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483Y1 - 난방 장치 - Google Patents

난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483Y1
KR900001483Y1 KR2019880017380U KR880017380U KR900001483Y1 KR 900001483 Y1 KR900001483 Y1 KR 900001483Y1 KR 2019880017380 U KR2019880017380 U KR 2019880017380U KR 880017380 U KR880017380 U KR 880017380U KR 900001483 Y1 KR900001483 Y1 KR 9000014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liquid
medium liquid
heat medium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73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9445U (ko
Inventor
겐이찌 다나까
Original Assignee
미야가와 다까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44634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55899U/ja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40005471A external-priority patent/KR850003203A/ko
Application filed by 미야가와 다까시 filed Critical 미야가와 다까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4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483Y1/ko
Publication of KR9000094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445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7/00Central heating systems employing heat-transfer fluids not covered by groups F24D1/00 - F24D5/00, e.g. oil, salt or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32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involving multiple heat sources in combination or as alternative hea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난방 장치
제1도는 마루 난방장치의 방열부의 배치 설명도.
제2도는 난방장치의 순환관로(循環管路)를 표시한 설명도.
제3도는 난방장치의 제어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열매체액 2 : 순환관로
3 : 순환펌프 4 : 주가열부
5 : 전기히이터 6 : 방열부
14 : 예비가열부 19 : 액온센서
본 고안은 사용개시시에 있어서 시동성이 양호한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열원에 의해 열매체액을 가열하여, 이 열매체액을 펌프에 의해 순환관로안을 순환시켜, 열교환부에 의해서 방열시키는 난방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난방장치에 사용하는 상기 열매체액에는 여러가지의 것이 알려져 있으며, 비열이 작고 또한 고비점의 글리콜류도 그 중의 하나이다.
열매체액으로서 글리콜류를 사용하면 비열이 작으므로 신속하게 가열되어 사용개시시에 있어서 온도의 상승이 빠르며, 난방기로서 곧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비점이 높으므로 장치를 내압구조로 하지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글리콜류는 온도가 저하함에 따라서 점도가 높아지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때문에, 사용개시시에 열매체액의 점도가 높을 때가 있으며, 관로저항이 큰것등 펌프에 걸리는 부하가 크고 펌프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 때문에, 모처럼의 양호한 시동성이 저해된다.
또, 점도가 높고, 순환성이 좋지 않으므로 열매체액이 부분적으로 과열된 사태가 생겨서, 열매체액이 과열된 때에 작동하는 온도 퓨우즈가 끊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사용개시시에 펌프의 부하는 작게 할 수 있으며, 펌프의 파손이나 퓨우즈 절단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래의 양호한 시동성을 저해함이 없이 운전이 가능하게 되는 난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관한 난방장치에서는, 열매체액으로서 비열이 작고 고비점이며 또한 저온으로 됨에 따라 점도가 높아지는 액체인 글리콜류를 사용하고, 가열부에 의하여 열매체액을 가열하고, 순환펌프에 의하여 순환관로안을 순환시키고, 방열부에서 방열시키는 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액의 액온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가열부로서 주가열부 및 예비가열부를 설치하여, 주가열부가 투입되어 있지 않을때에, 상기 예비가열부를 투입해서, 상기 액온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열매체액의 액온을 상기 열매체액이 상기 순환관로안을 순환하는데 필요한 점도가 되는 액온으로 유지하도록 상기 예비가열부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1은 열매체액이며, 물과 비교하여 고비점, 저응고점, 또한 비열이 작은 액체이다.
이 열매체액(1)으로서는 예를들면 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등의 약간 점성이 있는 비휘발성의 액체인 글리콜류를 쓴다.
이중에서 주요한 것들의 물리적 성질을 아래에 표로 표시한다.
이 글리콜류는 실질적으로 무수의 100% 원래의 것을 사용한다.
그런데, 글리콜류는 흡습성을 갖고있어, 약간의 수분혼입은 피할수 없으나 본 고안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무수의 100%의 글리콜류라는 것은 흡습하여 혼입한 수분은 허용된다는 의미이다.
또 이 수분에 대처하기 위해 약간의 인히비터(inhibitor)를 혼입시켜도 좋다.
글리콜류는 한종류만을 사용해도 좋고, 또 몇종류를 혼합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이 열매체액(1)을 방열부와 가열부를 포함하는 순환관로내에 충전한 난방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2는 순환관로이며, 관로내에 열매체액(1)이 순환펌프(3)에 의해서 강제 순환된다.
4는 주가열부이며, 내부에 배설되는 전기 히이터(5)에 의해서 열매체액(1)은 가열된다.
방열부(6)를 실내에 부설하여 마루 난방을 할 경우에는 복수개의 방열부(6)를 쓰는 것이 방열부(6)의 제작면에서 또 그 부설시공면에서 혹은 실내온도 분포를 소망하는 것으로 하기 위해서도 알맞다.
그래서 복수개의 방열부(6)를 직렬로 접속하여 이것을 주가열부(4)에 접속하면 열매체액(1)은 각 방열부(6)를 차례로 통과하여 방열하면서 순환펌프(3)에 의하여 강제 순환된다.
그리고 방열부(6)의 배관공사는 방열부(6)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아주 쉽게 할 수 있다.
11은 보조가열부이며, 실내온도 분포를 소망하는 것으로 하기 위하여 소망의 방열부(6)의 유입측(流入側)의 순환관로(2)에 직렬로 삽입된다.
이리하여 비열이 작은 열매체액(1)은 보조가열부(11)에 의하여 가열되며, 그 온도 상승온도가 빠르며, 소망하는 방열부(6)의 방열량을 단시간이라도 크게 할 수 있다.
한편 비사용시에 있어서의 열매체액(1)은 외기온도의 저하에 따라서 점도가 높아지며, 사용개시시에 순환펌프(3)를 파손하거나, 열매체액(1)이 과열될 경우에 작동하는 온도 퓨우즈(fuse)가 절단되는 등의 고장이 발생할 경우가 있다.
이러한 고장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예비가열부에 의하여 가열된 열매체액을 순환관로내에서 순환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도에 있어서 예비 가열부(14)는 전기히이터(5)가 배설되어 있는 주가열부(4)내에 배설된다.
그리고 예비가열부(14), 전기 히이터(5), 순환펌프(3)의 제어회로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루어지며, 실내를 난방하고 있지 않을 경우, 즉 스위치(15)가 투입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전원스위치(16)를 투입하여 놓으므로써 릴레이(relay)(17)가 구동되어서 그 접점(18)은 온(ON)으로 되어 순환펌프(3)가 구동되어 열매체액(1)은 순환관로내를 유동한다.
한편 액온센서(19)에 의해 열매체액(1)의 액온은 검출되며, 액온이 10℃이하로 되면 릴레이(20)가 구동되어 그 접점(24)이 온(ON)으로 되며 예비가열부(14)는 통전되어 열매체액(1)을 가열한다.
이리하여 예비가열부(14)는 단속 제어되어서 열매체액(1)을 10℃∼15℃의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실내를 난방할때에는 스위치(15)를 투입함으로써 실온센서(22)에 의해서 검출되는 실온이 소정 온도로 될때까지 릴레이(23)가 구동되어 접점(21)은 온(ON)으로 되어, 전기 히이터(5)의 통전에 의해 열매체액(1)은 가열된다.
이 예비가열부(14)는 전기 히이터(5)를 겸용하여도 좋고, 혹은 제1도에 도시한 보조 가열부(11)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순환관로(2)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팽창실(25)이 접속되어 있으며, 이 팽창실(25)을 대기에 개방함으로써 순환관로(2)를 내압구조로 하지 않아도 좋다.
또 열매체액(1)은 고비점이므로 증발에 의한 액량의 감소는 없으며, 또한 점도가 물보다 높으므로 대기에 개방된 팽창실(25)을 방열부(6)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해도 열매체액(1)은 팽창실(25)에서 유출되는 일이 없고, 팽창실(25)이나 주가열부(4), 혹은 펌프(3)를 마루밑에 배치할 수가 있으므로 장소를 막아 방해가 안된다는 이점도 있다.
이상으로부터 분명해진 것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의 현저한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즉, 주가열부를 투입하지 않은 비사용시에 있어서, 예비가열부에 의해서 열매체액을 소정의 온도로 예열시킬 수 있으므로 열매체액을 점도가 낮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개시시에, 펌프에 걸리는 부하가 경감되어, 펌프의 파손이나 퓨우즈절단등의 문제점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열매체액인 글리콜류가 본래 가지고 있는 특성을 양호하게 발휘시킬 수 있으며, 특히 시동성이 양호한 난방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

  1. 열매체액으로서 비열이 작고 고비점이며 또한 저온으로 됨에 따라 점도가 높게되는 액체인 글리콜류를 사용하고, 가열부에 의하여 열매체액을 가열하고, 순환관로내를 펌프로 순환시켜서, 방열부에서 방열하는 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액의 온도를 검출하는 액온센서(19)를 설치하고, 상기 가열부로서 주가열부(4) 및 예비가열부(14)를 설치하여, 주가열부(4)가 투입되지 않을때에, 상기 예비가열부(14)를 투입하여 상기 액온센서(19)에 의해서 검출되는 열매체액의 액온을 열매체액이 상기 순환 관로내를 순환하는데 필요한 점도가 되는 액온으로 유지하도록 상기 예비가열부(14)를 점도가 되는 액온으로 유지하도록 상기 예비가열부(14)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KR2019880017380U 1983-09-19 1988-10-27 난방 장치 KR90000148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144634(U) 1983-09-19
JP14463483U JPS6055899U (ja) 1983-09-19 1983-09-19 熱交換器
KR1019840005471A KR850003203A (ko) 1983-09-17 1984-09-06 열 교 환 기
KR870007434 1987-07-1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5471A Division KR850003203A (ko) 1983-09-17 1984-09-06 열 교 환 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483Y1 true KR900001483Y1 (ko) 1990-02-28
KR900009445U KR900009445U (ko) 1990-05-04

Family

ID=70616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7380U KR900001483Y1 (ko) 1983-09-19 1988-10-27 난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148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445U (ko) 1990-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07470A (en) Water heating system
US9897341B2 (en) Heat pump water heating system
US2399985A (en) System of heating
KR900001483Y1 (ko) 난방 장치
US3681566A (en) Heating system for asphalt equipment
US3123065A (en) Water temperature control system
US2152699A (en) Heating or cooling system
ATE78330T1 (de) Pumpen fuer eine warmwasserheizungsanlage.
US3674204A (en) Central heating and water service system
SE9600395L (sv)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att anordna reservtid till kylsystem
US4458498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mplifying heat
JP2008051354A (ja) 貯湯式暖房装置
CA2047987A1 (en) Hot loop water supply apparatus
CA1126969A (en) Refrigeration circuit heat reclaim method and apparatus
JP2012026710A (ja) 給湯装置
JPS6342257Y2 (ko)
US877903A (en) Art of heat transference.
US2176852A (en) Heating method and apparatus
JPH0672698B2 (ja) 暖房装置
JP7227090B2 (ja) 貯湯式給湯機
WO1987007703A1 (en) Heating system including a heat accumulator
US2055299A (en) Heating system
US2090013A (en) Steam heating system
GB2206954A (en) Water heating systems
JPS61184336A (ja) 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2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