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814B1 - 사계절 습도조절기의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사계절 습도조절기의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814B1
KR900000814B1 KR1019870007256A KR870007256A KR900000814B1 KR 900000814 B1 KR900000814 B1 KR 900000814B1 KR 1019870007256 A KR1019870007256 A KR 1019870007256A KR 870007256 A KR870007256 A KR 870007256A KR 900000814 B1 KR900000814 B1 KR 900000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ty
dehumidifier
humidifier
uni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7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2744A (ko
Inventor
신희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진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70007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0814B1/ko
Publication of KR890002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2/00Control of humidity
    • G05D22/02Control of humidity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사계절 습도조절기의 제어회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
제2도는 상대습도와 전압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제3도는 콤프레샤제어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습도 감지부 20 : 목표습도 대 감지습도차 산출부
30 : 제습구동 판별부 40 : 과습 및 극저습 판단부
50 : 가습 제어 판별부 60 : 제습기 구동부
본 발명은 가습기 및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사용자에 의해 목표습도가 설정되면 세트에 있는 습도센서가 현재의 습도를 감지하여 그 결과가 목표습도보다 낮으면 가습장치를 구동하여 습도를 높이고, 반대로 목표습도보다 높을때는 제습기를 구동하여 습도를 낮추는 사계절 습도조절기의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 단독 모델과 제습기 단독 모델로만 제품이 출품되어 사용자가 상기 모델을 필요에 따라 사용하는데 가습기와 제습기를 사용하고자 선택하였을 때는 후술하는 문제가 있다.
즉, 가습기를 쓸때 계절에 따라 제품을 따라 관리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가습기를 사용도중 습도가 쾌적 상태에서의 많이 벗어난 정도로 가습이 되었을때는 빠른 시간에 최적의 습도로 복원되는 것이 어려웠으며, 반대로 제습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제습을 너무하여 건조하게 되어 정상상태의 제습으로 되는 것이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결점을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써 하나의 세트에 제습기와 가습기를 일체화시키고 습도 센서를 내장시켜서 목표습도를 설정하면 목표습도와 현재 습도의 차이를 감지하여 과습시는 제습기를 가동하여 습도를 낮추고 저습시는 가습기를 구동하여 습도를 높여주는 사계절용 습도조절기의 제어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로써, 본 발명은 제습기와 가습기를 일체화시킨 사계절 습도조절기의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그 개요는 현재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감지부(10)의 출력과 사용자가 설정하는 목표습도를 비교하는 목표습도 대 감지습도차 산출부(20)와, 산출된 습도차를 받아 제습기구동을 판별하는 제습구동 판별부(30)와, 과습 및 극저습을 판단하는 과습 및 극저습 판단부(40)의 출력에 따라 가습장치를 제어하는 가습제어 판별부(50) 및 제습기 구동부(60)로 구성된다.
즉 습도 감지부(10)는 콘덴서(C1-C3)와 저항(R1-R4) 제너다이오드(ZD1,ZD2)와 연산증폭기(OP1)으로 위상 변환 발진부를 형성하여 이 발진파를 습도센서(HU)와,써미스터(TH)에 공급하도록 연결하여 분배전압을 얻고, 연산증폭기(OP2)와다이오드 (D1), 저항(R5)을 이용해 정류된 습도전압을 생성하고 콘덴서(C4)를 이용하여 정류된 습도전압(VHU)를 평활시키도록 구성이 된다.
목표습도 대 감지습도차 산출부(20)는 목표습도 설정동 가변저항(VR)의 양단에 저항(R6)(R7)를 직렬접속시키고 저항(R8-R13)과 연산증폭기(OP3-OP5)로 앰프의 양입력단에 현재습도전압(VHU)와 목표습도전압(VOBJ)을 입력시켜 목표습도 대 현재습도차를 산출하도록 구성이 된다.
제습구동 판별부(30)는 산출된 습도차를 받아 제습기 구동을 제어하도록 저항(R14-R16) 및 다이오드(D4)(D5)와 연산증폭기(OP6)로 구성된다.
과습 및 극저습 판단부(40)는 저항(R17-R19)에서 분배되는 전압을 받아 과습과 극저습을 판단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연산증폭기(OP7), (OP8)로 구성이 된다.
가습제어 판별부(50)는 상기의 과습 및 극저습 판단부(40)의 출력에 따라 가습장치를 제어하도록 저항(R20-R22)과 다이오드(D2)(D3)와 가습장치 구동용 트랜지스터(Q2)로 구성된다.
제습기 구동부(60)는 타이머 직접회로(1C)와 발진용 저항과 제습장치 구동용 트랜지스터(Q1)으로 구성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회로동작을 첨부된 도면,제2, 3도를 인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현재습도를 감지하는 현재습도 감지부(10)는 콘덴서(C1-C3), 저항(R1-R4), 제너다이오드(ZD1,ZD2)와 연산증폭기(OP1)으로 구성된 발진회로에서 발생된 발진파가 습도센서(HU)와 써미스터(TH)가 직렬로 연결된 습도센서(HU)의 일측단에 연결되므로 습도센서(HU)와 써미스터(TH)에 의해 감지된 습도전압(VDIV)이 연산증폭기(OP2) 와 다이오드(D1)를 통해 인상 전압으로 된 후 충전 및 홀딩(HOLDING)하기 위한 콘덴서(C4)에 의해 현재의 습도에 대한 전압치가 감지된다. 이 전압은 목표습도에 감지습도차 산출부(20)와 과습 및 극저습 판단부(40)와 가습제어 판단부(50)에 공급된다. 제어기의 구동은 현재의 습도가 목표습도보다 일정습도 (약 10% )높을때 습도를 낮추기 위해서 실시된다. 여기에 제2도에서 볼 수 있듯이 상대습도 40%에서 -70% 사이는 습도의 변화대 전압의 변화가 직선선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습기를 현재의 습도가 목표습도보다10 % 높은 곳에서 동작시키게 한다면 우리는 현재의 습도가 목표습도보다 10% 높은가 낮은가만을 판단하면 된다.
때문에 목표습도 대 감지습도차 산출부(20)는 목표습도 설정볼륨(VR)과 저항(R6,R7)에 의해 생성된 목표습도 전압(VOBJ)을 연산증폭기(OP3)의 비반전 단자에 입력시키고 감지된 현재습도 전압(VHU)를 연산증폭기(OP4)의 비반전 단자에 입력하고 저항을aR9=R8=RW=11R12=R13으로 현재습도는 목표습도 대 감지습도차 전압(Vdif)는 Vdif==(VHU-VCBJ)×( 1+2/a) 로 됨을 알 수 있다.
상대습도 40%RH -70%RH사이에서 10%에 대한 전압은 일정하므로 제습구동 판별부(30)의 연산증폭기 비반전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저항(R14,R15)로 상대습도 10%에 해당하는 전압(V10)를 인가하고 반전단자에는 목표습도와 현재습도의 차를 나타내는 전압(Vdif)를 인가하며 전압 (Vdif)가 전압(V10)보다 크면 이 출력이 제습기 구동부(60)로 전달되어 제습장치를 구동하게 된다.
제습기 구동부(60)는 과습 및 극저습 판단부(60) 또는 목표습도에 감지습도차 산출부(20)에서 공급된 제습구동신호를 받아 일정시간(약 20분)을 지연시킨 후 제습기를 작동시킨다. 제습기를 기본적 모체가 콤프레샤인데 전원을 차단한 후 지연시간을주지 않고 재가동을 하게 되면 냉매의 압력이 높은 상태에서 콤프레샤모터를 기동시키기 때문에 모터에 무리가 생기므로 제습기 구동부(60)와 같이 지연시간을 주어 안전을기했다. 이 지연부의 동작은 제3도의 파형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3도의 (a)부와 같이 2분 이내의 구형파가 입력되면 타이머 집적회로(IC)에서 차단을 시키고 (b)부와 같이 안전된 신호음이 인가되면 Td의 지연시간이 지나면 제습기를 구동하게 된다. 가습제어 판별부(50)는 가습을 위한 조건을 판정하는 부분으로 목표습도 전압(VOBJ)가 연산증폭기(OPa)의 비반전 단자에 인가되고, 현재습도전압(VHU)를 연산증폭기(OPa)의 반전단자에 연결되어 목표습도 전압(VOBJ)가 현재습도 전압(VHU)가 보다 크면 현재습도가 목표습도보다 낮으므로 연산증폭기(OPa)의 출력이 "하이"가 되며 트랜지스터(Q2)를 턴온시켜 가습을 시작하게 된다.
과습 및 극저습 판단부(40)는 저항(R17-R19)에서 분배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30%이하 RH와 80%이상 RH를 판별하는 부분으로 80%이상 RH가 판단되면 현재습도가 너무 높으므로 무조건 제습기를 구동하게 되고, 상대습도가 30% RH이하이면 습도가 너무 낮은 상태이므로 가습제어 판별부와 저습제어 판별부에 무관하게 가습기를 구동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현재까지 가습기나 제습기가 각각 한 개의 단독 모델로 생산되는 까닭으로 인해서 겨울철에 주로 사용되는 가습기를 가동시켰을때 습도가 매우 높을 경우 제습을 시킬 수가 없고, 여름철에는 제습기를 주로 사용하지만 건조할 때는 가습을 시켜 적절한 습도를 유지할 수 없는 단점을 개선하는 사계절 습도 조절기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어 항상 사용자가 요구하는 습도를 유지할 수 있다.

Claims (1)

  1. 초음파 가습장치와 제습장치를 일체로 구비하여 사계절 습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현재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감지부(10)의 출력과 목표습도를 비교하여 그에 해당하는 전압을 출력하는 목표습도 대 감지습도차 산출부(20)와, 산출된 습도차를 받아 제습기구동을 판별하는 제습구동 판별부(30)와, 과습 및 극저습을 판단하는 과습 및 극저습 판단부(40)의 출력에 따라 가습장치를 제어하는 가습제어 판별부(50) 및 제습기 구동부(6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계절 습도조절기의 제어회로.
KR1019870007256A 1987-07-07 1987-07-07 사계절 습도조절기의 제어회로 KR900000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7256A KR900000814B1 (ko) 1987-07-07 1987-07-07 사계절 습도조절기의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7256A KR900000814B1 (ko) 1987-07-07 1987-07-07 사계절 습도조절기의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744A KR890002744A (ko) 1989-04-11
KR900000814B1 true KR900000814B1 (ko) 1990-02-17

Family

ID=19262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7256A KR900000814B1 (ko) 1987-07-07 1987-07-07 사계절 습도조절기의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081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744A (ko) 1989-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4019143A3 (en) Variable wattage control system
JPH11326400A (ja) 過電流検出装置
KR900000814B1 (ko) 사계절 습도조절기의 제어회로
EP0684010B1 (en) Automatic blood pressure monitor with a dual-speed control circuit for the DC inflation pump motor
JPH08152165A (ja) 換気扇の風量制御装置
KR0155106B1 (ko) 가습기의 실평수 계산을 통한 가습량 조절방법
KR950019514A (ko) 공기조화기의 쾌적공조장치 및 쾌적운전방법
KR0147163B1 (ko) 가습량 조절을 위한 가습기의 가습평수 측정방법
KR0151558B1 (ko) 초음파 히터식 가습기의 가습량 조절방법
JP3156329B2 (ja) ガスセンサー付き機器
KR0151557B1 (ko) 초음파 히터식 가습기의 가습량 조절방법
JP2512122B2 (ja) 空気清浄器
JPH033884Y2 (ko)
KR013672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890003927Y1 (ko) 가습기용 단수 경보 장치
KR0151560B1 (ko) 초음파 가습기의 가습제어방법
JPS60126534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KR0157753B1 (ko) 시간제어에 의한 가습기의 퍼지기능 제어방법
JPH0810070B2 (ja) 換気装置
JPS6047071B2 (ja) 小ねじ締め用電動ドライバ
JPH0317453A (ja) 浴室用換気扇の自動運転装置
KR0143841B1 (ko) 가습기의 실평수 측정 표시방법
KR100211159B1 (ko) 가습기의 분무량 제어 방법
KR890004472Y1 (ko) 에어콘 운전제어회로
JPH047053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