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855Y1 - 카페트 조각기 - Google Patents

카페트 조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855Y1
KR900002855Y1 KR2019870014955U KR870014955U KR900002855Y1 KR 900002855 Y1 KR900002855 Y1 KR 900002855Y1 KR 2019870014955 U KR2019870014955 U KR 2019870014955U KR 870014955 U KR870014955 U KR 870014955U KR 900002855 Y1 KR900002855 Y1 KR 9000028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pet
head
motor
piec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49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6947U (ko
Inventor
이황용
이원용
Original Assignee
이황용
이원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황용, 이원용 filed Critical 이황용
Priority to KR20198700149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2855Y1/ko
Publication of KR8900069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9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8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8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2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ingeing, teasing, shearing, etching or br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0Cutting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페트 조각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채용된 기어박스의 저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예시한 결합상태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요부 결합상태 평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제7도는 본 고안에 의해 카페트에 홈이 파진 상태도.
제8도는 종래의 카페트 조각기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페트조각기 2 : 몸통부
3 : 헤드 4 : 기어박스
5 : 작동편 6 : 고정대
7 : 연결로드 8 : 고정브라켓트
21 : 모터축 31 : 공간부
33 : 덮개판 34 : 하우징
41 : 베어링부 42 : 헬리컬기어
43 : 편심캠 44 : 회전축
52 : 절제부 53 : 연장편
61 : 고정편 62 : 고정칼날
63 : 가동칼날 83 : 흡입관
100 : 카페트 101 : 홈
본 고안은 장식용으로 벽에 걸어 놓거나, 또는 바닥에 까는 카페트에 수놓아진 무늬들을 입체적으로 부각시키기 위해 무늬들의 외곽테두리를 따라 브이(V)자 홈을 파는 카페트 조각기(Carving Machine)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칼날을 상하로 요동시키기 위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구의 구성부품을 간단하게 하여 진동이나 소음을 감소시켜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킨 카페트 조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페트조각기는 몸통부에 장착된 모터의 회전력이 몸통부 상부에 결합된 헤드의 양쪽 가동칼날을 상하로 빠른 속도로 요동시켜 카페트의 융털을 절단하여 홈이 파지도록 하였던 바, 종래의 카페트 조각기(200)는 제8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미도시)가 장착되는 몸통부(201)상부에 헤드(202)를 결합하여 헤드(202) 상면 중앙에 ""형상으로 된 고정대(203)를 고정하고, 상기 고정대(203) 양쪽에는 각각 고정칼날(204)을 고정하여 이와 면접되게 가동칼날 (205)회동 자재토록 결합한다.
이때 상기 고정칼날 (204)과 가동칼날 (205)의 날부위가 고정대(203) 선단 외부로 노출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헤드(202)에 모터의 회전축(미도시)과 연동되는 크랭크축(206)을 장착하여 그 양단에 원판(207)을 고정하여 크랭크축(206)과 함꼐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양쪽 원판(207)에 커넥팅로드(208)의 일단을 연결하여 커넥팅로드 타단에는 컨트롤로드(209)를 회전 자재토록 결합한 다음 컨트롤로드(209)에 크랭크보디로드(210)의 일단을 나사결합하여 타단을 가동칼날(205)의 후단에 고정하였다.
따라서 모터(미도시)가 회전하게 되면 이 회전력이 크랭크축(206), 커넥팅로드(208), 컨트롤로드(209), 크랭크보디로드(210)를 거쳐 고정대(203) 양쪽에 회전자재토록 고정된 가동칼날 (205)을 빠른 속도로 상하로 작동시켜 카페트에 홈을 파도록 하였던 바, 모터의 회전력이 가동칼날(205)에 전달되는 과정이 길고 또한 연결부위가 많으며 따라서 구성부품이 많으므로 소음이 많이 발생하고, 진동이 매우 심해 카페트에 홈을 파는 작업의 정확성이 불량할 뿐만 아니라 소음이나 진동에 의해 작업자가 쉽게 피로해지고 기계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헤드(202) 양쪽 측면 외부로 커넥팅로드(208) 및 컨트롤 로드(209), 크랭크 보디로드(210)가 완전히 노출된 상태로 빠른 속도로 작동하므로 작업시 약간의 부주의로 인해서도 작업자가 크게 부상당할 위험이 있었다.
그리고 부성부품이 많으므로 인해 이들의 제작 및 조립공정이 번거롭고 또한 생산 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가동칼날에 전달하는 구성부품을 줄여 소음이나 진동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여 작업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이들 구성 부품을 헤드 후방에 위치시켜 하우징을 결합함으로써 노출되는 부위가 적어 작업시 안전성을 높힌 카페트 조각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헤드 상면에 흡입관을 부착하여 이에 진공청소기등의 흡입호스를 연결하여 카페트에 홈을 팔 때 발생하는 먼지나 기타 카페트의 실부스러기등을 재거시켜 작업장의 주의환경을 청결하게 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도록한 카페트조각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즉 카페트 조각기(1)의 외관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그 구성을 제2도 및 제3도 그리고 제4도를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부호 2는 작업시 파지하는 몸통부로서 그 내부에는 모터(미도시)가 장착되어 상기 모터의 모터축(21)이 몸통부(2) 상부로 돌출되어 그 외주면에 헬리컬기어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통부(2) 하부 일측에는 모터(미도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코드(22)가 인출되어 그 외단에 전원플러그(23)가 고정되어 있고, 타측에는 모터를 온 오프시키는 스위치(24)가 결합되어 있다.
부호 3은 상기 몸통부(2) 상부에 결합되는 헤드로서, 그 하면에 상부로 ""형상으로 절제된 공간부(31)가 마련되고 헤드(3) 상면에는 끼움부(32)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3) 후방에는 덮개판(33)이 결합되고 전방에는 하우징(34)이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34) 상부 양쪽에는 하부로 브이(V)자 형상으로 활동홈(35)이 마련되어 있다.
부호 4는 상기 몸통부(2)와 헤드(3)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되는기어 박스로서, 그 내부에 회전축(44)이 설치된 베어링부(41)가 고착되어 상기 회전축(44)의 하부에는 상기 헬리컬기어산이 형성된 모터축(21)과 이맞물림 되는 또 다른 헬리컬기어(42)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편심캠(43)이 회전자재토록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어박스(4)의 구조는 제3도 및 제4도에 더욱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부호 5는 상기 헤드(3)의 공간부(31)의 중앙에 축봉(51)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결합되는 작동편으로서, 하단에는 편심캠(43)의 양쪽 외주면에 끼워지는 절제부(52)가 마련되고 일단에는 연장편(53)이 연장되어 있다.
부호 6은 상기 헤드(3)의 상면 끼움부(32)에 고정되는 고정대로서, 그 형성이 ""형상으로 되어 선단양쪽에 고정편(61)이 마련되어 이에 면접되게 고정칼날(62)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고정칼날(62) 외측면에 면접하여 가동칼날(63)이 회동자재토록 결합되어 있다.
부호 7은 상기 헤드(3)의 공간부(31)에 결합된 작동편(5)과 고정대(6)의 양쪽 고정편(61)에 결합된 가동칼날(63)을 연결하는 연결로드로서, 그 중간부위가 연결로드(7)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나사봉(71)으로 연결되고 연결로드(7)의 일단은 연결편(72)에 의해 작동편의 연장편(53)에 연결되며 타단은 고정칼날(63)의 후단에 완충부재(73)가 개재된 상태로 고정칼날(63)이 상하로 회동 자유롭게 결합 되어 있다.
부호 8은 상기 헤드(3)의 전방에 고정판(81)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트로서, 그 상단의 절개부(82)에 흡입관(83)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각종 부품의 고정부위 및 체결부위는 나사(91), 육각볼트(92) 및 육각공볼트(93) 또는 육각너트(94)등의 체결부품에 의해 고정 및 체결되어 결합됨은 물론이고, 그 결합상태는 제1도 및 제4도와 제5도 그리고 제6도에서 더욱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00은 카페트, 101은 홈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몸통부(2)에 장착된 모터(미도시)에 전원이 인가되면 모터와 함께 모터축(21)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이맞물림된 기어박스(4)의 헬리컬기어(42)가 연동되어 편심캠(43)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편심캠(43)이 작동편(5)의 절제부(52)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편심캠(43)이 회전하게 되면 작동편(5)이 측봉(51)을 중심으로 상하로 요동을 하게 되므로 작동편의 연장편(53)에 일단이 연결편(72)에 의해 연결된 연결로드(7)가 상하로 왕복운동을 하게되어 연결로드(7)의 타단에 결합된 가동칼날(63)을 상하로 빠른 속도로 요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제6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카페트조각기(1)의 몸통부(2)를 잡고 고정칼날(62)의 선단을 카페트(100)에 위치시킨 상태로 스위치(24)를 온시키면 가동칼날(63)이 빠른 속도로 상하로 작동하여 제7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카페트(100)에 브이(V)자 홈(101)을 파게된다.
이때 고정대(6)의 선단에서 양쪽 고정편(61)의 각도를 임의로 변경시켜 형성하고 이에 고정칼날(62)과 가동칼날(63)을 결합시키면 이 각도에 따라 카페트(100)에 파지는 홈(101)의 각도도 변경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카페트조각기(1)의 헤드(3)에 부착된 흡입관(83)의 후단에 진공청소기(미도시)등의 흡입호스를 연결하면 카페트(100)에 홈(101)이 파지면서 발생하는 먼지나 기타 절단된 실부스러기등이 흡입관(83)을 통해 진공청소기(미도시)로 빨려들어가므로 작업장의 주의환경을 더욱 청결하게 유지시킬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모터(미도시)의 회전력을 편심캠(43)과 작동편(5)으로 변화시켜 연결로드(7)에 의해 가동칼날(63)에 전달하여 가동칼날(63)을 작동시켜 줌으로써, 동력전달 과정이 짧기 때문에 기계의 소음이나 진동이 크게 감소되므로 기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피로감을 감소시키고 작업의 정확성 및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한 연결로드(7)의 일부만 헤드(3) 외부로 돌출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정성을 크게 높여준다.
그리고 흡입관(83)을 통해 먼지나 기타 절단된 실 부스러기등을 제거함으로써 작업자의 주의환경이 청결하게 유지되어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해준다.
뿐만 아니라 구성부품이 절약되어 제작 및 조립공정이 용이하고 생산단가도 절감시킬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모터(미도시)가 장착된 몸통부(2) 상부에 결합된 헤드(3) 상면에 고정대(6)를 고정하여 그 선단 양쪽 고정편(61)의 측면에 각각 면접되게 고정칼날(62)과 가동칼날(63)을 결합시켜 상기 모터의 모터축(21)의 회전력을 양쪽 가동칼날(63)에 전달하여 가동칼날(63)을 상하로 빠르게 요동시켜 카페트(100)에 홈(101)을 파는 것에 있어서, 상기 헤드(3)의 내부에 공간부(31)를 형성하여 이에 그 하단에는 절제부(52)가, 선단에는 연장편(53)이 마련된 작동편(5)을 회동자재토록 결합하고 상기 몸통부(2)와 헤드(3)사이에 개재된 기어박스(4)에 베어링부(41)를 고착하여 동일회전축(44)상의 하부에는 모터축(21)과 이맞물림되는 헬리컬기어(42)를 고정하고 상부에는 상기 작동편의 절제부(52)에 끼워지는 편심캠(43)을 고정하는 한편, 상기 작동편의 연장편(53)과 양쪽 가동칼날(63) 후단 사이에 각각 연결로드(7)를 회동자재토록 결합하고 헤드(3) 전방에는 하우징(34)을 후방에는 덮개판(33)을 부착하여서 된 카페트 조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3)의 후방에 부착된 덮개판(33)에 고정브라켓트(8)를 면접시켜 고정하고 고정브라켓트(8) 상단에 흡입관(83)을 결합하여서 된 카페트 조각기.
KR2019870014955U 1987-09-01 1987-09-01 카페트 조각기 KR9000028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4955U KR900002855Y1 (ko) 1987-09-01 1987-09-01 카페트 조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4955U KR900002855Y1 (ko) 1987-09-01 1987-09-01 카페트 조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947U KR890006947U (ko) 1989-05-15
KR900002855Y1 true KR900002855Y1 (ko) 1990-04-06

Family

ID=19267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4955U KR900002855Y1 (ko) 1987-09-01 1987-09-01 카페트 조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285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947U (ko) 198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68952A1 (en) Dual oscillating multi-tool saw
CN109434986A (zh) 竹子除杂枝装置
JPH0235614U (ko)
KR900002855Y1 (ko) 카페트 조각기
US4088369A (en) Oscillating mechanism for stripping machine
CN215788198U (zh) 一种稳定性强的侧固式刀柄
JPS6349901U (ko)
JP2012176464A (ja) 動力工具
CN212191795U (zh) 一种焊接用工业机器人
CN214023696U (zh) 一种用于汽车罩加工的曲轴外铣刀结构
CN219337356U (zh) 吸尘器与工作头联动工作的打磨机
RU2164854C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ручная машина
CN216463168U (zh) 一种双联叉机加工用多角度定位装置
CN210589964U (zh) 一种开槽深度可调的开槽机
KR20030044734A (ko) 목재와 철재 겸용 전동톱
KR890001506Y1 (ko) 재봉틀용 선풍기
CN220330066U (zh) 一种泵用铣削设备
JPS6227361Y2 (ko)
CN2348989Y (zh) 台式木工机床
JPH0371723U (ko)
CN113210728A (zh) 往复式电动工具
JPH0342610U (ko)
JPH027033Y2 (ko)
JPS583451Y2 (ja) 刈払機
JP2023090448A (ja) 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4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