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968Y1 - 동물 활동 완구 - Google Patents

동물 활동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968Y1
KR900001968Y1 KR2019840008328U KR840008328U KR900001968Y1 KR 900001968 Y1 KR900001968 Y1 KR 900001968Y1 KR 2019840008328 U KR2019840008328 U KR 2019840008328U KR 840008328 U KR840008328 U KR 840008328U KR 900001968 Y1 KR900001968 Y1 KR 9000019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y
piece
lip
gear
free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8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9750U (ko
Inventor
하지메 다가하시
Original Assignee
이와야 가부시기 가이샤
이와야 히로가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와야 가부시기 가이샤, 이와야 히로가츠 filed Critical 이와야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97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97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9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9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1/00Self-movable toy fig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3/00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 A63H13/005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with self-moving head or faci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3/00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 A63H13/02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imitating natural actions, e.g. catching a mouse by a cat, the kicking of an anim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동물 활동 완구
제 1 도는, 본 고안 동물 활동 완구의 한쪽의 측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 동물 활동 완구의 다른쪽의 측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 동물 활동 완구의 구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 동물 활동 완구의 입 개폐 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 5 도는, 본 고안 동물 활동 완구의 캠기구의 단면도,
제 6 도는, 본 고안 동물 완구의 캠원반의 측면도,
제 7 도의 (a),(b),(c),는, 본 고안 동물 활동 완구체의 동작설명 외관도,
제 8 도 및 제 9 도는, 본 고안 동물 활동 완구체의 작동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완구체 2 : 동체
3 : 얼굴부 4 : 머리체
5 : 앞다리체 6 : 뒷다리체
7 : 꼬리체 8 : 기모외피체
9 : 눈 10 : 코
11 : 완구체틀 12 : 기기틀
13 : 건전지 케이스 13a : 뒷끝단부
14 : 스위치 15 : 다리 구동기어
16 : 크랭크축 17 : 크랭크아암
18 : 앞다리틀 19 : 안내긴 홈
20 : 지지로드 21 : 크랭크축
22 : 크랭크아암 23 : 뒷다리틀
24 : 연동로드 25 : 틀체
26 : 수직형상부 27 : 스톱퍼
28 : 전동기 29 : 피니언
30 : 제1의 기어 연동기구 31 : 증계기어
32 : 미끄럼이동축 33 : 스페이서
34 : 동력변환기어 35 : 압력받는부
36 : 스페이서 37 : 코일스프링
38 : 크랭크축 39 : 출력기어
40 : 제2의 기어 연동기구 41 : 입력기어
42 : 출력기어 43 : 지지축
44 : 작동판 45 : 작동편
46 : 착설편 47 : 압동로드
48 : 후방돌출편 49 : 안내긴홈
50 : 크랭크아암 51 : 핀
52 : 연동편 53 : 긴홈
54 : 핀 55 : 코일 스프링
56 : 입부 57 : 지지축
60 : 윗입술체 61 : 아래입술체
64 : 관통구멍 65 : 지지편
68 : 링크 69 : 축
70 : 축 71 : 안내요입부
72 : 소리 내는체 73 : 작용부
74 : 회전축 73 : 작용부
76 : 캠원반 77 : 작동편
78 : 가로긴홈 79 : 착설편
80 : 세로홈 81 : 걸어맞춤면
82 : 단턱부 81 : 걸어맞춤편
84 : 경사테두리 83 : 제1의 압동 돌출테두리
86 : 경사테두리 85 : 제2의 압동 돌출테두리
88 : 안내경사테두리 89 : 제3의 압동 돌출테두리
90 : 걸어맞춤요입부 91 : 누름면
92,93 : 압력 받는면 94 : 호 형상면
본 고안은, 예를 들면 원숭이와 같은 동물을 모방한 완구체가 원숭이의 동작과 활도아동작을 나타내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동물의 형태를 모방하여 형성한 동물 활동 완구가 여러가지 제안되어 왔으나, 현재까지에 제안된 것 가운데에서 소리내는 동작을 나타내는 것에 있어서는 그 대부분이 소리내는 기구를 소리내게 하는 것뿐으로서, 고정된 윗턱체에 대하여 아랫턱체만을 상하로 동작시키는 구조가 채용되었고, 이와같은 것에 의하여 동물이 마치 입을 여닫음과 동시에, 소리를 내는 것과 같은 상황을 보이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류의 구조에서는, 소리를 내기 위한 동작으로, 단순히 입을 개폐시키는 정도의 느낌이 강하기 때문에, 입모습 변화가 부족하고, 특히 입을 크게 여닫음하여 소리를 내는 종류, 예를 들면 원숭이와 같은 동물을 모방한 완구체의 경우에는 실체감이 결여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원하는 동물을 모방한 입출체를 사실과 같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하여, 입모습을 실제로 열고닫는 동작을 하면서 사실과 같이 입을 열고 닫으면서 소리를 내는 동작을 나타나도록 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완구체의 입부에 상하로 대치하여 형성시키어, 서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축으로 지지된 윗입술체 및 아래입술체와, 이 윗입술체 및 아래입술체의 한쪽 끝단부에 링크 기구를 개재하여 연결시켜, 그 진퇴 운동에 의하여 윗입술체 및 아래 입술체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하는 연동편과, 동력전달 기구에 의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착설한 작동편을 돌출함과 동시에, 그 다른쪽에 완구체(1) 내에 형성된 소리내는 체를 압동하는 압동로드를 돌출한 작동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원숭이의 형태를 모방하여 형성한 완구체로 이 완구체(1)는 동체(2)와, 원숭이의 안면을 모방한 얼굴부(3)를 갖춘 머리체(4)와, 앞다리체(5), 뒷다리체(6) 및 코일 스프링을 이용한 꼬리체(7)와, 이들을 피복한 기모외피체(8)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기모외피체(8)는 원숭이의 감촉을 일으키도록 기모로되어 있고, 이 기모외피체(8)의 얼굴부(3)에는 눈(9) 및 코(10)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완구체(1) 내에는, 상기 각 부위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2개로 분할된 완구체를 (11)이 형성되며 이 완구체를(11) 내에는 기기틀(12)이 설치되고, 이 기기틀(12)의 하단부에는 건전지(E)를 수납한 건전지 케이스(13)가 착설되며, 이 건전지 케이스(13)에서 하방으로 후단부(13a)가 형성되고 스위치(14)가 복부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기틀(12)의 앞끝단 중간부에 다리구동 기어(15)를 굳게 고정한 크랭크축(15)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옆걸기되어 있고, 이 크랭크축(16)의 양끝단부에 거의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양끝단부 크랭크 아암(17)에 상기 앞다리체(5)의 앞다리틀(18)의 위쪽부분이 회동이 자유롭도록 축걸침되며, 이 양쪽의 앞다리틀(18)의 위쪽부분에 상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안내긴홈(19) 내에 상기 기기틀(12)의 앞끝단 위부분에 옆걸기된 지지로드(20)의 양끝단부가 회동이 자유롭게 끼워 넣어져 있다.
또한 상기 크랭크축(21)이 기기틀(12)의 뒷쪽 아래부분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옆걸기되어 있고, 이 크랭크축(21)의 양단부에 상대하여 하방으로 절곡 형성된 양측의 크랭크아암(22)에, 상기 뒷다리(6)의 뒷다리틀(23)의 상방부가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측으로 걸려 있으며, 이 양측의 뒷다리틀(23)의 상단부에 연동로드(24)의 뒷끝부분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됨과 동시에, 이 양측의 연동로드(24)의 앞끝단부의 상기 앞다리틀(18)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착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틀(12)의 뒷끝 부분에 "ㄷ"자 형상의 틀체(25)가 지지되어 설치되고, 이 틀체(25)의 좌우 양단부에 상기 뒷다리틀(23)의 크랭크축(21)의 수직형상부(26)를 걸어 맞추는 스톱퍼(2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기틀(12)에 전동기어(28)가 착설되고, 이 전동기(28)의 피니언(29)에 동력전달 기구로서의 제1의 기어 연동기구(30)를 개재하여, 중계기어(31)가 맞물리며, 이 중계기어(31)는 상기 기기틀(2)에 미끄럼 이동이 자유롭게 가로 걸리 미끄럼 이동축(32)의 일측부에 착설되어 있다.
또한, 이 미끄럼 이동축(32)에는 스페이서(33)를 개재하여 상기 다리구동기어(15)에 맞물리거나 떨어진은 동력 변환기어(34)가 착설됨과 동시에, 이 미끄럼 이동축(32)의 다른쪽 끝단부에는 바깥쪽부분에 미끄럼 이동이 되기 쉽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한 압력 받는부(35)를 갖는 합성수지제의 스페이서(36)가 일체로 착설되고, 상기 동력변환기어(34)와 상기 기기틀(12)과의 사이에 있는 미끄럼이동축(32)에는, 미끄럼 이동(32)에 힘을 가하는 코일스프링(37)이 감겨져 있다.
또한 상기 기기틀(12)에 동력전달기구로서의 크랭크축(38)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옆으로 걸려 있고, 이 크랭크축(38)의 다른쪽 부분에는 상기 동력변환기어(34)가 맞물리는 제2의 기어 연동기구(40)의 입력기어(41)가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착설되며, 또한 제2의 기어 연동기구(40)의 출력기어(42)가 착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기틀(12)의 일측 전방부에 지지축(43)이 옆으로 걸려 있고, 이 지지축(43)의 일단부에는 작동판(44)의 기틀부가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 작동판(44)은, 한쪽방향 즉, 경사진 전방상부에 작동편(45)이 일체로 돌출되어 착설됨과 동시에, 다른쪽 방향 즉, 경사진 후방상부에 착설편(46)이 일체로 돌출착설되고, 이 착설편(46)의 선단부에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압동로드(47)가 거의 수평상태로 일체로되어 돌출되며, 또한 작동판(44)의 후방하부에 후방돌출편(48)이 거의 수평상태로 일체가 되어 형성되고, 이 후방돌출편(48)에 형성된 안내긴홈(49) 내에 상기 출력기어(39)를 착설한 크랭크축(38)의 크랭크아암(50)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끼워 넣어져 있다.
또한 상기 작동판(44)의 경사진 전방으로 돌출한 상기 작동편(45)의 상단부에 핀(51)이 돌출되고, 이 핀(51)은 연동편(52)의 뒷쪽끝부분에 형성된 긴홈(53) 안에서 진퇴가 자유롭게 끼워 넣어지며, 이 핀(51)과 상기 연동편(52)의 도중에 돌출한 핀(54)과의 사이에 코일스프링(55)이 설치되어, 이 코일스프링(55)에 의하여 연동편(52)의 후단부가 핀(51)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탄성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얼굴부(3)에 있어 입부(56)에 지지축(57)이 옆으로 걸려 있고, 이 지지축(57)에 상하로 의사 이빨(58)이 표시된 입부(56)를 막는 정도의 큰 합성수지제로된 이빨 표시판(59)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착설되며, 합성수지재의 윗입술체(60) 및 아래입술체(61)가 이빨표시판(59)의 전면 상하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축(57)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걸려 있다.
그리고, 상기 이빨 표시부(59)은, 양측 후방부의 착설편(62)에 상대하여 평행 상태로 입체가 되어 형성되고, 이 양측의 착설편(62)의 중간부에 상기 지지축(57)을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끼워넣은 착설요입부(63)가 뒷부분으로 열리어 형성되고, 또한 이 이빨표시판(59)의 양측 하부에는 세로로 긴 형상의 관통구멍(64)이 뚫려져 있다.
또한 상기 윗입술체(60)는 원숭이의 윗입술을 모방하여 형성되고 그 양측 하방에 한쪽이 짧고 다른 한쪽이 길게되어 가늘고 긴 형상의 지지편(65)이 서로 상대하여 평행상태로 입체 돌출되어 착설되며, 이 양측의 지지편(65) 중에서, 한쪽의 짧은 지지편(65)의 하단부와 다른한쪽의 링크 기구로서의 긴 지지편(65)의 중간부에, 상기 지지축(57)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끼워넣고, 또한 이 긴 지지편(65)의 하단부에는 상기 연동편(52)의 선단부가 축(66)을 개재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끼워져 있다.
또한 상기 아래입술체(61)는, 원숭이의 아래입술을 모방하여 형성되고, 그 양측 후방부에 한쪽이 짭고, 가늘고 길면서 다른 한쪽이 긴 "ㄴ"자 형상의 지지편(67)이 서로 상대하여 평행상태로 일체로되어 돌출 설치되며, 이 양측의 지지편(67)의 가운데에서 한쪽의 짧은 지지편(67)의 후단부와 다른한쪽의 링크 기구로서의 긴 지지편(67)의 중간부에 상기 지지축(57)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끼워져 통하고, 또한 이 긴 지지편(67)의 후방부에 링크 기구로서의 링크(68)의 상단부가 축(69)을 개재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끼워지고, 이 링크(68)의 후단부가 상기 연동편(52)의 도중에 축(70)을 개재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동편(52)의 진퇴 동작에 의하여 윗입술체(60) 및 아래입술체(61)는 지지축(57)을 지지점으로 하여 이빨표시판(59)의 상하에 있는 의사이빨(58)을 상대적으로 개폐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회전운동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작동판(44)의 착설편(46)에 돌설한 압동로드(47)는, 상기 기기틀(12)의 일축부에 형성된 안내요입부(71) 내에 돌출시키고, 이 압동로드(47) 및 상기 기기틀(12) 위에 소리내는 체(72)가 착설되며, 이 소리내는 체(72)를 신축하는 작용부(73)가 상기 압동로드(47)에 의하여 단속적으로 압동되어 그 작용부(73)의 신축에 따라 소리내는 체(72)가 소리를 내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제2의 기어 연동기구(40)는 출력기어(42)와 회전축(74)의 중간부에 착설한 입력기어(75)와 맞물리고, 이 회전축(74)은 상기 기기틀(12)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옆으로 걸려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74)의 한쪽부분에는 캠원반(76)이 착설됨과 동시에, 이 캠원반(76)의 외측에는 상기 회전축(74)에 전후 방향으로 진퇴하는 합성수지제의 작동편(77)의 전단부가, 가로 길이홈(78)을 개재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끼워 통하고, 이 작동편(77)의 후단부에는 착설편(79)의 상단부가 회동이 자유롭게 축으로 지지되며, 이 착설편(79)의 내측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세로홈(80) 내에는, 상기 크랭크축(21)의 한쪽방향 수직형상부(26)가 일체로 지지 착설되어 있다.
상기 캠원반(76)은, 합성수지제로 형성되고, 그 내측주연부에는 상기 미끄럼 이동축(32)의 압력 받는부(35)의 그 회동에 따라 순차로 걸어맞추게된 걸어맞춤편(81) 및 단턱부(82)를 통하여 내측으로 돌출한 제1의 압동돌출테두리(83)와, 이 제1의 압동 돌출테두리(83)에 경사테두리(84)을 개재하여 내측으로 다시 돌출시켜 연설한 반원상의 제2의 압동돌풀테두리(85)와, 이 제2의 압동돌출테두리(85)에 경사테두리(86)를 개재하여 제1의 압동돌출테두리(83)와 거의 같은 높이로 연설한 제3의 압동돌출테두리(87)가 연설되고, 이 제3의 압동돌출테두리(87)와 상기 걸어맞춤면(81)과의 사이에는, 안내경사테두리(88)가 연설되어 있다.
또한, 이 캠원반(76)의 외측부에 대략 하아트 형상으로 형성된 하아트형 캠(89)은 상기 회전축(74)을 중심으로 일체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이 하아트형 캠(89)은 상기 작동편(77)의 전단부에 형성된 구형상의 걸어맞춤 요입부(90)내에 회동이 자유롭게 끼워맞추어지며, 이 걸어맞춤 요입부(90)의 중간부에는 긴홈(78)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가로로 긴 홈(78)을 갖춘 걸어맞춤 요입부(90) 내에는, 전후로 상기 하아트형 캠(89)의 늘림면(91)의 회동에 의하여 늘려 걸어맞추는 압력받는면(92),(93)이 상대하여 수직상태로 형성됨과 동시에 이 전후의 압력받는면(92),(93)의 상하에는 하아트형 캠(89)의 늘림면(91)에 대응하는 호 형상면(94)이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 가로로 긴홈(78)을 갖춘 걸어맞춤 요입부(90) 내에는, 전후로 상기 하아트형 캠(89)의 늘림면(91)의 회동에 의하여 늘려 걸어맞추는 압력받는면(92),(93)이 상대하여 수직상태로 형성됨과 동시에 이 전후의 압력받는면(92),(93)의 상하에는 하아트형 캠(89)의 늘림면(91)이 대응하는 호 형상면(94)이 형성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조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스위치(14)를 넣으면 전동기(28)가 작동함과 동시에, 완구체(1)는 예를들어 제7도의 (가)에 나타낸 바와같이 뒷다리체(6)를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앞으로 내밀며 엉덩이를 대고 앉은 상태를 나타내면서, 윗입술체(60)와 아래 입술체(61)를 상대적으로 상하 회동하여 이빨을 내어 보여 입을 개폐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나타내고, 한편 이와같은 동작과 동시에 소리내는 체(72)의 소리내는 것에 의하여 소리를 내는 동작을 소정의 시간동안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제7도의 (나)에 나타난 바와같이, 완구체(1)는 뒷다리체(6)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엉덩이부를 위로 올림과 동시에, 이 뒷다리체(6)와 앞다리체(5)에 의하여 일어서는 것과 같은 동작을 나타내고, 얼굴부(3)는 경사진 위쪽방향이 위치에서 약간 전방으로 향한 위치로 바꾸어, 다음 동작에 대비하는 것과 같은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제7도의 (c)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완구체(1)는, 양측의 뒷다리체(6)를 원호운동 상태로 전후동작함과 동시에, 양측의 앞다리체(5)를 타원운동하는 상태로 전후동작하고, 또한 이 동작을 반복하여 전체적으로는 뛰면서 주행하는 것과같은 동작을 소정의 시간동안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 동작을 되풀이하여 나타내는 것이다.
즉, 전동기(28)의 작동에 의하여 피니언(29)이 연동되고, 제1의 기어 연동기구(30) 및 중계기어(31)를 통하여 미끄럼 이동축(32)이 연동하여 회전운동되며, 이 미끄럼 이동축(32)의 동력변환기어(34)가 회전운동된다.
이 동력변환기어(34)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여기에 맞물린 입력기어(41)를 통해 제2의 기어 연동기구(40)가 연동되고, 이 출력기어(42)에 맞물린 회전축(74)의 입력기어(75)가 연동됨과 동시에, 이 회전축(74)에 착설된 캠원반(76)이 회동된다.
그리고, 이 캠원반(76)의 회동에 의하여, 이 외측부에 돌출 설치한 하아트형 캠(89)도 동시에 회전운동되고, 그 눌림면(91)은, 작동편(77)의 걸어맞춤 요입부(90) 내에서의 상부의 호형상면(94)으로부터 이것에 연속한 뒷측의 압력받는면(93) 걸어 맞추어짐과 동시에, 이 압력받는면(93)을 후방으로 누르면서 회전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작동편(77)은, 가로 길이홈(78) 내에 일단부를 끼워 통한 회전축(74)을 통하여, 후방으로 눌러 움직임과 동시에 이 후단부에 축으로 지지한 착설펴나(79)을 회동하고, 이 착설편(79)의 가동으로 이것에 일측의 수직형상부(26)를 착설한 크랭크축(21)이 강제적으로 회동되며, 이 양단부의 크랭크아암(22)에 착설한 뒷다리틀(23)은 크랭크축(21)을 중심으로 제3도 및 제8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또한, 이 뒷다리틀(23)의 회동으로 완구체(1)의 무게중심이 후방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연동로드(24)를 통하여 앞다리틀(18)을 후방으로 약간 끌어당겨 이동시킨다.
따라서, 제 1 도 및 제 2 도 및 제 7 도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구체(1)는 뒷다리틀(23)의 선단부를 바닥면으로부터 떼고, 그 건전지케이스(13)의 뒤끝단부( 13a)를 바닥에 닿게하여 뒷다리체(6)를 전방으로 내보내면서 엉덩이를 바닥에 닿게한것과 같은 동작을 소정의 시간동안 나타낸다.
또한, 완구체(1)의 상기 동자가상태에 있어서, 상기 캠원반(76)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그 내측부분에 돌설한 제3의 압동돌출테두리(87)에 연속한 제2의 압동돌출테두리(85)가 미끄럼 이동축(32)의 압력받는부(35)에 걸어맞추어짐과 동시에, 이 압력받는부(35)를 통하여 제2의 압동돌출테두리(85)가 코일스프링(47)에 대향하여 미끄럼 이동축(32)을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한다.
이 미끄럼 이동축(32)이 압동되어 미끄럼 이동하면, 이것에 착설한 동력변환기어(34)는 이동하여, 제2의 기어 연동기구(40)의 입력기어(41)에 맞물려 회동하는 상태에서 출력기어(30)에 맞물린다.
이것에 의하여, 제2의 기어 연동기구(40)가 계속하여 연동됨과 동시에, 출력기어(39)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이것을 착설한 크랭크축(38)이 회전되고, 크랭크축(38)의 크랭크 아암(50)에 후방돌출편(48)의 안내긴홈(49)을 개재하여 연결한 작동판(44)은 지지축(43)을 중심으로 연동하여 회동한다.
이 작동판(44)의 회동에 의하여, 그 작동편(45)의 선단부에 핀(51)을 개재하여 연결한 연동편(53)이 전후로 진퇴작동됨과 동시에, 그 착설편(46)에 돌출한 압동로드(47)가 상하로 연동되어 회동되고, 그리고 연동편(52)에 의한 링크(68), 지지편(65) 및 지지편(67)을 통하여 윗입술체(60)와 아래 입술체(61)는 지지축(57)을 지지점으로 상대적으로 상하 동작됨과 동시에, 이빨표시판(59)의 상하의 의사 이빨(58)을 개재하여, 이빨을 들어내어 입을 개폐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소정의 시간동안 나타내며, 또한 착설편(46)의 압동로드(47)에 의해 소리내는 체(72)의 작용부(73)를 압동하여 이것을 신축시킴으로써 소리내는 체(72)를 소리나게 하여 소리내는 것과 같은 동작을 소정의 시간동안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캠원반(76)이 다시 연동회동되어, 이 제2의 압동돌출테두리(85)가 미끄럼이동축(32)의 압력받는부(35)에서 벗어나면, 코일스프링(37)의 복귀력에 의하여 미끄럼 이동축(32)은 눌러서 되돌려지고, 그 압력받는부(35)는 경사테두리(84)를 거쳐 제1의 압돌출테두리(83)에 자동적으로 걸어맞추어짐과 동시에, 이 미끄럼 이동축(32)에 착설한 동력변환기어(34)는 출력기어(39)에서 벗어나며, 윗입술체(60) 및 아래입술체(61)와 소리내는체(72)를 연동하는 크랭크축(38)의 연동을 정지하고, 완구체(1)가 상기 바닥에 앉는때에 있어서의 각 동작을 정지한다.
또한 상기 캠원반(76)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그 외측에 돌출 설치한 하아트형 캠(74)을 통하여 앞쪽으로 끌려 되돌려짐과 동시에, 작동편(77)의 뒤쪽부분에 축으로 지지한 착설편(79)이 회동되어, 이 착설편(79)에 수직형상부(26)를 착설한 크랭크축(21)이 강제적으로 회전운동하고, 이 양단부의 크랭크아암(22)에 착설한 뒷다리틀(23)은, 크랭크축(21)을 중심으로 제1도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며, 그 뒷다리체(6)는 바닥에 닿는 것과 동시에, 크랭크축(21)을 중심으로 제1도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며, 그 뒷다리체(6)는 바닥에 닿는 것과 동시에, 크랭크축(21)의 수직형상부(26)는 틀체(25)의 스톱퍼(27)에 걸려서 그 회전운동이 저지된다.
따라서, 완구체(1)는 제7도의 (나)와, 제8도 및 제9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엉덩이 부분을 위로 올림과 동시에, 뒷다리체(6)와 앞다리체(5)와에 의하여 위로 올라가는 동작을 나타냄과 동시에, 올라간 완구체(1)는 얼굴부(3)를 경사진 윗방향에서 전방을 향한 위치로 바꾸어지고, 그리고 무게중심이 뒷다리체(6)에 걸려 후방을 낮춘 상태에서 다음의 동작에 대비하는 것과 같은 동작상태를 나타낸다.
다음에, 상기 캠원반(76)이 다시 연동회동되어 이 제1의 압동돌출테두리(83)가 미끄럼 이동축(32)의 압력받는부(35)에서 덜어지면, 코일스프링(37)의 복귀력에 의하여 미끄럼 이동축(32)은 다시 눌러 되돌려지고, 그 압력받는부(35)가 단턱부(82)를 지나 걸어맞춤편(81)에 자동적으로 걸어 맞추어짐과 동시에, 이 미끄럼 이동축(32)에 착설된 동력변환 기어(34)는, 제2의 기어 연동기구(40)의 입력기어(41)에 맞물리면서 그대로, 구동기어(15)에 자동적으로 맞물리게 된다. 그리고, 다리구동기어(15)가 회전운동되면, 이 다리구동기어(15)를 착설한 크랭크축(16)이 회전운동됨과 동시에, 이와같은 방향으로 절곡형성된 크랭크아암(17)에 상방부 중간을 측으로 연결한 앞다리틀(18)은 지지로드(20)를 중심으로 거의 타원운동상태로 전후 동작되고, 또한 뒷다리틀(23)은 연동로드(24)를 통하여 앞다리틀(18)에 연동되어 크랭크축(21)의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크랭크아암(22)을 중심으로 동시에 대략 원호운동 상태로 전후로 동작되어, 이와같은 소정의 시간동안 되풀이하여 나타낸다.
따라서, 완구체(1)는 제 7 도의 (c)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앞다리체(5)와 뒷다리체(6)로서 바닥면을 교호로 반복하여 차고, 전체적으로 비약하여 뛰면서 전진 보행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일정한 시간동안 되풀이하여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캠원반(76)이 연동회동되어 미끄럼이동축(32)의 압력받는부(35)에 걸어맞춤편(81)의 회동끝단으로부터 안내경사테두리(88)를 거쳐서 제3의 압동돌출테두리(87)가 걸어 맞추어짐과 동시에, 이 안내경사테두리(88) 및 제3의 압동돌출테두리(87)가 압력받는부(37)를 회동하면서 압동하고, 미끄럼이동축(32)을 코일스프링(37)에 대향하여 순차적으로 미끄럼 이동되게 하면, 이 미끄럼이동축(32)의 동력변환기어(34)는 다리구동기어(15)로부터 벗어나 제2의 기어 연동기구(40)에 입력기어(41)만을 연동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제2의 기어 연동기구(40)의 회전운동으로 캠원반(76)이 같이 회전운동되어, 이 외측의 하아트형캠(89)의 누름면(91)이 작동편(77)의 걸어맞춤 요입부(90) 내에 있으므로, 앞측의 압력받는면(92)에서 벗어나고, 위의 호 형상면(94)으로부터 다시 우측의 압력받는면(93)에 걸어맞추어지면 완구체(1)는 상기와 같이 엉덩이를 대고 바닥에 앉는 것과 같은 동작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스위치(14)를 넣어서 전동기(28)가 작동하고 있는 사이에는, 완구체(1)는 상기의 각 동작을 순차적으로 자동 변환하여 되풀이하고, 이것을 연속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원하는 동물의 형태를 모방하여 형성한 완구체의 입부에, 윗입술체 및 아래입술체를 서로 상하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마주 설치하여 축으로 지지하며, 이 윗입술체 및 아래입술체의 일단부에 링크기구를 개재하여 윗입술체 및 아래 입술체를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는 연동편을 진퇴가 자유롭게 연결하고, 이 연동편을 연결한 작동편 및 발성체를 눌러서 움직이는 압동로드를 갖춘 작동판을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하여, 이 작동판을 동력전달기구에 연동 연결한 것으로서, 이 동력전달기구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확실하게 상하로 회동되게함과 동시에, 이것과 거의 동시에 소리내는체가 확실하게 소리를 내고, 그러므로 원하는 동물을 모방한 완구체의 입술체가 사실적으로 동작되어, 입을 현실감있게 개폐동작하여 실제로 입을 개폐하면서 소리를 내는 것과 같은 동작을 현저하게 나타내어, 지극히 홍취가 깊은 것이며 그로 인하여 예를 들면, 원숭이와 같이 입을 크게 개폐하여 이빨을 나타내면서 소리를 내는 동작을 하는 동물을 모방한 동물활동완구로서 가장 적합한 것이다.

Claims (2)

  1. 완구체(1)의 입부(56)에 상하로 대치하여 서로 상하방향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측으로 지지된 윗입술체(60) 및 아래입술체(61)와, 이 입술체(60) 및 아래입술체(61)의 한쪽끝단부에 링크기구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그 진퇴동작에 의하여 윗입술체(60) 및 아래입술체(61)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운동 시키는 연동편(52)과, 상기 완구체(1)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붙여 고정되고 그의 한쪽에는 상기 연동편(52)을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착설한 작동편(45)을 돌출함과 동시에 그 다른쪽에는 완구체(1) 내에 형성된 소리내는체(72)을 압동하는 압동로드(47)를 돌출한 작동판(44)과, 상기 완구체(1)에 형성되어 상기 작동판(44)을 회전운동 시키는 기어연동기구(30) 및 크랭크축(38)을 가지는 동력 전달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활동완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완구체(1)의 입부(56)에는 윗입술체(60) 및 아래 입술체(61)의 내측에 위치하여 의사이빨(58)을 표시한 이발 표시판(59)을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착설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활동완구.
KR2019840008328U 1984-05-15 1984-08-24 동물 활동 완구 KR90000196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4-97122 1984-05-15
JP59097122A JPS60241483A (ja) 1984-05-15 1984-05-15 動物活動玩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9750U KR850009750U (ko) 1985-12-05
KR900001968Y1 true KR900001968Y1 (ko) 1990-03-12

Family

ID=14183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8328U KR900001968Y1 (ko) 1984-05-15 1984-08-24 동물 활동 완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241483A (ko)
KR (1) KR90000196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0241483A (ja) 1985-11-30
KR850009750U (ko) 1985-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15112Y2 (ko)
US4571208A (en) Toy with swing
CA2565072A1 (en) Expression mechanism for a toy, such as a doll, having fixed or movable eyes
JP2000176182A (ja) 歩行装置
US4560362A (en) Animated figure toy having a moveable torso and articulating jaw
KR900001968Y1 (ko) 동물 활동 완구
US6439949B1 (en) Moving toy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CN201551834U (zh) 成长语音识别表情娃娃
GB2063691A (en) Drummer doll
JPH0363399B2 (ko)
JPH0449435B2 (ko)
AU719647B2 (en) A moving model device for use in a racing game machine
JPS6317516Y2 (ko)
JPH0737675Y2 (ja) 走行玩具
KR900004769Y1 (ko) 고양이 완구
JPS6121104Y2 (ko)
JPS6130592B2 (ko)
JPS6125515Y2 (ko)
KR870000304Y1 (ko) 활동 동물 완구
JPH0349741Y2 (ko)
KR910004094Y1 (ko) 완구의 입 개폐 장치
JPS6133598B2 (ko)
KR900007157Y1 (ko) 공놀이를 하는 동물활동완구
CN2104064U (zh) 活动河马玩具
JPH071197Y2 (ja) 子象動作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