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702Y1 - 냉장고의 냉기 손실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냉기 손실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702Y1
KR900000702Y1 KR2019860013118U KR860013118U KR900000702Y1 KR 900000702 Y1 KR900000702 Y1 KR 900000702Y1 KR 2019860013118 U KR2019860013118 U KR 2019860013118U KR 860013118 U KR860013118 U KR 860013118U KR 900000702 Y1 KR900000702 Y1 KR 9000007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refrigerator
receiving element
transmitting elemen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31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932U (ko
Inventor
양완
Original Assignee
양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완 filed Critical 양완
Priority to KR20198600131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0702Y1/ko
Publication of KR8800049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9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7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7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냉장고의 냉기 손실 방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냉장고의 냉장실의 도어를 연상태의 전체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작동 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냉장고의 선반의 저면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장치를 작동시키는 전기 회로도.
제6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냉장고의 경첩부의 구조를 나타낸 발췌 평단면도.
제7도는 제8도에 도시된 경첩의 측단면의 구조를 나타낸 발췌 측 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냉장고의 요부 평단면도로서 냉장고의 도어를 연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제9도는 제6도에 의거한 냉장실의 도어를 닫은 상태의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셔터 2 : 셔터통
5 : 스프링 6 : 지지부재
9 : 이동자 10 : 마그네틱 구동부
11 : 작동간 13 : 적외선 수신소자
15 : 적외선 발신소자 19 : 솔레노이드 코일
23 : 스위치 24 : 선반본체
24-1 : 냉기 대류공 26 : 냉기 대류공 개폐판
27 : 솔레노이드 31 : 교류전원
32 : 진류변환기 33 : 계전기
R1-R4: 저항 TR1, TR2: 트란지스터
본 고안은 냉장고의 도어 개폐시 냉장실내부로 외부공기가 혼입 대류됨으로 인해 일어나는 냉기 손실을 최대한 방지하여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임과 동시에 냉장식품의 신선도를 최대한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된 내장고의 냉기손실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냉장고를 가동 사용할 때 고내에 물건을 출납시키기 위해 도어를 열고 닫다보면 도어가 열려있는 동안 외부 더온 공기의 고내유입이 불가피해져 냉기의 손실을 자져오게 된다.
종래에 사용되어 왔던 대다수의 냉장고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그 도어를 여닫는 동안 냉장실 내부의 찬공기와 외부의 더운 공기가 서로 혼합대류됨으로 인해 냉장실내의 공기온도가 순간적으로 높이 상승하게 되고 이와 같이 상승된 냉장실재부의 온도를 냉장실 도어를 완전히 닫은 후에도 무리한 냉각 싸이클이 오랫동안 반복 진행되어야만 원래의 낮은 온도로 다시 회복되므로 그만큼 냉장고에 과부하가 걸리고 전력의 소모가 컸음은 물론 식품의 지속적인 냉장이 어려워 그 신선도가 떨어지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이 냉장고의 도어 개폐시 일어나는 냉각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여 냉장고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냉장고의 냉기 손실방지장치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상의 냉장고에 있어서, 냉장실 도어의 일측과 냉장실의 일측에 다수의 적외선 발신소자와 수신소자를 대응되게 각각 설치하고, 상기한 냉장실의 각 선반본체의 상부의 선단부에 셔터가 스프링으로 탄설되어 내장된 셔터등을 설치하고, 이의 측방에 마그메틱 구동부를 설치하여 이에 의하여 원호운동을 하는 작동간의 선단부를 상기한 셔터의 일끝단부에 부착된 지지부재에 삽입된 이동자에 연결시키며, 상기한 냉장실의 도어에 의하여 온, 오프되는 스위치를 설치하여 이와 연계되는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각 선반본체에 형성된 대류공을 개폐판으로 개폐시켜 주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한 적외선 발신소자와 수신소자의 연결은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바꿔주는 직류변환기와 저항을 통하여 상기한 발신소자로 연결되고, 이 발신소자에서 발사되는 적외선을 수신소자가 수신하여 저항을 통하여 계전기는 온상태로 되어 상기한 마그네틱 구동부의 솔레노이드 코일에 통전시키고, 상기한 발신소자의 수신소자의 사이에 적외선이 차단되면, 전류는 저항, 트란지스터, 저항 및 트란지스터를 통하여 계전기에 통전됨과 동시에 이 계전기의 역동작으로 상기한 솔레노이드 코일이 단전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한 적외선 발신소자와 수신소자를 초음파 발신소자와 수신소자로 대체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장실 도어(14)를 열었을 때에 냉장실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켜 주기 위하여 각 선반마다 셔터(1)을 설치한다.
이 셔터(1)는 셔터통(2)의 내부로 들어가서 감길 수 있고, 이를 잡어 당기면 인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다.
즉, 상기한 셔터통(2)의 내부 중심부에는 고정축(3)을 가로로 설치하고, 이 고정축(3)의 외곽으로 권취드럼(4)을 삽입하여 설치하되, 이 고정축(2)과 권취드럼(4)의 내주면 사이에 스프링(5)을 그 일단은 고정축(3)에 타단은 권취드럼(4)의 내주면에 고정시켜서 권취드럼(4)이 고정축(2)을 중심축으로 일방향(셔터(1)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한 스프링(5)의 탄성력으로 회동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셔터(1)는 그 일단을 상기한 셔터통(2)의 권취드럼(4)의 외주면에 고정시켜서 상기한 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하여 감기도록 하고, 상기한 셔터(1)의 타단은 셔터통(2)의 인출구(2-1)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시켜서 이의 끝단부에 ""형의 단면을 가진 지지부재(6)를 부착시키고, 이 지지부재(6)의 양 측단부에는 가이드휠(7)을 설치한다.
상기한 지지부재(6)의 요홈(6-1)에는 한쌍의 회전휠(8)을 가진 이동자(9)을 삽입시키고, 이 이동자(9)의 돌출봉(9-1)에 작동간(11)의 일단을 회동이 가능하게 고정시키고, 이 작동간(11)의 타단은 마그네틱 구동부(10)에 설치하여 이 작동간(11)이 소정의 원호운동을 하도록 한다.
상기한 마그네틱 구동부(10)와 작동간(11)를 제3도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마그네틱 구동부(10)는 케이스(17)를 가지며, 이 케이스(17)의 일측에 플러그(18)을 고정시키고, 이 케이스(17)의 내측의 내주연에 연하여 일 부분에 터진곳을 형성한 환상의 전자석(20)을 설치하여 이 전자석(20)에 감겨진 솔레노이드 코일(19)과 상기한 플러그(18)사이를 연결시킨다.
또한, 이 케이스(17)의 중앙부에 지축(21)을 고정시켜서 이 지축(21)에 상기한 작동간(11)의 일단을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하되, 이 부분의 작동간(11)을 영구자석(22)으로 하고, 이어서 연장하여 이의 끝단부를 상기한 이동자(9)의 돌출봉(9-1)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하여, 이 작동간(11)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이 작동간(11)의 선단부위가 후반부위에 삽입되는 통상의 구조를 가진 것이며, 이를 고정시켜 주는 것이 조절구(37)이다.
상기한 마그네틱 구동부(10)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장고의 냉장실의 각 선반의 상부의 측방으로 설치하고, 이 케이스(17)의 설치된 플러그(18)를 냉장고의 본체(12)의 내벽에 설치된 콘센트(도시 안됨)에 꽂도록 하고, 이 마그네틱 구동부(10)에 일측으로 연하여, 즉 각 선반의 상단부의 전방측으로 상기한 셔터통(2)을 설치하며, 이때에 이 셔터통(2)의 양 측면에 돌설된 돌출턱(2-2)을 냉장실의 내벽에 형성된 요홈(도시안됨)에 통상의 방식으로 끼워서 설치하고, 이때에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간(11)의 선단부를 상기한 셔터(1)의 끝단부에 부착된 지지부재(6)의 요홈(6-1)에 삽입된 이동자(9)의 돌출봉(9-1)에 회동이 자유롭고 고정시킨다.
한편, 제2도에서 제일 윗칸의 셔터(1)는 완전히 닫힌 상태로, 중간 칸의 셔터(1)는 반쯤 열린 상태로, 맨아랫칸의 셔터(1)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으로, 이는 이해를 돕기위한 것이며, 이 제2도에서 적외선 수신소자(13)를 각 선반사이의 냉장고의 일측면에 설치하고, 이와 각각 대응되게 냉장고의 도어(14)의 일측에 적외선 발신소자(15)를 각각 취부시켜서 도어(14)를 열면 이 적외선 발신소자(15)로부터 적외선이 발사되어 수신소자(13)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한 마그네틱 구동부(10)로 전원이 연결되게 하여 내장된 전자석(20)에 자기력이 발생하여 작동간(11)의 영구자석(22)을 밀게됨과 동시에 상기한 전자석(20)의 타단과 이 작동간(11)의 영구자석(22)이 흡인하도록 하여 이 작동간 (11)이 원호운동을 하여 이의 끝단부에 연계된 셔터(1)의 지지부 제(6)를 하향으로 끌어 내리게 되고, 상기한 도어(14)를 닫게되면 발신소자(15)와 수소소자(13)의 사이에 적외선이 차단되어 마그네틱 구동부(10)의 전자석(20)의 자기력이 상실되어 상기한 셔터통(2)의 설치된 스프링(5)의 탄성력으로 셔터(1)가 권취드럼(4)에 감기면서 셔터통(2)의 내부로 들어가게 구성된다.
또한, 제2도에서 냉장고의 일측에 스위치(23)을 설치하여 이 스위치(23)의 온,오프 동작에 의하여 후술하는 개폐관(26)을 작동시키게 된다.
이 개폐관(26)은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냉장고의 내부에 설치되는 선반본체(24)에 다수의 냉기 대류공(24-1)을 뚫어 설치하고, 이 선반본체(24)의 저면으로 상기 대류공(24-1)의 양측으로 "ㄱ"형의 호울더(25), (25')를 대향 설치하여, 이에 개폐관(26)을 선동이 자유롭게 삽입시키며, 이 개폐관(26)에는 상기한 냉기 대류공(24-1)과 동일한 통공(26-1)을 뚫어 설치하고, 이 개폐관(26)의 일측에 구속판(28)을 고정시키며, 또한, 이를 일측에서 고정시키는 작동자(27-1)를 가진 솔레노이드(27)를 설치하며, 타측에는 돌출봉(24-2)을 선반본체(24)를 설치하여 이와 상기한 구속판(28)의 타측에 스프링(29)를 탄설시킨다.
또한, 이 선반본체(24)를 냉장실 내부에 설치할 때에 상기한 솔레노이드(27)의 플러그(30)는 냉장실의 후면에 설치된 콘센트(도시안됨)에 꽂어두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냉장실 도어(14)가 닫히면, 스위치(23)가 오프되어 솔레노이드(27)에로의 전원이 단절되고, 도어(14)가 열리면 스위치(23)가 온되어 상기한 솔레노이드(27)에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이 솔레노이드(27)의 작동자(27-1)가 이동하면서 개폐관(26)을 끌어 감기어 선반본체(24)의 대류공(24-1)을 폐쇄시켜 주도록 하는 것이다.
제5도는 상기한 본 장치를 작동시키는 전기 회로도를 나타낸 것으로, 교류전원(31)에서 직류 변환기(32) 및 저항(R1)을 거쳐서 적외선 발신소자(15)에 전류가 흐르면, 이 발신소자(15)로부터 적외선이 발생되어 발사되고, 이 적외선이 그 반대편에 설치된 수신소자(13)에 수신되며 전류는 저항(R2)을 거쳐서 수신소자(13)도 모두 흐르게 됨으로써 트란지스터(TR1), (TR2)에는 아무런 전류가 흐르지 않게되며, 이때에 계전기(33)는 온상태를 유지하여 이를 통한 솔레노이드 코일(19)에 전원을 통전시킴으로써 전자석(20) 및 영구자석(22)의 자기력으로 작동간(11)을 원호 운동시켜서 셔터(1)를 끌어내리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적외선이 투과할 수 없는 식기, 음식물, 또는 사람의 손이 발신소자(15)와 수신소자(13)사이에 들어가면 적외선이 차단되므로 수신소자(13)의 저항치가 증가함과 동시에 전류는 저항(R2), (R3), 트란지스터(TR1), 저항(R4), 트란지스터(TR2)를 차례로 거쳐서 계전기(33)에 통전되고, 이에 따라 계전기(33)의 작동으로 전류의 단속에 생겨 마그네틱 구동부(10)의 전자석이 자기력을 상실함과 동시에 셔터(1)는 그 셔토통(2)의 내부의 스프링(5)의 탄성력으로 되감겨 올라가도록 회로라 구성된 것이다.
또한, 제6도 및 제7도는 본 장치에 따르는 냉장고 도어(14), (34)의 경첩(35)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첩(35)의 내부를 통하여 전선(36)이 내장시켜서 이 전선(36)을 통하여 발신소자(15)로 전원이 연결되며, 이 냉장실의 도어(14)를 닫었을 때에 스위치(23)가 늘리어서 오프되면서 이 전선(36)을 통한 냉장실의 내부를 전원이 차단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16은 냉장실이고, 34는 냉동실문이며, 38은 셔터(1)의 가이드레일이다.
다음, 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제8도 및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장실 도어(14)를 열었을 때에 스위치(23)는 온상태로 되어서 냉장실 내부로 전기가 통전되어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27)의 작동으로 각 선반본체(24)의 저면에 설치된 개폐판(26)이 소정거리를 이동되면서 선반본체(24)에 냉기 대류공(24-1)이 상기한 개폐판(26)의 통공(26-1)사이의 부분에 의하여 폐쇄되어 대류공(24-1)에 의한 냉기의 유출을 막어주게 되고, 적외선 발신소자(15)에 발사된 적외선은 수신소자(13)에 수신되어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적인 회로를 거쳐서 마그네틱 구동부(10)에 전원이 인가되어 이에 전자석(20) 및 영구자석(22)의 자기력으로 작동간(11)이 하향 회동되어 셔터(1)를 끌어 내려 선반과 선반사이의 냉장실의 내부공간을 외기로 부터 차단시키고, 이에 따라 비록 냉장실 도어(14)를 열었다 하더라도, 각 선반과 선반사이의 냉장실의 내부공간은 상기한 셔터(1)에 의하여 그 내부로 외부공기를 혼입 대류됨이 없게 함으로써 냉장실의 내부공간에 차있던 냉기의 손실이 전혀 없게되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물건을 출압시키고저 선반과 선반 사이의 냉장실의 내부 공간만이 전술한 바와 같은 작용으로 그 셔터(1)가 개방되어 사용할 수 있고, 이때에 개폐판(26)은 도어(14)의 열린상태에 의하여 스위치(23)가 여전히 연상태이므로 선반의 대류공(24-1)을 계속하여 폐쇄시켜서 냉기의 대류를 막아주고 있게 된다.
사용후에는 선반으로 부터 손을 떼면 적외선이 수신소자(13)에 다시 이르게 되어 냉장실 도어(14)를 아직 닫지 않은 상태라도 셔터(1)가 즉시 냉장실의 내부공간을 폐쇄시켜 주게 된다.
또한, 제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도어(14)를 닫었을 때에는 상기한 도어(14)의 몸체에 의하여 스위치(23)가 눌리게 되어 오프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27)에로의 전기가 단전되어 지금까지 대류공(24-1)을 폐쇄하고 있던 개폐판(26)은 스프링(29)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선반본체(24)의 대류공(24-1) 및 개폐판(26)의 통공(26-1)이 상통되면서 냉장실의 내부의 냉기의 대류가 원활히 이루워지고, 적외선 발신소자(15)로부터의 적외선은 도어(14)의 몸체에 의하여 차단되어 적외선의 발신이 발생되지 않아서 마그네틱 구동부(10)의 전자석(20)이 자기력을 상실하여 작동간(11)을 그 원호 운동력으로 부터 해방시켜 주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한 작동간(11)의 원호운동에 의하여 아래로 하강되었던 셔터(1)는 그 셔터통(2)속의 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하여 위로 되감겨 올라가게 되어서 개방상태로 되어 냉장실 전체에 원활한 냉기의 대류가 이루워 지게 되는 것이다.
요약적으로 본 고안은 냉장실의 도어(14)가 닫히면, 스위치(23)가 오프되어 냉장실 내부로 공급되는 전원은 끊어져서 각 선반본체(24)의 저면에 설치된 솔레노이드(27)가 자력을 상실함과 동시에 스프링(29)의 탄성력으로 개폐판(26)의 수평이동에 의하여 선반의 대류공(24-1) 및 상기한 개폐판(26)의 통공(26-1)이 상통됨으로써 냉장실 내부는 냉기의 자유로운 대류가 이루워지고, 냉장실의 도어(14)를 열면, 스위치(23)가 온되어 솔레노이드(27)를 작동시켜 개폐관(26)을 이동시켜 줌으로써 선반의 대류공(24-1)을 폐쇄시켜주게 되어서 각 선반간의 냉각대류가 차단되고, 동시에 전류는 경첩(35)속으로 내장시켜서 설치한 전선(36)을 통하여 적외선 발신소자(15)를 작동시켜서 이와 대향되게 설치된 수신소자(13)측으로 적외선을 발사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계전기(33)의 작동으로 전류는 마그네틱 구동부(10)로 통전되어 그 내부의 전자석(20) 및 영구자석(22)의 자기력으로 작동간(11)을 원호운동시켜서 셔터(1)가 선반과 선반사이를 차단시킴으로써 냉장실의 도어(14)를 열었다 하더라도, 선반의 각 층간의 냉기는 외부의 더운 공기와의 유통이 전혀 이루워 지지 않게 되는 것이며, 이 상태에서 사용하고저 하는 선반앞의 식품, 식기 또는 사람의 손을 가까이 하면, 발신소자(15)에서 수신소자(13)측으로 발사되던 적외선이 차단되므로 계전기(33)의 역동작으로 단전되어 마그네틱 구동부(10)의 전자석(20)이 자기력을 잃고, 셔터(1)는 스프링(5)의 탄성력으로 셔터통(2)속으로 되감겨 올라가면서 사용하고저 하는 선반과 선반사이의 냉장실의 내부 공간망이 열리게 되고, 사용후 식품, 식기 또는 손을 선반으로부터 빼면, 그 즉시로 셔터(1)가 다시 닫히게 되어 냉장실의 내부가 냉기손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적외선 발신소자(15)와 수신소자(13)를 초음파 발신 소자와 초음파 수신소자로 대체하여 설치하여도 전술한 것과 동일한 작동, 효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냉장고의 도어 개폐시 그 냉장실 내부로 외부의 더운 공기가 혼입되어 대류현상으로 야기되는 냉기의 손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냉장고의 가동에 필요한 전력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냉장고의 냉기손실로 인한 무리한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배제할 수 있으며, 냉장식품의 신선도를 최대한으로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통상의 냉장고에 있어서, 냉장실도어(14)의 일측과 냉장실의 일측에 다수의 적외선 발신소자(15)와 수신소자(13)를 대응되게 각각 설치하고, 상기한 냉장실의 각 선반본체(24)의 상부의 선단부에 셔터(1)가 스프링(5)으로 탄설되어 내장된 셔터통(2)을 설치하고, 이의 측방에 마그네틱 구동부(10)를 설치하여 이에 의하여 원호운동을 하는 작동간(11)의 선단부를 상기한 셔터(1)의 일 끝단부에 부착된 지지부재(6)에 삽입된 이동자(9)에 연결시키며, 상기한 냉장실의 도어(14)에 의한 온, 오프되는 스위치(23)를 설치하여 이와 연계되는 솔레노이드(27)에 의하여 각 선반본체(24)에 형성된 대류공(24-1)을 개폐판(26)으로 개폐시켜 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냉기 손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적외선 발신소자(15)와 수신소자(13)의 연결은 교류전원(31)을 직류전원으로 바꿔주는 직류 변화기(32)와 저항(R1)을 통하여 상기한 발신소자(15)로 연결되고, 이 발신소자(15)에서 발사되는 적외선을 수신소자(13)가 수신하여 저항(R2)을 통하여 계전기(33)는 온상태로 되어 상기한 마그네틱 구동부(10)의 솔레노이드 코일(19)에 통전시키고, 상기한 발신소자(15)와 수신소자(13)의 사이에 적외선이 차단되면, 전류는 저항(R2), (R3), 트란지스터(TR1), 저항(R4) 및 트란지스터(TR2)를 통하여 계전기(33)에 통전됨과 동시에 이 계전기(33)에 역동작으로 상기한 솔레노이드 코일(19)이 단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 손실 방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적외선 발신소자(15)와 수신소자(13)를 초음파 발신소자와 수신소자로 대체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냉기 손실 방지장치.
KR2019860013118U 1986-08-27 1986-08-27 냉장고의 냉기 손실 방지장치 KR9000007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3118U KR900000702Y1 (ko) 1986-08-27 1986-08-27 냉장고의 냉기 손실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3118U KR900000702Y1 (ko) 1986-08-27 1986-08-27 냉장고의 냉기 손실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932U KR880004932U (ko) 1988-05-11
KR900000702Y1 true KR900000702Y1 (ko) 1990-01-30

Family

ID=19255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3118U KR900000702Y1 (ko) 1986-08-27 1986-08-27 냉장고의 냉기 손실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07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867B1 (ko) * 2013-03-20 2014-05-21 최영범 냉장고의 냉기차단커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867B1 (ko) * 2013-03-20 2014-05-21 최영범 냉장고의 냉기차단커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932U (ko) 1988-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89291B1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873115B1 (ko) 냉장고
KR100753731B1 (ko) 냉장고
JPH1194455A (ja) 自動式引き出しを有する筐体及び冷蔵庫
US4962649A (en) Energy conserving refrigerated fixture
KR900000702Y1 (ko) 냉장고의 냉기 손실 방지장치
JP2795970B2 (ja) 冷蔵庫
KR100894478B1 (ko) 냉장고
US7607742B2 (en) Refrigerator having basket lift apparatus
CN114136041B (zh) 冰箱
JP2007024462A (ja) ドア開閉検知機構,冷蔵庫
KR100869556B1 (ko) 홈바용 도어 개폐장치
JP2004323043A (ja) 物品貯蔵庫
ES2243194T3 (es) Frigorifico con compartimento para el enfriamientyo rapido de alimentos.
KR100712971B1 (ko) 냉장 기능을 갖는 식탁
JP2008039295A (ja) 冷凍冷蔵庫
CN216476911U (zh) 一种可自动关门的冷柜
CN219120868U (zh) 冰箱
KR0125483Y1 (ko) 냉장고의 도어잠금장치
CN108645107B (zh) 一种多功能冰箱壳体
KR100548815B1 (ko) 김치저장고의 도어 개방 감지구조
CN220689510U (zh) 嵌入式恒温柜的柜门结构
JP2007327709A (ja) 冷蔵庫
KR100414274B1 (ko) 특선냉동부를 구비한 냉장고
KR101988306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