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950B1 -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950B1
KR900000950B1 KR1019860003346A KR860003346A KR900000950B1 KR 900000950 B1 KR900000950 B1 KR 900000950B1 KR 1019860003346 A KR1019860003346 A KR 1019860003346A KR 860003346 A KR860003346 A KR 860003346A KR 900000950 B1 KR900000950 B1 KR 900000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roleum
hot wire
operating
combustion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3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8408A (ko
Inventor
가즈하루 나까무라
요시오 미도
유다까 나까니시
도시히꼬 야마다
유우지 마나다
Original Assignee
도요도미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가쯔마다 유끼하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09344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52429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25451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12921A/ja
Application filed by 도요도미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가쯔마다 유끼하루 filed Critical 도요도미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8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8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1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3/00Burners using capillary action
    • F23D3/02Wick burners
    • F23D3/18Details of wick burners
    • F23D3/28Wick-adjus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11/00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4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제1도는 본 별명에 의한 석유연소기용 안전장치의 실시예 및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석유연소기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부분적으로 절단한 앞부분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을 따라서 취한수직단면도.
제3a∼d도는 각각 제1도에 도시안 안전장치의 작동방식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제3a도는 소화의 완료시 및 점화시의 돌출부와 작동부재간의 위치관계도.
제3b도는 석유연소기의 온도 상승 조작중의 돌출부와 작동부재간의 위치관계도.
제3c도는 석유 연소기의 연소조작중의 돌출부와 작동부재간의 위치관계도.
제3d도는 석유연소기의 온도하강조작중의 돌출부와 작동부재간의 위치관계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를 변형하여 도시한 앞부분 정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석유연소기용 안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앞부분 정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한 실시예를 변형하여 도시한 앞부분 정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석유연소기용 안전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앞부분 정면도.
제8도 및 제9도는 제7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도록한 전기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석유연소기 12 : 연소실린더 구조체
14 : 적열실린더부 16 : 화염확산부
28 : 소화장치 30 : 심지
본 발명은 석유실내난방기등의 석유연소기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석유연소기에서 불완전 연소기체를 발생시킬 정도로 비정상으로 축소된 과소화염을 형성하는 비정상 연소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된 석유연소기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유연소기에는 지진등의 긴급사태발생시에 석유연소기내 연료유의 연소를 신속히 소화시킬 수 있는 자동소화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소화장치는 바이메탈 혹은 형상기억합금에 의해서 검출된 석유연소기 연소온도의 비정상적 변화에 전형적으로 작동하여 석유연소기의 비정상연소 이전에 석유연소기의 소화를 실행하게 된다.
비정상연소에는 비정상적으로 큰 불꽃을 형성하는 과대연소화 비정상적으로 작은 불꽃을 형성하는 과소연소가 있다. 과소연소에 의한 비정상연소는 다량의 불완전연소가스를 발생하기 때문에 비정상연소이전에 자동소화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석유 연소기의 연소온도를 검출해서 과소연소를 중단시키고자하는 경우에는 과대연소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석유연소기의 온도가 정상연소에서 비정상연소에 이르기까지의 석유연소기의 온도감소량을 검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에 의하면 점화직후의 석유연소기의 낮은 온도까지도 검출하게되는 결과, 석유연소기의 연소를 효과적으로 시작할 수 없게된다.
또한, 석유연소기의 비정상연소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석유연소기의 연소실린더 근처에 온도센서 또는 온도 검출기를 설치해야 한다. 이것으로 인하여 온도 검출기와 소화장치간의 기계 및 전기적연결은 매우 복잡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연소실린더를 석유연소기의 점화시에 자동은 물론 수동으로도 조작할 수 있도록 제작해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제1목적은 불완전연소가스를 발생시킬 정도의 과소화염을 형성하는 비정상연소를 효율적으로 검출하여 비정상연소시에 석유연소기를 소화시킬 수 있는 석유연소기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석유연소기 점화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과소화염을 형성하는 비정상연소를 검출할 수 있는 석유연소기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석유연소기에 과소화염을 형성하는 비정상연소시에 안전장치가 확실하게 작동하여 비정상연소를 차단할 수 있는 석유연소기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과소화염을 형성하는 비정상연소는 물론 석유연소기의 과열 및 화재의 위험이 있는 과대화염을 형성하는 비정상연소를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석유연소기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5목적은 간단한 구조 및 조작으로 상술한 목적으로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석유연소기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간단히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비정상 연소검출 및 작동기구를 갖춘 석유연소기용 안전장치가 제공된다. 작동기구는 석유연소기에서 일산화탄소등의 불완전연소가스를 발생시킬 정도의 비정상 과소화염을 형성하는 비정상연소를 검출하도록 된 것이다. 비정상 연소검출 및 작동기구는 석유연소기의 연소실린더 구조체에서 방출된 열선(heat rays)을 받아서 연소실린더구조체의 온도변화로 인한 비정상 연소가 검출되었을 때 기계적인 작동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로 만들어져있다. 다른 방법으로서는, 연소실린더 구조체에서 방출된 열선의 변화로 인한 비정상연소를 전기적방법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도 한다.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비정상 연소감지 및 작동기구는 석유연소기 과열등의 위험이 있는 과대화염을 형성하는 비정상 연소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장치는 석유연소기의 소화장치를 시동하기 위한 시동수단을 갖는다. 시동수단은 석유 연소기의 비정상 연소검출 및 작동기구가 비정상연소를 검출하였을 때 소화장치를 작동시키도록 비정상연소검출 및 작동기구에 연동시킨다. 시동수단은 기계 혹은 전기적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석유연소기용 안전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석유연소기용 안전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안전장치를 설치하게되는 석유연소기를 참조번호(10)으로 표시하였으며, 공지된 다양한 양식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되어있다. 석유연소기(10)은 심지점화형으로서 적열실린더부(14)와 백색내지 황색의 화염을 형성시키는 화염확산부(16)로 구성된 연소실린더구조체(12)를 갖는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열실린더부(14)는 구멍뚫린 외부원통형부재(18)와 구멍뚫린 내부원통형부재(20)을 갖추고 있으며 이곳에서 심지로부터 증발된 연료유가 연소하게 된다.
화염확산부(16)는 불완전 연소기체와, 적열실린더(14)에서 형성된 연소가스속에 남아있는 미연소 연료가스를 연소시켜 백색 내지 황색의 긴 불꽃을 형성시키는 화염확산기(22)를 갖는다.
적열실린더부(14)와 화염확산부(16)는 각각 열투과실린더(24)(26)을 통해서 실내를 난방시키기 위해 석유연소기(10)의 외부로 연설을 방출시킨다. 적열실린더부(14)는 사기법랑으로 완전히 씌운 외부연통형부제(18)와, 열선을 방출하여 적열시킬 수 있는 뚜껑판 혹은 반구형적열 철망부재를 갖춘 내부원통형부재(20)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석유연소기(10)은 연소실린더구조체(12) 아래에 배치한 자동소화장치(28)을 구비하고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예시한 석유연소기(10)은 심지점화형으로서 심지(30)은 기름통(34)위에 거꾸로 고정되어 있는 유조(36)와 통하는 기름통(34)에 들어있는 등유등의 연료유(32)에 심지의 하단부가 일정하게 적시어져 있으며 연소를 행하고자 할 때 그것의 상단이 연소실린더구조체(12)로 올라올 수 있도록 되어있다.
소화장치(28)는 소화시에 심지(30)가 강제로 내려가도록 한다. 제2도에 도시한 소화장치(28)은 한쪽 끝에 손잡이(40)가 있는 심지작동축(38)과 심지작동축(38)에 자유스럽게 결합된 기어(42)를 구비한다. 또, 소화장치(28)는 연소기몸체와기어(42)사이에 배치된 리터언 스프링(return spring)(44)과 기어(42)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기어(42)와 맞물리게 되는 스토퍼(46)를 구비함에 따라 심지작동축(38)이 심지(30)를 올리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 스프링(44)이 감겨서 스토퍼(46)에 의해 리터언스프링이 감긴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자동소화장치(28)는 스토퍼(46)에 연결되어 지진등의 충격에 의해 석유연소기가 넘어졌을 때 기어(42)로부터 스토퍼(46)를 분리시키는 진동감지추(48)가 설치되어 감겨진 스프링(44)의 기어가 스토퍼에서 분리되는 경우 리터언 스프링(44)의 힘으로 심지작동축(38)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심지(30)를 끌어내려서 소화작업을 이행하게된다. 심지(30)와 소화장치(28)는 피니온-래크기구(49)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된다.
상술한 소화장치(28)의 구조는, 본 발명과 동일한 양도인에게 양도된 1985년 2월 12일자 나까무라씨등의 미국특허 4,498,86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널리 공지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할 실시예의 석유연소기용 안전장치는 상술한 것과 같은 석유연소기에 사용하도록 된것이며 참조번호(50)으로 표시하였다. 예시한 실시예의 안전장치(50)는 연소실린더구조체(12)에서 방출된 열을 수용하도록 배열시킨 집열판(52)를 갖는다. 예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집열판(52)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연소실린더 구조체(12)옆에 대향배치시킨 판재로 구성된다. 또한, 안전장치(50)에는 연소실린더구조체(12)의 온도변화에 따라 반응하는 비정상연소 감지 및 작동기구(54)가 구비되어있다. 제 1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작동기구(54)는 연소실린더구조체(12)의 온도변화에 의해 움직이고 집열판(52)에 기계적이고도 열이 전달되게 연결된 가동수단을 구비한다. 더 상세하게 말해서, 이 가동수단은 바이메탈 혹은 형상기억합금과 같이 온도변화에 따라 변형되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기계적으로 또 열이 전달되게 집열판(52)에 연결된 열적가변부재(56)와 이 가변부재(56)에 부착되어 하방으로 뻗어있는 가동부재(58)로구성된다. 가동부재(58)의 적당한 위치에는 예시한 실시에에서 돌출부로 나타낸 돌출부(60)가 형성되어있다. 더 나아가 비정상연소 감지 및 작동기구(54)는 가동부재(58)의 이동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가동부재(58)에 연동시킨 작동부재(62)를 갖는다. 예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작동부재(62)는 핀(64)에 의하여 석유연소기(10)의 몸체에서 선회할 수 있게 설치한 부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가동부재(58)의 돌출부(60)에 의래 작동될 때 핀(64)주위를 중심으로 수직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예시한 실시예의 안전장치는 과소화염을 형성하는 비정상연소시에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소화장치(28)를 가동하기 의하여 작동부재(62)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연결된 시동수단(66)을 갖는다. 예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시동수단(66)는 소화장치(28)의 스토퍼(46)연장부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작동부재(62)가 가동부재(58)와 시동수단(66)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으로 뻗어있는 가동부재(58)가 수직으로 이동하면 가동부재(58)의 돌출부(60)와 선택적으로 맞물리게 되어 시동수단(66)이 작동되게 된다. 예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60)는 석유연소기가 소화상태에 있을때에는 작동부재(62)아래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석유연소기의 연소가 시작되어 진행되면, 돌출부(60)는 열적가변부재(56)의 변형에 의해서 제1도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가동부재(58)의 이동과 함께 상축으로 점차 이동하며, 이 동안 돌출부(60)는 작동부재(62)와 맞물려서 그것을 들어올린다. 석유연소기의 연소시에 돌출부(60)는 제1도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부재(62)의 위에 고정된다. 또한, 석유연소기(10)의 연소실린더구조체(12)의 온도가 하강할 때, 돌출부(60)는 가동부재(58)와 함께 하강하여 작동부재(62)를 핀(64)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시켜 시동수단(66)을 작동시키므로써 자동소화장치(28)가 시동되게되며 이때 돌출부(60)는 작동부재(62)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소화작업이 완료된 후에, 열적가변부재(56)는 실온에 도달할때까지, 냉각되기 때문에 가동부재(58)의 돌출부(60)는 아래쪽으로 더 이동된다. 석유연소기의 연소를 다시 행하고자 할 때, 예시한 실시예의 안전장치는 돌출부(60)가 작동부재(62)아래로 내려갔을때에도, 소화장치(28)가 작동하지 못하게 되어있다. 더 상세하게 말해서 가동부재(58)의 돌출부(60)가 온도 하강에 따라 작동부재(62)아래로 내려가면 작동부재(62)는 제3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64)을 중심으로 돌출부(60)와 분리되는 방향으로 시계방향으로 호를 그리면서 선회하므로써 돌출부(60)와 분리된다.
이하, 상술한 실시예의 안전장치 작동법을 제1도∼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점화에서 수동소화조작법을 설명한다.
심지작동축(38)을 심지(30)를 올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심지는 피니온래크기구(49)에 의해 제2도에 도시한 방향으로 올라간다. 이때, 기어(42)는 심지작동축(38)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여 복귀스프링(44)을 감게되며, 기어(42)와 스토퍼(46)의 맞물림에 의해 리터언스프링(44)의 감겨진 상태가 유지된다. 이렇게하여 심지(30)는 점화될 준비가 된다
심지(30)가 점화되어 석유연소기의 연소가 시작되면, 석유연소기(10)의 온도는 점증하게된다. 온도의 상승으로 인해서 제1도에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열적가변부재(56)가 변형되어 가동부재(58)의 돌출부(60)를 위로이동시키면서 작동부재(62)를 작동시킨다. 즉, 작동부재(62)를 제1도 및 제3도의 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키므로써, 돌출부(60)와 작동부재(62)는 제3a도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제3c도에 도시한 위치로 이동하여 작동부재(62)가 시동부재(66)와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비정상연소 검출 및 작동기구(64)는 제1도에 이점쇄선으로 표시한 위치가까 이르게 된다. 제3a도에서 제3c도까지의 조작중에, 소화장치(28)는 작동부재(62)가 시동부재(66)을 작동시키지 않기 때문에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기어(42)와 스토퍼(46)은 맞물린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
또한, 연소과정중에, 돌출부(60)는 선형으로 이동하는데 비하여 작동부재(62)는 호형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60)는 작동부재(62)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작동부재(62)는 제3c도에 도시한 위치에 있게된다.
수동소화는 심지작동축(38)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행하며, 그동한 기어(42)와 스토퍼(46)의 맞물림상태를 유지시켜서 리터언 스프링(44)를 감겨진 상태로 유지한다.
이하 소화조작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수동소화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돌출부(60)는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작동부재(62)를 제3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이동시켜서 제3a도에 도시한 위치로 복귀된다.
그동한, 작동부재(62)가 상술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제3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동부재(66)가 작동되어서, 그 결과 스토퍼가 작동된다. 이로인해 기어(42)는 스토퍼(46)으로부터 이탈되어 감겨진 리터언스프링(44)에 의해서 역회전되어 본래의 풀려진 위치로 복귀됨으로 인해 심지(30)가 하강됨에 따라 자동적으로 소화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수동소화작업이 완료되었을 때, 돌출부(60)와 작동부재(62)는 제3a도에 도시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점화시키기 위해 돌출부(60)를 다시 상측으로 이동시킬 때, 작동부재(62)는 돌출부(60)과 분리되는 방향으로 호를 그리며 선회하기 때문에 돌출부(60)는 작동부재(62)와 접하지 않게 된다.
이하, 비정상연소로 발생되는 소화조작법을 설명한다.
점화에서 연소까지의 순서는 상술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연소하는 동안 실내의 산소농도가 감소하는 동안의 이유로 인해서 비정상 연소가 발생하면 석유연소기는 과소연소 상태로됨에 따라 연소기(10)의 온도가 하강하여 변형된 가변부재(56)는 가동부재(58)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 결과 돌출부(60)는 상술한 바와같은 방식으로 제3c도의 위치에서 제3d도의 위치를 거쳐 제3a도의 위치로 이동하게되고 이와 동시에 기어(42)와 스토퍼(46)는 서로 이탈되어서 기어(42)는 감겨진 리터언스프링(44)에 의해서 역회전되므로써 심지작동축(38)을 역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 결과 심지(30)는 연소조작이전의 본래위치로 내려가서 소화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석유연소기(10)는 상술한 점화공정을 반복함으로써 다시 점화시킬 수 있다.
제4도는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를 변형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것은 비정상연소 발생시에 전기적 시동수단을 설치하여 석유연소기의 자동소화장치(28)를 작동하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변형실시예에 있어서, 시동수단(66)은 연소실린더 구조체(12)위에 배치된 마이크로스위치(70)에 전기적 방법으로 연결하고 진동감지추(48)를 작동시키기 위해 진동감지추(48)에 인접하여 배치해 놓은 솔레노이드(72)로 구성된다. 또, 비정상 연소감지 및 작동기구(54)는 연소실린더구조체(12)바로위에 배열된 집열수단(52)에 기계적 및 열적인 방법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마이크로 스위치(70)아래에 배열시킨 가변부재(56)과, 가변부재(56)에 설치하고, 또 상측으로 뻗어서 그 상단에 돌출부(60)가 형성되어 있는 가동부재(58)와 돌출부(60)에 연결됨과 동시에 마이크로스위치(70)에 연동시켜 마이크로스위치(70)에 설치한 작동부재(62)로 구성된다.
집열수단(52)는 금속을 환형, 원형등의 적당한 형상으로 형성시킨 판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4도에 도시한 변형실시예는 가동부재(58)가 작동부재(62)를 향하여 일정하게 이동하도록 가동부재(58)와 집열판(52)사이에 압축스프링(74)를 삽입시킨 방식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60)와 작동부재(62)간의 원활한 맞물림연결을 위해서 돌출부(60)는 가동부재(58)로부터 작동부재(62)를 향하여 상측으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지도록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4도의 변형실시예에 있어서, 마이크로스위치(70)에 설치한 작동부재(62)는 제1도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더 작은 각도의 선회운동을 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특히, 작동부재(62)의 선회운동은 가동부재(58)의 수직운동에 의해 이동되는 범위로 한정되므로, 가동부재(58)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작동부재(62)를 들어올릴 때, 상측으로 이동된 가동부재(58)의 돌출부(60)는 작동부재(62)를 따라 이동하면서 작동부재(62)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난다. 이 결과 가동부재(58)는 그것의 하단부를 중심으로해서 압축스프링(74)에 의해 제4도의 반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된다. 그 다음 돌출부(60)는 석유연소기의 연소진행에 따라 작동부재(62)위로 이동한다.
석유연소기의 연소온도가 하강할 때, 가동부재(58)는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그동안 가동부재(58)의 돌출부(60)는 작동부재(62)를 아래쪽으로 밀어러 마이크로스위치(70)를 켠다. 작동부재(62)의 하향선회운동은 상술한 바와 같은 위치에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부(60)는 작동부재(62)로 따라 이동하면서 가동부재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동안 작동부재로부터 분리된다. 이 결과 가동부재(58)은 압축스프링(74)에 의해 그것의 하단을 중심으로하여 제4도의 반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된다. 그 다음 돌출부(60)는 가동부재(58)가 아래쪽으로 더 이동함에 따라 작동부재(62)아래로 내려간다.
제4도에 도시한 변형실시예의 나머지 구조는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실제로 동일하다.
제4도에 도시한 변형실시예에 있어서 소화 및 점화방법에 관하여 설명하면 석유연소기(10)의 점화 및 연소를 행하여 연소실린더구조체(12)의 온도가 점차 상승하게되면, 가변부제(56)는 집열판(52)을 통해 전달된 열에 의해서 제4도에 이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변형되므로써 가변부재(56)와 돌출부(6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게되므로, 작동부재(62)가 위로들어 올려진다.
그리하여 석유연소기(10)의 정상연소중에 돌출부(60)는 작동부재(62)위에 놓이게 된다. 석유연소기(10)에서 불완전 연소기체를 발생시킬 정도의 과소화염을 형성하는 비정상연소발생시에, 가변부재(56)는 냉각되어 제4도에 굵은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변형되어 가동부재(58)의 돌출부(60)를 아래로 이동시킴으로써, 돌출부는 가동부재(62)와 맞물리게되어 가동부재(62)를 아래로 이동시킨다. 이로인해 가동부재가 시동수단의 마이크로 스위치(70)를 작동시키게되어 소화장치(28)는 솔레노이드(72)에 의해서 작동되어 석유연소기는 소화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석유연소기용 안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5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가동부재(58)는 작동부재(62)에 직접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부재(58)의 수직이동으로 핀(64)를 중심으로하여 작동부재(62)를 선회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최초 실시예의 돌출부(60)과 같은 맞물림수단이 없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작동부재(62)는 시동수단(66)에 선택적으로 접하게되는 작동부재몸체(76)과, 작동부재몸체(76)에 기계적방법으로 연결시켜서 가동부재(58)와 직접 연동시킨 판스프링(78)으로 이루어진다. 비정상연소 감지 및 작동기구(54)는 석유연소기에 설치한 타이머(80)와, 타이머 조작레버(82) 및 심지작동축(38)에 맞추어진 캠판(84)를 구비한다. 캠판(84)는 심지작동축(38)이 심지를 내린 상태에서 타이머조작레버(82)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타이머 조작레버(82)는 타이머(80)용 캠(86)과 일체로 성형함과 동시에 오목부를 형성시킨다.
참조번호(90)은 타이머(80)의 한쪽 끝에 선회가능하도록 설치한 레버를 표시하며 타이머캠(86)의 오목부와 맞물릴 수 있도록 레버(90)의 돌출부(92)를 형성시킨다. 핀(64)에는 한쪽끝이 작동부재몸체(76)의 하면과 맞물릴 수 있도록 푸쉬레버(94)를 선회가능하도록 설치한다.
또한, 비정상연소감지 및 작동기구(54)는 푸쉬레버(94)의 하단과 레버(90)의 하단간을 서로 연결시킨 작동 막대(96)을 포함한다. 푸쉬레버(94)는 타이머(80)에 조정시킨 시간에 판스프링(78)에 대하여 시동수단(66)으로부터 분리된 위치에서 작동부재(62)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제5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조작방법을 설명한다.
심지작동축(38)을 심지(도시하지 않음)를 올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심지는 점화되며, 석유연소기(10)은 연소가 시작된다. 이로 인해 가동부재(58)는 제5도에 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승되어 판스프링(78)이 똑바로 펴지게되고, 그동한 캠판(84)를 타이머조작레버(82)와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타이머(80)가 작동되도록 한다. 예시한 실시예는 캠판(84)와 타이머조작레버(82)가 분리된 상태에서도, 타이머가 예정된 시간동안에 타이머 조작레버(82)와 타이머 캠을 선회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조립한 것이다.
따라서, 작동막대(96)은 작동기구(54)가 고온을 검출할때까지 약 10 내지 15분동안 밀어진 상태로 고정된다. 약 10 내지 15분후에, 레버(9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타이머캠(86)의 오목부(88)속에 레버(90)의 돌출부(92)가 맞물리게 된다. 그 다음 석유연소기의 연소에서 소화조작을 심지작동축(38)을 수동으로 회전시켜 행하면, 캠판(84)은 타이머조작레버(8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레버(82)를 고쳐놓는다. 이로인해 타이머캠(86)의 오목부(88)로부터 레버(90)의 돌출부(92)를 분리시키므로서 푸쉬레버(94)는 작동막대(96)에 의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제5도에 도시한 위치로 복귀된다.
석유연소기의 정상연소과정중에 비정상연소가 발생하면 가동부재(58)은 하측으로 이동하며, 그동안 푸쉬레버(94)는 상술한 반시계 방향회전에 의해 정해지는 위치로 유지된다.
따라서, 작동부재(62)는 푸쉬레버(94)와 분리된 상태로 있게되므로, 소화장치가 시동된다. 이 결과 심지작동축(38)은 심지를 내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푸쉬레버(9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판스프링(78)을 휘게한다.
제6도는 제5도에 도시한 실시예를 변형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6도에 도시한 변경실시예는 제4도에 도시한 변형실시예와 같이 비정상연소발생시에 전기적 방법으로 설치한 시동수단(66)에 의해 자동소화장치(28)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변형실시예에 있어서, 시동수단(66)은 연소실린더구조체(12)위에 배열시킨 마이크로스위치(70)과, 마이크로스위치(70)에 전기적방법으로 연결하여 소화장치(28)의 진동감지추(48)에 인접하도록 배열시키므로써 진동감지추(48)를 작동시킬 수 있는 솔레노이드(72)로 구성된다.
비정상연소 감지 및 작동기구(54)는 연소실린더구조체(12) 바로 위에 배열시킨 집열판(52)과, 집열판(52)에 기계 및 열적방법으로 연결하여 마이크로스위치(70)아래 배열시킨 가변부재(56)와, 가변부재(56)가 온도변화로 인해 변형되었을 때 가변부재(56)가 작동부재(62)와 접하도록 하기위해서 마이크로스위치(70)의 하면에 설치한 작동부재(62)로 구성된다. 따라서, 변경실시예에 있어서, 가변부재(56)는 상술한 실시예의 가동부재(58)와 같은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집열판(52)는 금속을 환형 혹은 원형등의 적합한 형상으로 형성시킨 판재로 구성된다. 또한, 변형실시예는, 심지작동축(38)의 캠판(84)이 심지를 내리는 위치에서 타이머 작동레버(82)에 의하여 타이머스위치(98)를 끄고 타이머(80)의 접촉을 차단하므로써 마이크로 스위치(70)와 솔레노이드(72) 사이의 전기회로가 차단되어 소화장치(28)의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변형실시예에 있어서, 석유연소기(10)를 연소시키기 위해 캠판(84)을 타이머스위치(98)와 분리시켜 심지가 점화되었을 때, 타이머(80)는 예정된 시간동안 마이크로 스위치(70)와 솔레노이드(72)에 전류가 통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전기회로 작동기구(54)가 마이크로 스위치(70)를 작동시킬 정도의 고온을 검출할 때까지 10 내지 15분 동안 차단된 상태로 유지된다.
제6도에 도시한 변형실시예의 나머지 구조는 제5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6도에 도시한 변형실시예에 있어서, 석유연소기(10)의 점화 및 연소를 행하여 연소실린더구조체(12)의 온도가 점차 증가되면, 가변부재(56)는 집열판(52)을 통해 전도된 열에 의해서 제6도에 2점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변형되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결과 작동부재(62)와 접하게 된다. 석유연소기에서 불완전연소기체를 발생시킬 정도의 과소화염을 형성하는 비정상 연소가 발생하면, 가변부재(56)는 냉각되어 제6도에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변형되므로써, 작동부재(62)에서 이탈된다. 이로인해 작동부재(62)는 시동수단(66)의 마이크로스위치(70)를 작동시키게되므로 소화장치(28)는 솔레노이드(72)에 의해 작동된다.
제6도에 도시한 변형실시예의 나머지 조작은 제5도의 실시예의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술한 각각의 실시예는 심지에 많은 양의 그을음이 부착되었을 때, 심지가 지나치게 내려가 있을 때, 공기청정기가 먼지등으로 막혔을 때, 실내공기의 부족 등에 의한 과소연소를 효율적으로 검출하여 소화장치를 자동적으로 작동시키므로써 석유연소기에 고도로 개량된 안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각의 실시예는 소화가 이루어졌을 때 소화장치를 다시 세트시킨 상태에 있게하므로써, 석유연소기의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석유연소기용 안전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참조번호(50)으로 표시된 예시한 실시예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참조번호(54')로 표시된 비정상연소 감지 및 작동기구는 참조번호(100)으로 표시한 열선감지수단(heat ray Sensing means)을 이용한다.
특히, 예시한 실시예의 안전장치(50)는 연소실린더구조체(12)에 대향으로 배열시킨 열반사판(52')을 갖는다. 예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비정상연소 감지 및 작동기구(54')는 열선감지수단(100)을 가지며, 열반사판(52')의 뒤에 배열되어 열반사판(52')의 개구부(102)를 통해서 연소실린더구조체(12)와 바로 대향되어있다.
예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열선감지수단(100)은 연소실린더구조체(12)의 적열실린더부(14)와 대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열선감지수단(100)에는 적열실린더부(14)의 열선방사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그것의 전면에 설치한 가이드튜우브(104)가 있다.
열선감지수단(100)은 적열실린더부에서 방출된 열선을 검출하고 검출된 열선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열선 감지수단(100)은 열선이 검출 되지 않는 동안은 열선비검출신호, 열선이 검출되는 동안은 열선검출신호를 발생한다. 종래에는 열선감지수단(100)의 감지부재로서 포토트랜지스터(phototransistor)를 갖는 광전도셀(photoconductive cell) 황화카드뮴셀(Cadmium sulfide Cell)등과 같이 열선은 물론 가시선도 검출할 수 있는 부재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열선감지수단(100)의 감지부재로는 열선만 감지하는 부재로 사용할 수 있다.
비정상연소 감지 및 작동기구(54')에는 시동수단(66)에 의해서 석유연소기의 소화장치(258)를 시동하기 위한 작동수단(62)이 있는데, 이 작동수단(62)은 열선감지수단(100)으로부터 그것의 출력단자(106)를 통해서 전달된 신호에 의해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작동수단(62)은 열선감지수단(100)의 출력단자(106)를 통해서 전류(열선비검출신호)가 전달되었을 때 작동하는 히터(108)와, 돌출부(110), 그리고 바이메탈로 형성하고 히터(108)에 의해서 가열되었을때 1 내지 2초동안 거꾸로 이동하므로써 돌출부(110)를 들어올리도록 한 가변부재(112)로 구성된다. 작동수단(62)은 돌출부가 밀려올라올 때 이 돌출부(110)에 의하여 시동수단(66)의 한쪽끝단이 들어올려지게되어 소화장치(28)가 작동되는 것이다.
비정상연소 감지 및 작동기구(54')에는 소화장치(28)의 심지 작동축(38)에 맞추어진 캠판(84)이 있는데, 이 캠판(84)은 심지작동축(38)이 심지를 내린 상태로 있을때에 후술한 타이머(80)의 시동조절용메인스위치(98)가 꺼지도록 한다. 메인스위치(98)는 심지작동축을 제7도에 도시한 심지점화위치로 회전시켰을 때 켜진다.
제7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석유연소기의 과열 및 화재의 위험이 따르는 과대화염을 형성하는 비정상연소를 검출하도록 된 제2의 비정상연소 감지 및 작동기구(114)를 포함하여 만들 수 있게 되어 있다. 제2비정상연소 감지 및 작동기구(114)는 열반사판(52')의 개구부를 통해서 연소실린더구조체(12)와 대향배열시킨 감지부재가 있는 제2열선 감지수단(116)을 갖는다. 예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2열선감지수단(116)은 화염확산부(16)와 대향되도록 제1열선감지수단(100)의 위쪽에 배열되어 있다. 제2열선 감지수단(116)에는 화염확산부(16)의 열선방사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그것의 전면의 설치한 가이드튜우브(120)가 있다. 제2열선감지수단(116)은 화염확산부에서 형성된 불꽃놀이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므로, 제1열선 감지수단(100)보다 높은 정밀도를 갖는 것이 좋다. 그러나, 가이드튜우브(120)의 구멍을 통해서 비스듬히 가이드튜우브(120)으로 입사된 열선은 센서(116)의 제기능을 못하게 한다. 그 이유는 열선이 가이드튜우브(120)의 내벽에 반사되면서 센서(116)에 도달하기 때문이다. 특히 불꽃의 맨 윗부분은 높은 발광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가이드튜우브(120)의 직경은 작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열선감지수단(116)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할 정도의 과대화염발생시에, 화염확산부(16)에서 형성된 불꽃에서 방사된 열선을 검출하여 작동수단(62)를 작동시키기위한 열선검출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제2열선 감지수단(116)은 제1열선감지수단(100)에서와 같이 연결와이어(도시하지 않음)로 작동수단(62)에 전기적 방법으로 연결시킨다.
제2비정상연소 감지 및 작동기구(114)는 부저등의 경보기(122)를 갖출 수 있게 되는데 이것은 열선검출신호가 제2열선감지수단(116)에서 발생하였을 때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경보기(122)는 적당한 방법으로 만들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작동부재(62)가 작동되기전에 미리 설정된 시간내에 작동되어 사용자의 주의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구조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만들어지는 경우 사용자가 석유연소기 가까이에 있을때에, 작동부재(62)에 의해서 연소기의 자동소화가 이루어지기 이전에 수동으로 심지를 내려서 효과적으로 소화를 행할 수 있게 된다.
제8도는 제1비정상연소 감지 및 작동기구(54')와 제2비정상연소 감지 및 작동기구(114)에 대하여 제7도에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전기회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8도에 있어서, 스위치(98)를 켜면 타이머(80)가 전원(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타이머(80)은 그안에 축전기와 저항기가 있는 CR 타이머를 사용한다. 특히, 타이머(80)은 저항기(R1)과 축전기(C)가 전원(도시하지 않음)의 출력단자에 평행하도록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회로, 다이오우드(D1), 음극을 저항기(R1)과 축전기(C)의 연결부에 연결시킨 제너다이오우드(Zener diode ZD), 음극-에미터회로를 스위치(98)에 직렬로 연결시킨 트랜지스터(Tri), 한쪽끝을 트랜지스터(Tri)의 저부에 연결시킨 저항기(R2), 콜렉터를 저항기(R2)의 다른쪽 끝에 연결시키고 저부를 제너다이오우드(ZD)의 양극에 연결시켜 에미터를 접지시킨 트랜지스터(Tr2)로 구성된다.
이하, 타이머(80)의 조작방법을 설명한다.
스위치(98)를 접속시키면, 축전기(C)는 저항기(R1)을 통해 충전되므로, 전압이 축전기(C)를 가로질러 제너다이오우드(ZD)의 제너레벨에 도달하면, 트랜지스터(Tr2)가 켜진다. 이 결과 트랜지스터(Tr1)가 켜지게 된다. 따라서, 저항기(R1)과 축전기(C)에 의해 결정된 시간상수에 의존하는 시간간격을 경과하면, 타이머(80)는 제1열선 감지수단(100) 및 제2열선감지수단(116), 작동부재(62), 그리고 경보기(122)에 전력 (도시하지 않음)을 공급한다. 타이머(80)시간 간격은 점화에서부터 제1열선 감지수단(100)과 대향배열시킨 연소실린더구조체에서 소정강도의 열선이 발생할때까지 걸리는 시간보다 길도록 결정한다.
제1열선감지수단(100)은 연소실린더구조체(12)에서 방출되는 열선을 검출하는 부재로서의 포토트랜지스터(PTr1)을 갖는다.
포토트랜지스터(PTr1)은 저항기(R41)에 의해 타이머(80)의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에 연결시킨다. 또한, 포토트랜지스터(PTr1)의 콜렉터-에미터회로는 증폭기용 트랜지스터(Tr41)의 베이스-콜렉터 회로와 평행하도록 연결시킨다. 트랜지스터(Tr41)의 콜렉터는 저항기(R42)에 의해 비교기로 작용하는 연산증폭기(OP1)의 양극단자에 연결시킨다. 연산증폭기(OP1)의 음극단자는 저항기(R43)과 저항기(R44)의 연결부에 연결시킨다. 저항기(R43)과 저항기(R44)로 구성되는 직렬회로에는 피검출열선과 포토트랜지스터(PRr1)의 저부로 입사되는 방해광을 구별하기 위한 기준전압을 발생하는기준전압 발생회로가 있다. 이렇게 발생되는 기준전압의 값은 포토트랜지스터에 방해광만 입사할 때 연산증폭기(OP1)의 양극단자에 전달되는 검출전압보다 크고, 포토트랜지스터에 열선이 입사할 때 연산증폭기(OP1)의 양극단자에 전달되는 검출전압보다 작도록 결정한다.
연산증폭기(OP1)의 출력을 양극단자에 전달된 입력전압이 음극단자에 공급된 기준전압과 같거나 크면 저레벨 혹은 그라운드레벨로 감소하고 입력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고레벨로 증가한다.
예를 들면, 포토트랜지스터(PTr1)가 적열실린더부(14)에서 방출되는 열선을 검출하지 못하거나 불완전연소기체를 발생시킬 정도의 과대연소가 행해지면, 연산증폭기(OP1)의 양극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은 기준전압 이하로 감소된다. 이로 인해 전류가 저항기(R45)(R46) 및 (R47)을 통해 전원으로부터 흐르게 되므로, 전류가 트랜지스터(Tr42)의 저부를 통해 흘러서 트랜지스터(Tr42)를 켠다.
이때, 타이머(80)의 트랜지스터(Tr1)가 커지면, 전류가 전원으로부터 작동부재(62)(제7도)의 히터(108), 다이오우드(D2) 및 열선감지수단(D2)의 출력단자(106)를 통해 흘러서 트랜지스터(Tr42)가 켜져있는 시간 동안에 작동수단(62)이 작동되도록 한다.
또한, 포토트랜지스터(PTr1)의 열선이 검출되면 양극단자에 전달된 전압은 기준전압근처까지 감소한다. 이로 인해 연산증폭기(OP1)의 출력은 그라운드레벨로 되어 트랜지스터(Tr42)를 끄게 되므로, 작동부재(62)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제2열선감지수단(116)의 제조방법은, 연산증폭기(OP2)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의 입력방법과 연산증폭기(OP1)에서의 입력방법은 정반대이며 연산증폭기(OP2)의 출력과 연산증폭기(OP2)의 출력은 정반대인 것을 제외하고는 거의 동일하다. 예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석유연소기(10)의 연소과정중에 화염방사부(16)에서 과대한 소화염이 형성되면, 제2열선감지수단(100)의 포토트랜지스터(PTr2)가 커져서 연산증폭기(OP2)의 음극단자에 공급된 입력전압을 연산증폭기(OP2)의 양극단자에 공급된 기준전압이상으로 증가시킨다. 이 결과 연산증폭기(OP2)의 출력은 트랜지스터(Tr92)를 켤정도의 고레벨로 증가하므로 전류는 경보기(122)와 작동부재(62)로부터 다이오우드(D3)(D4)를 통해서 흐르게 된다.
이렇게 해서, 작동부재(62)가 작동되면, 소화장치(28)는 시동수단(66)에 의해 작동되어 비정상 연소를 정지시키게 된다.
예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점화시에 캠판(84)에 의해서 메인스위치(98)가 접속되었을때에도, 타이머(80)가 소정시간을 계산하지 않은 경우에는, 열선감지수단(100)(116), 작동부재(62) 및 경보기(122)는 전원으로부터 단전된다. 따라서, 연소실린더구조체(12)의 온도가 점화 또는 연소직후에 너무 낮아서 열선감지수단(100)이 열선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열선 감지수단(100)은 비작동상태에 있게 되므로 소화작업이 행하여지는 일은 없다.
또, 점화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석유연소기가 정상 연소에 도달하지 않을때에는, 연소실린더구조체(12)의 온도는 타이머(80)가 계산동작을 완료한 후 하더라도 낮게 유지된다.
그 결과, 동작상태에 도달해있는 열선감지수단(100)은 출력단자(106)에서 신호를 발생하게 되므로, 작동부재(62)는 시동수단(66)을 통하여 소화장치(28)를 동작시킨다.
제9도는 타이머(80)의 변경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제9도에 도시한 타이머(80)에 있어서, 메인스위치(98)이 접속되면, 저항기로 구성된 가열부재(124)를 통해서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가열부재(124)는 그것에 인접하여 배열된 바이메탈(126)을 가열한다. 가열된 바이메탈은 잠시동안 똑바로 연장되어 가동콘택트(130)과 고정콘택트(120)을 접촉시키므로써, 열선감지수단(100)과 열선 감지수단(116)을 전원에 연결시킨다.
따라서, 제9도의 타이머(80)은 바이메탈(126)이 시간간격을 결정하도록 된 바이메탈 타이머임을 알 수 있다.
열선감지수단(100)(116)은 각각 소정파장의 광만을 통과시켜 열선만을 검출할 수 있는 필터를 갖는다.
따라서, 제1도∼제6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물론 제7도에 도시한 실시예도 심지에 과량의 그을음이 부착되었을 때, 연소과정중심지가 지나치게 내려가 있을 때, 공기청정기가 먼지로 막혔을 때, 실내산소의 부족으로 인해 일산화탄소등의 불완전연소기체를 발생하는 과소연소를 효과적으로 검출하여 소화장치를 자동으로 작동시키므로써, 석유연소기에 고도로 개량된 안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석유연소기에서 비정상연소를 검출할 수 있는 열선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이것은 열선 감지수단이 열선을 검출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느부위의 배열도 가능하게 하므로, 석유연소기의 구조를 단순화한다.
또, 실시예는 과소화염을 형성하는 비정상연소 및 과대화염을 형성하는 비정상연소를 검출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과소연소를 검출하는 열선감지수단뿐만 아니라 과소연소를 검출하는 열선감지수단을 석유연소기에 설치하여 열선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는 다른 형태로도 변경실시할 수 있다.

Claims (34)

  1. 석유연소기(10)의 연소실린더구조체(12)에서 방사되는 열선을 받아서 정상화염을 형성하는 정상연소가 발생한 이후에 불완전연소기체가 발생할 정도의 과소화염을 형성하는 상기 석유연소기(10)내의 비정상연소를 검출하는 비정상연소감지 및 작동기구(54)와 상기 석유연소기(10)의 소화장치(28)를 시동하는 시동수단(66)을 구비하고, 상기 시동수단(66)은 상기 비정상연소 감지 및 작동기구(54)에 연결되어 상기 비정상연소 감지 및 작동기구(54)가 상기 정상연소가 발생한 이후에 비정상연소를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소화장치(28)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2. 석유연소기(10)의 연소실린더구조체(12)로부터 방출된 열선을 받는 비정상 연소 감지 및 작동기구(54)와 상기 석유연소기의 소화장치를 시동하는 시동수단(6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정상연소검출 및 작동기구(54)는 정상화염을 형성하는 정상연소가 발생한 이후에 불완전연소기체가 발생할 정도의 과소화염을 형성하는 상기 석유연소기(10)내의 온도변화로 인하여 비정상연소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기계적 작동을 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시동수단(66)은 상기 비정상연소 검출 및 작동기구(54)에 연결되어, 상기 비정상연소 감지 및 작동기구(54)가 비정상연소를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소화장치(28)를 시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연소 감지 및 작동기구(54)는 석유연소기의 연소실린더 구조체의 온도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가동수단과, 상기 가동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가동수단에 접속되는 작동부재(62)와, 상기 작동부재(62)와 상기 석유연소기(10)의 소화장치(28)사이에 가동접속되어서 상기 작동부재(62)에 의해 작동되면 상기 소화장치(28)를 동작시키는 시동수단(66)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수단은 상기 연소실린더 구조체(12)의 온도가 증가되는 경우에는 상기 작동부재(62)를 상기 시동수단(66)으로부터 이탈시키는 한편 상기 연소실린더구조체의 온도가 감소하는 경우에는 상기 작동부재(62)로 하여금 상기 시동수단(66)을 통하여 상기 소화장치(28)를 동작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가동수단은 상기 석유연소기(10)의 소화를 행하거나 상기 석유연소기(10)의 연소동작이 행하여지는 동안에는 상기 석유연소기(10)로부터 충분히 이탈된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수단은, 상기 연소실린더구조체(12)의 온도변화에 따라 변형되는 열가변부재(56)와, 이 열가변부재(56)의 변형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당해 열가변부재(56)에 기계적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작동수단에 가동접속된 가동부재(5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석유연소기(10)의 상기 연소실린더구조체(12)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받는 집열판(52)을 구비하고, 상기 열가변부재(56)는 상기 집열판(52)에 열 및 기계적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수단(66)은 상기 소화장치(28)의 스토퍼(46)의 연장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수단(66)은 상기 작동부재(62)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마이크로스위치(70)와 이 마이크로스위치(70)에 전기접속된 솔레노이드(72)로 구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72)가 상기 마이크로스위치(70)에 의해 작동되는 경우에 상기 소화장치(28)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72)는 상기 소화장치(28)의 진동감지추(48)를 통하여 상기 소화장치(28)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58)는 상기 작동부재(62)를 상기 가동부재(58)에 가동접속시키기 위한 맞물림 돌출부(6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연소감지 및 작동기구(54)는 석유연소기(10)의 온도변화에 따라 이동하는 가동수단과, 상기 가동수단에 가동접속되어 당해 가동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작동부재(62)와, 상기 작동부재(62)와, 상기 석유연소기의 점화시에 작동하는 타이머(80)와, 상기 석유연소기의 소화장치(28)사이에 가동접속되어서 상기 작동부재(62)에 의해 작동이 되면 상기 소화장치(28)를 동작시키는 시동수단(66)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수단은 상기 연소실린더구조체(12)의 온도가 증가할때에는 상기 작동부재(62)를 비작동상태로 유지하는 한편 상기 연소실린더구조체(12)의 온도가 감소되거나 소화작업중에는 상기 작동부재(62)로 하여금 상기 시동수단(66)을 통하여 상기 소화장치(28)를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타이머(80)는 상기 소화장치(28)에 가도접속되어서 상기 석유연소기(10)가 점화된 후 소정시간동안 상기 소화장치(28)를 작동상태에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수단(66)은 상기 소화장치(28)의 스터퍼(46)의 연장부로 구성되고, 상기 타이머(80)는 상기 작동부재(62) 및 상기 시동수단(66)을 통하여 상기 소화장치(28)에 가동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수단(66)은 상기 작동부재(62)에 의해 작동되는 마이크로 스위치(70)와 이 마이크로스위치(7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서 당해 마이크로스위치(70)에 의해 작동되면 상기 소화장치(28)를 동작시키고, 상기 타이머(80)는 상기 마이크로스위치(70) 및 솔레노이드(72)의 전기회로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수단은 상기 연소실린더구조체(12)의 온도변화에 따라 변형되는 열가변부재(56)와 상기 열가변부재(56)의 변형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당해 열가변부재(56)에 기계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작동부재(62)에 가동접속된 가동부재(5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석유연소기(10)의 연소실린더 구조체(12)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받도록 설치된 집열판(52)을 포함하며, 상기 열가변부재(56)는 상기 집열판(52)에 열 및 기계적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수단은 상기 연소실린더구조체(12)의 온도변화에 따라 변형과 동시에 이동하는 열가변부재(5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석유연소기(10)의 연소실린더구조체(12)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받도록 집열판(52)을 포함하며, 상기 열가변부재(56)는 상기 집열판(52)과 열 및 기계적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17. 석유연소기(10)의 연소실린더구조체(12)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받도록 설치된 비정상연소감지 및 작동기구(54)와 상기 비정상연소검출 및 작동기(54)와 상기 석유연소기(10)의 소화장치(28)사이에 가동접속된 시동수단(6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정상연소 감지 및 작동기구(54)는 상기 연소실린더구조체(12)로부터 방사된 열선의 변화에 따라 불완전연소기체를 발생할 정도의 과소화염을 형성하는 비정상연소를 검출할 경우에 그 작동을 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시동수단(66)은 상기 비정상연소감지 및 작동기구(54)가 상기 석유연소기(10)의 비정상연소를 검출할때에 작동을 시작해서 상기 소화장치(28)를 시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18. 석유연소기(10)의 연소실린더구조체(12)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전기적으로 검출하여 열선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열선비검출신호를 발생하는 열선감지수단(100)과, 상기 열선감지수단(100)으로부터 발생된 열선비검출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수단과, 상기 작동수단과 상기 석유연소기(10)의 소화장치(28) 사이에 가동 접속되어서 상기 열선비검출신호가 상기 작동수단에 입력되면 상기 소화장치(28)를 동작시키는 시동수단(66)과, 상기 석유연소기(10)의 점화동작이 행하여질때에는 소정시간간격의 계산을 시작하는 한편 소정시간간격의 계산이 종료되면 상기 열선감지수단(100)을 동작시키는 타이머(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80)는 전원과 상기 열선감지수단(100)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소정시간간격을 계산하는 동안에는 상기 열선감지수단(100)을 전원과 차단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80)는, 메인스위치(90)가 상기 석유연소기(100)의 점화를 위하여 닫혔을 때 저항을 통하여 충전되는 축전지와, 상기 축전지의 전압이 소정치에 도달할때까지 상기 열선감지수단(100)을 상기 전원으로부터 차단시키는 스위치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80)는 메인스위치(98)가 상기 석유연소기(10)의 점화를 위하여 닫혔을 때 작동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에서 발생한 열로 인하여 변형되는 바이메탈과, 상기 스위치가 상기 마이메탈의 변형에 의해 닫힐때까지 상기 열선감지수단(100)을 상기 전원에서 차단된 상태로 유지하는 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 감지수단(100)은, 그것에 입사되는 열선의 밀도에 비례하는 검출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검출소자와, 상기 검출소자에 열선이 입사될때에는 당해 검출소자에서 발생한 검출전압보다 작은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한편 상기 검출소자에 상기 열선이외의 가시광선이 입사될때에는 상기 검출소자로부터 발생된 검출전압보다 큰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기준전압발생수단과, 상기 검출소자로부터 발생된 상기 검출전압과 상기 기준전압간의 비교를 행하는 비교기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열선비검출신호는 상기 검출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작은 경우에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린더구조체(12)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받도록 배치된 제2열선감지수단(116)을 구비하고, 상기 제2열선감지수단(116)은 상기 연소실린더구조체(12)에서 형성된 소정치이상의 과대연소화염으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검출해서 상기 과대연소화염으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검출해서 상기 과대연소화염이 형성되고 있는 동안에 열선검출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제2열선감지수단(116)에서 발생된 상기 열선검출신호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타이머수단(80)은 상기 제2열선감지수단(1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서 상기 소정시간간격의 계산을 완료할때까지 상기 제2열선 감지수단(116)을 비작동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선감지수단(116)이 접속되어서 상기 제2열선 감지수단(116)이 상기 열선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경우에 작동하는 경보기(12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감지수단(100)은 상기 연소실린더구조체(12)에서 방사된 열선을 받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열선 감지수단(116)은 상기 연소실린더구조체(12)의 화염확산부(16)에서 방사된 열선을 받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선 감지수단(116)은 가이드튜브(120)를 통하여 상기 열선을 받으며, 상기 제2열선감지수단(116)의 상기 가이드튜브(120)는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 감지수단(100) 및 제2열선감지수단(116)은 상기 각각의 가이드튜브(104),(120)를 통하여 상기 열선을 받으며, 상기 제2열선 감지수단(116)의 가이드튜브(120)는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린더구조체(12)에 대향 배치된 열반사판(52')을 구비하고, 상기 열선감지수단(100) 및 제2열선감지수단(116)은 상기 열반사판(52')의 개구를 통하여 상기 열선을 받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29. 제2항에 있어서, 비정상연소감지 및 작동기구(54)는 석유연소기의 연소실린더구조체로부터 열선을 받도록 배치된 집열판(52)와, 상기 집열판(52)에 열 및 전기적으로 접속된 열가변부재(56)와, 상기 열가변부재(56)의 변형에 따라 수직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열가변부재(56)상에 정착되는 것으로 돌출부(60)를 가지는 가동부재(58)와, 상기 돌출부(60)를 통하여 상기 가동부재(58)에 축선회운동가능하게 가동접속된 작동부재(62)와, 상기 작동부재(62)와 상기 석유연소기(10)의 소화장치(28)사이에 가동접속되는 것으로 상기 소화장치(28)의 스토퍼(46)의 연장부를 가지는 시동부재(66)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부재(58)는 상기 연소실린더구조체(12)의 온도가 증가될 때에는 상기 열가변부재(56)의 변형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해서 상기 작동부재(62)를 상기 시동부재(66)로부터 이탈시키는 한편 상기 연소실린더구조체(12)의 온도가 감소될 때에는 하방으로 이동해서 상기 돌출부(60)를 통하여 상기 작동부재(62)를 선회운동시키므로써 상기 소화장치(28)를 동작케하고, 상기 석유연소기(10)의 소화작업을 행하거나 상기 석유연소기(10)에서 연소가 진행중인 동안에는 상기 가동부재(58)가 상기 작동부재(62)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30. 제2항에 있어서, 비정상연소감지 및 작동기구(54)는 석유연소기의 연소실린더구조체로부터 열선을 받도록 배치된 집열판(52)와, 상기 집열판(52)에 열 및 가계적으로 접속된 열가변부재(56)와, 상기 열가변부재(56)의 변형에 따라 수직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열가변부재(56)상에 정착된 것으로 돌출부(60)를 가지는 가동부재(58)와, 상기 돌출부(60)를 통하여 상기 가동부재(58)에 선회운동 가능하게 가동접속된 것으로 상기 가동부재에 대하여 항상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있는 작동부재(62)와, 상기 작동부재(62)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마이크로스위치(70)와, 상기 마이크로스위치(7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솔레노이드(72)로 구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72)는 상기 마이크로스위치(70)에 의해 동작되면 상기 석유연소기(10)의 소화장치(28)의 진동감지추(48)를 작동시켜서 상기 소화장치(28)를 동작시키고, 상기 가동부재(58)는 상기 연소실린더구조체(12)의 온도가 증가할때에는 상기 열가변부재(56)의 변형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작동부재(62)를 상기 마이크로스위치(70)로부터 이탈시키는 한편 상기 연소실린더구조체(12)의 온도가 감소할때에는 하방으로 이동해서 상기 작동부재(62)를 상기 돌출부(60)를 통하여 선회운동 시키므로써 상기 마이크로스위치(70)를 작동케하여 상기 솔레노이드(72) 및 상기 진동감지추(48)를 통하여 상기 소화장치(28)를 동작시키고, 상기 석유연소기(10)의 소화작업을 행하거나 상기 석유연소기(10)의 연소작업이 진행중인 동안에는 상기 가동부재(58)가 상기 작동부재(62)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3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연소감지 및 작동기구(54)는 석유연소기의 연소실린더구조체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받도록 배치된 집열판(52)와 상기 집열판(52)에 열 및 기계적으로 접속된 열가변부재(56)와, 상기 열가변부재(56)의 변형에 따라 수직이동하도록 상기 열가변부재(56)상에 장착된 가동부재(58)와, 작동부재몸체(76) 및 이 작동부재몸체(76)에 일단이 장착되는 한편 타단은 상기 가동부재(58)에 직접 연결된 판스프링(78)으로 구성된 작동부재(62)와, 상기 석유연소기의 점화와 동시에 작동하는 타이머(80)와, 상기 석유연소기(10)의 소화장치(28)의 스토퍼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작동기부재의 몸체에 가동접속되어서 상기 작동부재(62)의 작동에 의해 상기 소화장치(28)를 동작시키는 시동부재(66)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부재(58)는 상기 연소실린더구조체의 온도가 증가할때에는 상기 작동부재(62)를 비작동상태로 있게하는 한편 상기 연소실린더구조체(12)의 온도가 감소하거나 소화작업을 행할때에는 상기 작동부재(62)를 작동시켜서 상기 시동부재(66)를 통하여 상기 소화장치(28)를 동작시키고 상기 타이머(80)는 상기 작동부재(62) 및 시동부재(66)를 통하여 상기 소화장치(28)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석유연소기(10)가 점화된 후 소정시간동안 상기 소화장치를 동작상태에 있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3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연소감지 및 작동기구(54)는 석유연소기의 연소실린더 구조체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받도록 배치된 집열판(52)과, 상기 집열판(52)에 열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어서 상기 연소실린더구조체(12)의 온도변화에 따라 변형 및 이동하는 열가변부재(56)와, 선회운동가능하게 배치되어서 상기 열가변부재(56)의 운동에 따라 작동하는 작동부재(62)와, 상기 작동부재(62) 및 전기접속된 솔레노이드(72)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마이크로스위치(70)와 상기 석유연소기의 점화와 동시에 작동하는 타이머(80)로 구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는 상기 석유연소기의 소화장치(28)의 진동감지추(48)에 가동접속되어서 상기 마이크로스위치(70)에 의해 작동되면 상기 진동감지추(48)를 통하여 상기 소화장치(28)를 동작시키고, 상기 열가변부재(56)는 상기 연소실린더구조체(12)의 온도가 증가할때에는 상기 작동부재(62)를 비작동상태로 위치시키는 한편 상기연소실린더구조체(12)의 온도가 감소되거나 소화작업이 행하여질때에는 상기 작동부재(62)를 작동시켜서 상기 솔레노이드(72)가 상기 마이크로스위치(70)를 통해 작동하므로써 상기 소화장치(28)를 동작시키고, 상기 타이머(80)는 상기 마이크로스위치(70) 및 솔레노이드(72)를 통하여 작동하므로써 상기 소화장치(28)에 가동접속되어서 상기 석유연소기의 점화후 소정시간동안 상기 소화장치를 동작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33. 연소실린더구조체(12)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전기적으로 검출해서 열선이 검출되지 않을때에는 열선비검출신호를 발생하는 열선감지수단(100)과, 상기 열선감지수단(1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서 그것으로부터 발생된 상기 열선비검출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수단과, 상기 석유연소기(10)의 소화장치(28)의 스토퍼연장부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작동수단에 가동접속되어서 상기 열선비검출신호가 상기 작동수단에 입력되면 상기 소화장치(28)를 동작시키는 시동수단(66)과, 상기 석유연소기의 점화와 동시에 소정시간간격의 계산을 시작해서 상기 소정시간간격의 계산이 종료되면 상기 열선감지수단(100)을 동작시키는 타이머(80)를 부기하고, 상기 타이머(80)는 전원과 상기 열선 감지수단(100)사이에 접속되어서 그것이 상기 소정시간간격을 계산하는 동안에는 상기 열선 감지수단(100)을 상기 전원으로부터 차단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34. 연소실린더구조체(12)의 적열실린더부(14)에서 방사된 열선을 전기적으로 검출하여 열선이 검출되지 않는 동안에는 열선비검출신호를 발생하는 제1열선감지수단(100)과, 상기 연소실린더구조체(12)의 화염확산부(16)에서 형성되는 소정치이상의 과대연소화염으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전기적으로 검출하여 상기 과대연소화염의 발생시에는 열선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제2열선감지수단(116)과, 상기 제1 및 제2열선감지수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서 그들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열선 비검출신호 및 열선검출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수단과, 상기 석유연소기(100)의 소화장치(28)의 스토퍼연장부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작동수단에 가동접속되어서 상기 열선비검출신호 및/또는 열선 검출신호가 상기 작동수단에 인가되면 상기 소화장치(28)를 동작시키는 시동부재(66)와, 상기 석유연소기의 점화와 동시에 소정시간간격의 계산을 시작해서 상기 소정시간간격의 계산이 종료되면 상기 제1 및 제2열선감지수단(100)(116)을 동작시키는 것으로 전원과 상기 제1 및 제2열선감지수단(100),(116)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소정시간간격을 계산하는 동안에는 상기 제1 및 제2열선감지수단(100),(116)을 상기 전원에서 차단된 상태로 유지하는 타이머(80)와, 상기 제2열선감지수단(1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서 상기 제2열선감지수단(116)으로부터 상기 열선검출신호가 발생되면 작동하도록된 경보기(122)를 구비하여서된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KR1019860003346A 1985-04-30 1986-04-30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KR9000009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4513 1985-04-12
JP60093445A JPS61252429A (ja) 1985-04-30 1985-04-30 石油燃焼器の安全装置
JP60-93445 1985-04-30
JP93445 1985-04-30
JP60254513A JPS62112921A (ja) 1985-11-12 1985-11-12 石油燃焼器の安全装置
JP60-254513 1985-1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408A KR860008408A (ko) 1986-11-15
KR900000950B1 true KR900000950B1 (ko) 1990-02-19

Family

ID=26434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3346A KR900000950B1 (ko) 1985-04-30 1986-04-30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797088A (ko)
EP (1) EP0200549B1 (ko)
KR (1) KR900000950B1 (ko)
AT (1) ATE84133T1 (ko)
DE (1) DE3687363T2 (ko)
DK (1) DK167549B1 (ko)
NO (1) NO16689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222930A (en) * 1987-12-15 1990-08-28 Moffat Appliances Ltd Gas infra-red burner in heat exchanger
US5057005A (en) * 1989-05-25 1991-10-15 Kwok Wai Shi Candle device
US5080578A (en) * 1991-02-12 1992-01-14 Harold Josephs Liquid fuel burning heater having flame stopping means
US5338185A (en) * 1993-10-04 1994-08-16 Southeastern Research Laboratories, Inc.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uncontrolled flareup in wick-fed liquid fuel burners
US5456595A (en) * 1994-05-23 1995-10-10 Henderson; Richard W. Device for preventing flareup in barometric-type wick-fed liquid fuel burners
US5409370A (en) * 1994-09-30 1995-04-25 Henderson; Richard W. Liquid fuel burner safety device employing fuel tank shutoff
US5549470A (en) * 1994-12-29 1996-08-27 Henderson; Richard W. Anti-flareup device for liquid fuel burners
US5662468A (en) * 1995-08-14 1997-09-02 Henderson; Richard W. Device that prevents flareup in liquid fuel burners
US5551865A (en) * 1995-11-17 1996-09-03 Henderson; Richard W. Safety shut-off device for liquid fuel burners
US5730115A (en) * 1996-07-19 1998-03-24 Henderson; Richard W. Device for preventing flareup in liquid fuel burners by regulating fuel flow into the fuel chamber
US5772425A (en) * 1996-07-19 1998-06-30 Henderson; Richard W. Device for preventing flareup in liquid fuel burners by containing sump vapors
US5899682A (en) * 1997-03-31 1999-05-04 Henderson; Richard W. Device for preventing flareup in liquid fuel burners by regulating fuel flow from the removable fuel tank
IES80706B2 (en) * 1997-08-14 1998-12-16 Waterford Foundry Inventions L Oil-fired stove
US5967765A (en) * 1997-08-19 1999-10-19 Henderson; Richard W. Device for preventing flareup in liquid-fuel burners by providing constant-rate fuel flow from removable fuel tank
US6254380B1 (en) 2000-05-30 2001-07-03 Richard W. Henderson Device for preventing flareup in barometric-type liquid fuel burners by preventing excessive temperature levels at removable fuel tank
KR100381256B1 (ko) * 2000-06-09 2003-04-23 주식회사 파세코 자동소화장치
KR101615748B1 (ko) * 2014-09-30 2016-04-27 주식회사 파세코 자동 소화장치를 구비한 히터
ES1135492Y (es) * 2014-12-11 2015-04-13 Eika S Coop Foco radiante adaptado a una encimera de cocció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74637A (en) * 1936-06-01 1937-03-23 Solar Ind Inc Flame failure indicator
US2363443A (en) * 1941-05-15 1944-11-21 Servel Inc Wick type oil burner control
US2640920A (en) * 1949-07-09 1953-06-02 Gen Controls Co Safety fuel burner control system utilizing flame conduction
GB908973A (en) * 1960-05-21 1962-10-24 Sankey & Sons Ltd Joseph Improvements relating to oil-burning space-heating appliances
US3301307A (en) * 1963-11-12 1967-01-31 Ngk Insulators Ltd Device for detecting the configuration of a burning flame
JPS5630520A (en) * 1979-08-20 1981-03-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afety device for combusting apparatus
JPS57202416A (en) * 1981-06-03 1982-12-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mbustion device of liquid fuel
JPS5831219A (ja) * 1981-08-18 1983-02-23 Mitsubishi Electric Corp 燃焼装置
US4493634A (en) * 1982-04-28 1985-01-15 Yang Jerry S C Kerosene heating stove with temperature and carbonic oxide sensors
JPS5937628A (ja) * 1982-08-25 1984-03-01 松下電工株式会社 オイルダツシユポツト
JPS5987518U (ja) * 1982-11-27 1984-06-13 株式会社トヨトミ 石油燃焼器の芯高調節装置
JPS59139754U (ja) * 1983-03-04 1984-09-18 株式会社トヨトミ バ−ナの安全装置
JPS5932717A (ja) * 1983-07-22 1984-0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燃焼器具の安全装置
JPS6050313A (ja) * 1983-08-30 1985-03-20 Sharp Corp 燃焼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797088A (en) 1989-01-10
NO166895B (no) 1991-06-03
NO861654L (no) 1986-10-31
DE3687363T2 (de) 1993-04-29
EP0200549A3 (en) 1988-08-31
EP0200549B1 (en) 1992-12-30
DE3687363D1 (de) 1993-02-11
NO166895C (no) 1991-09-11
ATE84133T1 (de) 1993-01-15
DK197886A (da) 1986-10-31
EP0200549A2 (en) 1986-11-05
KR860008408A (ko) 1986-11-15
DK167549B1 (da) 1993-11-15
DK197886D0 (da) 1986-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0950B1 (ko) 석유연소기의 안전장치
JPS6210330B2 (ko)
JP3636238B2 (ja) 燃焼装置
WO1986005860A1 (en) Safety device for a stove, in particular a paraffin stove
TWI275753B (en) Heating cooker
US4534727A (en) Liquid fuel burner having an oxygen sensor located in a flame
JPH0735906B2 (ja) 温度センサを備えたガス調理器
JP2006207978A (ja) 石油燃焼器の安全装置
KR890001662B1 (ko) 석유연소기의 탈취장치
SU1617263A1 (ru) Горелка газовой плиты
JPH0318810Y2 (ko)
JPS6016849Y2 (ja) ポツト式バ−ナ−
JPS58203319A (ja) 燃焼器の酸欠安全装置
JPS6151207B2 (ko)
JPH0113260Y2 (ko)
JPS5937545Y2 (ja) 石油燃焼器
JPH0223978Y2 (ko)
JPS6353443B2 (ko)
JPS63217135A (ja) 開放型燃焼器の安全装置
JPH0979517A (ja) 芯上下式石油燃焼機器
JP2871377B2 (ja) 自動小燃焼芯下機構付石油燃焼器
JPS636626Y2 (ko)
JPS63247533A (ja) 開放型燃焼器の安全装置
JPS63267831A (ja) 開放型燃焼器の安全装置
JPS63217134A (ja) 開放型燃焼器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5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