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8596Y1 - 육묘상자 분리용 삽 - Google Patents

육묘상자 분리용 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8596Y1
KR890008596Y1 KR2019870000703U KR870000703U KR890008596Y1 KR 890008596 Y1 KR890008596 Y1 KR 890008596Y1 KR 2019870000703 U KR2019870000703 U KR 2019870000703U KR 870000703 U KR870000703 U KR 870000703U KR 890008596 Y1 KR890008596 Y1 KR 8900085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vel
seedling box
cutting
cutting blade
cutting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07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4498U (ko
Inventor
문금봉
Original Assignee
문금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금봉 filed Critical 문금봉
Priority to KR20198700007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8596Y1/ko
Publication of KR8800144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44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85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85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01C11/025Transplanting machines using seedling trays; Devices for removing the seedlings from the t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2Spades; Shovels
    • A01B1/04Spades; Shovels with tee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육묘상자 분리용 삽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에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1도는 본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사용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절단날판 2 : 절단날
3 : 보강용 만곡융기부 4 : 삽자루 연결부
5 : 삽자루 고정부 6 : 육묘상자통과용 공간
7 : 삽자루 10 : 육묘상자
11 : 경작지 12 : 매트상묘
14 : 절단날
본 고안은 이앙기로써 이앙하는데 사용되는 매트상묘를 육묘상자내에서 육성시킨 후 육묘상자의 바닥 구멍을 통해 경작지에 얽혀있는 뿌리부분을 절단하면서 육묘상자를 경작지로부터 분리해내는데 사용하는 육묘상자 분리용 삽에 관한 것이댜.
일반적으로 이앙기로써 이앙(모내기)를 하기 위해서는 뿌리가 얽혀서 하나의 매트(Mat)모양으로 되는 매트상묘를 필요로하며, 이러한 매트상묘를 육성시킴에 있어서는 바닥에 다수의 통기 및 통수공이 천공된 육묘상자에 흙을 깔고 파종한후 경작지에 놓고 육성하고 있는바, 매트상묘를 육성하는 과정에서 묘의 뿌리가 육묘상자의 바닥에 천공된 통기 및 통수공을 통해 경작지 속으로 내려와서 얽히게 되므로 매트상묘를 육성완료후 육묘상자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경작지에 얽혀있는 뿌리부분을 절단하지 않으면 분리할 수 없게 된다.
그런데 종래 매트상묘의 육성완료후 육묘상자를 분리함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삽을 이용하여 육묘상자의 바닥에 천공된 통기 및 통수공을 통해 경작지에 얽혀 있는 뿌리부분을 절단하여 분리하고 있었으나, 일반적인 삽은 삽날부분이 만곡되어 있고 날이 무디기 때문에 뿌리의 절단이 매우 곤란하며, 경작지를 깊이 파내는 식으로되어 육묘상자 바닥밑에 많은 뿌리와 흙이 얽혀 붙은 상태로 분리되므로 분리후 다시 손질하여야 하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하여 매트상묘의 육성후 육묘상자의 분리가 매우 신속, 간편하게 되며, 분리후 손질하지 않고도 많은 흙과 뿌리가 얽혀 붙지 않는 매트상묘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육묘상자 분리용 삽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에 각각 인선(2')를 보유하는 V자형절단날(2)을 형성하고 다수의 보강용 만곡융기부(3)을 형성한 절단날판(1)의 후반부에 삽자루(7)을 끼워서 고정하는 삽자루고정부(5)가 형성된 삽자루 연결부(4)를 절단날판(1)과의 사이에 육묘상자 통과용 공간(6)이 형성되게 부착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절단날판(1)과 삽자루연결부(4)는 철판으로 하여 절단날판(1)과 삽자루 연결부(4)를 용접부착하며, 삽자루 고정부(5)는 삽자루 연결부(4)와 일체로 성형한다.
즉, 삽자루 고정부(5)는 삽자루 연결부(4)에 프레스가공 및 만곡가공으로 성형하는 것이다.
삽자루(7)는 일반적인 삽에 사용되는 목재 및 금속보강식의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도면에서는 그 손잡이 부분의 도시는 생략했다.
삽자루(7)는 삽자루 고정부(5)에 선단부를 끼우고 삽자루 고정부(5)에 천공된 못구멍(8)을 통해 못(9)을 박아서 고정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육묘상자 분리용 삽은 절단날판(1)의 선단부를 육묘상자(10)와 경작지(11)과의 사이에 대고 밀어 넣으면 제2도와 같이 V자형 절단날(2)에 의하여 매트상표(12)의 뿌리(13)중 육묘상자(10)바닥의 통기 및 통수공(10')을 통해 경작지(11)에 얽혀있는 뿌리분(13')이 육묘상자(10)의 바닥밑면과 경작지(11)와의 경계부분에서 절단되면서 육묘상자(10)가 경작지(11)에서 분리되며, 육묘상자(10)의 분리된 부분은 절단날판(1)과 삽자루 연결부(4) 사이에 형성된 육묘상자 통과용 공간(6)을 통해 뒤로 빠져나오게되고, 절단날판(1)의 후단부가 육묘상자(10)를 완전히 통과하면 육묘상자(10)는 경작지(11)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절단날판(1)의 선단부를 육묘상자(10)와 경작지(11)사이에 대고 밀고나가는 것만으로써 육묘상자(10)를 경작지(11)에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육묘상자(10)의 분리가 매우 신속, 간편하게 되며, 뿌리부분(13')이 육묘상자(10)의 저면과 경작지(11)의 경계부분에서 절단되어 분리된 육묘상자(10)의 저면에는 뿌리나 흙이 얽혀 붙지 않은 상대로 되므로 손질이 필요치 않은 등 매트상묘 분리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상기 뿌리부분(13')의 절단을 일층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절단날판(1)의 V자형 절단날(2)사이에 한쌍의 인선(14')을 보유하는 절단날(14)을 그 선단이 V자형 절단날(2)의 선단보다 전방으로 연장되게 W자형으로 일체로 형성한 것이며 기타 부분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하여 육묘상자(10)를 경작지(11)에서 분리하는 것인바, 상기 V자형 절단날(2)의 사이에 한쌍의 인선(14')을 보유하는 절단날(14)을 설치하였으므로 뿌리부분(13')의 절단이 용이하며 적은 힘으로도 육묘상자(10)를 경작지(11)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선단부에 각각 인선(2')를 보유하는 V자형절단날(2)을 형성하고, 다수의 보강용 만곡융기부(3)을 형성한 절단날판(1)의 후반부에 삽자루(7)를 끼워서 고정하는 삽자루고정부(5)가 형성된 삽자루 연결부(4)를 절단날판(1)과의 사이에 육묘상자 통과용 공간(6)이 형성되게 부착하여서 된 육묘상자 분리용 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2)을 V자형으로 형성하여서 된 육묘상자 분리용 삽.
  3. 제1항에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판(1)의 V자형 절단날(2)사이에 한쌍의 인선(14')을 보유하는 절단날(14)을 그 선단이 V자형 절단날(2)의 선단보다 전방으로 연장되게 W자형으로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육묘상자 분리용 삽.
KR2019870000703U 1987-01-24 1987-01-24 육묘상자 분리용 삽 KR8900085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0703U KR890008596Y1 (ko) 1987-01-24 1987-01-24 육묘상자 분리용 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0703U KR890008596Y1 (ko) 1987-01-24 1987-01-24 육묘상자 분리용 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4498U KR880014498U (ko) 1988-09-13
KR890008596Y1 true KR890008596Y1 (ko) 1989-11-30

Family

ID=19259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0703U KR890008596Y1 (ko) 1987-01-24 1987-01-24 육묘상자 분리용 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859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4498U (ko) 1988-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5814A (en) Sub-zone tiller with offset fertilizer placement
US2594598A (en) Garden tool
US4901801A (en) Hand implement having alternately usable tooth and blade assemblies
US5765648A (en) Multipurpose garden tool
US4002207A (en) Earthworking tool with handle having triangularly arranged sides
US2040751A (en) Cultivator
US5960891A (en) Multipurpose scoop tool
CA1125523A (en) Garden tool head
US3930544A (en) Garden implement
US1946006A (en) Universal weeding implement
EP0114853A1 (en) Multi-purpose garden tool
KR890008596Y1 (ko) 육묘상자 분리용 삽
JP3219949U (ja) コテ付き草取り具
JP2000125615A (ja) 園芸用具
US4319644A (en) Row opening and row closing tool
KR200272871Y1 (ko) 칼날을 갖는 호미
US2315074A (en) Garden implement
JP4452759B1 (ja) 農具および刃
US2240705A (en) Utility tool
KR200216325Y1 (ko) 쌍의 끝단날을 가진 호미
US2771832A (en) Cultivator attachment
CN210987009U (zh) 适合水田植株移植的专用铁锹
KR20230174885A (ko) 멀칭비닐용 절단기
KR200244179Y1 (ko) 양쪽 사용이 가능한 칼날이 형성된 이랑쟁기용 보습구조
KR20230172746A (ko) 다기능 뿌리제거용 호미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