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9010Y1 - 배압 정류장치용 안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배압 정류장치용 안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9010Y1
KR890009010Y1 KR2019870005365U KR870005365U KR890009010Y1 KR 890009010 Y1 KR890009010 Y1 KR 890009010Y1 KR 2019870005365 U KR2019870005365 U KR 2019870005365U KR 870005365 U KR870005365 U KR 870005365U KR 890009010 Y1 KR890009010 Y1 KR 8900090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utput
diode
rectifier
constan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53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20688U (ko
Inventor
문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053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9010Y1/ko
Publication of KR8800206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206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90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90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05F3/2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 G05F3/205Substrate bias-voltage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5Converters combining the concepts of switch-mode regulation and linear regulation, e.g. linear pre-regulator to switching converter, linear and switching converter in parallel, same converter or same transistor operating either in linear or switch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 Rectifier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배압 정류장치용 안정화 장치
제1a도는 본 고안 장치의 회로도. 제1b도는 입력 교류 전원의 파형도.
제2도는 종래 정류 장치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압 정류부 2 : 반파정류부
3 : 정전압부 4 : 정전압 차단부
5 : 출력단자
본 고안은 낮은 권선수를 갖는 변압기로 놓은 정류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배압 정류 장치용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력교류전압이 110v 에서 220v 또는 220v 에서 100v로 변화되더라고 일정한 직류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배압정류 장치용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정류 장치는 통상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트랜스(31)의 1차권선측에 입력교류전원(AC)을 연결하고 2차측권선에 다이오드(D1,D2)를 연결하여 2차권선에 유기되는 교류전압성분을 정류하여 평활 콘덴서(C31)를 통하여 부하에 직류전압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으나 부하측(32)이 높은 직류전압을 필요로 할때에는 전원트랜스(31)의 2차측 권선의 권선수를 늘려야만하고 1차측권선에 잘못하여 규정입력교류 전원보다 높은 교류 전원을 입력시키면 예를 들어 100V용에 220V AC를 인가시키면 2차측 권선에서는 과전압이 유기되어 부하(32)가 소손되거나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압정류부를 전원 트랜스의 2차측권선에 접속시키므로서 2차측권선수를 적게감아도 되고, 정전압차단회로를 설치하여 입력교류전원의 전원변동이 직류출력분에는 무관하도록 하므로서 항상 일정한 직류전압출력을 얻을 수 있는 배압 정류 장치용 안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 장치는 1차측 권선에 상용교류전원(AC)이 접속된 전원트랜스(T1)의 2차측권선 양단에 다이오드(D1,D2) 및 콘덴서(C1,C2)로 구성된 배압정류부(1)와 다이오드(D3) 및 콘덴서(C3)로 구성된 반파정류부(2)를 연결하고, 배압정류부(1)의 출력은 트랜지스터(Q2), 제너다이오드(ZD2), 다이오드(D5) 및 저항(R2)으로 구성된 정전압부(3)의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에 연결하며, 에미터 접지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제너다이오드(ZD1)이 연결되고 콜렉터는 정전압부(3)의 제너다이도(ZD2)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접속점에 연결된 정전압차단부(4)의 제너다이오드(ZD1)에 저항(R1)을 통하여 반파정류부(2)의 출력을 연결함과 동시에 반파정류부(2)의 출력을 다이오드(D4)를 통하여 정전압부(3)의 출력에 연결하고, 정전압부(3)의 출력은 저항(R3)을 통하여 출력단자(5)에 연결함과 동시에 제너다이오드(ZD3)로 접지시켜된 구성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 장치의 작용효과는 입력교류 전원이 100V인 경우에는 제1b도와 같은 AC 파형이 전원트랜스(T1)의 일차측권선에 인가되면서 제1b도에서 시간(t0-t1)의 구간에서는 전원트랜스(T1)의 이차측권선에 부극성전압이 유기되어 다이오드(D1)를 통하여 정류되어서 콘덴서(C1)에 소정 전원을 충전시킨다.
또한 시간(t1-t0)의 구간에서는 전원트랜스(T1)의 이차측권선에 정극성 전압이 유기되어 다이오드(D2)를 통하여 정류되어서 콘덴서(C2)에 충전되는데 이때 충전전압은 전원트랜스(T1)의 이차측 권선유기전압의 정류전압에 콘덴서(C1)의 충전전압을 합한 배전압이된다.
이러한 배전압은 정전압부(4)의 저항(R2)을 통하여 제너다이오드(ZD2)에 인가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Q2)의 콜랙터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는 제너다이오드(ZD2)에 제너전압으로 일정하게 바이어스되어 트랜지스터(Q2)의 출력은 일정전압이 된다.
한편 제1b도에서 시간(t1-t2) 동안에 전원트랜스(T1)의 2차권선의 유기전압은 반파정류부(2)의 다이오드(D3)를 통하여 정류되어서 콘덴서(C3)에 충전되는데 이때 콘덴서(C3)의 충전전압은 배압정류부(1)의 콘덴서(C1) 충전전압과 크기가 같게된다.
이렇게 콘덴서(C3)에 충전된 전압은 정전압부(3)의 출력전압보다 작게되도록 제너다이오드(ZD2)의 제너전압을 설정하면 다이오드(D4)는 오프된다.
또한 반파정류부(2)의 출력전압보다 제너다이오드(ZD1)의 제너전압이 크도록 설정하면 통상시에는 제너다이오드(ZD1)가 오프 상태로 유지되므로 트랜지스터(Q1)는 오프되고 이에 따라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는 제너다이오드(ZD2)의 제너전압으로 바이어스 되므로 정전압부(3)의 출력은 일정전압으로 유지된다.
그러다가 사용자가 입력교류 전원(AC)을 220V로 바꿔 꼽으면 배압정류부(1)의 출력은 2배가 됨과 동시에 단파정류부(2)의 출력 전압도 2배로 된다.
그런데 단파정류부(2)의 출력전압은 제너다이오드(ZD1)의 제너전압보다 높게 되었으므로 제너다이오드(ZD1)은 도통되어 트랜지스터(Q1) 를 온시키고 이에 따라서 정전압부(3)의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는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에미터를 통하여 거의 접지 전위로 되므로 트랜지스터(Q3)는 오프되므로 정전압부(3)의 출력은 차단된다.
이와 동시에 단파정류부(2)의 출력이 다이오드(D4)를 통하여 출력단자(5)에 인가되므로 출력단자(5)에는 단파정류부(2)의 출력전압이 나타나고 이 전압은 제너다이오드(ZD3)의 제너 전압으로 정전압화 된다.
그러므로 입력교류전원이 100V 이거나 220V 이라도 출력전압은 항상 일정하게 되고 전원트랜스(T1)의 2차권선수를 작게 하여도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입력교류전원이 100V에서 220V 또는 220V에서 100V로 변화되어도 출력전압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부하를 과전압에서 보호할수 있으며, 또한 작은 용량의 트랜스를 설치하여도 큰 출력 전압을 얻을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차측권선에 상용교류전원(AC)이 접속된 전원트랜스(T1)의 2차측권선 양단에 다이오드(D1,D2) 및 콘덴서(C1,C2)로 구성된 배압정류부(1)와 다이오드(D3) 및 콘덴서(C3)로 구성된 단파정류부(2)를 연결하고, 배압정류부(1)의 출력은 트랜지스터(Q2), 제너다이오드(ZD2), 다이오드(D5) 및 저항(R2)으로 구성된 정전압부(3)의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에 연결하며, 에미터 접지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제너다이오드(ZD1)이 연결되고 콜렉터는 정전압부(3)의 제너다이도(ZD2)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접속점에 연결된 정전압차단부(4)의 제너다이오드(ZD1)에 저항(R1)을 통하여 반파정류부(2)의 출력을 연결함과 동시에 반파정류부(2)의 출력을 다이오드(D4)를 통하여 정전압부(3)의 출력에 연결하고, 정전압부(3)의 출력은 저항(R3)을 통하여 출력단자(5)에 연결함과 동시에 제너다이오드(ZD3)로 접지시켜된 배압 정류 장치용 안정화 장치.
KR2019870005365U 1987-04-15 1987-04-15 배압 정류장치용 안정화 장치 KR8900090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5365U KR890009010Y1 (ko) 1987-04-15 1987-04-15 배압 정류장치용 안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5365U KR890009010Y1 (ko) 1987-04-15 1987-04-15 배압 정류장치용 안정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0688U KR880020688U (ko) 1988-11-30
KR890009010Y1 true KR890009010Y1 (ko) 1989-12-12

Family

ID=19261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5365U KR890009010Y1 (ko) 1987-04-15 1987-04-15 배압 정류장치용 안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901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0688U (ko) 1988-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4214A (ko) 저전압 보호회로를 갖는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US5570277A (en)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US5168435A (en) Converter
US4258309A (en) Switching type power supply circuit
CA2264437C (en) Voltage regulator circuit
JPH0294500U (ko)
KR890009010Y1 (ko) 배압 정류장치용 안정화 장치
KR960016093A (ko) 스위칭전원장치
JPS5842994B2 (ja) 水平発振回路の電源装置
JPH04178U (ko)
JPS5855703Y2 (ja) 水平発振開始用電源装置
JPS6022573B2 (ja) 突入電流制限回路
KR200154084Y1 (ko) 직류전원 공급장치의 출력에러 방지회로
KR930004325Y1 (ko) 집진용 고압 발생회로
JPS6330053Y2 (ko)
KR920000518Y1 (ko) 원칩사용시 직류전압을 안정화시키는 전압 안정화회로
JPH0333182Y2 (ko)
KR970002432Y1 (ko) 스위칭모드 전원공급기
KR910005625Y1 (ko) 과전류 보호회로
KR850002485Y1 (ko) 스위칭 직류 전원장치
US4710696A (en) Control device for controllable electric valve
CA1081322A (en) Emitter follower voltage controlled power supply
SU110587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итани посто нным напр жением
JPH04165917A (ja) 過電流保護回路付きスイッチング電源
JPS63441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6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