제6도는 로울러 호울더(42)를 원판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바깥둘레 가장자리의 플랜지(flange)부(43)에 같은 간격으로 네 개의 로울러측(44)을 튀어 나오게 설치하고 이들 로울러측(47)에 로울러(48)를 자유롭게 회전할수 있도록 축받이 한 것이다.
또한, 제7도는 로울러 호울더(46)를 원판형상으로 형성하여 그 판의 면에 여러개의 개구창(開口窓)을 형성하여 전파교반부(51)를 형성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회전구동 기구의 구동력을 로울러 호울더에 전달하고, 이 회전력으로 로울러를 오븐의 바닥면에 의해 식품찌꺼기가 먼지에 부착되어 있어도 로울러는 이것들을 타고 넘어서 전동하고, 원활하게 회전한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오븐의 바닥면을 자주 총소할 필요가 없어서 청소능률이 대폭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로울러 호울더에 회전접시의 회전중심을 규제하는 끼워 맞춤부를 설치하고, 회전접시에 전술한 끼워 맞춤부에 끼워 맞추는 안내부를 여러개 분할하여 설치하였으므로, 회전접시의 온도상승, 끼워 맞춤부의 마찰열이 발생해도 방열효과에 따라 온도상승을 억제할수 있다.
또한, 회전중에 식품찌꺼기나 먼지가 틈새로 부터 밀려 나와서 청소하는 번거로움을 생략할수 있는 동시에 원활한 회전이 유지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오븐안에 피가열물을 올려 놓은 전파투과성 재질로 만들어진 회전 접시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전술한 오븐의 바닥면과 회전 접시 사이에 붙이고 뗄수 있도록 부재 사이에 장착되어 회전 접시의 회전중심을 규제하는 끼워 맞춤부를 설치한 로울러 호울더와 이 로울러 호울더에 자유롭게 회전할수 있도록 축받이 되어 전술한 오븐의 바닥면을 전동하면서, 전술한 회전접시에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여러개의 로울러와 전술한 오븐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전술한 로울러 호울더의 걸어 맞춤부와 걸어 맞추어서 로울러 호울더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회전구동 기구를 구비한 고주파 가열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회전접시의 바닥에 각각 전술한 끼워 맞춤부와의 미끌어져 움직이는 면을 형성하는 여러개의 안내부를 서로 이격시켜서 고리 형상으로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가열장치.
KR2019900001541U 1984-09-07 1985-07-29 고주파 가열장치 KR9000031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1541U KR900003113Y1 (ko) 1984-09-07 1985-07-29 고주파 가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187574 1984-09-07
JP59187574A JPS6166396A (ja) 1984-09-07 1984-09-07 高周波加熱装置
KR1019850005501A KR860002695A (ko) 1984-09-07 1985-07-29 고주파 가열장치
KR2019900001541U KR900003113Y1 (ko) 1984-09-07 1985-07-29 고주파 가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5501A Division KR860002695A (ko) 1984-09-07 1985-07-29 고주파 가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113Y1 true KR900003113Y1 (ko) 1990-04-14

Family

ID=27325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1541U KR900003113Y1 (ko) 1984-09-07 1985-07-29 고주파 가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311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1379A (en) High-frequency heating device having rotatable tray and high frequency wave agitator
KR930002731B1 (ko) 고주파 가열장치
CA2028334C (en) Heating cooking appliance
KR900003113Y1 (ko) 고주파 가열장치
KR930007512B1 (ko) 가열조리장치
US4501945A (en) Microwave oven provided with turntable
US4131778A (en) Microwave oven
KR900000668B1 (ko) 고주파 가열장치
KR900003112Y1 (ko) 고주파 가열장치
KR870004168Y1 (ko) 고주파 가열장치
JPS6166396A (ja) 高周波加熱装置
KR900000667B1 (ko) 고주파 가열장치
JPS6166395A (ja) 高周波加熱装置
JPH0546079B2 (ko)
JPS60225395A (ja) 高周波加熱装置
KR900000727Y1 (ko) 전자레인지의 균일 가열장치
JPH09119651A (ja) 電子レンジのターンテーブル駆動装置
KR930002732B1 (ko) 고주파 가열장치
KR200193607Y1 (ko) 전자렌지
KR100423151B1 (ko) 전자렌지용 트레이 회전장치
KR100233042B1 (ko) 전자 레인지의 회전 접시 구동장치
KR880001574Y1 (ko) 전자 레인지의 바베큐 요리용 회전장치
KR200193959Y1 (ko) 전자렌지의 조리용 회전접시
KR19990023542U (ko) 전자렌지용 트레이
KR870003280Y1 (ko) 전자레인지의 상하승강식 턴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