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232B1 - 더블 데크 vtr의 비데오신호 절환회로 - Google Patents

더블 데크 vtr의 비데오신호 절환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232B1
KR900002232B1 KR1019860009435A KR860009435A KR900002232B1 KR 900002232 B1 KR900002232 B1 KR 900002232B1 KR 1019860009435 A KR1019860009435 A KR 1019860009435A KR 860009435 A KR860009435 A KR 860009435A KR 900002232 B1 KR900002232 B1 KR 900002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signal
output
switch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9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6667A (ko
Inventor
홍봉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60009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2232B1/ko
Publication of KR880006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6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86Re-recording, i.e. transcribing information from one magnetisable record carrier on to one or more similar or dissimilar record carriers

Landscapes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더블 데크 VTR의 비데오신호 절환회로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더블 데크 VTR의 비데오 신호 절환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7 : 버퍼 21-23 : 스위치 콘트롤부
31-34 : 아나로그 스위치 41 : 선택 스위치
본 발명은 더블 데크 VTR의 비데오신호를 절환시키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더블 데크 VTR에 있어서 비데오 신호를 사용자가 소망하는 모드, 즉 데크 A에서 데크 B로 복사를 하거나 반대로 B데크에서 A데크로 복사 및 각종 모드 절환시 사용자가 데크 A와 데크 B를 콘트롤하는 구동장치를 각각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각종 모드를 선택하는 데 있어서 불편함이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판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택 스위치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를 선택하여 간단하게 비데오 신호를 절환시킬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은 본 발명의 더블 데크 VTR의 비데오신호 절환회로도로서, 각각의 콘덴서(C1-C15)를 통해 입력되는 데크 A 및 데크 B의 출력신호, 튜너 출력신호 및 외부(AUX)입력신호의 로드에 따른 레벨 변동을 방지하기 위한 버퍼(10-17)와, 선택 스위치(41)에 따른 신호 및 각 데크의 녹화 "H"신호를 입력하여 논리 게이트(G1-G3), (G4-G6)로 논리동작을 하여서 아나로그 스위치(31), (32)에 콘트롤신호(C)를 출력하는 스위치 콘트롤부(21), (22)와, 각 데크의 재생 "H"신호 및 데크 A 선택 스위치의 동작에 따른 신호를 입력하여 논리 게이트(G7-G9)로 논리동작을 수행하여 아나로그 스위치(33)에 콘트롤신호(C)를 출력하는 스위치 콘트롤부(23)와, 각각의 버퍼(10-17)를 통한 각 데크의 출력신호, 튜너의 출력신호 및 외부(AUX)입력신호가 상기 스위치 콘트롤부(21-23)의 출력신호에 따라 데크 A, 데크 B, RF콘버어터 및 부(AUX)로 각각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아나로그 스위치(31-33)와, 튜너에서 출력되는 비데오 출력 신호와 외부(AUX)입력신호를 각각의 버퍼(16) 및 (17)로 출력하도록 스위칭하는 전자식 스위치(34)와, 각 비데오 신호의 절환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스위치(41)로 이루어졌다.
이때, 콘덴서(C1-C16)은 직류차단용 커플링 콘덴서이고, 저항(R4, R14)는 외부 장치로 출력되는 버퍼(10), (13)의 출력의 임피던스 매칭용 저항이다.
상기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회로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비데오 신호 절환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아나로그 스위치(31-33)의 동작을 설명한다.
아나로그 스위치(31-33)는 스위치 콘트롤부(21-23)에 의해 콘트롤단자(C)에 하이상태의 신호가 입력되면, 스위치의 공통단자에 접점(H)이 접속되고, 로우상태의 신호가 입력되면 접점(L)이 접속된다.
즉, 아나로그 스위치(31)의 접점(H)이 접속되면 데크 B에서 재생되어 출력되는 비데오신호가 데크 A로 입력되어 녹화되고, 접점(L)이 접속되면 텔레비젼의 튜너에서 출력되는 비데오 신호 또는 외부(AUX)입력신호가 데크 A에 입력되어 녹화된다. 스위치(32)의 접점(H)이 접속되면 데크 A에서 재생되어 출력되는 비데오 신호가 데크 B로 입력되어 녹화되고, 접점(L)이 접속되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텔레비젼의 튜너에서 출력되는 비데오신호 또는 외부(AUX)입력신호가 데크 B에 입력되어 녹화된다.
또한, 스위치(33)의 접점(H)이 접속되면 데크 A에서 재생되어 출력되는 비데오 신호가 RF콘버어터에 입력되고, 접점(L)이 접속되면 데크 B에서 재생되어 출력되는 비데오 신호가 RF콘버어터에 입력된다.
첫째로, 데크 A에서 재생되어 출력되는 비데오 신호를 데크 B로 녹화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데크 A에서 재생되어 출력되는 비데오 신호를 데크 B로 녹화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41)의 접점(a-b)을 접속시키면, 스위치 콘트롤부(22)의 앤드 게이트(G4)의 한 입력에는 선택 스위치(41)의 단자(A-B)를 통하여 전원 전압(Vcc)즉, 하이상태의 신호가 한 입력에 인가된다.
이때, 다른 앤드 게이트(G6)의 두입력에는 데크 A 및 데크 B의 녹화 "H"신호가 입력되는데, 두 데크가 동시에 녹화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으므로 앤드 게이트(G6)의 두 입력에는 동시에 하이상태의 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므로 그 출력은 로우상태가 된다.
따라서, 노아 게이트(G5)는 한 입력에 선택 스위치(41)에 의해 로우상태의 신호가 입력됨과 동시에 로우상태의 앤드 게이트(G6)의 출력이 입력되므로, 그 출력은 하이상태가 되어 상기 앤드 게이트(G4)의 다른 입력에 입력된다. 앤드 게이트(G4)의 출력은 하이가 되어 아나로그 스위치(32)의 콘트롤 단자(C)에 인가되므로 아나로그 스위치(32)의 공통접점에 접점(H)이 접속된다.
그러므로, 데크 A에서 재생되어 출력되는 비데오 신호는 버퍼(12)를 통하여 아나로그 스위치(32)에 인가된 후 데크 B로 입력되므로 데크 A에서 출력된 비데오 신호가 데크 B에 녹화된다.
둘째로, 데크 B에서 재생되어 출력되는 비데오 신호를 데크 A로 녹화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41)의 접점(a-c)을 접속시키면, 스위치 콘트로부(21)의 앤드 게이트(G1)의 한 입력에는 선택 스위치(41)의 단자(a-c)를 통하여 전원 전압(Vcc) 즉, 하이상태의 신호가 한입력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와 마찬가지로 앤드 게이트(G3)의 출력은 로우가 되어 노아 게이트(G2)의 한 입력에 입력되므로, 노아 게이트(G2)의 출력은 하이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노아 게이트(G2)의 출력이 앤드 게이트(G1)의 다른입력에 인가되므로 앤드 게이트(G1)의 출력은 하이상태가 되고, 이 신호가 아나로그 스위치(31)의 콘트롤단자(C)에 인가되므로 아나로그 스위치(31)의 공통접점에 접점(H)이 접속된다.
그러므로, 데크 B에서 재생되어 출력되는 비데오 신호가 버퍼(14)를 통한 후 아나로그 스위치(31)를 거쳐 데크 A로 입력되므로 데크 A에서 출력되는 비데오 신호가 데크 B에 녹화된다.
셋째로, 튜너의 출력신호 및 외부(AUX)입력을 데크 A 또는 데크 B에 녹화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 스위치(41)의 접점(a-d)이 접속되면, 하이상태의 신호가 스위치 콘트롤부(21) 및 (22)의 노아 게이트(G2), (G5)의 한 입력에 인가되므로 노아 게이트(G2), (G5)의 출력은 다른 입력에 관계없이 로우상태가 된다. 따라서, 앤드 게이트(G1), (G4)의 출력도 로우상태가 되어 아나로그 스위치(31), (33)의 콘트롤단자(C)에 인가되므로, 아나로그 스위치(31), (33)의 공통접점이 접점(L)에 각각 접속된다.
이때, 튜너의 출력신호를 각 데크에 녹화할 때에는 전자식 스위치(34)의 접점은 튜너의 출력단에 접속되게 되는데, 튜너의 출력신호를 데크 A에 녹화하는 경우에는 버퍼(16)를 통한 튜너의 출력신호가 아나로그 스위치(31)를 통하여 데크 A에 입력되어 녹화되고, 데크 B에 녹화하는 경우에는 버퍼(17)를 통한 출력신호가 아나로그 스위치(32)를 통하여 데크 B에 입력되어 녹화된다.
또한, 외부(AUX)입력신호를 각 데크에 녹화할 때에는 전자식 스위치(34)의 접점은 외부(AUX)입력에 접속되게 되는데, 이 보조장치의 입력신호를 데크 A에 녹화하는 경우에는 버퍼(16)를 통한 외부(AUX)입력신호가 아나로그 스위치(31)를 통하여 데크 A에 입력되어 녹화되고, 데크 B에 녹화하는 경우에는 버퍼(17)를 통한 보조장치의 입력신호가 아나로그 스위치(32)를 통하여 데크 B에 입력되어 녹화된다.
넷째로, 각 데크에서 재생되는 비데오 신호를 RF콘버어터에 인가하여 비데오 신호를 텔레비젼으로 시청을 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데크 A에서 재생되어 출력되는 비데오 신호를 텔레비젼으로 시청하게 되는 경우에는, 스위치 콘트롤부(23)의 앤드 게이트(G8)의 일단에 접속된 데크 A선택 스위치가 온이 되어 한 입력에 하이상태의 신호가 입력된다.
그러나, 각 데크의 재생 "H"신호를 두 입력을 하는 앤드 게이트(G9)의 동작도 상기 앤드 게이트(G3), (G6)의 동작과 동일하여 앤드 게이트(G9)의 출력도 로우상태가 된다.
따라서, 앤드 게이트(G8)의 출력이 로우가 되어 오아 게이트(G7)의 한 입력에 인가되고, 다른 입력에는 하이상태의 데크 A재생 "H"신호가 입력되므로 그 출력은 하이가 되어 아나로그 스위치(33)의 콘트롤단자(C)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데크 A에서 재생되어 출력되는 비데오 신호는 버퍼(11)를 통한 후 아나로그 스위치(33)를 통하여 RF콘버어터에 입력되므로, 데크 A에서 재생된 비데오 신호는 텔레비젼 화면에 나타나게 된다.
다음, 데크 B에서 출력되는 비데오 신호를 텔레비젼으로 시청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앤드 게이트(G8)의 로우상태의 출력이 노아 게이트(G7)의 한 입력에 인가됨과 동시에 다른 입력에도 로우상태의 데크 A재생 "H"신호가 입력되므로, 그 출력은 로우가 되어 아나로그 스위치(33)의 콘트롤단자(C)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스위치(33)의 접점(L)이 접속되어 버퍼(15)를 통한 데크 B의 비데오 신호가 아나로그 스위치(33)를 통하여 RF콘버어터에 입력되므로 데크 B에서 출력되는 비데오신호가 텔레비젼의 화면에 나타나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선택 스위치 하나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로 쉽게 비데오 신호를 절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더블 데크 VTR의 비데오 신호를 절환하는 회로에 있어서, 각각의 콘데서(C1-C15)를 통한 데크 A 및 데크 B의 출력신호, 튜너 출력신호 및 외부(AUX)입력신호의 로드에 따른 레벨 변동을 방지하기 위한 버퍼(10-17)와, 선택 스위치(41)의 동작상태에 따른 신호를 입력하여 논리 게이트(G1-G3), (G4-G6)로 논리 동작을 하여서 아나로그 스위치(31), (32)에 콘트롤신호(C)를 출력하는 스위치 콘트롤부(21), (22)와, 각 데크의 재생 "H" 신호 및 데크 A선택 스위치의 동작에 따른 신호를 입력하여 논리 게이트(G7-G9)로 논리동작을 수행하여 아나로그 스위치(33)에 콘트롤신호(C)를 출력하는 스위치 콘트롤부(23)와, 상기 스위치 콘트롤부(21-23)의 콘트롤신호에 따라 접점이 접속되어 각 데크의 출력신호, 튜너의 출력신호 및 외부(AUX)입력신호가 데크 A, 데크 B, RF콘버어티 및 외부(AUX)의 출력단으로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아나로그 스위치(31-33)와, 튜너에서 출력되는 비데오 출력 신호와 외부(AUX)입력신호가 버퍼(16) 및 (17)로 출력되도록 하는 전자식 스위치(3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VTR의 비데오 신호 절환회로.
KR1019860009435A 1986-11-08 1986-11-08 더블 데크 vtr의 비데오신호 절환회로 KR900002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9435A KR900002232B1 (ko) 1986-11-08 1986-11-08 더블 데크 vtr의 비데오신호 절환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9435A KR900002232B1 (ko) 1986-11-08 1986-11-08 더블 데크 vtr의 비데오신호 절환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667A KR880006667A (ko) 1988-07-23
KR900002232B1 true KR900002232B1 (ko) 1990-04-06

Family

ID=19253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9435A KR900002232B1 (ko) 1986-11-08 1986-11-08 더블 데크 vtr의 비데오신호 절환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223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667A (ko) 198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8018B1 (ko) 텔레비젼 신호 스위칭 시스템
KR880003516A (ko) 텔레비죤과 카메라 일체형 영상녹화 재생기에서의 전원 및 시그날 조절방식
US5193009A (en) Signal switching method of a TV-VCR combination having two tuners
JPS6333979A (ja) 映像信号切換装置
KR900002232B1 (ko) 더블 데크 vtr의 비데오신호 절환회로
US5331223A (en) Signal supplying unit having means for selecting signal in accordance with terminal connection
US4354209A (en) Recording/playing circuit
KR910003208Y1 (ko) 캠코더의 더빙연결장치
KR20010014207A (ko) 비디오 신호 기록재생장치 및 비디오 신호 재생장치
KR19980044359A (ko) 다중 튜너를 구비한 시스템의 튜너 전환장치
KR940000655Y1 (ko) 오디오/비데오 신호의 입출력 자동 절환 장치
KR940002645B1 (ko) 다기능 가전제품의 전원공급장치
KR910002839Y1 (ko) 음성 및 영상신호 절환 스위치 회로
KR870002269Y1 (ko) Vtr의 영상신호 자동 선택 회로
JP2885330B2 (ja) 電源回路
KR0172317B1 (ko) 캠코더의 동기 편집방법
KR950006314Y1 (ko) 멀티 데크 비디오 시스템의 자동 입력 절환회로
KR200143665Y1 (ko) 비디오의 외부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JP2707656B2 (ja) インターフェイス回路
KR0155770B1 (ko) 복수개의 메모리를 갖는 디지탈신호 처리회로
KR930001005Y1 (ko) 모니터와 vcr 복합기기의 신호절환 회로
KR900004624Y1 (ko) 화면 삽입용 비디오카세트 레코더의 신호절환회로
KR930006496Y1 (ko) Tv의 내 · 외부 신호제어회로
JPH0329763Y2 (ko)
KR950013835B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신호처리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