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666Y1 - 지연 장치 - Google Patents

지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666Y1
KR900000666Y1 KR2019860008003U KR860008003U KR900000666Y1 KR 900000666 Y1 KR900000666 Y1 KR 900000666Y1 KR 2019860008003 U KR2019860008003 U KR 2019860008003U KR 860008003 U KR860008003 U KR 860008003U KR 900000666 Y1 KR900000666 Y1 KR 9000006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delay
delay device
coil
time d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80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1435U (ko
Inventor
김명대
Original Assignee
김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대 filed Critical 김명대
Priority to KR20198600080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0666Y1/ko
Publication of KR8800014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4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6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6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1/00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 H03H11/02Multiple-port networks
    • H03H11/26Time-delay networks
    • H03H11/265Time-delay networks with adjustable dela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115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inductors and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연 장치
제1a도는 본고안 장치의 회로도, 제1b는 본고안 장치의 외관 사시도.
제2도는 종래 장치의 외관 사시도.
본 고안은 TV수상기, 전자계산기, 컴퓨터 등에서 사용되는 소정시간 지연을 위한 지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코일과 콘덴서로 결정되는 지연시정수를 갖는 지연 장치 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지연장치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수개의 반전기가 형성된 집적회로 몸체(30)의 윗면에 페라이트 링코어(31)에 도선을 권취하여된 코일(32)을 다수개 설치하고 집적회로 몸체(30)에서의 단자핀(33)과 다수개의 코일(32)사이에 콘덴서(34)를 연결하여된 구성이나, 이러한 종래의 지연장치는 페라이트링(Ferrite ring) 코어(31)에 도선을 권취할 때 수동 작업을 하여야 될뿐 아니라 충격에 매우 약해서 조립공정이 어렵고 조립시간이 길게 걸리며 조립단가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음과 동시에 페라이트링 코어(31)의 자성투자율이 높은데다가 링코어(31)상에 도선을 수동 작업으로 권취하므로 권취된 도선과 도선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게되어 인덕탄스의 편차가 크게되는 단점이 있다.
더우기, 페라이트링 코어(31)의 자성투자율이 높아서 주위 온도의 변화에 민감하게 인덕탄스의 크기가 변화 되므로 전체 지연장치의 지연량이 변화되는 단점이 있을뿐 아니라 페라이트링 코어(31)의 단가가 높아 지연장치의 가격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도록 페라이트링 코어를 사용하지 않고 P.P 보빈을 사용하므로서 페라이트 코어가 자성투자율이 높은데에서 오는 단점을 해결하고 P.P 보빈을 대략 직선형상으로 하여, 인덕탄스의 편차를 극소화 시킴과 동시에 제품의 원가 절감을 꾀할수 있는 지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하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a도, 제1b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구성은 반전기(1-6)로 구성된 집적회로 소자(7)의 단자(8)에 콘덴서(9)와 코일(10)을 연결하여된 지연장치에 있어서 일정간격을 두고 지그재그식으로 형성된 콘덴서(9) 사이에형상의 P.P 보빈(11)을 설치하되 P.P 보빈(11)의 각 돌기(11')의 일측면(11a)이 상기 콘덴서(9)의 각 끝단면에 대향하도록 형성하고 P.P 보빈상의 돌기(11')사이에는 코일(10)을 감아서된 것으로서, 이러한 본고안 구성의 작용효과는 페라이트링 코어와 같이 일일이 수작업으로 도선을 링코어에 권취하여 코일을 구성하지 않고도형상의 P.P 보빈(11)에 도선을 기계등을 이용하여 손쉽게 자동 권취할수 있으므로 제조공정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P.P 보빈(11)의 자성 투자율이 매우 낮아서 주위 온도변화에 둔감하여 지연 장치의 지연량을 주위 온도에는 거의 무관하게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또한 P.P 보빈(11)은 충격등에 강하므로 지연장치의 조립시 파손에 의한 불량이 없는 것이다.
또한 반전기(1)에 입력된 신호는 코일(10)과 콘덴서(9)에 의하여 소정시간 동안(본고안에서는 대략 200㎱정도)지연되어, 반전기(2)에서 출력되는 것이고, 순차적으로 반전기(3, 4, 5, 6)에서도 위와 같은 입력신호가 가해져 소정시간씩 지연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주위의 온도에 거의 무관하게 지연시간이 유지되며, 집적회로 소자 몸체의 윗면에 조립시 조립작업이 매우 용이함과 동시에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지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

  1. 반전기(1-6)로 구성된 집적회로 소자(7)의 단자(8)에 콘덴서(9)와 코일(10)을 연결하여된 지연 장치에 있어서, 집적회로 소자(7)몸체의 윗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지그재그식으로 형성된 콘덴서(9)사이에형상의 P.P 보빈(11)을 설치하되 P.P 보빈(11)의 각 돌기(11')의 일측면(11a)이 상기 콘덴서(9)의 각 끝단면에 대향하도록 형성하고, P.P 보빈(11)상의 돌기(11')사이에는 코일(10)을 감아서된 지연장치.
KR2019860008003U 1986-06-05 1986-06-05 지연 장치 KR9000006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8003U KR900000666Y1 (ko) 1986-06-05 1986-06-05 지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8003U KR900000666Y1 (ko) 1986-06-05 1986-06-05 지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435U KR880001435U (ko) 1988-03-15
KR900000666Y1 true KR900000666Y1 (ko) 1990-01-30

Family

ID=19252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8003U KR900000666Y1 (ko) 1986-06-05 1986-06-05 지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06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3017A (ko) * 2000-10-27 2002-05-04 다부치 구니히로 포장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3017A (ko) * 2000-10-27 2002-05-04 다부치 구니히로 포장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435U (ko) 198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0666Y1 (ko) 지연 장치
US4748430A (en) Air-cooled high-frequency current transformer
JPS63287011A (ja) コイル部品
JPS58106813A (ja) 小型変圧器
JPH05166623A (ja) 小形固定コイル
JP2535461B2 (ja) プリントコイル
JPS58204508A (ja) 可変インダクタンス素子
JPH03112107A (ja) Lc共振回路
US1868318A (en) Adjustable inductance
KR900009968Y1 (ko) 여파기
SU849115A1 (ru) Управл емое феррорезонан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H0145237Y2 (ko)
JPS6317216Y2 (ko)
JPH0557812U (ja) コイルボビン
KR100411983B1 (ko) 인덕터소자
KR960015676B1 (ko) 4단자형 노이즈필터 및 그 제조방법
JP2524051Y2 (ja) 直流用高圧電源
JPS59190718A (ja) 近接スイツチ
JPH0748434B2 (ja) コイル部品
JPH0471325B2 (ko)
JPH0322505A (ja) 磁性部品
JPH02272707A (ja) コイル
JPH07302713A (ja) 低浮遊容量形コイル又はトランス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H02106010A (ja) コイル巻線装置
JPS58173157U (ja) マグネトロン用チヨ−クコイ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1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