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649Y1 - 저온쌀통 - Google Patents

저온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649Y1
KR900001649Y1 KR2019870010809U KR870010809U KR900001649Y1 KR 900001649 Y1 KR900001649 Y1 KR 900001649Y1 KR 2019870010809 U KR2019870010809 U KR 2019870010809U KR 870010809 U KR870010809 U KR 870010809U KR 900001649 Y1 KR900001649 Y1 KR 9000016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temperature
storage chamber
cooling device
col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08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2165U (ko
Inventor
진우성
Original Assignee
삼익공업주식회사
진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익공업주식회사, 진우석 filed Critical 삼익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108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1649Y1/ko
Publication of KR8900021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1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6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6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A47J47/06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저온쌀통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쌀통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배면도.
제4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냉각장치
3 : 냉각관 4 : 냉장실
5 : 차폐벽 6,10 : 통기공
7 : 유도파이프 8 : 쌀저장실
9 : 순환파이프 11 : 단열층
12 : 온도감지기
본 고안은 쌀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쌀통에다 냉각장치를 설치해서 저온상태를 유지해주므로서 쌀의 신선도가 유지되고 저장성이 높아지도록 한 저온쌀통에 관한 것이다.
쌀통은 쌀을 청결하게 보관해서 미질이 원래대로 유지되도록 해놓고서 필요에 따라 적당량씩 배출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인 바, 이에 대해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쌀의 저장실에 통풍이 되도록 한 개방식 쌀통의 대종을 이루고 있으나, 이러한 개방식 쌀통의 경우 외부의 온도와 습도에 민감하게 영향받아 쌀이 변질되거나 너무 건조되게 되어 미질이 저하되어져 신선도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해주기 위해 근래 들어서는 밀폐식 쌀통이 대두되고 있으나 이 또한 쌀에 수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을 경우 효과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쌀통 자체를 밀폐시켜 주어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최근에는 냉동·냉장시스템을 이용한 냉장 쌀통이 제안되어져 있으나, 이는 열을 흡수하는 흡열관(증발기)이 쌀저장실내에 설치되게 되어 쌀과 직접 쌀과 직접 닿게 되므로서, 쌀통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습기가 직접 쌀과 접촉되므로 말미암아 쌀이 부폐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쌀통 상단부에 냉각장치를 설치해 놓고 이 냉각장치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쌀통 내부로 유통될 수 있도록 냉각유통 파이프를 쌀통 내부에 설치해 놓되 쌀과의 직접 접촉을 피하고 쌀통 내부온도를 쌀이 저장되기에 알맞은 9-15℃로 유지되어지도록 함으로서 세균이나 쌀벌레와 같은 해충이 발생하는 것을 막아줌은 물론 습기를 발지해서 양질의 상태로 쌀을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저온쌀통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예시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쌀통 본체(1)의 뒷면 상부에 냉각장치(2)를 설치하면서, 이 냉각장치(2)에다 냉각관(3)을 매개로 냉장실(4)을 설치하고, 이 냉장실(4)은 단열재로 구성된 차폐벽(5)을 설치시켜 그 상부에 통기공(6)을 다수개 형성시키고, 이 냉장실(4)의 하부에는 유도파이프(7)를 설치해서 쌀통저장실(8)에 설치된 냉기 순환파이프(9)와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순환파이프(9)에는 다수개의 통기공(10)을 형성시켜 냉기가 쌀과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본체(1)의 외측과 쌀 저장실(8)의 외측에는 단열을 이용한 단열층(11)을 형성시키고, 상기 쌀저장실(8)의 상부에는 온도감지기(12)을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13은 히터, 14는 방열기, 15는 덮문, 16은 레버, 17은 덮개, 18은 통기공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로서 쌀통의 외부 형상을 도시에 놓은 것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쌀통의 종단면도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 냉각장치(2)는 쌀통 본체(1)의 뒷면 상부에 설치되어 적정온도(9∼15℃)로 냉각된 공기를 쌀저장실(8)로 배출시켜 주게 되는데, 상기 냉각장치(2)에는 히터(13)와 방열기(14) 및 냉각관(3)이 설치되어 서리를 제거함은 물론 온도감지기(12)에 의한 온도조절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냉장실(4) 내에 배열된 냉각관(3)은 냉장실(4)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유지시켜 주며, 상기 냉장실(4)에 생성된 냉기는 제2도의 화살표에서와 같이 유도파이프(7)를 통해 쌀저장실(8)에 교차되게(제4도 참조) 설치된 냉기순환파이프(9)로 유통되게 되며, 상기 냉기 순환파이프(9)로 유통된 냉기는 냉기 순환파이프(9)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기공(10)을 통해 쌀저장실(8) 내로 순환되며, 상기 쌀저장실(8) 내로 순환되는 냉기는 쌀의 온도와 쌀저장실(8)의 온도를 적정온도(9-15℃)로 서늘하게 유지시키면서 냉장실(4)의 상부에 형성된 통기공(6)을 통해 냉장실(4)로 유입되도록 되어 있는데, 이때의 냉기 순환은 온도차에 의한 자연순환을 이용하고 있으나 쌀저장실(8) 내측이나 냉장실(4)에 강제 순환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냉기를 강제 순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쌀저장실(8)의 상부 내측에 온도감지기(12)가 설치되어 있어 쌀저장실(8)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온도감지기(12)는 쌀저장실(8)의 온도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냉각장치(2)에 인가하므로서 냉각장치(2)의 작동상태를 조절하고, 상기 냉각장치(2)의 작동상태에 따라 냉장실(4)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4)과 쌀저장실(8) 사이에는 차폐벽(5)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차폐벽(5)은 냉장실(4)과 쌀저장실(8)이 온도 차이에 따른 습기 발생을 억제해 주기 위한 것으로, 온도 차이에 따른 습기 발생의 취약부를 차폐벽(5)으로 보완해주므로서 습기 발생을 방지함은 물론 냉장실(4)의 내부 온도에 의한 온도감지기(12)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쌀저장실(8)의 외측과 본체(1) 외측에 단열층(11)을 설치해주므로서 외기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되어 있고, 작동레버(16)가 설치된 작동판의 외측에는 단열층(11)이 내장된 덮문(15)을 설치해 놓음으로서 작동판에 의한 외기의 영향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본체(1)의 뒷면에는 덮개(17)가 설치되어 냉각장치(2)을 보호하되 상기 냉각장치(2)가 설치된 상부에는 통기공(18)을 형성하여 냉각장치(2)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쌀저장실 내부를 일정한 온도로 균일하게 유지시킴과 동시에 저온으로 유지시킴으로서 쌀의 변질을 방지하며, 외기에 의한 습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미질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Claims (1)

  1. 쌀통 본체에 냉각장치를 설치한 쌀통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2)에 연결된 냉각관(3)이 냉장실(4)에 설치되면서 이 냉장실(4)에 단열재로 구성된 차폐벽(5)이 설치됨과 더불어 그 상부에 통기공(6)이 다수개 형성되고, 냉장실(4)의 하부에는 유도파이프(7)가 설치되어 쌀저장실(8)에 설치된 냉기 순환파이프(9)와 연결되며, 이 순환파이프(9)에는 다수개의 통기공(10)이 형성되어 냉기가 쌀과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본체(1)의 외측과 쌀저장실(8)의 외측에는 단열재를 이용한 단열층(11)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쌀저장실(8)의 상부에는 온도감지기(1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쌀통.
KR2019870010809U 1987-07-02 1987-07-02 저온쌀통 KR9000016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0809U KR900001649Y1 (ko) 1987-07-02 1987-07-02 저온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0809U KR900001649Y1 (ko) 1987-07-02 1987-07-02 저온쌀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165U KR890002165U (ko) 1989-03-28
KR900001649Y1 true KR900001649Y1 (ko) 1990-03-03

Family

ID=19264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0809U KR900001649Y1 (ko) 1987-07-02 1987-07-02 저온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164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165U (ko) 198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7235B2 (en) Fridge-freezer
CA1142765A (en) Assembly for maintaining a freezer frost-free
CN109990529B (zh) 冰箱
US5927095A (en) Anti-frost device for refrigerators
US4184340A (en) Temperature sensor mounting means
US4300358A (en) Flat wall type refrigerated and chilled open display case
KR900001649Y1 (ko) 저온쌀통
KR101634505B1 (ko) 쌀 냉장고
JPH0526557A (ja) 野菜貯蔵用冷蔵庫
US3478536A (en) Refrigerator
JP2000283646A (ja) 冷蔵庫
JPS5918284Y2 (ja) 冷蔵庫
JPH0341264Y2 (ko)
JP2614564B2 (ja) 冷却貯蔵庫
KR100235301B1 (ko) 냉장기능을 갖는 쌀통구조
JP3297612B2 (ja) 横型冷蔵庫
KR100215070B1 (ko) 냉장고용 급랭 장치
KR890008317Y1 (ko) 냉장쌀통
JPH0124544Y2 (ko)
JPH0526556A (ja) 野菜貯蔵用冷蔵庫
JP2001041634A (ja) 冷蔵庫
JP2519057Y2 (ja) 冷蔵庫の冷気循環装置
JPH0814734A (ja) 冷蔵庫の収納ケース
KR19990027045U (ko) 냉장고용 야채실 가습장치
JPH07270032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