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655B1 - 석탄미분쇄기의 안전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석탄미분쇄기의 안전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655B1
KR900002655B1 KR1019840004571A KR840004571A KR900002655B1 KR 900002655 B1 KR900002655 B1 KR 900002655B1 KR 1019840004571 A KR1019840004571 A KR 1019840004571A KR 840004571 A KR840004571 A KR 840004571A KR 900002655 B1 KR900002655 B1 KR 900002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al mill
coal
measuring
m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4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1561A (ko
Inventor
쿠퍼 마샬
포코크 로버트
Original Assignee
더 뱁콕 앤드 윌콕스 컴퍼니
로버트 제이.에드워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406793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0000265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더 뱁콕 앤드 윌콕스 컴퍼니, 로버트 제이.에드워즈 filed Critical 더 뱁콕 앤드 윌콕스 컴퍼니
Publication of KR850001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1/00Preparation of lump or pulverulent fuel in readiness for delivery to combustion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4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2201/00Pretreatment of solid fuel
    • F23K2201/10Pulveri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석탄미분쇄기의 안전제어시스템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제어시스템의 개략도.
제 2 도는 제 1 도에서의 감시 및 제어논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안전제어시스템 10 : 탐침부
12 : 석탄미분쇄기 14 : 필터
16 : 분석기 18 : 감시제어시스템
24 : 스트립차트기록기 26 : 경보기
28 : 경보기 30 : 밸브
36 : 비교부 52 : 비교부
64 : 비교부 88 : 비교부
42 ; 논리곱게이트 70 : 논리곱게이트
94 : 논리곱게이트 48 : 미분동작제어기
78 : 제어기 76 : 절환회로
본 발명은 석탄미분쇄기의 안전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석탄미분쇄기에 있어서의 위험한 제조건들을 검출하여 제어하기 위한 안전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석탄을 미세하게 분쇄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석탄미분시스템들은 연료의 연소장치를 위한 것이며, 최소한의 과잉 공기로 로(爐)에서 완전연소가 되도록 하는데 사용되었다. 이 시스템은 연속공정 형태로 운영되며, 특별한 설계상의 이유로 인하여 연소공정에서 요구되는 대로 석탄공급을 보다 빠르게 또는 폭넓게 변화시킬 수도 있었다.
연소에 필요한 공기의 일부(일반적인 장치에서는 15 내지 20%)가 석탄이 버어너로 이송될 때 사용되고 있으며, 이것이 1차 공기로 알려져 있다. 또한, 직화(直火) 시스템에 있어서의 1차공기는 미분쇄기 내에서 석탄을 건조시키는데 사용되고 있고, 나머지 연소공기(80 내지 85%)는 버어너로 인가되는데, 이것이 2차 공기로 알려져 있다.
모든 석탄은, 공기와 접하게 되면 실온에서 더욱 산화하게 되고, 이러한 경향은 석탄의 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는 바, 예를들면, 대다수의 역청탄은 산소(O2)에 특히 흡수 및 결합되기가 쉬운데 반하여, 무연탄과 반무연탄은 이러한 현상이 거의 없고, 또 석탄에 있어서의 산화공정은 온도가 증가됨에 다라서 계속해서 빠르게 증가하게 된다. 만일, 이러한 산화현상이 누적되게 되면 석탄이 열분해되어 결국 점화될 정도로 열이 발생되어질 수 있다. 메탄 및 이와 관계되는 성분들과 같은 석탄의 휘발성 성분들은 분해되는 동안에 가스로 방출되게 되기 때문에 이들 가스물질이 누적되게 되면, 상당히 저온에서도 점화될 수 있고 급기야는 빠른 속도로 불이 붙거나 폭발하게 된다.
석탄의 자발적인 연소는 이 연소반응이 일어날만 하기에 충분한 O2공급과 노출되는 면적에 의존하는 바, 작은 입자 크기로 미세화된 연료석탄중 표면적이 넓은 석탄은 자칫하면 저절로 가열되기 쉽다. 이러한 문제는 산업적인 석탄미분쇄기의 안전작동과 작업하는데 있어서 극히 중요한 사실이 된다.
일반적으로 자발적인 연소는 석탄의 질을 저하시키게 되고, 동력장치에도 손상을 줄 우려가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예를들면, 석탄분진이 임계농도까지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는 폭발의 점화원을 제공하게 되는 결과가 되고 있다.
현재, 산업적으로 사용되는 석탄미분쇄기에서 불꽃을 검출해내는 시스템으로는 미분쇄기의 출력온도의 상승을 측정하게 되는 열전쌍(熱電雙)이나, 분쇄기에서 발생되는 일산화탄소(CO)의 증가를 검출하게 되는 적외선 가스분석기 등이 사용되고 있다.
열전쌍 또는 RTD(Resistance Temperature Device)는 보통 미분쇄기 작동시 제어시스템의 일부로서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은 분쇄기 내에서 불꽃을 검출해 내는 것만으로는 비교적 민감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지만, 이를 테면 이들은 어떠한 사태가 실제로 발생되기 단 수분 전에 절박한 상태를 경고하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불꽃이나 폭발이 일어나기 전에 심각한 온도 상승을 감지하지 조차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같은 상태에 있어서의 열전쌍과 RTD는 효과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일부에서는 부식성 석탄입자로부터 이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물을 사용하고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호물들은 열전도를 감소시켜서 응답시간을 느리게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CO의 상승이 석탄의 산화속도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므로 석탄미분쇄기내의 불꽃을 감지하기 위하여 실제 CO 측정값이 이용되고 있는 바, 즉, 미분쇄기내로 출입하게 되는 공기에서의 CO의 양과 미분쇄기내에서 발생되는 CO의 양을 비교하고 또 효과적으로 하게 하기 위하여 적외선 가스분석기가 사용되고 있었다.
통상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적외선 가스분석기가 수증기와 입자물질에 간섭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미분쇄기로부터 추출되는 가스시료를 광범위하게 여과하고 탈수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적외선 가스분석기는 고가의 비용과, 유지시설이 필요하기 때문에 보통은 여러개의 측정포인트에 대해 하나의 분석기를 사용하고 있고, 따라서 각각의 미분쇄기에서 연속적인 측정은 할 수 없고 응답시간도 느려지곤 하였다. 그렇지만 이것은 앞서 설명한 열전쌍과 RTD 방법을 일부 개선시킨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일부 동력장치에서는 부가적인 문제가 발생하였는데 즉, 미분쇄기에 공급되는 공기 중에서 감지할 수 있을 정도의 CO 농도가 발견된다는 것이다. 그러한 장치에서, 보일러 연료가스는 축열식 공기히터를 통해 연소공기로서 전달되게 되므로 미분쇄기로 들어가는 공기를 분석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석탄미분쇄기에서 안전문제가 절박한 상황에 이르기 전에 경고할 수 있도록 하는 정확하고 확실한 안전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안전시스템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현재보다도 개량된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은 미분쇄기에서의 출력온도 측정값, 습도의 제거, 미분쇄기로부터 추출된 시료나 다점식 시료에 대한 모든 특수한 사항에 의존하지는 않게 된다.
본 발명은 분쇄기 주변에서의 연속적인 O2성분의 용적 % 측정값과 CO농도의 측정값을 제공하게 되는 석탄미분쇄기에 O2및 CO 표준단일점(standard single poing)분석기가 직접 설치된 것으로 되어 있다.
분석기의 O2부위에는 시료중에서 어떤 연소 가능한 휘발성 물질이 O2와 결합되는 온도에서 작동하게 되는 감지기를 사용한다. 그러면 감지기는 유리상태이거나 아니면 어떤 것과 결합되지 않고 남아있는 O2에 대해 반응을 보이게 될 것이다. 순수 혹은 잔여 O2를 측정한 결과는 미분쇄기에서 연소가능한 휘발성 성분의 양과 서로 관련이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잠재적으로 위험한 조건 하에서 주요 인디케이터는 CO의 양을 증대시키게 되므로 분쇄기 주변에서 CO와 순수 O2농도의 복합측정값은 분쇄기 내에서 자발적인 연소의 시작 및 진행상태를 지적하여 주고 경고하는데 이용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분쇄기내를 관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자동시스템으로서, 산업적인 석탄미분쇄기에서 불꽃과 폭발이 일어나는 것을 검출하고 이를 조기에 경고하도록 하는 감지기가 설치된 연소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석탄미분쇄기에서의 순서 O2를 기초로 하는 자동경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간당 예정된 CO의 증가상태를 기초로 하는 자동경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예정된 순수 O2레벨 또는 절대 CO의 레벨을 기초로 석탄미분쇄기의 자동적인 활동정지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예시된 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석탄을 미분화시키는 분쇄기 주위에서 일산화탄소(CO)와 순수 산소(O2) 농도의 레벨을 감지하므로써 전기를 이용하는 산업용 석탄미분쇄기에서 긴급한 화재와 폭발을 검출하도록 설계된 플랜트 컴퓨터의 제어시스템과 통합될 수 있는 상대적으로 값이 저렴한 자동 안전제어시스템(8)에 대한 것이다. 미분쇄기 주위에서 CO와 O2의 농도를 함께 측정한 값은 자발적인 연소가 되지 않도록 석탄의 산화속도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순수 O2측정값을 다른 측정값들과 연합시키게 되면 미분쇄기의 총 기능을 계산하거나 미분화된 석탄의 품질을 나타내는 기초 데이터로 이용될 수도 있게 된다.
제 1 도에서와 같이, CO/O2시료 탐침부(10)가 석탄미분쇄기(12)의 입자분류기 출력부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다공성 고온필터(14)가 설치되어 있는 상기 탐침부(10)를 통해서 시료가스가 끌어당겨지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14)는 분석기(16)로 들어오는 입자체의 양을 최소화시켜 고장이 없는 작동상태를 유지시키는데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필터(14)는 미국특허 제4,286,472호에 기술되어 있는 형태와 같은 것이다.
석탄미분쇄기(12)로부터 나온 공기시료는 강력한 동력장치 하에서 작동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면서 자동교정 능력을 갖고 있는 공지의 O2와 CO가스분석기(16)를 통해서 O2의 양을 부피%로 CO의 농도를 ppm 단위로 분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분석기는 뱁콕 앤드 윌콕스의 베일리 콘트롤스컴퍼니에 의해 제작된 것이며, OL형 O2및 CO분석기로 잘 알려져 있다. 이 분석기(16)는 CO를 0 내지 1,000ppm까지 O2는 0.1 내지 25%까지 분석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CO와 O2의 농도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는 각각 라인(20)과 라인(22)을 따라 중앙조정실에 위치한 감시제어시스템(18)에 보내지고, 스트립챠트기록기(24)에 CO와 O2의 농도가 표시 및 /또는 기록되게 된다.
미분쇄기(12)가 정상적으로 작동될 동안에는 순수 O2레벨은 16%로 나타내며, CO레벨은 40 내지 80ppm인 것으로 나타난다. 만일 순수 O2농도가 미리 예정된 레벨 이하로 떨어질 경우, 예를 들면, O2농도가 15%로 되고, 생성된 CO의 양은 갑자기 분당 50ppm 씩 상승하는 등 괄목한만한 수준 정도로 예정된 상승레벨을 초과할 경우에는, 미분쇄기(12)가 활동력이 떨어지도록 교정작업을 수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오퍼레이터에게 경고하거나 시스템(8)이 듣고 볼 수 있는 경보기(26, 28)를 작동하게 되거나, 또는 제어조작에 의하여 미분쇄기(12) 작동 매개변수를 얻어 저절로 활동성이 없어질 때까지 계속적으로 자동안전시스템(8)을 작동시키게 된다.
제 2 도에서 보면, 감시 및 제어시스템(18)은 분석기(16)로부터 라인(20)을 통해 공급되는 순서 O2측정값과 라인(22)을 통해 공급되는 CO측정값을 이용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순수 O2의 예정된 레벨과 CO 농도의 예정된 상승시간에 따라 경보기(26, 28)가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순서 O2레벨과 절대 CO 레벨이 어떤 임계선을 초과할 경우에는, 라인(32)을 따라 미분쇄기(12)로 공급되게 되는 스팀에 CO2와 같은 어떤 불활성매체를 부여할 수 있게 되는 밸브(30)를 개구시킴으로써, 미분쇄기(12)는 자동적으로 활동이 정지되게 된다.
먼저, 경보기능에 대하여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즉, 라인(20)을 따라 들어오는 순수 O2의 측정값이 라인(34)을 따라 비교부(36)로 전달되는데, 이 비교부(36)에는 예정된 순수 O2제어점에 대한 설정값이 라인(38)을 따라 입력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비교부(36)는 미분쇄기(12) 내에서의 순수 O2레벨을 나타내는 분석기(16)에 의해 제공된 실제 순수 O2측정값을 그 상황하에서 15%로 설정된 O2레벨 설정값과 비교하게 된다.
상기 15%의 설정값은 정상상태에 있는 미분쇄기(12)의 분위기가 약 16%이고, 최초 경보조건이 잠재성이 있는 문제지역을 지시하는 경고가 바람직하게 될 수 있게 된다는데 가정을 둔 값이다.
한편, 상기 비교부(36)는 두 개의 신호를 비교하여 논리곱게이트(42)의 한 입력으로서 라인(40)을 따라 오차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논리곱게이트(42)의 다른 입력으로는 라인(44)를 따라 예정된 공급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일정한 부(-) 신호가 있다. 따라서, 라인(34)을 따라 비교부(36)에 제공되는 순서 O2레벨이 15%의 설정값보다 크게 될 때에는 정(+)레벨의 오차신호가 라인(40)을 따라 논리곱게이트(42)에 전달되게 되며, 이 때 라인(46)을 통해서는 어떤 제어신호가 제공되지 않게 되어 경보기(26)는 작동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순수 O2레벨이 15%의 설정값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즉시 라인(40)의 출력은 부(-)신호로 되고, 라인(44)을 따라 들어오는 일정한 부(-)신호와 연합하여 논리곱게이트(42)에 전달되고 여기서 제어신호가 발생되면서 라인(46)을 통해 경보기(26)로 보내져서 이를 작동시키게 되므로 미분쇄기(12) 주변이 잠재성의 문제가 있음을 나타내게 된다.
한편, 라인(22)을 따라 전달되는 실제로 측정된 CO신호는 교번경보기(28)를 작동시키게 되는 바, 즉, 측정된 CO신호는 미분동작제어기(48)로 전달되게 되고, 상기 제어기(48)에서는 CO레벨에서의 어떤 변화를 감지한 다음, 미분쇄기(12) 내에서의 CO레벨 변화의 경사율이나 변화속도를 나타내는 출력신호를 라인(50)을 통해서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미분동작제어기(48)의 출력은 미분쇄기(12) 내에서의 석탄점화에 영향을 주게 되는 CO 변화 속도를 지시하게 되는 예정된 설정값이 라인(54)을 통해 입력되는 비교부(52)로 전달되게 된다. 이러한 CO의 변화속도는 보통 50ppm/분이 된다.
여기서 비교부(52)의 출력은 라인(56)을 따라서 논리곱게이트(58)에 전달되게 되는데 이 논리곱게이트(58)에는 라인(60)을 따라 제2입력으로서 정(+)의 값이 제공되게 된다. 다라서, 작동시에 CO의 정상적인 변화 속도가 비교부(52)로부터 부(-) 출력신호로 나오므로 설정값인 50ppm/분 이하에 머무르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CO의 실제 변화속도가 라인(54)의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에는 라인(56)을 따라서 전달되는 신호는 정(+)으로 바뀌게 되므로, 논리곱게이트(58)는 라인(62)을 따라 경보기(28)에다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시작하며, 이어서 경보기(28)가 작동하여 미분쇄기(12) 내부가 잠재성이 있는 위험한 상태에 놓여 있음을 경고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경보기(26, 28)들이 각각 작동하게 되면, 미분쇄기(12)가 위험한 상태에 놓여 있음을 오퍼레이터에게 경고하게 되는 것으로 이것은 미분쇄기(12)의 밀폐감시가 필요함을 오퍼레이터에게 지시하는 것이 되며, 이 경우에는 하나의 경보기가 작동될 수 있고 뒤이어 제2경보기가 작동될 수도 있다. 그리고, 미분쇄기(12)의 활동을 정지시키게 되면 미분쇄기(12)가 충격을 받을 염려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활동의 정지는 오퍼레이터나 그 감독자의 판단에 맡겨야 한다. 그렇지만 미분쇄기(12)의 활동 정지를 명령하는 데에는 어떤 조건이 있어야 하고 자동적으로 시작되도록 하여야만 한다. 즉, 자동적으로 활동을 정지키시기 위해서는 제어시스템(8)은 다시 라인(20, 22)을 따라 제공되는 순수 O2측정값과 CO의 측정값을 모두 이용하여야 한다.
그리고, 분쇄기(12)의 자동적인 활동정지는 비교부(64)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 비교부(64)에는 비교부(36)에 제공되게 되는 설정값보다 훨씬 낮은 순수 O2레벨의 설정값이 라인(66)을 따라 제공되게 된다. 즉, 비교부(64)는 9%의 순수 O2설정값을 갖는다.
그러므로, 미분쇄기(12)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동안에는 비교부(64)로 전달된 순수 O2레벨 측정값이 9% 설정값을 상회하게 되는데, 이때 비교부(64)에서 산출된 오차신호는 정(+)레벨신호가 되며, 이 신호는 라인(68)을 따라 논리곱게이트(70)로 전달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논리곱게이트(70)에는 라인(72)을 통해 일정한 부(-) 레벨신호가 다른 입력으로 제공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미분쇄기(12)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동안에는 논리곱게이트(70)의 입력들은 정(+)신호와 부(-)신호이므로 논리곱게이트(70)의 출력인 라인(74)에는 제어신호가 제공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미분쇄기(12)의 순수 O2레벨이 9%의 설정값 이하로 떨어질 경우에는 비교부(64)의 출력은 부(-)신호를 내기 때문에 결국 논리곱게이트(70)에는 두 개의 부(-)입력이 제공되게 되므로 라인(74)을 통해 제어신호가 발생되고 이 신호가 절환회로(76)에 전달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절환회로(76)는 정상적인 경우에는 개방회로이므로 제어기(78)로부터 나오는 신호가 제어밸브(30)에 미치는 것을 방지하게 되나, 라인(74)에 제어신호가 나타날 때는 절환회로(76)가 폐회로 상태로 변하게 되므로 제어기(78)를 통해 제어밸브(3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기(78)에는 미분쇄기(12)에서의 실제 순수 O2레벨을 나타내는 입력신호가 라인(20)의 순수 O2신호와 나란하게 라인(80)을 따라 입력되게 된다. 그리고, 제어기(78)에는 어떤 예정된 설정값 공급부로부터 라인(82)을 따라 제어기 설정값이 제공되게 되며, 보통 12% 레벨 설정값으로 설정되게 된다.
따라서, 절환회로(76)가 논리곱게이트(7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게 되면 제어기(78)는 밸브(30)를 개방하여 활동정지 분위기를 일으키는 CO2와 같은 것을 미분쇄기(12)에 부여하여 정상분위기를 12%의 설정값 레벨에 가까워지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정상분위기보다 약간 낮게 제어기(78)의 설정값을 유지시키는 이유는 활동정지공정으로 인한 미분쇄기(12)의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절환회로(76)는 그후에 수동공급원이나 자동공급원으로부터 라인(84)을 따라 공급되는 복귀신호에 의해 정상상태인 개방상태로 되돌아가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공급원은 미분쇄기(12)가 정상적인 분위기 상태로 회복되도록 지시하게 되는 어던 매개변수에 의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자동활동 정지수단의 작동은 미분쇄기(12) 내에서의 CO의 예정된 절대레벨의 감지에 따르기도 한다. 즉, 라인(22)을 따라 정상적으로 제공되는 CO신호가 라인(86)에 의하여 비교부(88)의 한 입력으로 제공되게 되고, 이 비교부(88)의 설정값은 절대 CO레벨이 200ppm으로서 절대 CO레벨이 설정된 예정설정값 공급부로부터 라인(90)을 따라서 제공되게 된다. 따라서 CO레벨이 정상상태를 나타내는 200ppm 이하로 될 경우에는, 정(+)오차신호가 비교부(88)로부터 라인(92)을 따라 논리곱게이트(94)로 전달되게 된다. 즉, 논리곱게이트(94)에는 일정한 부(-)레벨 공급원과 연결된 라인(96)을 통해 다른 입력이 제공되게 되므로 미분쇄기(12)가 정상적으로 작동을 하게 될 때에는 이와 반대되는 신호가 논리곱게이트(94)에 제공되게 되어 논리곱게이트(94)로부터 어떤 제어신호가 설정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절대 CO레벨이 200ppm의 예정된 설정값을 상회할 경우에는, 논리곱게이트(94)에 절달되는 오차 신호가 부(-)신호로 바뀌게 되어 논리곱게이트(94)의 작용에 의해 제어신호가 라인(98)을 따라서 절환회로(76)에 전달되게 된다.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순수 O2레벨제어와 관련하여 볼 때, 이것은 절환회로(76)가 전도성을 나타내게 되면서 제어기(78)가 밸브(30)를 다시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라인(84)을 통하여 복귀신호가 설정될 때까지 자동적으로 미분쇄기(12)의 활동을 정지시키게 되며, 복귀신호가 있게 되면 절환회로(76)는 다시 비전도성이 되면서 밸브(30)는 정상적으로 폐쇄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어하게 되면 미분쇄기를 안정한 상태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4)

  1. 석탄미분쇄기 내의 실제 순수산소레벨을 측정하고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순수산소측정수단에 의한 신호와 잠재성이 있는 위험한 순수산소레벨을 나타내게 되는 예정된 설정값 신호를 비교하고 이로부터 제 1 제어신호를 설정하는 수단 및, 상기 제 1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석탄미분쇄기 내부가 잠재성 있는 위험한 상태에 있음을 알리게 되는 경보수단으로 이루어진 석탄미분쇄기의 안전제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의 시스템은 상기 순수산소 측정수단에 의한 신호와 제 1 예정된 설정값 신호보다 낮은 제 2 예정된 설정값 신호를 비교하고 이로부터 제 2 제어신호를 설정하는 제 2 수단 및 상기 제 2 제어수단에 응답하여 석탄미분쇄기의 활동을 정지시키는 활동정지 수단을 포함하는 석탄미분쇄기의 안전제어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활동정지수단은 석탄미분쇄기에 활동정지 분위기를 제공하게 되는 이산화탄소 공급원과,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원을 제어하는 밸브수단 및, 측정수단들로부터 나오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밸브수단을 제어하게 되는 제어기 수단을 포함하는 석탄미분쇄기의 안전제어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활동정지수단은 상기 제어기 수단과 밸브수단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제어기 수단에 의해 밸브수단이 조절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2 제어신호에 응답하는 절환수단을 포함하는 석탄미분쇄기의 안전제어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의 시스템은 석탄미분쇄기 내에서 일산화탄소레벨의 실제변화속도를 결정하고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결정수단에 의한 신호와 석탄미분쇄기 내에서 잠재성있는 위험한 일산화탄소의 변화속도를 나타내게 되는 예정된 설정값 신호와 비교하고 이로부터 제 2 제어신호를 설정하는 수단 및, 상기 제 2 제어신호에 응다하는 경보수단을 포함하는 석탄미분쇄기의 안전제어시스템.
  6. 석탄미분쇄기 내의 일산화탄소레벨의 실제 변화속도를 결정하고 그를 나타내는 신호를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결정수단에 의한 신호와 석탄미분쇄기 내의 잠재성 있는 위험한 일산화탄소레벨의 변화속도를 나타내게 되는 예정된 설정값 신호를 비교하고 이로부터 제어신호를 설정하는 수단 및, 이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석탄미분쇄기 내부가 잠재적인 위험상태에 있음을 알리는 경보수단으로 이루어진 석탄미분쇄기의 안전제어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수단은 석탄미분쇄기 내의 실제 일산화탄소레벨을 측정하는 수단과, 석탄미분쇄기 내의 일산화탄소레벨의 실제 변화속도를 나타내는 출력신호를 제공하게 되는 상기 측정수단과 연결된 미분동작제어기를 포함하는 석탄미분쇄기의 안전제어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의 시스템은 상기 측정수단으로부터의 신호와 석탄미분쇄기 내의 위험한 일산화탄소레벨을 나타내는 예정된 설정값 신호를 비교하여 이로부터 제어신호를 설정하는 제 2 수단과,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석탄미분쇄기의 활동을 정지시키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석탄미분쇄기의 안전제어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의 시스템은 석탄미분쇄기 내의 실제 산소레벨을 측정하는 수단 및, 상기 순수 산소측정수단에 의한 신호와 잠재성있는 위험한 순수 산소레벨을 나타내는 제 1 예정된 설정값 신호를 비교하고 상기의 경보수단을 작동시키게 되어 제어신호를 설정하는 제 2 수단을 포함하는 석탄미분쇄기의 안전제어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의 시스템은 순수산소 측정수단으로부터의 신호와 제 1 예정된 설정값 신호보다 낮은 제 2 예정된 설정값 신호를 비교하고 이로부터 제 2 제어신호를 설정하여 활동정지수단을 작동시키게 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석탄미분쇄기의 안전제어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활동정지수단은 석탄미분쇄기가 활동정지 되도록 하기 위한 활동정지 분위기 공급원과, 이 활동정지분위기 공급원을 밸브수단 및, 석탄분쇄기 내의 순수 산소레벨을 측정하는 상기 수단으로부터 나오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밸브수단을 제어하는 제어기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석탄미분쇄기의 안전제어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활동정지 수단은 제어기 수단과 밸브수단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석탄미분쇄기 내의 절대 일산화탄소레벨과 예정된 설정값을 비교하는 비교수단 또는 석탄미분쇄기 내의 순수산소레벨과 제 2 예정된 설정값을 비교하는 비교수단들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수단에 의하여 상기 밸브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절환수단을 포함하는 석탄미분쇄기의 안전제어시스템.
  13. 석탄미분쇄기 내에서의 실제 순수 산소레벨을 측정하여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설정하는 수단과, 석탄미분쇄기 내에서의 일산화탄소레벨의 변화속도를 측정하여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설정하는 수단과, 순수 산소측정수단 및 일산화탄소 변화속도를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실제 신호들과 예정된 설정값을 초과했을 때, 독립된 제어신호를 설정하게 되는 예정된 설정값들과를 비교하는 비교수단 및, 석탄미분쇄기 내부의 잠재적인 위험상태를 알리기 위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는 경보수단으로 이루어진 석탄미분쇄기의 안전제어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의 시스템은 석탄미분쇄기 내에서 실제로 측정된 산소레벨을 나타내는 신호와 석탄미분쇄기 내의 위험상태를 나타내는 제 2 설정값을 비교하여 석탄미분쇄기에 활동정지분위기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석탄미분쇄기의 안전제어시스템.
    미분쇄기 내에서의 실제 순수산소레벨이 제2 설정값을 초과하였을 때 활동정지신호를 설정하게 되는 제2 비교수단과, 상기의 활동정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석탄미분쇄기에 활동정지분위기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석탄미분쇄기의 안전제어시스템.
KR1019840004571A 1983-08-01 1984-05-17 석탄미분쇄기의 안전제어시스템 KR9000026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1935283A 1983-08-01 1983-08-01
US519352 1983-08-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561A KR850001561A (ko) 1985-03-30
KR900002655B1 true KR900002655B1 (ko) 1990-04-21

Family

ID=24067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571A KR900002655B1 (ko) 1983-08-01 1984-05-17 석탄미분쇄기의 안전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0132974B2 (ko)
JP (1) JPS60143844A (ko)
KR (1) KR900002655B1 (ko)
AU (1) AU3131384A (ko)
BR (1) BR8403542A (ko)
CA (1) CA1229327A (ko)
DE (1) DE3476851D1 (ko)
ES (1) ES534210A0 (ko)
HK (1) HK96689A (ko)
IN (1) IN162793B (ko)
MX (1) MX160409A (ko)
SG (1) SG63889G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323B1 (ko) * 2011-11-10 2012-03-09 도원기술 주식회사 석탄 발화 조기 경보 시스템
CN111495565A (zh) * 2020-04-27 2020-08-07 安徽工业大学 一种发电机组燃煤锅炉的磨煤机防爆检测系统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6410A (en) * 1986-04-26 1989-07-11 The Babcock & Wilcox Company Apparatus for monitoring low-level combustibles
US4778113A (en) * 1986-04-29 1988-10-18 The Babcock & Wilcox Company Apparatus for monitoring low level combustibles
IN166429B (ko) * 1986-04-29 1990-05-05 Babcock & Wilcox Co
US4754932A (en) * 1987-03-18 1988-07-05 Combustion Engineering, Inc. Coal pulverizer inerting and fire extinguishing system
JP4551101B2 (ja) * 2004-02-27 2010-09-2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ミルイナート酸素濃度測定装置、ミルイナート酸素供給装置およびミルイナート酸素濃度測定方法
LU91451B1 (en) * 2008-06-02 2009-12-03 Wurth Paul Sa Method for producing pulverized coal
JP5949414B2 (ja) * 2012-10-05 2016-07-06 新日鐵住金株式会社 粉砕プラント排ガス制御装置、粉砕プラント排ガス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011933B2 (ja) * 2012-11-26 2016-10-25 株式会社日向製錬所 微粉炭ミル系設備の炭塵発火防止システム及び炭塵発火防止方法
CN109696524B (zh) * 2019-01-15 2023-11-24 华电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防爆的磨煤机出口o2在线监测装置及使用方法
CN112371317A (zh) * 2020-10-22 2021-02-19 徐州赛森电子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磨煤机自燃保护装置
CN113310778B (zh) * 2021-05-06 2022-05-17 安徽汽车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煤粉制备动态co检测装置
CN116060200B (zh) * 2023-03-06 2023-06-23 北京博数智源人工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火电站磨煤机的爆燃预警方法及系统
CN116060201B (zh) * 2023-03-08 2023-06-23 北京博数智源人工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火电站磨煤机爆燃监测异常定位识别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7634A (en) * 1966-03-01 Process control system
US2799848A (en) * 1953-12-17 1957-07-16 Glantz Lester Murray Two-level control system
GB977385A (en) * 1960-05-23 1964-12-09 Elliott Brothers London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 warning systems
US3419772A (en) * 1964-09-25 1968-12-31 Leeds & Northrup Co Probabilistic and deterministic filter for control systems
US3740739A (en) * 1971-11-30 1973-06-19 Dresser Ind Well monitoring and warning system
JPS5280215A (en) * 1975-12-27 1977-07-05 Nippon Steel Corp Preparation of annealed carbon steel wire
JPS575851U (ko) * 1980-06-09 1982-01-12
JPS5820247A (ja) * 1981-07-30 1983-02-05 バブコツク日立株式会社 ミル内の発火検知方法
JPS5929052A (ja) * 1982-08-09 1984-02-16 バブコツク日立株式会社 パイライトボツクスの発火を防止する粉砕装置
GB2127605B (en) * 1982-09-07 1986-09-24 Vickers Shipbuilding & Eng Portable hazard warn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323B1 (ko) * 2011-11-10 2012-03-09 도원기술 주식회사 석탄 발화 조기 경보 시스템
CN111495565A (zh) * 2020-04-27 2020-08-07 安徽工业大学 一种发电机组燃煤锅炉的磨煤机防爆检测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3131384A (en) 1985-02-07
EP0132974B1 (en) 1989-03-01
MX160409A (es) 1990-02-19
EP0132974A3 (en) 1985-11-21
CA1229327A (en) 1987-11-17
ES8504487A1 (es) 1985-05-16
DE3476851D1 (en) 1989-04-06
ES534210A0 (es) 1985-05-16
EP0132974B2 (en) 1992-09-02
EP0132974A2 (en) 1985-02-13
HK96689A (en) 1989-12-15
JPH0128613B2 (ko) 1989-06-05
JPS60143844A (ja) 1985-07-30
IN162793B (ko) 1988-07-09
BR8403542A (pt) 1985-06-25
SG63889G (en) 1990-01-26
KR850001561A (ko) 1985-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2655B1 (ko) 석탄미분쇄기의 안전제어시스템
EP0305446B1 (en) Coal pulverizer inerting and fire extinguishing system
US98414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smoldering in processes with continuous air flow
US4088986A (en) Smoke, fire and gas alarm with remote sensing, back-up emergency power, and system self monitoring
EP0078442B1 (en) Fire detection system with ir and uv ratio detector
US4653698A (en) Safety system for coal pulverizers
US4233596A (en) Flare monitoring apparatus
US6052058A (en) Filter integrity monitoring system
EP0244074B1 (en) Safety systems for coal pulverizing mills
US4846410A (en) Apparatus for monitoring low-level combustibles
US4778113A (en) Apparatus for monitoring low level combustibles
CN111495565A (zh) 一种发电机组燃煤锅炉的磨煤机防爆检测系统及方法
US29810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fe operation of engines
CN116547505A (zh) 计量检测类火现象的装置和方法以及消除由类火现象造成的危险状态的系统
CN218844497U (zh) 一种风电机组刹车摩擦火花探测安全装置
CN211206191U (zh) 烟熏测试仪熄火联动装置
Zalosh Review of coal pulverizer fire and explosion incidents
NL9000789A (nl) Beveiligingsschakeling voor een verwarmingsinrichting.
JP3376530B2 (ja) 電気集塵器ホッパ内のダスト状態監視装置
US11927486B2 (en) Monitoring of particle temperature trends
CN219816600U (zh) 一种安全性高的立式煤磨系统
JPS5823300B2 (ja) 可燃性粉体輸送装置に於ける安全装置
EP4141322A1 (de) Verfahren und anordnung zum sicheren betreiben und regeln eines verbrennungsprozesses in einem heizgerät für die verbrennung von wasserstoff
CA2173496A1 (en) Device for preventing the risk of fire due to burning or glowing particles in a pipeline
Alameddin Industrial coal-fired explosion haza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4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