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308Y1 - 컨넥팅 링크 - Google Patents

컨넥팅 링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308Y1
KR900000308Y1 KR2019860010920U KR860010920U KR900000308Y1 KR 900000308 Y1 KR900000308 Y1 KR 900000308Y1 KR 2019860010920 U KR2019860010920 U KR 2019860010920U KR 860010920 U KR860010920 U KR 860010920U KR 900000308 Y1 KR900000308 Y1 KR 9000003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link
link
creep
chain
t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09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2691U (ko
Inventor
오경영
Original Assignee
오경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경영 filed Critical 오경영
Priority to KR20198600109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0308Y1/ko
Publication of KR8800026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6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3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3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5/00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joints; Chain links; Chain bushes
    • F16G15/02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joints; Chain links; Chain bushes for fastening more or less permanent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컨넥팅 링크
제1도 a-b는 종래 컨넥팅링크의 구조도.
제1도 c는 제1도의 A-A선 단면 구조도.
제2도 a-b는 본 고안의 컨넥팅링크 구조도.
제2도 c는 제2도 a의 B-B선 단면 구조도.
본 고안은 체인과 체인을 연결하는 컨넥팅링크의 구조 개량에 관한 것이다.
체인을 제작할 때는 일정길이 단위로 제작하고 필요에 따라 그 길이를 잇거나 잘라 쓰는 것인데 대형 선박의 앵커체인의 경우 체인의 길이가 1,000m이상 소요되는 것이므로 이때는 일정길이의 체인을 컨넥팅링크로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컨넥팅링크는 제1도의 도시와 같이 "c"형 링크(1)의 양단에 걸림턱(2a)을 가진 돌기(2)를 형성하고, 그 돌기(2)와 동일한 홈을 가지며 상하 2개로 분리된 크립(3)(3')을 결합하는데 그 결합방법에 있어서 각 크립(3)(3')에 원형의 돌기(4)(4')를 돌출시키고, 또 각크립(3)(3')에 상대펀크립(3)(3')의 돌기(4)(4')가 삽입되는 홈(4a)(4a')을 파서 상하2개의 크럽(3)(3')과 "c"형 링크(1)를 결합한 후에 이것들을 관통하는 테이퍼홀(5)을 기공하고 그홀(5)에 테이퍼핀(6)을 강제삽입하여 선단은 납(7)을 녹여 부어서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이된 종래의 컨넥팅링크는 체결시 해머를 사용하여 테이퍼핀을 강제로 삽입해야하며 홀과핀이 테이퍼인 관계로 링크가 충격적인 힘을 받으면 조금씩 역진하려는 작용을 하여 핀이 홀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위하여 핀을 삽입한후 선단을 납으로 막아야하는 불편이 있을뿐 아니라 이와같은 링크의 테이퍼홀을 가공하고자 하면 외경이 다른 여러개의 드릴빗트를 준비하고 테이퍼의 정도에 따라 작은 외경의 드릴빗트로부터 그 깊이를 달리하여 여러번 계단식으로 다단계 구멍가공을 한후에 테이퍼리이머로서 계단식 의 턱을 없애는 작업을 하여야 하는 번거롭고 많은 공정을 거쳐야 하며 테이퍼핀도 선반과 같은 가공기계로서 정밀하게 가공되어야만 함으로 그 공정이 번거러워 원가가 고등한 반면 미소한 외경의 오차가 생기면 삽입이 불가능하거나 작아서 결합에 유격이 발생하며, 그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 분해가 까다로운 것이다.
또, 링크의 제작시 단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모든 모서리부에 약3°의 테이퍼를 주는데 그 테이퍼로 인하여, 링크에 인장부하가 걸리면 크립이 상하로 벌어지려는 힘이 걸리고 이것은 두께의 원형돌기(4)(4')사이에서 전단 응력으로 작용하게 되어 결합에 유격이 있으면 테이퍼핀이 굽어지는 등의 폐단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이와같은 모든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데티퍼홀과 핀대신 상하 2개의 크립을 보울트로서 직접 결합함과 동시에 잠금와셔로서 역진을 방지하게 하는 것이다.
이하 고안의 요지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지의 "c"형 링크(11)에 크립(12)(12')을 체결하되 크립(12)(12')에는 암나사(13)를 탭핑하고 상단에 "'"형 홈(14)을 가공하여 이에 잠금와셔(15)와 보울트(16)를 끼워 조이고 잠금와셔(15)의 날개끝을 보울트머리 내벽에 밀착되게 절곡시킨 것이다.
미실명부호 14a는 잠금와셔 날개홈.
이와같이된 본 고안의 컨넥팅링크는 잠금와셔(15)에 보울트(16)을 끼워 상하크립(12)(12')을 조이는데 잠금와셔(15)의 양날개가 보울트머리 양측홈(14a)을 타고 홈(14)에 삽입되어 나사(16)를 조이고 난후에는 제2도와 같이 보울트머리의 내벽에 보울트머리 위로 돌출된 여분의 날개를 밀착시키면 양측홈(14a)에 고정된 잠금와셔(15)가 보울트의 머리를 잡고 있는 형상이 되어 사용중 컨넥팅링크에 반복 충격이 가하여져도 회전에 의한 역진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 링크에 인장부하가 걸려 단조를 위한 테이퍼면에 의해서 크립(12)(12')이 벌어지려는 힘을 받는 경우 보울트에 걸리는 힘은 인장하중이므로 (같은 단면적의 소재일 경우 전단력은 인장력의 약1/5) 설계상 훨씬 큰힘에도 견딜수 있는 잇점이 있으며 조립, 분해가 간편하고 제작상의 작업공정이 짧고 단순하여 원가 절감에 기여하는 등 여러가지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공지의 링크(11)에 암나사(13)와 "'"형 홈(14)이 가공된 크립(12)(12')를 결합하고, 잠금와셔(15)와 보울트(16)로서 나사 고정한 후 잠금와셔(15)의 날개끝을 보울트머리 내벽에 절곡시킨 컨넥팅링크.
KR2019860010920U 1986-07-25 1986-07-25 컨넥팅 링크 KR9000003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0920U KR900000308Y1 (ko) 1986-07-25 1986-07-25 컨넥팅 링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0920U KR900000308Y1 (ko) 1986-07-25 1986-07-25 컨넥팅 링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691U KR880002691U (ko) 1988-04-09
KR900000308Y1 true KR900000308Y1 (ko) 1990-01-30

Family

ID=19254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0920U KR900000308Y1 (ko) 1986-07-25 1986-07-25 컨넥팅 링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030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691U (ko) 198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1279B1 (ko) 굴착공구
US6109850A (en) Screw fastener in metal connector to wood structure shear connection
US4789285A (en) Anchoring plug
KR100471119B1 (ko) 연결장치
CN101233330A (zh) 用于连接组件和包含组件的装配件的紧固件
US4005629A (en) Truss bolt drift pin
DE8601106U1 (de) Einstellbare Befestigungsvorrichtung zum Zusammenfügen von zwei Bauteilen
SK139095A3 (en) Guy pin for anchorage through bonding mass
KR900000308Y1 (ko) 컨넥팅 링크
EP0375606A1 (de) Befestigungselement
SK155099A3 (en) Connecting element for connecting at least two wooden construction parts and a joint plate
GB2153948A (en) A safety lock device
JP4141072B2 (ja) 結合装置
KR200337822Y1 (ko) 체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스페이스 프레임의 연결구조
EP1001176B1 (en) Connector device assembly
DE19607988A1 (de) Kupplungseinrichtung
JP3377597B2 (ja) 立体トラスのジョイント構造
KR910008773Y1 (ko) 분할 보울트를 이용한 체결장치
JPH07197528A (ja) 柱と梁の接合方法
JPH02108742A (ja) 木造建築における梁材接合方法
JPS586907Y2 (ja) ねじ付鋼棒の継手構造
KR200283648Y1 (ko) 스페이스 프레임의 연결구조
JPH02186114A (ja) ドリル付きねじ体
JPH0540935Y2 (ko)
EP0154466A1 (en) Bolt anch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