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323B1 - 핵 연료봉 압밀용 캐니스터 - Google Patents

핵 연료봉 압밀용 캐니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323B1
KR900000323B1 KR1019850009611A KR850009611A KR900000323B1 KR 900000323 B1 KR900000323 B1 KR 900000323B1 KR 1019850009611 A KR1019850009611 A KR 1019850009611A KR 850009611 A KR850009611 A KR 850009611A KR 900000323 B1 KR900000323 B1 KR 900000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anister
fuel rods
arch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9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5397A (ko
Inventor
빅터 코츄어 마이클
Original Assignee
컴버스쳔 엔지니어링 인코포레이티드
랜돌프 씨.스미스 2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컴버스쳔 엔지니어링 인코포레이티드, 랜돌프 씨.스미스 2세 filed Critical 컴버스쳔 엔지니어링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60005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5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02Details of handling arrangements
    • G21C19/06Magazines for holding fuel elements or control ele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34Apparatus or processes for dismantling nuclear fuel, e.g. before reprocessing ; Apparatus or processes for dismantling strings of spent fuel elements
    • G21C19/36Mechanical means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핵 연료봉 압밀용 캐니스터
제1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중앙 부위에 도시되어 있는 종래 연료 압밀 부위의 개략도.
제2도는 연료 전달 캐니스터의 박스 부분이 일부 절단되어 상단에서의 그리그 구조와 하단에서의 평판 부재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사시도.
제3도는 전면 패널을 재거하여 상부 그리드 부품과 하부평판 부품을 도시하는 제2도의 전달 캐니스터의 평면도.
제4도는 상단판을 제거하여 그리드 구조로 형성된 셀의 종렬 및 횡렬을 도시하는 제3도의 전달 캐니스터의 평면도.
제5도는 제3도의 선5-5를 절취하여 박스 테이퍼의 아래에 있는 박스 및 셀의 치수가 축소된 부분의 단면도.
제6도는 좌측면 패널을 제거하여 그리드 구조 및 평판 구조를 도시하는 제3도의 캐니스터의 좌측면도.
제7도는 개별적인 그리드 절편에서의 장, 단 슬릿을 도시하는 횡렬층 및 종렬층의 교차상태와, 층의 외부 모서리와 연결되어 둘러싸는 외판의 사시도.
제8a도는 종렬층이 도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을 취하는 제7도의 그리드 횡렬층의 입면도.
제8b도는 외부 모서리에서의 태브를 변경한 다른 실시예의 도면.
제9도는 연료봉을 삼각형 피치로 안내하는 통로가 일체로 형성된 파형의 평판 부재의 사시도.
제10도는 볼록형 및 오목형 아치가 단단히 포개어진 삼각형 피치 배진으로 연료봉을 안내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인접한 2평판부재의 파형 모서리 단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핵 연료봉 압밀 시스템 14 : 연료봉 전달 부위
24 : 전달 캐니스터(canister) 42 : 상부 내장품
44 : 하부 내장품 46 : 그리드 수단
48 : 평판 부재 50 : 전면 패널
52 : 후면 패널 54 : 좌측면 패널
56 : 우측면 패널 72 : 접촉면
78,80 : 절편(切片) 82 : 상단 모서리
84 : 하단 모서리 208 : 볼록형 아치
210 : 오목형 아치
본 발명은 폐기 핵 연료의 저장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료 집합체 프레임 구조물에서 제거한 연료봉을 압밀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러 가지 원인 때문에, 폐기 핵 연료 집합체의 처분, 재처리 또는 저장은 핵 발전소를 작동시키는 많은 지원물에 심각한 장애물로 나타나고 있다. 그결과, 폐기 핵 연료 집합체에서 개별적으로 연료봉을 제거하여 완전한 처분방법이 발견될때까지 단단히 포장된 배진으로 저장하는 압밀식 핵 연료 저장에 관한 노력이 최근에 진행되고 있다.
컴버스쳔 엔지니어링 인코포레이티드에 양도되어 1983년 9월 23일 제출된 발명의 명칭이 "폐기 핵 연료 압밀 시스템 및 방법"인 현안증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535,105호에서는 2연료 집합체에서 연료봉을 제거하여 1의 연료 집합체와 동등한 영역으로 연료봉을 압밀하는 장치를 발표하고 있다. 압밀은 3 부위에서 실시되는데, 그 중 한 부위는 비교적 헐겁게 포장된 사각형 배진에서 비교적 단단히 포장된 삼각형 배진으로 연료봉을 재 배치하는 임시 연료 전달 캐니스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작업은 경사지는 기부를 가지는 깔때기형 캐니스터내에 일부가 내포된 길고 평탄한 평판 사이로 연료봉을 삽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캐니스터 벽과, 평판 길이의 변화와, 경사지는 기부는 필요한 최종 배진으로 연료봉을 추진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출원에서 발표한 전달 캐니스터는 개개의 연료봉을 어려움 없이 캐니스터에 필요한 만큼 적재하도록 충분하게 유도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종래 캐니스터의 설계를 개량할 필요가 있게 되었다.
본 발명에 의하여 핵 연료봉 압밀용 캐니스터는 사각형 그리드 구조를 가지는 상부 내장품과 수직으로 연장하는 평판 부재를 가지는 하부 내장품을 가지는 대체로 사각형 단면의 신장되어 경사지는 박스를 구비한다. 상부 내장품은 비교적 헐겁게 포장된 사각형이 종횡 배진으로 개개의 연료봉을 수용하고, 박스에서 하강함에 따라 연료봉이 점점 접근하게 되고, 따라서 연료봉은 그리드 부품의 하단부를 통해 비교적 단단한 사각형 배진으로 빠져 나온다. 하부 내장품에 있는 평판 부재의 갯수는 상부 내장품에 있는 횡렬의 연료봉의 개수와 일치한다. 각각의 평판은 경사지는 박스에 인접하는 경사진 측면 모서리를 가지며,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파형통로는 횡렬의 연료봉의 갯수와 일치한다.
이러한 통로는 삼각 피치형 배진으로 연료봉을 안내하며, 인접한 평판 사이에서 축소하는 공간은 박스를 통해 연료봉이 이동할 때 서로 가까이 접근시키는 원인이 된다. 각각의 평판의 하부 모서리에서 파형은 한 평판의 각각의 오목형 아치가 인접한 평판의 오목형 아치와 직면하도록 볼록형 및 오목형 아치가 교대로 주기적인 연속열을 형성한다. 가장 접근한 공간에서 인접한 아치의 모서리는 연료봉의 직경과 실제로 동일한 거리만큼 분리된다.
연료봉이 캐니스터 내부에서 이동하는 동안에 본 발명에 의하여 매우 단단히 압박되어 있으므로 연료봉 본래의 굽힘 또는 비틀림 경향이 극복된다. 사각형 배진에서 삼각 피치형 배진으로의 변화는 종래 설계와 비교할때보다 개량되고 양호하게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와 최선의 실시방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참고로 본 발명에 합체되어 있는 발명의 명칭이 "폐기 핵 연료 압밀 시스템 및 방법"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535,105호에 발표된 방식의 핵 연료봉 압밀시스템(10)의 일부를 도시한다. 본 발명을 가장 잘 설명하는 시스템 부분은 분해체 부위(12), 연료봉 전달 캐니스터(14) 및 연료 압밀 부위(16)를 구비한다. 특히 합체한 참고물에 기술된 바와 같이, 핵 연료 집합체(18)는 단부 결합부(20)와 같은 집합체 구조부재를 제거하여 개개의 연료봉(22)을 집합체에서 위로 꺼내는 분해체 부위(16)의 내부에 설치된다. 연료봉은 간격이 크게 축소되는 전달 캐니스터(24)내로 삽입되고, 전달 캐니스터(24)는 테이블(26)을 통해 상승되어서, 저장박스(28)로 하강하고, 연료봉은 제1 및 제2승강기(30,32)에 의하여 전달 캐니스터(24)에서 저장박스(28)로 하강하게 된다. 핵 연료봉 압밀 시스템(10)의 작동을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연료 푸울 공동판(34)과 테이블(26)간의 거리를 연결하면서 핵 연료 집합체(18)를 둘러싸는 용기(36)는 연료봉 전달 부위(14)와 연료 압밀 부위(16)에 관련하여 생략되었다.
본 발명은 전달 캐니스터(24)에 관련된 형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캐니스터는 합체된 참고물에 기술된 기능과 유사하지만 크게 개량된 구조를 가진 기능을 제공한다. 본질적으로 전달 캐니스터(24)는 비교적 헐겁게 포장된 사각형 배진으로 상단부에서 연료봉을 수용하고, 연료봉은 캐니스터를 통해 집중되어서 캐니스터 기부(38)(점선으로 도시됨)에 놓이는 밀접하게 포장된 삼각형 배진으로 재배치된다. 전달 캐니스터(24)가 채워지고 저장박스(28)위에서 테이블(26)에 재배치된 후에, 캐니스터 기부(38)가 제2승강기(32)에 놓이도록 쇄정수단(40)을 해체한다.
제1승강기(30) 및 제2승강기(32)를 연속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캐니스터 기부(38)와 여기에 지탱된 연료봉은 단일체로서 저장박스내로 하강한다. 다음에 전달 캐니스터(24)는 핵 연료봉 압밀 시스템(10)에서 재사용될 것이고, 저장박스(28)는 핵 연료봉 압밀 시스템(10)에서 제거되어서 핵 연료 저장 지역(도시되지 않음)에 두게 된다.
전달 캐니스터(24)는 상부 내장품(42) 및 하부 내장품(44)을 가지는 대체로 사각형 단면의 경사지며 신장된 박스이다. 상부 내장품은 개개의 연료봉을 비교적 헐겁게 포장된 사각형 종렬 배진으로 수용하며 또한 상부 내장품의 하단부를 통하여 비교적 단단하게 포장된 사각형 배진으로 연료봉이 빠져 나오도록 박스내에서 하강할 때 연료봉이 점점 접근하게 하는 그리드 수단(46)을 가진다. 하부 내장품(44)은 상부 내장품에서 빠져 나오는 연료봉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연료봉은 상부 내장품에 있는 종렬의 연료봉 갯수에 일치하는 실제로 수직인 다수의 평판부재(48)를 통과한다. 이제 상부 및 하부 내장품(42, 44)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박스의 외측 구조가 전면 패널(50), 후면 패널(52), 좌측면 패널(54) 및 우측면 패널(56)로 되어 있는 양호한 전달 캐니스터(24)의 사시도이다. 양호하게도, 각각의 패널은 아래로 좁아지기 때문에, 상단부(58)에서의 사각형 단면적이 2핵 연료 집합체(18)(제1도)의 단면적과 근사하게 동일하며, 하단부(60)에서의 사각형 단면적이 1의 핵 연료 집합체의 단면적과 근사하게 동일하게 된다.
전달 캐니스터(24)의 개방된 상단부(58)에 있는 상단판(62)은 구멍(63)이 종횡으로 놓이는 방법으로서 안내 수단을 제공하는데, 상기 구멍을 통하여 연료봉이 캐니스터로 들어갈 때 연료봉은 소정의 사각형 배진으로 유지된다. 상단판(62)은 일부 절단되어 그리드 수단(46)의 최상단 연장부를 보이고 있으며, 그리드 수단은 상단판(62)의 각 구멍(63)아래에서 개개의 셀(64)을 형성한다. 전달 캐니스터(24)의 하부는 전면 패널(50)과 후면 패널(52)사이에서 병행하여 배치된 파형의 평판부재(48)를 볼 수 있도록 절단되어 있다. 평판의 하부 모서리(66)는 파형을 이루며, 양호한 실시예로서 전달 캐니스터(24)내에서 높이가 다르게 끝을 맺는다.
제3도 내지 6도는 전달 캐니스터(24)내에서 그리드 수단(46)과 평판부재(48)간의 관계를 상세히 도시한다. 제3도는 전면패널(50)을 제거하여 전면에서 바라본 전달 캐니스터(24)의 입면도이다. 제4도는 상단판(62)(제2도)을 제거하여 상단에서 바라본 전달 캐니스터(24)의 평면도이다. 위에서 바라볼 때 상부 내장품은 예를 들어 좌측면 패널(54)에서 우측면 패널(56)로 연장하는 20개의 횡렬(68)과 전면패널(50)에서 후면패널(52)로 연장하는 18개의 종렬(70)의 사각형 배진으로 벌집 모양의 실제로 연속적인 셀을 가진다. 캐니스터가 상부 내장품(42)과 하부 내장품(44)사이의 접촉면(72)까지 아래로 좁아질때, 각각의 셀 단면적은 전달 캐니스터(24)의 단면적의 변화에 정비례하여 높이에 따라 변한다. 선 5-5를 절취한 제5도는 패널(50, 52, 54, 56)의 치수가 축소함에 비례하여 셀(64)의 면적이 축소한 것을 도시한다. 양호한 실시예로서 상부 내장품(42)의 길이는 약 2.54m(100인치)이며, 접촉면(42)에서의 단면적은 전달 캐니스터(24) 상단의 단면적의 약 60%이다.
상부 내장품(42)를 통해 삽입된 연료봉은 비교적 단단히 포장된 사각형 배진의 하부 내장품(44)에서 빠져 나온다. 하부 내장품(44)은 상부 내장품(42)에서 연료봉의 종렬(70) 갯수와 일치하는 갯수의 연료봉을 실제로 수직인 다수의 평판부재(48)내에서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평판부재(48)는 이들 사이로 지나가는 연료봉이 전달 캐니스터(24)의 하단부(60)에서 밀접하게 포장된 삼각형 배진으로 삽입되는 형상을 이루며 정렬되어 있다. 후술하는 부품은 상부 내장품(42)을 구성하는 그리드 수단(46)과, 하부 내장품(44)을 구성하는 파형의 평판부재(48)에 관련된 본 발명의 형태에 대해 추가로 상세한 설명을 제공한다.
그리드 구조는 제3도 내지 6도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6도는 제3도와 유사하게 좌측면 패널(54)을 제거한 전달 캐니스터(24)의 측면도이다. 상부 내장품(42)은 수직으로 중첩하는 다수의 그리드층(74a 내지 74i 내지 76h)으로 되어 있다. 각각의 그리드층(74a 내지 74i)은 전면패널(50)에서 후면패널(52)까지 연장하는 다수의 그리드 절편(78)으로 되어 있는데, 종렬 그리드 층을 구성하는 종렬 절편으로써 편리하게 설명될 것이다. 유사하게 다수의 횡단하는 절편(80)은 횡렬 절편으로써 설명되며, 횡렬 그리드층(76)을 구성할 것이다.
종렬 그리드층(74e, 74f)사이에는 횡렬 그리드층(76e)이 삽입됨을 알 수 있다. 종렬 그리드층(74)과 횡렬 그리드층이 중복하는 교차면은 실제로 연속적인 벌집모양의 세로형 셀(64)을 형성하는 교호적인 종횡 구조물을 제공한다. 횡단층을 서로 중복하게 또는 엇갈리도록 수용하기 위하여, 최상단 및 최하단 종렬 그리드층(74a, 74i)은 다른 종렬 및 횡렬 그리드층(74, 76)의 높이의 절반이다. 통상적으로, 상부 내장품(42)의 전체 그리드 구조는 8개의 종렬 그리드층(74)과 8개의 횡렬 그리드층(76)을 효과적으로 포함한다.
제6도에서, 수렴하는 연료봉 사이의 구조재가 소유하는 공간을 최소로 줄이는 방법으로써 횡렬 그리드층(76g, 76h)이 완전히 완료된 횡렬 절편(80)을 더 적게 가질수도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제7도는 예를 들어 횡렬 그리드층(76d), 종렬 그리드층(74e) 및 횡렬 그리드층(76e)의 교차 상태를 상세히 도시한다. 제7도는 제2도와 유사한 방향의 사시도이다. 제8도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렬 그리드층(76d,76e)의 입면도이다. 제7도에서 절편과 층의 경사진 측면은 촛점이 층의 교차면에 있기 때문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제7 및 제8도에서, 층과 절편은 실예를 명백하게 하기 위하여, 제3 내지 제6도에 비하여 셀의 갯수를 간략하게 하였다.
제7도 및 8도에 대하여 언급하면, 각각의 그리드층(76d, 74e, 76e)은 실제로 평행한 다수의 절편(78, 78′ 및 80,80′)으로 되어 있다. 각각의 절편은 상단 모서리(82), 하단 모서리(84) 및 측면 모서리(86)를 가진다. 각 절편의 측면 모서리(86)는 절편이 놓이는 전달 캐니스터(24)내부의 높이에서 좁아진 측면 패널(54,56)(또는 종렬 절편(78)의 경우에는 전면 및 후면 패널(50,52))에 일치하도록 좁아진다. 횡렬 그리드층(76)에서 횡렬 절편(80)의 외부 치수는 양호하게도 절편(80)의 하단 모서리(84)가 절편(80′)의 하단 모서리(84′)보다 길지만, 실제로 절편(80′)의 상단 모서리(82′)와 동일한 길이이다. 상단 및 하단 모서리(82,84)는 절편을 상호 결합시키는 교호적인 단슬릿(94) 및 장슬릿(96)을 가진다.
전체 그리드 구조를 전달 캐니스터(24)의 내부에서 조립하면, 절편(78,80)의 교차로 인하여 형성된 다수의 셀은 제각기 개개의 봉을 삽입하기 위한 깔때기 형 통로를 제공한다. 깔때기 형 통로는 슬릿간의 거리가 모서리의 길이에 비례하도록 각각의 모서리를 따라 슬릿을 제공함으로써 만들어 진다. 따라서, 주어진 셀의 연속적인 수직부분은 슬릿 간격에 비례하기 때문에 제각기 약간 다른 치수를 가진다.
양호한 실시예로서 실제로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는 단슬릿 및 장슬릿의 연결된 길이는 절편이 상단 모서리와 하단 모서리간의 거리의 절반과 근사적으로 동일하다. 이것은 각각의 셀벽이 실제로 연속할 것을 보장하고, 이에 의해 연료봉이 인접한 층의 절편 사이에서 진행이 방해 받을 가능성이 배제된다. 따라서, 횡렬층에서 절편의 상부 모서리는 바로위의 횡렬층에서 절편의 하부 모서리와 실제로 접촉(90)하는 것이 양호하며, 또한 종렬층에서도 유사한 방법으로 접촉함이 양호하다. 장 및 단슬릿의 배치는 그리드층을 용이하게 만들게 하며, 한 절편의 장슬릿을 다른 절편의 단슬릿으로 횡단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호 결합된다. 제7도에서 절편(78a,78b,80a,80b)과 같이 주어진 횡렬 또는 종렬층에서 횡으로 인접한 절편은 예를 들어 절편(78a,80a)의 상단 모서리에 있는 4개의 단슬릿, 3개의 장슬릿과, 절편(80b,78b)의 상단 모서리에 있는 4개의 장슬릿, 3개의 단슬릿 사이에서 교호한다. 하단 모서리의 슬릿 형태도 유사한 방법으로 교호한다. 다른 횡렬층에서 수직으로 인접한 절편, 예를 들어 횡렬층(76d,76e)에서 절편(80,80′)은 제각기 유사한 슬릿형태를 가진다. 장슬릿 및 단슬릿을 가지는 이러한 슬릿의 배치는 셀벽으로써의 역할을 하는 절편의 어떤 부분은 단지 하나의 장슬릿 경계를 가짐을 보장한다. 따라서, 2개의 장슬릿에 의하여 경계를 이루는 것보다 그 부분은 더욱 단단하고 평탄하게 유지된다.
그리드 수단(46)은 전달 캐니스터(46)내로 삽입되기 전에 완전히 조립됨이 양호하다. 각각의 층의 절편은 최하단 그리드층(74i,76h)에서 시작하여 상호 결합되고, 절편은 구조물을 캐니스터 내로 삽입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확립하기 위하여 함께 가용접될 수 있다. 이러한 하나의 용접기술은 인접한 횡렬층 사이의 접촉면에서 구조물의 주변에 리본 또는 스트립을 용접하는 일을 포함하며, 인접한 횡렬층 사이에서도 유사한 방법으로 용접할 수 있다. 하나의 조립 기술이 제7 및, 8(a)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관통구(102)를 가진 보호판 또는 외벽(100)은 좁아진 전달 캐니스터(제2도)보다 약간 작은 치수를 가지며, 그리드층의 주변 또는 측면 모서리(86)에서 태브(104)로 설치된다. 태브는 점용접된 다음에, 전체적으로 보호판으로 둘러싸여진 그리드의 상부 내장품(42)이 캐니스터내로 하강하게 된다. 그리드의 상부 내장품이 후술하는 평판의 하부 내장품(44)과 연결되어 사용될 때, 보호판 또는 외벽(100)은 전체 박스에 걸쳐서 평판부재에 그리드부품을 연결하는 일에 조력한다.
제8(b)도는 수직으로 인접한 절편에서 나온 태브가 동일한 보호판의 관통구(102)에 삽입되어 일면 용접(106)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태브(104′)가 각각의 절편의 하단 및 상단 모서리(84,82)에서 연장부를 이루는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따라서, 인접한 장슬릿 때문에 다른 방법으로는 지탱되지 않는 박스 벽 부근의 절편 부분은 강하게 될 수 있다.
평판부재(48)를 가지는 하부 내장품(44)은 제3, 6, 9 및 10도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는데 특정한 구조는(200)으로 시작하는 참고부호로 동일하게 취급될 것이다.
제9도는 실제로 평행한 상단 및 하단 모서리(200, 202)와 경사지는 측면 모서리(204)를 가지는 평판부재(48)를 도시한다. 측면 모서리(204)는 전달 캐니스터(24)하부의 전면 및 후면 패널(50,52)에 일치하는 경사로 되어 있다. 각각의 평판 부재(48)는 연료봉의 횡렬(68)(제4도 참고) 갯수에 일치하는 다수의 파형 통로(206)를 가진다. 파형 통로(206)는 하단 모서리(202)까지 연장하며, 교호하는 볼록형 아치(208) 및 오목형 아치(210)의 주기적인 연속열을 형성한다. 양호하게도, 각각의 평판부재(48)에서는 상단 모서리(200)에서 실제로 평탄한 평면부위(212)에서 시작하여 점차 변화하면서 볼록형 및 오목형 아치(208,210)와 진폭이 상단 모서리(200)에서 멀어짐에 따라 증가하게 된다.
평판부재(48)는 하나의 다이판에 용접한 모조봉을 필요한 갯수만큼 가지면서 각각의 모조봉이 측면 모서리(204)의 전체적인 설계경사에 따라 평판의 중앙을 향하여 약간 경사지게 되는 다이로 형성함이 양호하다. 그러나 압입하기 전에 평판은 사각형이며, 측면모서리(204)는 다이에서 압입한 후에는 캐니스터 패널과 일치하는 정확한 치수로 될 것이다. 하단 모서리(202)에 접근할 때 진폭이 접근하는 전체적인 파형의 형성은 압입도중에 측면 모서리를 내측으로 견인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는 측면모서리(204)에서 필요한 단부 경사를 만들기에는 부족하다. 다이에서 평면에서 파형의 완전한 진폭으로의 변화는 평판의 완전한 변형이 하단 모서리(202)부근에서만 발생하도록 모조봉을 고정시킨 부동 다이에 관하여 이동식 다이 부재를 작은 각도로 방향을 유지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양호한 실시예로서, 평판의 상단 모서리(200)는 상부 내장품(42)의 그리드수단(46)과 일치하여서 연속적인 안내로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제3 및 제6도를 참고하면 이러한 변화는 부품의 접촉면(72)에서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접촉면을 달성하는 가장 단단한 방법은 그리드수단(46)(제8도 참고)의 최하부 절편(76h)에 제공된 장슬릿(96)에 연결되도록 평판부재(48)의 상단 모서리(200)에 흠이 없는 모서리를 제공하는 방법이다. 접촉면(72)에서 밴드(216) 또는 다른 부재는 상호 결합된 구조물의 주변에 가용접 될 수 있는데, 이는 그리드수단(46)의 그리드층(74,76)을 조립하는데 관한 것과 동일하거나, 또는 양호한 형식으로서 평판은 보호판 관통구와 일치하여서 그리드층(74i)의 절편에 있는 태브에 용접되는 태브(214)를 가진다.
양호한 실시예로서, 평판은 길이가 전체적으로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하단 모서리(202)는 엇갈리게 된다. 제3도에서, 하단 모서리의 중앙평판과, 중앙과 좌측면 패널(54)사이의 평판은 제각기(202a) 내지 (202i)로 도시되어 있다. 전달 캐니스터(24)의 좌측면 패널(54)을 제거한 측면에서 바라보면, 엇갈린 모서리의 다른 도면을 도시할 수 있다.
이러한 엇갈림은 평판이 연료봉 직경에 관하여 충분한 두께를 가지며 연료봉이 전달 캐니스터(24)의 하단부에 삼각형 배진으로 모였을 때 이상적으로 분리되지 않게한 후에 캐니스터의 내부에서 압밀을 최대로 크게 하는데 필요하다.
제10도는 예를 들어 하단 모서리의 평판(202a)과 인접한 평판(202b)과의 관계를 도시한다. 한 평판(202a)에서 볼록형 아치(208)는 평판(202b)에서의 오목형 아치(210)와 직면하고, 평판(202a)에서의 오목형 아치(210′)는 평판(202b)에서의 볼록형 아치(208′)와 직면한다.
각각의 볼록형 아치와, 오목형 아치와 직면하는 볼록형 아치간의 거리(218)는 실제로 제10도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봉의 직경과 동일하다. 평판의 이러한 정렬 및 간격은 평판과 박스 패널간에서 압밀되어야 하는 하부 내장품(44)에 의해 수용된 연료봉의 단단히 포장된 사각형 배진의 유도 단부가 평판의 하부 모서리에 있는 단단히 포장된 삼각형 배진으로 삽입되게 한다. 또한 제10도는 아치형 진폭의 뜻을 명백히 밝히는데, 볼록 진폭(220)과 오목 진폭(222)간의 거리는 평탄한 가상평면(224)에 관하여 동일한 거리인 것으로 측정된다.

Claims (6)

  1. 핵연료봉 압밀용 캐니스터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내장품을 가지는 대체로 사각형 단면의 신장되고 경사지는 박스와, 봉이 상부 내장품의 하단부를 빠져나와 비교적 단단하게 포장된 삼각형 배진으로 나오도록 하기 위하여 비교적 헐겁게 포장된 사각형의 종횡 배진으로 개개의 연료봉을 수용하여 박스내에서 하강할 때 봉이 점점 접근하도록 추진하는 그리드 수단을 가지는 상부 내장품과, 상부 내장품에서 빠져나오는 봉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부 내장품에 있는 연료봉의 종렬수에 일치하는 실제로 수직의 평판 부재를 다수 가지는 하부 내장품과, 실제로 평행한 상단 및 하단 모서리와 박스에 인접하여 내측으로 좁아지는 측면 모서리와 연료봉의 횡렬수에 일치하는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파형통로를 가지며 파형은 각각의 평판의 하단 모서리까지 연장하고 교호하는 볼록형 및 오목형 아치의 주기적인 연속열을 형성하는 평판을 구비하며, 여기서 각각의 평판은 한 평판에서의 각 볼록형 아치는 인접한 평판에서의 오목형 아치와 직면하고 한 평판에서의 오목형 아치는 인접한 평판에서의 볼록형 아치와 직면하도록 인접한 평판과 정렬되어 있으며, 이에 의하여 하부 내장품이 수용한 연료봉의 단단히 포장된 사각형 배진의 유도단부는 평판과 박스 사이에서 압밀되어서 평판의 하단 모서리에 있는 단단히 포장된 삼각형 배진으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니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파형 평판은 상부 내장품에서 가장 근접한 곳에 위치한 모서리에서 실제로 평탄하고, 오목형 및 볼록형 아치의 진폭은 상단 모서리에서 멀어짐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니스터.
  3. 제2항에 있어서, 평판부재의 상단 모서리는 상부 내장품의 그리드 수단과 일치하여 연속적인 안내로를 형성하도록 적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니스터.
  4. 제2항에 있어서, 인접한 평판부재의 상단 모서리간의 거리는 상부 내장품의 하단부에 있는 단단히 포장된 사각형 배진에서 연료봉 중심간의 거리와 실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니스터.
  5.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평판의 하단 모서리는 각각의 볼록형 아치와 볼록형 아치에 직면하는 오목형 아치간의 거리가 실제로 연료봉 직경과 동일하도록 인접한 평판에서 간격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니스터.
  6. 제1항에 있어서, 평판의 최소한 몇 개의 하단 모서리는 수직으로 엇갈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니스터.
KR1019850009611A 1984-12-24 1985-12-20 핵 연료봉 압밀용 캐니스터 KR9000003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686,171 US4649017A (en) 1984-12-24 1984-12-24 Nuclear fuel rod transfer canister having corrugated funnel
US686171 1984-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397A KR860005397A (ko) 1986-07-21
KR900000323B1 true KR900000323B1 (ko) 1990-01-25

Family

ID=24755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9611A KR900000323B1 (ko) 1984-12-24 1985-12-20 핵 연료봉 압밀용 캐니스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649017A (ko)
JP (1) JPS61155996A (ko)
KR (1) KR9000003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6894A (ja) * 1987-02-10 1988-08-15 プロト−パワ− コ−ポレ−シヨン 消費済み燃料ロツド整理統合システムおよび方法
GB2203377B (en) * 1987-04-06 1990-03-28 British Nuclear Fuels Plc Improvements in flasks for radioactive materials.
US5000906A (en) * 1987-06-18 1991-03-19 Westinghouse Electric Corp.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and consolidating the fuel rods of a nuclear fuel assembly
US4952072A (en) * 1987-06-18 1990-08-28 Westinghouse Electric Corp.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and consolidation fuel rods of a nuclear fuel assembly
GB9609304D0 (en) * 1996-05-03 1996-07-10 British Nuclear Fuels Plc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uel transportation
US20010011711A1 (en) * 1996-05-03 2001-08-09 Graham Nicholson Container for nuclear fuel transportation
US5898745A (en) * 1997-10-07 1999-04-27 Framatome Technologies, Inc. Nuclear fuel assembly locator
JP2013503353A (ja) * 2009-08-31 2013-01-31 トランスニュークリ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燃料貯蔵のためのラックシステムおよびアセンブリ
EP2525364A1 (en) * 2011-05-20 2012-11-21 Areva NP Nuclear fuel assembly having varying spacing between fuel rod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4727A (en) * 1978-05-15 1984-10-02 Westinghouse Electric Corp. Arrangement for storing spent nuclear fuel rods at a reactor site
DE3148528A1 (de) * 1980-12-22 1982-07-15 Steag Kernenergie Gmbh, 4300 Essen Vorrichtung zur aufbewahrung von radkoaktivem material
US4446098A (en) * 1981-05-29 1984-05-01 Westinghouse Electric Corp. Spent fuel consolidation system
US4441242A (en) * 1981-05-29 1984-04-10 Westinghouse Electric Corp. Spent fuel consolidation system
US4507840A (en) * 1983-04-19 1985-04-02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compacting nuclear reactor components
US4619808A (en) * 1983-09-23 1986-10-28 Combustion Engineer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solidating spent nuclear fu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397A (ko) 1986-07-21
JPS61155996A (ja) 1986-07-15
US4649017A (en) 1987-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9842A (en) Fuel storage rack
KR900000323B1 (ko) 핵 연료봉 압밀용 캐니스터
EP0742946B2 (en) Spacer grid with integral "side supported" flow directing vanes
EP0026029B1 (en) Fuel assemblies for nuclear reactors
US4056441A (en) Bracing device for a bundle of parallel pins in a nuclear reactor assembly
KR900000338B1 (ko) 핵연료봉 압밀 캐니스터용 그리드 구조물
US5110539A (en) Spacer grid assembly fixture
US4342620A (en) Box insert for storage of spent nuclear fuel assembly
US5024810A (en) Support grid with integral inclined waves
US5375154A (en) Reduced pressure drop spacer for boiling water reactor fuel bundles
US6118838A (en) Frame-held neutron-absorbing fuel rod assembly storage rack
US4181571A (en) Nuclear reactor with fuel pin bracing grid
US4948553A (en) Method of making a rack for the storage of spent nuclear fuel
KR101015733B1 (ko) 핵반응로로부터 연료를 저장하기 위한 랙
US4857263A (en) Storage of spent nuclear fuel
KR900000339B1 (ko) 고강도 핵 연료 집결 그리드
EP0415205A1 (en) Side insertable spacer
JPH1114785A (ja) 核燃料アセンブリのための貯蔵ラ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120232B1 (en) Storage of spent nuclear fuel
US5243634A (en) DNB performing spacer grids
EP0798746A1 (en) Spacer for a transportable nuclear fuel rod bundle
ES2003341A6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poner en forma compacta un haz de barras de combustible.
EP0186161A2 (en) Canister for consolidation of nuclear fuel rods
JPS6046671B2 (ja) 原子炉用プレ−ト型式燃料組立体
JP5058089B2 (ja) 使用済燃料貯蔵ラ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