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444Y1 - 용수로관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용수로관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444Y1
KR900000444Y1 KR2019870002356U KR870002356U KR900000444Y1 KR 900000444 Y1 KR900000444 Y1 KR 900000444Y1 KR 2019870002356 U KR2019870002356 U KR 2019870002356U KR 870002356 U KR870002356 U KR 870002356U KR 900000444 Y1 KR900000444 Y1 KR 9000004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ece
connecting device
supplying pip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23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6465U (ko
Inventor
김문효
Original Assignee
김문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효 filed Critical 김문효
Priority to KR20198700023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0444Y1/ko
Publication of KR8800164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64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4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4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7Joints with sleeve or socket clamped by a wedg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용수로관의 연결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3도는 다른 실시예를 보인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4도는 종래 장치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관체 2 : 체결편
2a : 용출부 3 : 고정편
3a : 요입홈
본 고안의 농업용수나 공업용수등 각종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용수로관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수의 누수현상을 방지하여 공급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온 용수로관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로 된 관체(1)의 일측에 플랜지(4)를 형성하여 시공시 플랜지(4)내에 또 다른 관체를 끼우는 수단에 의해 여러개의 관체가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용수로관은 구조적으로 각 관체의 이음부분에 정밀한 처리를 할수 없기 때문에 각 이음부분으로 많은량(공급용수의 약20-30%)의 용수가 누수되어 자원의 낭비와 용수의 원가상승을 유발하였고, 또한 이음부분에서 누수된 용수가 각 용수로관의 부등침하는 물론 결빙을 촉진시켜 빈번한 보수 및 재시공을 하여야 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관체의 양측에 각각 수지물을 매립 고정하고 이들 수지물에 의해 각 관체를 긴밀하게 연결하여 용수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인바, 이를 첨부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U자형으로 된 관체(1)의 일측에 용출부(2a)를 가진 합성수지 또는 고무제의 체결편(2)을 매립 고정하여 체결편(2)이 관체(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고 다른 일측에는 요입홈(3a)을 가진 합성수지나 고무제의 고정편(3)을 매립 고정하여 체결편(2)이 고정편(3)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시공시 관체(1)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편(3)에 또 다른 관체에 형성된 체결편(2)을 끼워 다수개의 관체(1)를 연속적으로 연결하게 되는데, 체결편(2)를 고정편(3)에 삽입하면 체결편(2)에 형성된 요출부(2a)가 고정편(3)에 형성된 요입홈(3a)에 기워져 고정됨과 동시에 각 관체(1)가 밀접하게 연결 고정되므로 각 관체(1)의 이음부를 통해 누수되는 일이 없게 된다.
첨부도면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로서 체결편(2)에 절곡부(2b)를 형성하는 경우 온도의 변화에 따라 절곡부(2b)가 수축 또는 팽창하게 되므로 주위온도의 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각 관체(1)를 긴밀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관체(1) 양측에 매립 고정된 체결편(2)과 고정편(3)에 의해 각 관체(1)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용수의 공급시 각관체(1)의 이음부를 통해 용수가 누수되는 일이 없게 되고 다라서 누수로 인해 자주 보수 및 재시공을 하여야 했던 종래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U자형으로된 관체(1)의 일측에 신축성의 용출부(2a)를 가진 U자형의 체결편(2)를 매립 고정하고 다른 일측에는 요입홈(3a)을 가진 U자형의 고정편(3)을 매립 고정하여 체결편(2)이 고정편(3)에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로관의 연결장치.
KR2019870002356U 1987-02-27 1987-02-27 용수로관의 연결장치 KR9000004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2356U KR900000444Y1 (ko) 1987-02-27 1987-02-27 용수로관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2356U KR900000444Y1 (ko) 1987-02-27 1987-02-27 용수로관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6465U KR880016465U (ko) 1988-10-08
KR900000444Y1 true KR900000444Y1 (ko) 1990-01-30

Family

ID=19260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2356U KR900000444Y1 (ko) 1987-02-27 1987-02-27 용수로관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044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6465U (ko) 198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1706400A3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устройства соединени и/или ответвлени дл гибких трубопровод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DE69220745D1 (de) Kupplung für rohrleitungen
KR950014644A (ko) 코러게이트 나선관용 이음구와 이음구 부착코러게이트 나선관과 그 제조방법/및 이음구 부착 코러게이트 나선관으로의 나선관 접속방법
NO894307D0 (no) Roerforbindelse.
HRP940594A2 (en) Concrete pipe having corrosion resistant inner lining, suitable pipe connection pieces and sealing arrangements integrated into the end pieces of the pipes
KR900000444Y1 (ko) 용수로관의 연결장치
KR910001746Y1 (ko) 용수로관의 연결장치
DE19680126D2 (de) Hutförmige Anschlussmanschette für Hausanschlüsse in Kanalrohren
KR200415417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ATE173071T1 (de) Anschlusselement für ein zuleitungsrohr
KR200299131Y1 (ko) 파이프 이음구
DE59405397D1 (de) Rohrleitungsverbindung, rohrleitungsverbinder und hydraulik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rohrleitungsverbindungen
FI88634B (fi) Anslutningsdon foer draeneringsroer
KR200165409Y1 (ko) 상ㆍ하수도관누수차단장치
KR20030060562A (ko) 일체형 플랜지 관
KR200206360Y1 (ko) 관 조인트의 구조
SE8802481D0 (sv) Rorfog
KR930003670Y1 (ko) 오수 배수관의 연결장치
ES2156397T3 (es) Dispositivo de empalme de las terminaciones de elementos de canalizacion y dispositivo de ensamblaje de los tubos que tengan incorporado dicho dispositivo de empalme.
KR0124705Y1 (ko) 합성 수지파이프연결구
KR100246032B1 (ko) 이음구조를 가진 합성수지관의 구조
KR0140046Y1 (ko) 신축성 호스의 접속구조
KR890003130Y1 (ko) 유체 이송관의 연결 소켓
JP2000081186A (ja) サドル付分水栓
NZ329263A (en) Sleeve type pipe joint for manhole connector, retained in place by heat shrunk plastic slee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