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080Y1 -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 - Google Patents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080Y1
KR900003080Y1 KR2019860021005U KR860021005U KR900003080Y1 KR 900003080 Y1 KR900003080 Y1 KR 900003080Y1 KR 2019860021005 U KR2019860021005 U KR 2019860021005U KR 860021005 U KR860021005 U KR 860021005U KR 900003080 Y1 KR900003080 Y1 KR 9000030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guide
guide roller
cylinder portion
inner cylinder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210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507U (ko
Inventor
고우이찌 가세
히로미 사오도메
Original Assignee
다이이찌 세이꼬 가부시끼 가이샤
요꼬다 마꼬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314085U external-priority patent/JPH067468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616906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33570Y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찌 세이꼬 가부시끼 가이샤, 요꼬다 마꼬도 filed Critical 다이이찌 세이꼬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05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5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0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0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05Guiding record carrier without displacing the guiding means

Landscapes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
제1도는 종래의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의 한예를 나타낸 일부 파절단면 사시도.
제2도는 및 제3도는 종래의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의 서로다른 그밖의 예를 각각 나타낸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관한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파절단면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관한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관한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파절단면 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에 관한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파절단면 사시도.
제8도는 본 고안에 관한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파절단면 사시도.
제9a도 및 b도는 본 고안에 관한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파절단면 사시도 및 중앙횡단면도.
제10도는 본 고안에 관한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의 제7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파절단면 사시도.
제11도는 본 고안에 관한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의 제8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파절단면 사시도.
제12도는 본 고안에 관한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의 제9실시예를 나타낸 종 단면도.
제13도 내지 제17도는 제12도의 실시예에 사용될수 있는 중추의 각종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18도는 본 고안에 관한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의 제10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19도는 본 고안에 관한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의 제11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20도는 본 고안에 관한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의 제12실시예를 나타낸 종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통부 2 : 내통부
3 : 연결부 4,6 : 돌기
w :중추
본 고안은 비디오 데크등에 조립되어 테이프의 주행을 안내하기 위한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종류의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는 크기가 사용목적에 따라서 요구되는 정밀도는 다르나 대략적으로 테이프 가이드면의 높은 전원도와 3-30μ의 범위에 들어가는 회전 진동 정밀도가 요구된다. 종래의 이와 같은 종류의 테이프 가이드 로울로서 제1도 내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의 것이 제안되어 있다.
즉, 제1도에 나타낸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는 테이프 가이드면(1a)이 있는 외통부(1)와 비디오 데크등의 본체 위에 식설된 지지축에 회전할수 있도록 지지되는 내통부(2)와 이들을 연결하는 여러개의 방사형상으로 배치된 연결부(3)로 되어 있고 전체가 합성수지로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이와같은 성형은 사출성형등에 의해서 이루워지나 이 경우 용융된 수지는 내통부(2)의 외표면 또는 연결부(3)의 적절한 곳에 설치된 게이트를 거쳐서 주입된다. 이때 사출압은 장소에 따라서 다르며 수지의 흐름이 한결 같지 않으며 충전량이 장소에 따라서 다른 결과로 될뿐만 아니라 연결부(3)가 존재하므로 인하여 외통부(1)의 용융수거의 고화 속도가 장소에 따라서 다르며 따라서 수축 속도도 장소에 따라서 다른 결과가 되므로 각 부를 정밀도 좋게 형성하며 또한 외통부의 테이프 가이드 면을 평활하게 한다는 것은 곤란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진술한 바와같은 진원도와 회전진동 정밀도를 얻기 위하여 성형후 내통부(2)의 내부지름을 기준으로 해서 외통부(1)의 테이프 가이드면을 절삭 가공하는 있었다. 따라서 대량 생산은 어렵고 가격이 고가로 되지 않을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어서 제2도에 나타낸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는 금속제의 외통부(1)와 그 속이 비어있는 부분속으로 수지를 사출하므로써 형성되는 내통부(2)로 되어 있으나 그와 같은 구성의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는 제조할때는 외통부(1)를 미리 가열해 두지 않으면 안될뿐더러 이것을 성형용 금형내로 장착하는 작업이 번잡하므로 성형시의 소요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며 또한 외통부(1)의 형상에 맞추어서 성형용 금형을 제작하는 동시에 사출성형후 원하는 진원도와 면의조잡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외통부 외면을 재차 마무리 가공하지 않으면 안되며 또한 합성 수지의 특성으로 내통부(2)의 수축에 의해서 외통부와의 사이에 틈사이가 생겨 회전이 고르지 못한 것을 초래하는등의 불편이 있었다.
또한 제3도에 나타낸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는 통 형상의 중추(W)의 외부측과 내부측으로 수지를 사출해서 외통부(1)와 내통부(2)를 성형하므로써 만들어지나 이 경우 제조시에 중추(W)를 미리 가열해서 두지않으면 안될뿐만 아니라 중추(W)의 성형금형내로 장착잡업이 번잡하다는 불편이 있을뿐만 아니라 성형금형과 중추(W)가 동일온도로 유지되지 않을 경우는 외통부(1)의 외주면에 한쪽으로 쏠림이 생겨서 높은 진원도나 원통도가 확보될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진술한 바와 같은 각종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외통부 및 내통부가 높은 정밀도의 동심성과 진원도로서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될수 있도록 구성한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관한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는 외통부와 내통부가 그것들의 축방향 대략 중간 위치에 있어서 반지름 방향으로 뻗은 연결부에 의해서 동심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이 연결부의 사출 성형시의 게이트가 설치된다. 연결부에는 축방향으로 뻗은 여러개의 돌기가 설치되며 또한 연결부의 외통부와 내통부로 연결되는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있다. 전술한 돌기는 사출 성형시의 열탕이 머무는 곳으로 작용하며 각부호의 수지의 흐름을 균일하게 하고 또한 연결부의 외통부와 내통부의 연결부분의 두께를 얇게 하므로서 외통부의 외주면 및 내통부의 내주면에 있어서 한쪽으로 쏠림이 방지되며 전술한 외주면과 내주면의 진원도가 고정밀도로 유지된다. 또한 연결부는 탄성변형할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안내되야할 테이프에 의해서 외통부가 경사될 정도로 압력을 받았을 경우라도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는 항상 원활하게 회전되어 정상적인 테이프의 주행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원통부의 외부지름은 연결부로 향해서 서서히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이 내통부의 바깥쪽에 링 형상의 중추를 끼워 부착함으로써 외통부와 내통부에 의해서 구별되는 링형상의 공간내에 중추를 충전시킬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것으로 인하여 중추가 달린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의 치수에 정밀도를 높은 레벨로 유지할수 있으며 또한 이와같은 종류의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해서 전술한 종래의 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본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제1도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파절단면 사시도이나 도면중 (1)은 그 외주면(1a)이 테이프 주행중일 때의 테이프 접촉면(테이프 가이드면)을 이루는 두께가 얇은 원통형상으로된 외통부(2)는 축 구멍내주면(2a)이 있는 두께가 얇은 내통부, (3)은 외통부(1)와 내통부(2)를 축방향의 대략 중앙의 부분에서 결합되어 있는 고리모양의 연결부, (4)는 고리모양의 연결부, (4)는 고리모양의 연결부(3)의 한쪽의 면(도면에서는 윗쪽의 면3a)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외통부(1)보다 돌출되지 않는 길이로 뻗어 있는 돌기로서 여러개 설치 되어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는 이상과 같은 구조의 것으로서 이것일 사출 성형에 의해서 합성수지로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또, 성형시의 용융수지의 주입구인 게이트 위치는, 이 경우 연결부(3)의 부분의 돌기(4)와 반대쪽의 제4도에 부호(5)로 나타낸 부분이다.
또한 연결부(3)이 외통부(1)와 내통부((2)의 접합부분(3c,3d)은 연결부(3)의 다른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되어 있다.
본 고안의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는 이상과 같은 구조로서 돌기(4)의 반대쪽에 있는 게이트(5)로부터 수지를 주입함으로써 성형되므로 게이트(5)의 흔적등이 테이프 가이드면(1a)이나 내통부(2)의 내주면(2a)등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돌기(4)가 합성수지의 주입시에 열탕이 머무는 곳이 되어 사출압이 균일하게 되며 각부로의 합성수지의 충전이 균등하게 된다. 또한 접합부분(3c,3d)은 두께가 얇게 되어 있으므로 사출압이 이 부분에서 높아져서 외통부(1) 및 내통부(2)에는 고압으로 합성수지가 균등하게 충전 되므로 이 결과 진원도나 테이프 접촉면의 평면성이 높은 제품을 얻을 수 있게된다. 따라서 축구멍의 내주면(2a)에 대하여 동심의 테이프 가이드면(1a)이 있는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를 후가공없이 형설할 수 있다.
제5도는 본 고안의 제2의 실시예의 종 단면도이다. 이 제2의 실시예를 연결부(3)로 부터 뻗어있는 돌기(4)를 그 중앙부(4a)가 부풀은 형상으로된 점에서만 제1의 실시예와 서로 다른 것으로서 그밖의 부분은 제1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실시예와 같이 돌기(4)에 부풀은 것을 설치하고 또한 그 크기를 적절한 것으로 함으로서 성형시의 치수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를 증대 시키게 되는 동시에, 이 돌기(4)의 부풀음이 틀을 해체할때의 성형품을 금형에 고정하는 구실을 하고 제5도에 쇄선으로 표시한 게이트(5)의 성형품으로부터의 절단을 용이하게 한 것이다.
제6도는 본 고안의 제3도의 실시예의 일부 파절단면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는 제1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테이프 가이드면(1a)이 있는 외통부(1)와 내통부(2)와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3)로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연결부(3)의 양면(3a,3b)의 어느것에도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뻗은 돌기(4) 및 돌기(6)가 설치되어있다. 이 경우 연결부(3)의 윗면(3a)에 설치된 돌기(4)와 하면(3b)에 설치된 돌기(6)는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어긋나게 배치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것에 구애될 것은 없다.
이 제3의 실시예는 연결부(3)의 윗면(3a)에 설치된 돌기(4)의 정반대의 쪽 또는 하면(3b)에 설치된 돌기(6)의 정반대 쪽의 어느것인가에 게이트를 설치해서 사출성형을 함으로써 제1도의 실시예와 완전히 동일한 이유에 의해서 치수정밀도가 좋은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를 형성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구나 돌기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에 한하지 않으며 타원형, 다각형들 다른 형상이라도 물론 상관이 없다.
이상 제1내지 제3의 실시예에 의한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는 어느것이나 종래 예와 동일하게 샤프트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사용된다. 그리고 사용시에 테이프가 외주면(1A)에 접촉되어 주행될때에 테이프의 상하이동등에 의해서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에 의한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졌을 경우, 외통부(1), 내통부(2)와 연결부(3)를 접속하는 두께가 얇은 부분(3C,3D)은 완충수단으로 되어서 전술한 바람직하지 않은 압압력을 흡수하여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는 대략 정상적인 자세를 유지한다. 따라서 테이프의 주행이나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의 회전은 항상 양호한 상태를 유지된다.
이들은 실시예에 있어서 두께가 얇은 부분(3c,3d)의 두께(D)는 외통부(1)의 두께압(D2)의 1/3이하(D4 1/3D2)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7도는 본 고안의 제4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외통부(1)와 내통부(2)를 접속하는 연결부(3)는 그 중앙 부분이 한쪽으로 향해서 볼록형상으로 만곡된 부분으로 되어 있어서 이 만곡된 부분이 탄성변형하는 완충수단으로 되었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이 만곡형상의 연결부(3)에 의해서 테이프로부터의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를 경사시키는 방향의 압압력을 흡수해서 완화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서 전술한 각 실시예와 동일하게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의 정상적인 회전 및 테이프의 정상적인 주행을 할 수 있게 한다.
제8도는 본 고안의 제5도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외통부(1)와 내통부(1)를 접속하는 연결부(3)의 단면이 받침 형상을 한 부분으로 되어 있어서 이 받침 형상 부분이 완충수단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전술한 각 실시예와 동일하게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의 회전이나 테이프의 주행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제9도 내지 제11도는 본 고안의 제6내지 제8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를 실시예는 어느것이나 외통부(1)와 내통부(2)를 연결하는 연결부(3)가 방사형으로 배열된 다수의 부분에 의해서 구성된것이다.
제9a도 및 b도에 나타낸 제6의 실시에는 연결부(3)를 방사형으로 분할한 것이다. 즉, 방사형으로 배열된 다수의 연결부(3)를 사용해서 외통부(1)와 내통부(3)를 두께가 얇은 부분에서 접속된 것으로서 제4도 내지 제6도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두께가 얇은 부분이 완충장치를 이루고 있다.
제10도에 나타낸 제7의 실시예는 제7도에 나타낸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의 연결부(3)를 방사형으로 분할한 것이다. 즉, 만곡된 다수의 연결부(3)를 방사형으로 배치하고 이것으로 외통부(1)와 내통부(2)를 연결한 것으로서 이들의 연결부(3)가 완충 수단으로 되어있다.
제11도에 나타낸 제8의 실시예는 제8도에 나타낸 단면 받침 형상의 연결부(3)를 방사형으로 분할한 다수의 연결부(3)에 의해서 외통부(1)와 내통부(2)를 연결하고 또 이들의 연결부(3)가 동일하게 완충수단으로 되어있다.
이상과 같이 제6내지 제8의 실시예는 어느것이나 방사형으로 분할된 다수의 연결부(3)가 완충수단으로 되어 있으므로 가령 주행중 테이프로부터 외통부(1)를 경사시키려는 압압력이 가해졌다고 하더라도 그 압압력은 연결부(3)에 의해서 흡수되어 내통부(2)로는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항상 정상적인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의 회전과 정상적인 테이프의 주행이 유지될수 있다.
제12도에 나타낸 제9의 실시예는 내통부(2)의 외부 지름이 연결부(3)로 향해서 서서히 크게 되도록 테이프가 되어 있어서 링형의 중추(W)가 내통부(2)의 큰 지름의 기부(2a)로 압입되어있다. 중추(W)는 외부지름이 외통부(1)의 (2)의 기부(2a)의 외부 지름보다도 약간 작게되도록 선정되어 있으므로 중추(W)는 전술한 압입에 의해서 내통부(2)에 고정되어있다.
제9실시예는 전술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 부는 중추(W)와는 별도로 단독으로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성형후에 있어서 로울러 부와 중추(W)를 일체화 시킴으로써 이와같은 종류의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는 매우 용이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 문제로 되어있던 인서어트 성형 또는 아웃트 서어트 성형시에 생기는 외통부(1)의 외주면에 비툴어짐, 균열등이 생기기 쉽다는 결점 및 진원도등을 내기가 어렵다는 결점을 해소할 수가 있다. 또한 중추(W)는 별도의 공정에서 제작되어 내통부(2)로 압입시키는 것 만으로 내통부(2)에 고정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은 후가공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그와같은 일체화의 다음에 있어서 중추(W)의 외주면과 외통부(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적당한 틈사이가 확보되고 이 내주면이 압압되는 일은 없으므로 외통부(1)의 내주면의 진원도는 유지된다. 더구나 제13도 내지 제1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추(W)이 내주면의 형상은 내통부(2)의 외주면에 대하여 전면 접촉되는 것은 아니며 부분적 또는 여러개의 선 접촉이 되도록 각종의 형상의 것이 채택될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중추(W)가 내통부(2)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또한 중추(W)의 내주면의 형상과 내통부(2)의 와주면 형상의 관계는 전술한 실시예와는 반대의 관계, 즉 중추(W)의 내주면을 원형으로하여 내통부(2)의 외주면을 요철 형상으로 하여도 좋을뿐만 아니라 제18도의 제10실시예에 나타낸 바와같이 단면 형상을 직사각형으로 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수 있다.
더구나 중추(W)의 계지는 제19도의 제11실시예에 나타낸 바와같이 내통부(2)에 성형된 돌출부(2b,2b)와 중추(W)를 서로 계합시킴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될 수있다.
제20도는 제12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는 연결부(3)에 형성된 여러개의 돌기(4)와 이것에 대응해서 중추(W)에 천설된 여러개의 구멍을 압입하여 끼워 맞춤으로써 중추(W)를 고정시키고 있다. 이 경우 구멍과 돌기에 끼우는 것이 여러곳에서 이루어지므로 중추(W)의 고정은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내외통부의 동심도와 외통부 외주면의 진원도가 매우 고정밀도로 유지될 수 있는 합성수지제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를 다량 생산할수 있으며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주행중의 테이프에 의해서 외통부가 기울어지는 정도에 압압력을 받을 경우에도 내통부 내주면과 지지축 외주면의 접점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고 항상 정상적인 회전을 개속할수 있는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를 제공할수 있게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제조가 용이하고 높은 치수의 정밀도를 가진 임피던스 로울러로서도 사용할수 있는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테이프의 주행을 안내하는 테이프 가이드면이 있는 외통부(1)와, 그 외통부의 내부쪽에 설치되어 있어서 지지축에 의해서 회전할수 있도록 지지된 내통부(2)와, 그 외통부를 그들의 축 방향 대략 중간 위치에 있어서 동심적으로 연결하는 반지름 방향으로 뻗은 연결부(3)를 구비한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
  2.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연결부(3)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축방향으로 뻗은 여러개의 돌기(4,6)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
  3. 제2항에 있어서, 전술한 돌기(4,6)의 지름이 대략 중앙부에(4a)에 있어서 다른 부분보다 크게 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
  4.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연결부(3)가 탄성변형 할수있게 형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
  5.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연결부(3)는 횡단면이 만곡된 형상을 하고 있어서 완충부재로서 작용하도록 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
  6.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연결부(3)는 횡단면이 받침대 모양을 하고 있어서 완충부재로서 작용하도록 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
  7. 제1항, 제4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술한 연결부(3)가 방사형으로 뻗은 여러개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
  8. 제1항내지 제7항중 어느하나에 있어서, 진술한 내통부(2)의 외부지름을 전술한 연결부(3)로 향해서 서서히 크게 되도록 형성해서 전술한 내통부(2)의 외부쪽에 링 모양의 중추(W)를 끼워 맞춤으로써 전술한 외통부와 내통부에 의해서 구획된 링 모양의 공간내에 중추를 충전시킨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
  9. 제1항내지 제8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술한 연결부(3)의 전술한 외통부(1) 및 내통부(2)와의 접합부분이 다른부분보다도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
KR2019860021005U 1985-12-28 1986-12-24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 KR90000308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314085U JPH067468Y2 (ja) 1985-12-28 1985-12-28 インピ−ダンスロ−ラ
JP203140 1985-12-28
JP1986169069U JPH0433570Y2 (ko) 1986-11-05 1986-11-05
JP169069 1986-1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507U KR880010507U (ko) 1988-07-27
KR900003080Y1 true KR900003080Y1 (ko) 1990-04-14

Family

ID=26492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21005U KR900003080Y1 (ko) 1985-12-28 1986-12-24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30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507U (ko) 1988-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0662A (en) Joint structure of radial type rotor and output shaft in synchronous motor
US5477614A (en) Method for producing a sliding type coupling device having slidable member with gap-filling portion
JPS5976277A (ja) 印刷機用プラテ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142675A (en) Roller having spindle fixed to inner bearing ring
US7024957B2 (en) Lead screw for linear actu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900003080Y1 (ko) 테이프 가이드 로울러
JPH08149741A (ja) 電動機用軸受装置
JPH09175704A (ja) 平らな物を搬送するための搬送エレメント
JPS6144540Y2 (ko)
JP5057330B2 (ja) はすば歯車用成形装置
US4749296A (en) Platen for typewriters or similar machines
JP2002303319A (ja) ガイドローラ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1189913A (ja) 合成樹脂製の管継手製造法
KR102535342B1 (ko) 무지향성 휠브라켓과 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N214465940U (zh) 一种输出轴组件及应用该输出轴组件的电机
CN210949758U (zh) 涨紧轮
JPH0722522Y2 (ja) ステータ
JPS6316297Y2 (ko)
JP2610932B2 (ja) 軸受付き樹脂製回転体
CA1056618A (en) Variable speed sheave assemblies and method of producing
JPH0413454Y2 (ko)
KR0133381Y1 (ko) 조립오차를 극복할 수 있는 자동차용 볼 조인트
JPH0742705Y2 (ja) 断熱ブシュ
JPS5914181Y2 (ja) 樹脂成形用金型
JPH041997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2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