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332Y1 - 높낮이 조절용 베개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용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332Y1
KR900000332Y1 KR2019860010638U KR860010638U KR900000332Y1 KR 900000332 Y1 KR900000332 Y1 KR 900000332Y1 KR 2019860010638 U KR2019860010638 U KR 2019860010638U KR 860010638 U KR860010638 U KR 860010638U KR 900000332 Y1 KR900000332 Y1 KR 9000003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s
support frame
fixed
handles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06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1857U (ko
Inventor
서재웅
Original Assignee
서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재웅 filed Critical 서재웅
Priority to KR20198600106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0332Y1/ko
Publication of KR8800018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8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3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3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2Siz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용 베개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개 2 : 상부머리받침대
3, 3' : 회전축 4 : 하부받침틀체
6, 6' : 랙 기어 7, 7' : 육각편
17, 17' : 피니온 기어 20, 20' : 육각형상 공간부
21, 21' : 요홈 22, 22 : 돌기
24, 24' : 손잡이 25, 25' : 스프링
본 고안은 높낮이 조절용 베개에 관한 것으로, 일층 더 상세하게로는 사용자의 취향에 용하여 하부받침틀체에 대하여 상부머리받침대의 높낮이 조절은 몰론 좌·우 양측으로는 원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원에 대한 선행기술로서 일본실용신안공보 소48-11362호에 개시된 바와같은 베개가 있으나, 이는 머리받침부분을 하부틀체에 대하여 상, 하부의 높낮이만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사용자의 취향에 응해 사용함에는 여간 불편함이 있는 것이 아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베개에 있어서 문제점을 해소코져 안출한 것으로, 하부틀체로 부터 상, 하로만 작동되게 하여 높낮이만 조절가능케한 상부머리받침대를 좌, 우 양측으로도 임의 각도로서 경사지게 조절가능케한 것에 의해, 취침시에 있어서 머리의 각도를 가장 편리하고 적합한 위치로 변화를 줄수 있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성을 갖도록 한 것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2개로 분할 형성된 상부머리받침대와 하부받침틀체에 랙 기어 및 그 랙 기어에 치합되는 기어를 갖춘 회전축을 설치하여 임의 조작함에 의해, 상부머리받침대가 하부받침틀체로 부터 높낮이 조절만 되게끔 구성된 통상의 베개에 있어서, 상기하부받침틀체 내의 걸림턱이 형성된 격납공간부 내로는 하단에 걸림편을 갖춘 택기어를 상, 하동가능하게 입설하며, 상기 랙 기어상단의 돌출편을 받침대의 천정면에 고착된 "ㄱ"자상접동편을 연접하여 소공과 장공을 일치시킨 후 핀으로 상호접동가능하게 연결하고, 하부 틀체에는 랙 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가 축착되며, 일단에는 육각편일 형성된 회전축이 축수(軸受)를 게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며, 그 육각편에는 내부가 육각형인 원통상 손잡이를 스프링을 탄삽하여 접동가능하게 외삽하고, 손잡이 내측면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돌기들은, 그 돌기들과 대응하여 형성된 하부틀체의 요홈에 삽입고정되게 하여, 상부머리받침대의 높낮이와 아울러 조, 우로의 경사각도조절을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기술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재질이 합성수지제로서 이루어진 양분활된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있는 상부머리받침대(2)와 하부받침틀체(4)의 각 우각부 내측으로 일측면에 치(8)(8')가 형성된 각 한쌍의 랙 기어(6)(6')를 수직입설하되, 각 랙 기어(6)(6')의 상단부는 그 상단면에 돌출형성된 소공(6)(6')을 보유하는 돌출편(14)(14')이 상기한 상부머리받침대(2)의 하면에 그 랙 기어(6)(6')와 대응위치에 고정 부착시킨 장공(10)(10')을 보유하는 "ㄱ"자 형상의 각 접동편(12)(12')에 상호 당접되게 하여 돌출편(14) (14')의 소공(16)(16')과 접동편(12)(12')의 장공(10)(10')이 일치되게 한 후 핀(18)(18')으로서 연결 접속시킨 것에 의해, 머리받침대(2)에 고정된 접동편(12)(12')이 핀(18)(18')을 지점으로 하여 장공(10)(10')의 길이만큼 슬라이드 작동되게 한다.
반대로, 랙 기어(6)(6')의 하단은 하부받침틀체(4)의 각 우각부 내측에 형성된 격납공간부(9)(9')에 상하동가능하게 수용되도록 하되, 상기 랙 기어(6)(6')의 하단은 하부받침틀체(4)의 각 우각부 내측에 형성된 격납공간부(9)(9')에 상하동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하되, 상기 랙 기어(6)(6')의 하단부에 형성한 걸림편(5)(5')이 격납공간부(9)(9')의 상단부 내측으로 형성된 걸림턱(11)(11')에 걸리도록 한다.
일단에 육각편(7)(7')이 형성된 한쌍의 회전축(3)(3')을 랙 기어(6)(6')에 인접된 상태로서 하부받침틀체(4)에 횡가하되, 하부받침틀체(4)외 양측 벽에서 수직으로 입설된 수직벽(13)(13')에 내장된 축수(15)(15')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토록 하며, 각 회전축(3)(3')상에는 랙 기어(6)(6')의 치(8)(8')와 상호 교합되어서 치차운동하는 각 한쌍의 피니온 기어(17)(17')를 그 회전축(3)(3')과 일체로 축착하며, 하부받침틀체(4)의 외측으로 연장된 육각편(7)(7')을 갖는 회전축(3)(3')의 일단에는 내부가 육각편(7)(7')의 형상과 동일하는 육각형상의 공간부(20)(20')를 이루는 원통상 손잡이(24)(24')를 내측에 탄성력을 보유하는 스프링(25)(25')을 개재하여 전, 후로 진퇴가능하게 외삽한다.
그 원통상 손잡이(24)(24')의 하부받침틀체(4)와 대향하는 일측면에는 소정거리를 두고 방사상으로 되는 돌기(22)(22')들을 다수개 돌설하며, 일 돌기(22)(22')들과 대응되는 위치의 받침틀체(4)의 수직벽면으로도 동일형상의 요홈(21)(21') (제3도에서는 2개소만 표시되었음)을 요설하여, 평상시에는 돌기(22)(22')들이 요홈(21)(21')내로 요입되어져서 스프링(25)(25')힘으로 고정되도록 하열 구성을 배개(1)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인 1점 쇄선(27)은 사용자들에게 안락감을 부여하기 위해서 배개(1)의 외부에 피복하는 레자, 섬유, 스폰지등의 쿳숀재를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베개(1)의 높낮이를 조절함에 있어서 높이를 조절할려면, 평상시에는 스프링(25)(25')의 부세력 즉, 탄발력에 의하여 압압되어 요홈(21) (21')에 삽입되어 걸려있는 돌기(22)(22')와 일체로 성형된 한쌍의 손잡이(24)(24')를 양손으로 잡고서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1점 쇄선 위치로 후퇴시켜서 손잡이(24)(24')의 돌기(22)(22')들이 요홈(21)(21')으로부터 이탈되게 한다.
이때 손잡이(24)(24')를 제1도의 화살표(C)(C')방향으로 서서히 회전시키면 회전축(3)(3')일단부에 일제로 형성된 육각편(7)(7')이 손잡이(24)(24')내부 육각형상공간부(20)(20')에 걸린상태로서 회전되게 되어 회전축(3)(3')의 피니온 기어(17)(17')와 치합된 랙 기어(6)(6')는 자유로운 상태로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서서히 화살표 방향(D)(D')으로 상승됨과 아울러, 상부머리받침대(2)도 하부받침틀체(4)로 부터 상승 이동한다.
이렇게 조작하여 머리받침대(2)가 하부받침틀체(4)로 부터 어느정도 높이의 소망위치에 도달하면 그때 까지 전방으로 당기고 있던 손잡이(24)(24')를 서서히 놓으면 손잡이(24)(24')는 스프링(25)(25')의 탄성력에 의하여 밀리면서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손잡이(24)(24')에 형성된 돌기(22)(22')가 요홈(21)(21') 내로 삽입되어져서 고정되기 때문에 높이 조절이 완료된다.
반대로, 머리받침대(2)를 낮게 조절할 시에는 상기한 바와같은 동일조작으로 화살표 방향(E)(E')으로(제1도)손잡이(24)(24')를 잡고서 조작하면 상기 머리받침대(2)를 하부받침틀체(4)에 가까운 상태로 되게끔 낮게 조절할 수가 있다.
다음은 머리받침대(2)를 제2도에 1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은 상태로 경사를 이루게끔 조작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왼쪽으로 경사를 자게끔 할려고 하면, 높낮이 조절시 2개의 손잡이(24)(24')를 동시에 이용한 것과는 달리 2개중 하나의 손잡이만 조절하면 된다.
예컨대, 제1, 2도에서 좌측의 것은 원상태로 놓아두고 우측에 위치해 있는 손잡이(24)만을 상기한 바와같은 조작방법으로 돌기(22)들을 요홈(21)으로 부터 이탈시킨 후 화살표(C)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피니온 기어(17)와 교합되어 작동되는 랙 기어(6)가 윗쪽으로 서서히 상승됨과 아울러, 랙 기어(6)의 돌출편(16)에 접동편(12)을 개재하여 핀(18)으로 느슨하게 연결접속되어 있던 상부머리받침대(2)는 서서히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소정각도로서 좌측으로 기울어지게 되며, 이때 손잡이(24)를 놓으면 상기한 바와같이 돌기(22)(22')가 요홈(21)(21')내로 삽입 괘지됨과 동시에 각 기어들의 작동도 중단되어 상부머리받침대(2)를 사용자의 취향대로 경사각도를 유지시킨 채로 고정하여 사용할수가 있다.
이렇게 머리받침대(2)가 경사를 이루는 것은 유동상태의 머리받침대(2) 하면에 고정부착한 "ㄱ"자상의 접동편(12)(12')에 장공(10)(10')을 형성하였기 때문이다.
즉, 핀(18)을 지점(支点)으로 하여, 장공(10)(10')을 보유하는 접동편(12)이 그 장공(10)의 길이만큼 접동되기 때문에 바연적으로 상부머리받침대(2)를 경사지게 하는 것이다.
제2도와 반대로 경사지게 할려면 우측의 손잡이(24)(24')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조작방법과 동일하게 좌측의 손잡이(24')만을 조작하면 동일한 형태로서 경사지게 된다.
이처럼 본 고안은 자유로운 조작에 의하여 배개의 높낮이릍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머리받침대를 전후로 경사지게 조작할 수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서 다양하게 호적한 상태로 변화시켜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종래 베개로서는 불가능하였던 점을 제공한다고 하는 실용성이 우수한 높낮이 조절용베개이다.

Claims (1)

  1. 2개의 분할 형성된 상부머리받침대(2)와 하부받침틀체(4)에, 랙 기어 및 그 랙 기어에 치합되는 기어를 갖춘 회전축을 설치하여 임의조작함에 의해, 상부머리받침대(2)가 하부받침틀체(4)로 부터 높낮이 조절만 되게끔 구성된 통상의 베개에 있어서, 상기 하부받침틀체(2) 내의 걸림턱(11)(11')이 형성된 격납공간부(9)(9')내로는 하단에 걸림편(5)(5')을 갖춘 랙 기어(6)(6')를 상, 하동가능하게 입설하며, 상기 랙 기어(6)(6')상단의 돌출편(14)(14')을 받침대(2)의 천정면에 고착된 "ㄱ"자상 접동편(12)(12')에 연접하여 소공(16)(16')과 장공(10)(10')을 일치시킨 후 핀(18)(18')으로 상호 접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하부틀체(4)에는 일측단에 육각편(7)(7')이 형성된 회전축(3)(3')을 양단에 축수(15)(15')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며, 그 육각편(7)(7')에는 내부가 육각형인 원통상 손잡이(24)(24')를 스프링(25)(25')을 탄삽하여 접동가능하게 외삽하고, 손잡이(24)(24')의 외내측면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돌기(22)(22')들은 그 돌기(22)(22')들과 대응하여 형성된 받침틀체(4)의 요홈(21)(21')에 삽입 고정되게 하며, 상부머리받침대(2)의 높낮이와 아울러 좌, 우로의 경사각도 조절을 가능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용 베개.
KR2019860010638U 1986-07-21 1986-07-21 높낮이 조절용 베개 KR9000003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0638U KR900000332Y1 (ko) 1986-07-21 1986-07-21 높낮이 조절용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0638U KR900000332Y1 (ko) 1986-07-21 1986-07-21 높낮이 조절용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857U KR880001857U (ko) 1988-04-06
KR900000332Y1 true KR900000332Y1 (ko) 1990-01-30

Family

ID=19253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0638U KR900000332Y1 (ko) 1986-07-21 1986-07-21 높낮이 조절용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033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636B1 (ko) * 2015-05-08 2016-08-09 주식회사 모텍스 높낮이 조절 베개
US9538869B1 (en) 2014-03-03 2017-01-10 Motex Products Co., Ltd. Height-adjustable pillow
KR102170816B1 (ko) * 2020-04-23 2020-10-27 최광수 높낮이 조절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베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090B1 (ko) * 2001-04-12 2005-06-01 이계식 머리자세에 따른 베개높이 자동조절방법 및 그 베개 높이자동 조절 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8869B1 (en) 2014-03-03 2017-01-10 Motex Products Co., Ltd. Height-adjustable pillow
KR101645636B1 (ko) * 2015-05-08 2016-08-09 주식회사 모텍스 높낮이 조절 베개
KR102170816B1 (ko) * 2020-04-23 2020-10-27 최광수 높낮이 조절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베개
WO2021215760A1 (ko) * 2020-04-23 2021-10-28 Choi Kwang Soo 높낮이 조절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857U (ko) 1988-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08009B1 (en) Child seat apparatus
KR900000332Y1 (ko) 높낮이 조절용 베개
CN211380496U (zh) 童床
US4078841A (en) TV chair with double pillow case and two-step ottoman
JP3126183U (ja) 回転式書見/筆記台
US5418987A (en) Bed apparatus
CN201037003Y (zh) 座椅结合机构及具有该机构的婴儿车
CN212972472U (zh) 一种单电机婴儿床
JP2002223902A (ja) 乳幼児用イス
JP2001097087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US6616367B2 (en) Position adjusting means for a back of a stroller
JPH09276108A (ja)
CN218738088U (zh) 躺床调节档
CN215190087U (zh) 便于学生趴卧午休的课桌椅
JP2909408B2 (ja) ベッド装置
KR100376972B1 (ko) 물품 수납 시스템
CN217885493U (zh) 一种便于调整的坐姿矫正器
CN217743668U (zh) 一种便于调节座椅角度的礼堂椅
KR200147148Y1 (ko) 자동차용 팔받침대
CN215097160U (zh) 宽度可调的椅体及儿童安全座椅
JP3020106U (ja) 折り畳み椅子
CN211658440U (zh) 一种新生儿头型矫正装置
CN217658688U (zh) 一种可供午休的课桌椅
KR830003051Y1 (ko) 책상 및 의자 겸용 침대
CN2284550Y (zh) 座椅扶手高度及间距调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