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605B1 - 브이.티.알의 음성신호 처리용 기록, 재생, 뮤트모우드로직 조절회로 - Google Patents

브이.티.알의 음성신호 처리용 기록, 재생, 뮤트모우드로직 조절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605B1
KR900002605B1 KR1019860005892A KR860005892A KR900002605B1 KR 900002605 B1 KR900002605 B1 KR 900002605B1 KR 1019860005892 A KR1019860005892 A KR 1019860005892A KR 860005892 A KR860005892 A KR 860005892A KR 900002605 B1 KR900002605 B1 KR 900002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circuit
mute
signal
re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5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2127A (ko
Inventor
신명철
명찬규
신혜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60005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2605B1/ko
Publication of KR880002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5/027Analogue recording

Landscapes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브이. 티. 알의 음성신호 처리용 기록, 재생, 뮤트모우드로직 조절회로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도
제 2 도 a, b는 제 1 도의 구체회로도
제 3(a)-(d) 도는 제 2 도의 각 단의 동작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우드 조정전압회로 2 : 기록재생비교기
3 : 뮤트비교기 4 : 기록재생선택회로
5 : 재생조절회로 6 : 기록조절회로
7 : 라인조절회로 8 : 제 1 기준전압발생회로
9 : 제 2 기준전압발생회로
본 발명은 VTR의 음성신호 처리용 반도체 집적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VTR의 음성신호처리용 기록, 재생 및 뮤트모우드 동작을 조절할 수 있는 로직 조절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VTR의 음성신호 처리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기록, 재생 또는 뮤트등의 각 모우드를 선택할시에 전원전압을 스위칭시킴으로써 조절핀을 가변시켜 상기 동작 모두를 선택하여 왔다.
이와같은 종래의 동작 방식에 있어서는 공급전압 변동율이 있게 되고 이 변동으로 인한 팝 노이스 성분이 발생하여 리플에 대한 영향이 크게 문제시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회로는 개별소자를 사용하였을 경우 회가 커져서 프린트보우드(PCB)면적이 증가하고 부품소자가 늘어나 VTR의 소형화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에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 재생 또는 뮤트모우드 선택시 야기되는 공급전압 변동율에 따른 팝 노이스 성분을 제거할 수 있는 모우드 스위칭 집적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기록 재생 또는 뮤트모우드에 따른 조절 전압의 변동에 대해 안정된 모우드 선택을 할 수 있는 반도체 집적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충분한 뮤팅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모우드 선택에 따른 에러를 줄일 수 있는 반도체 집적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각 모우드 동작을 조절할 수 있는 회로의 블럭도로서 모우드 조정전압회로(1)와, 기록재생비교기(2)와, 뮤트비교기(3)와, 기록재생선택회로(4)와, 재생조절회로(5)와, 기록조절회로(6)와, 라인조절회로(7)와, 제 1 기준전압발생회로(8) 및 제 2 기준전압발생회로(9)로 구성된다.
모우드 조정전압회로(1)는 기록, 재생 또는 뮤트의 동작 모우드에 따라 각각 다른 논리레벨을 입력하여 상기 동작 모우드에 따른 전압레벨을 발생하는 회로로써 기록시는 "로우" 상태의 전압, 재생시는 "하이" 상태의 전압(또는 이와 반대로 할 수도 있다.), 뮤트시는 상기 기록시와 재생시의 중간상태의 전압이 발생하도록 전압조절을 시간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뮤트 시간을 길게 잡도록 하므로써 기록, 재생동작시 에러의 발생을 극소화할 수 있다.
이와같은 동작은 동작모우드에 따른 스위칭에 의해 리플필터 캐패시터의 충방전 시간을 이용하여 실현할 수 있으며 전원의 급작스런 변동에 따른 팝 노이스 성분의 제거도 가능하게 된다.
기록재생비교기(2)는 상기 모우드 조정전압회로(1)에서 출력하는 기록시와 재생시에 대응하여 설정된 전압레벨에서 서로 상반되는 논리레벨을 정확히 출력하는 비교회로이다.
예를 들어 재생 모우드에서 기록모우드로 바뀌었다 가정하고 상기 기록재생비교기(2)의 기록시의 동작 기준전압이 전원전압의 0.2배(0.2Vcc)라 하면 상기 비교기(2)의 입력전압이 0.2Vcc에 도달하면 상기 기록재생 비교기(2)는 "로우" 상태의 출력을 한다.
뮤트비교기(3)는 온도 변화등 외부조건의 변동에 대해서도 일정의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제 1 기준전압발생회로(8)의 기준전압과 상기 모우드 조정전압회로(1)에서 출력하는 뮤트 전압레벨의 범위에서 동작을 하여 뮤트동작을 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기록재생선택회로(4)는 상기 기록재생비교기(2)에서 출력하는 기록시에 대응하는 논리상태를 입력하면 재생조절회로(5)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한다.
제 2 기준전압발생회로(9)는 기준전압을 발생하여 라인조절회로(7), 기록조절회로(6) 및 재생조절회로(5) 및 기록재생선택회로(4)의 전원 공급전압을 제공한다.
라인조절회로(7)는 뮤트비교기(3)의 뮤투신호를 입력하여 뮤트동작을 함과 동시에 재생조절회로(5)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여 재생시 라인의 신호레벨을 조절할 수 있는 신호와 재생시 재생을 지속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기록조절회로(6)는 기록시 기록증폭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며 재생조절회로(5) 또한 재생시 재생증폭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제 1 도의 동작은 하기와 같다.
모우드 조정전압회로(1)로 재생 모우드를 나타내는 논리 신호가 입력하면 상기 회로는 재생모우드를 나타내는 전압레벨로 서서히 변해간다. 따라서 재생 모우드를 나타내는 전압레벨에 도달하면 기록재생비교기(2)는 재생을 나타내는 논리신호를 출력하고 기록재생 선택회로(4)는 상기 논리신호에 따라 재생조절회로(5)를 동작시키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기록 조절회로(6)는 동작하지 않음). 또한 재생조절회로(5)는 라인조절회로(7)를 동작시키는 신호를 출력하여 재생시 라인제어를 할 수 있는 자동 레벨제어(Automatic level Control)신호를 출력하여 재생시 녹화테이프의 질에 따른 음질의 변화를 고르게 하는 제어를 행하게 하며 재생시 뮤트동작도 할 수 있도록 재생중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게 한다.
한편 기록시에는 모우드 조정전압회로(1)에서 출력하는 기록시에 대응하는 전압레벨로 조정된 신호를 출력하고 기록재생비교기(2)는 기록시임을 나타내는 논리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기록재생 선택회로(4)는 상기 논리신호를 입력하여 기록조정회로(6)에 기록동작을 할 수 있도록 상기회로(6)를 동작시킨다(이때 재생조절회로(5)는 동작하지 않음).
한편 뮤트시에는 모우드 조정전압회로(1)에서 출력하는 뮤트전압레벨을 뮤트비교기(3)가 입력하여 제 1 기준전압발생회로(8)의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라인조절회로(7)로 뮤트동작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라인 조절회로(7)의 뮤트신호를 출력라인으로 뮤트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제 2 도는 제 1 도의 본 발명에 따른 블럭도의 구체회로도로써 Q1-Q31은 트랜지스터, R1-R46은 저항, C1은 캐패시터, D1-D12는 다이오우드, Vcc는 전원 공급전원을 나타낸다.
도면중 트랜지스터 Q1-Q2, 저항 R1-R6및 캐패시터 C1로 이루어진 회로는 제 1 도의 모우드 조정전압회로(1)에 대응하고, 트랜지스터 Q25, 저항 R41-R46및 다이오우드 D11-D13로 구성된 회로는 기록재생비교기(2), 트랜지스터 Q7-Q10, 저항 R14-R17로 구성된 회로은 뮤트비교기(3), 트랜지스터 Q21-Q24, 저항 R29-R31및 다이오우드 D10로 구성된 회로는 재생조절회로(5), 트랜지스터 Q16-Q31, 저항 R12-R40으로 구성된 회로가 기록재생선택회로(4), 트랜지스터 Q17-Q20, 저항 R26-R28및 다이오우드 D9로 구성된 회로가 기록조절회로(6), 트랜지스터 Q12-Q16, 저항 R19-R25로 구성된 회로가 라인조절회로(7), 트랜지스터 Q3-Q6, 저항 R9-R13및 다이오우드 D1, D2로 구성된 회로가 제 1 기준전압발생회로(8), 저항 R18및 다이오우드 D3-D8로 구성된 회로가 제 2 기준전압발생회로(9)에 각각 대응한다.
한편 제 3(a)-(d) 도는 제 2 도의 각 부분의 동작파형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 3(a) 도는 모우드 변환시 제 2 도의 C점의 전원전압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제 3(b) 도는 재생조절회로(5)의 출력이 입력하는 재생증폭단의 모우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제 3(c) 도는 라인조절회로(7)에서 출력하는 신호에 따른 라인증폭단의 모우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제 3(d)도는 기록조절회로(6)의 동작시 기록증폭단의 모우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제 2 도의 동작을 제 3 도의 파형도를 참조하여 상세시 설명한다.
VTR이 기록을 하고 있다가 제 3(a) 도의 시간 Ta과 같이 재생동작을 사용자가 선택을 하였다고 가정한다. 이때에는 제 2 도의 입력단자 A와 B로 모두 "로우"상태의 신호가 입력을 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 Q1와 Q2는 모두 오프상태가 되며 전원전압 Vcc은 저항 R3과 R4를 통해 캐패시터 C1에 충전을 하게 된다. 이 때의 충전은(R3+R4). C1의 시정수로 충전을 하여 캐패시터 C1는 Vcc까지 충전이 된다. 따라서 전원전압의 급작스런 변동이 있다하여도 상기 캐패시터 C1에 급작스런 전압의 충전은 없게 되므로 팝 노이스의 방지를 할 수 있게 된다.
제 3(a)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 2 도의 C점의 전압이 0-0.2Vcc볼트의 범위에 있으면(기간 O-T1사이) 기록재생비교기(2)의 트랜지스터 Q25는 순방향 바이어스가 걸리게 되고 도통을 하므로 저항 R45의 전압강하에 의해 기록재생선택회로(4)의 트랜지스터 Q27및 Q31의 베이스로 "하이" 상태의 전압이 입력한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 Q27및 Q31은 모두 도통을 한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 Q28및 Q30의 베이스는 "로우" 상태가 되고 오프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 Q29는 도통을 하므로써 기록조절회로(6)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 Q17및 Q18이 모두 도통을 하여 기록증폭단에 전류를 공급하여 기록시임을 나타내준다. 그러나 상기 트랜지스터 Q30는 오프상태이므로 재생조절회로(5)는 동작을 하지 않고 재생증폭단에 전류의 공급도 없어 재생동작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한편 상기 기록조절회로(6)의 트랜지스터 Q17의 콜렉터로 빠져 나가는 전류는 기록시 신호레벨을 제어하는 자동레벨 제어신호로 사용되고 트랜지스터 Q18의 콜렉터로 빠져나가는 전류는 기록증폭을 도모하는 신호로 사용이 된다.
한편 이 전압(0-0.2Vcc)은 뮤트비교기(3)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 Q10와 Q8의 베이스로 입력하여 제 1 기준전압발생회로(8)에서 트랜지스터 Q11와 Q7의 베이스에 공급되는 기준전압과 비교되어 상기 트랜지스터 Q10는 오프가 되고 트랜지스터 Q11및 Q8이 도통상태가 되어 트랜지스터 Q9로 전류가 흐르고 상기 트랜지스터 Q9와 트랜지스터 Q13로 구성되는 정전회로에 의해 트랜지스터 Q13의 콜렉터 에미터간에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트렌지스터 Q14는 오프상태가 되므로 라인 100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뮤트동작을 하지 않게 된다.
한편 캐패시터 C1에 충전된 전압이 0.2Vcc-0.8Vcc으로 충전되면(제 3(a) 도 기간 T1-T3구간) 제 1 기준 전압발생회로(8)에서 출력하는 기준전압 즉 트랜지스터 Q11과 Q7의 베이스에 입력하는 기준전압에 의해 트랜지스터 Q10과 Q8이 동작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트랜지스터 Q9는 오프상태가 되고 트랜지스터 Q13또한 오프상태가 되므로 제 2 기준전압발생회로(9)의 다이오우드 D3-D8의 전압에 의해 트랜지스터 Q12가 도통을 하고 또한 트랜지스터 Q14도 도통을 하여 라인(100)으로 전류가 흐르므로 인해 뮤트동작을 하게 된다.
캐패시터 C1의 충전전압이 0.8Vcc이상으로 상승하면(제 3(a) 도 기간 T3-T4구간) 기록재생비교기(2)를 구성하는 다이오우드 D13와 트랜지스터 Q25에 의해 상기 다이오우드 D13의 애노드측에는 역 바이어스가 걸려 상기 트랜지스터 Q25는 오프상태가 된다.
따라서 기록재생선택회로(4)의 트랜지스터 Q27와 Q31의 베이스 측은 "로우" 상태가 되어 상기 트랜지스터들은 오프상태가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 Q30는 도통을 하게되고 트랜지스터 Q29는 오프상태가 되어 재생조절회로(5)는 동작을 하고 기록조절회로(6)는 동작을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 Q30의 콜렉터 에미터간을 흐르는 전류에 의해 재생조절회로(5)의 트랜지스터 Q22, Q23, Q24가 도통을 하여 재생증폭동작을 개시시키고 동시에 라인조절회로(7)의 트랜지스터 Q15, Q16이 도통을 하여 재생시 신호레벨의 차이 또는 테이프질에 따른 소리의 높낮이를 고르게 하기 위한 자동레벨제어신호를 라인(200)으로 출력하고 라인(300)으로 라인증폭단에 재생중임을 알리는 신호로 출력한다.
한편 C점의 상기 전압레벨에 의해 뮤트비교기(3)에 제공되는 전술한 기준전압과 비교되어 트랜지스터 Q10, Q7가 도통을 하고 트랜지시터 Q8가 오프상태가 되므로써 트랜지스터 Q9에는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 Q9와 함께 정전류원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 Q13의 콜렉터측에 전류가 흐르므로 트랜지스터 Q14의 베이스에미터 간은 순방향 전압이 걸리지 못하여 오프상태가 된다. 따라서 뮤트시임을 알리는 라인(100)에는 전류가 흐르지 못하고 뮤트동작을 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0.8Vcc이상의 전압으로 C점에 전압이 걸리면 완전히 재생동작을 하게 된다.
그러나 제 3(a) 도의 시간구간 T2와 T3사이 즉 C점의 전압레벨이 0.6Vcc와 0.8Vcc사이에 있게 되면 전술한 바와같이 라인조절회로(7)의 뮤트라인(100)으로 전류가 흘러 뮤트동작을 한다. 이와 동시에 기록재생비교기(2)의 다이오우드 D13의 애노드측에 역방향 바이어스가 걸리게 되며 트랜지스터 Q25는 전술한 바와같이 오프상태가 되어 트랜지스터 Q30가 도통을 하고 트랜지스터 Q2가 오프상태가 됨으로써 기록조절회로(5) 및 라인조절회로(7)의 트랜지스터 Q22-Q24및 Q15, Q16이 도통을 하여 재생동작을 시작한다.(제 3(b) 도)
그러나 이 기간중에는 뮤트동작이 진행되어 기록과 재생의 혼동에 의한 에러의 발생을 제거해주게 된다.
지금 사용자가 재생중에 뮤트동작을 지시하였다 가정하면 모우드 조정전압회로(1)의 입력단자 A와 B로는 각각 "로우", "하이" 상태의 신호가 입력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 Q1는 오프상태가 되고 트랜지스터 Q2는 도통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캐패시터 C1에 Vcc로 충전된 전압은 저항 R5과 트랜지스터 Q2를 통해 방전을 하게되고 저항 R3과 R4의 합과 저항 R5에 의해 분압된 전압까지 시정수 R5.C1로 방전한다. 이렇게하여 최종전압은 상기 저항에 의해 분압된 0.5Vcc로 되어 C점에 나타난다.
이때에는 전술한 바와같이 제 3(a) 도의 시간 T4에서(C점 전압 0.8Vcc) 재생동작은 중단되고 뮤트비교기(3)가 동작하여 라인조절회로의 트랜지스터 Q13가 오프되므로 트랜지스터 Q14가 도통하여 뮤트라인(100)으로 전류가 흘러 뮤트동작을 한다. (제 3 도의 Tb 기간)
또한 제 3 도의 기간 Tc과 같이 뮤트동작을 하고 있다가 재생동작을 사용자가 재개하면 전술한 바와같이 모우드 조정전압회로(1)의 입력단자 A, B로 모두 "로우" 상태의 전압이 입력되므로 트랜지스터 Q1, Q2는 오프상태가 되고 C점은 다시 Vcc로 충전되어 간다. 따라서 시간 T5까지는(C점 전압 0.8Vcc이하) 전술한 바와같이 뮤트동작을 하며 시간 T5이후는 재생동작을 함은 전술한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지금 사용자가 제 3 도 기간 Td와 같이 재생동작중 기록동작모우드를 선택했다 가정하면 모우드 조정전압회로(1)의 입력단자 A, B로는 모두 "하이" 상태의 전압이 입력하고 트랜지스터 Q1및 Q2가 모두 도통을 하여 전원전압 Vcc는 트랜지스터 Q1를 통해 바이패스되고 캐패시터 C1에 Vcc로 충전되었던 전압은 저항 R5및 트랜지스터 Q2를 통해 방전을 하여 C점의 전위가 제 3(a) 도의 기간 Td에서와 같이 0전압으로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같이 시간 T6(C점 전압 0.8Vcc)의 재생동작에서 뮤트동작으로 전환하는 시간 T6과 T8사이(C점 전압 0.2Vcc-0.8Vcc)에서 뮤트동작을 하여 시간 T8에서 C점 전압이 0.2Vcc로 되므로 전술한 바와같이 기록재생비교기(2)가 동작하여 기록논리레벨 즉 트랜지스터 Q27, Q31의 베이스로 "하이" 상태의 전압을 출력하고 트랜지스터 Q29의 도통으로 기록조절회로(6)의 트랜지스터 Q17-Q20가 모두 도통을 하여 기록증폭단의 기록 증폭을 조절하게 된다.
한편 기록중에 있다가 뮤트동작을 사용자가 개시하면 제 3 도의 시간구간 Te에서와 같이 제 2 도의 C점의 전압레벨은 0.5Vcc로 되고 뮤트동작을 함은 전술한 동작방식과 같다.
따라서 제 2 도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C점의 전압레벨 0-0.2Vcc가 되면 기록조절회로(6)가 동작하여 기록증폭단이 제 3(d) 도와 같이 기록동작을 하며 C점의 전압레벨이 0.2Vcc-0.8Vcc이면 뮤트비교기(3)의 동작으로 라인조절회로(7)의 뮤트출력라인(100)을 통해 유출하는 전류에 의해 제 3(c) 도와 같이 뮤트동작을 하게되며 C점의 전압레벨이 0.8Vcc-Vcc이면 기록재생비교기(2)의 논리출력에 의해 재생조절회로(5)가 동작하여 제 3(c) 도와 같이 라인증폭단이 재생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C점의 전압이 0.6Vcc-0.8Vcc이면 기록재생비교기(2)는 재생논리레벨을 출력하고 재생조절회로(5)를 동작시켜 제 3(b) 도와 같이 재생증폭단을 작동시킨다.
따라서 제 3 도의 시간 T2와 T3사이 및 시간 T6과 T7사이에서는 재생증폭을 하지만 라인조절회로(7)의 뮤트출력라인(100)에 의해 뮤트를 수행한다.
제 2 도 중 트랜지스터 Q16와 저항 R39으로 구성된 부분은 트랜지스터 Q15가 오프시 다이오우드 D11, D12로 흐르는 과전류를 흡수하기 위한 보호회로이며, 저항 R10과 트랜지스터 Q4로 구성된 부분도 온도변화에 의한 저항 R9, 다이오우드 D1, D2및 트랜지스터 Q3의 특성변화를 보상하기 위한 회로이다.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기록, 재생, 뮤트모우드 동작을 조절할 수 있는 로직조절회로를 제공함으로써 전원전압변동에 따른 팝 노이스의 발생을 방지하고 리플에 대한 영향을 줄일 수 있고 뮤트동작을 사용하여 기록과 재생모우드의 안정된 선택을 할 수 있어 신뢰성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반도체 집적회로를 사용함으로써 소형화를 기할 수 있어 VTR의 소형화를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Claims (1)

  1. 음성신호 처리용 기록, 재생 또는 뮤트모우드 동작을 조절하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우드에 따른 논리레벨에 따라 모우드 조절 전압을 소정의 시정수로 출력하는 모우드 조정전압회로(1)와, 상기 동작모우드에 따른 상기 조절전압을 입력하여 기록시와 재생시에 서로 다른 논리레벨을 출력하는 기록재생비교기(2)와, 상기 뮤트모우드시의 조절전압을 입력하여 제 1 기준전압발생회로(8)에서 출력하는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뮤트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뮤트비교기(3)와, 소정의 기준전압을 발생하여 공급전원으로 제공되는 제 2 기준전압발생회로(9)와, 상기 기록재생비교기(2)의 논리출력을 입력하여 기록시와 재생시의 선택 스위칭을 하는 기록재생선택회로(4)와, 상기 기록재생선택회로(4)의 출력을 입력하여 재생증폭단을 동작하게 하는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라인조절을 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재생조절회로(5)와, 상기 기록재생선택회로(4)의 기록시의 선택스위칭 신호를 입력하여 기록증폭단 동작 및 기록라인제어를 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기록조절회로(6)와, 상기 뮤트비교기(3)의 뮤트신호를 입력하여 뮤트동작을 하며 재생시에는 상기 재생조절회로(5)의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소정의 뮤트동작 및 재생시의 라인조절을 하는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KR1019860005892A 1986-07-21 1986-07-21 브이.티.알의 음성신호 처리용 기록, 재생, 뮤트모우드로직 조절회로 KR900002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5892A KR900002605B1 (ko) 1986-07-21 1986-07-21 브이.티.알의 음성신호 처리용 기록, 재생, 뮤트모우드로직 조절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5892A KR900002605B1 (ko) 1986-07-21 1986-07-21 브이.티.알의 음성신호 처리용 기록, 재생, 뮤트모우드로직 조절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127A KR880002127A (ko) 1988-04-29
KR900002605B1 true KR900002605B1 (ko) 1990-04-20

Family

ID=19251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5892A KR900002605B1 (ko) 1986-07-21 1986-07-21 브이.티.알의 음성신호 처리용 기록, 재생, 뮤트모우드로직 조절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260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127A (ko) 1988-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3447B1 (ko) 슈미트트리거회로
US57242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ransition time for a magnetic head to switch from a write made to a read mode by reducing a maximum current value at different rates
US6490301B1 (en) Laser drive device
US53812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reasing a transition time of a read head from a write mode to a read mode
KR900002605B1 (ko) 브이.티.알의 음성신호 처리용 기록, 재생, 뮤트모우드로직 조절회로
US4987501A (en) Amplifying device
US6211730B1 (en) Pre-amplifier circuit
EP0310116A2 (en) Motor driving power supply apparatus including switching regulator control loop
US20050147011A1 (en) Optical integrated device
US5680268A (en) Apparatus for magnetic recording and playback having a recording/playback coil split by a center tap and supplying an unbalanced write current
JP2566303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100238214B1 (ko) 광디스크 기억장치의 등화기에서 디스크의 회전배속모드에 따른 전류원 선택장치
US6411455B1 (en) Head amplifier circuit
JPS59172814A (ja) 増幅回路
JP3033696B2 (ja) 記録アンプ回路
KR920004925B1 (ko) 잡음뮤팅 및 정전압 제어회로
KR930004527Y1 (ko) 영상녹재장치의 신호처리 제어회로
KR920000842Y1 (ko) Vtr에서의 s-vhs감지신호 발생회로
JP3917130B2 (ja) 磁気ディスク装置
KR890000510Y1 (ko) 더블 데크 카세트의 더빙 제어회로
JPH0210588Y2 (ko)
KR920008562Y1 (ko) Vcr의 오디오 뮤팅회로
JPH0733459Y2 (ja) 磁気テープ記録再生装置のモード切り替え等のための積分回路
JPH0446003B2 (ko)
JPH044736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