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8357Y1 - 무각도 연속용접용 아크 용접봉 - Google Patents

무각도 연속용접용 아크 용접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8357Y1
KR890008357Y1 KR2019860013067U KR860013067U KR890008357Y1 KR 890008357 Y1 KR890008357 Y1 KR 890008357Y1 KR 2019860013067 U KR2019860013067 U KR 2019860013067U KR 860013067 U KR860013067 U KR 860013067U KR 890008357 Y1 KR890008357 Y1 KR 8900083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rod
arc
metal rod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30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296U (ko
Inventor
김길재
Original Assignee
김길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길재 filed Critical 김길재
Priority to KR20198600130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8357Y1/ko
Publication of KR8800042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2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83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83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4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insulated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55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welding
    • B23K35/0261Rods, electrodes, 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각도 연속용접용 아크 용접봉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 단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가-가"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횡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용접봉의 연결상태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실시 상태도.
제8도는 제7도의 "A"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금속봉 1' : 팁
2 : 피복층 3 : 용접봉
4 : 위치확인선 5 : 동피막층
6 : 아크차단층 7 : 삽입공
8 : 접착테이프
본 고안은 수동아크 용접에 사용하는 수동용접봉을 용접할 용접면에 단독 또는 다수개를 연결시켜 대접시 후무각도 상태에서 연속으로 자동용접작업을 할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무각도 연속용접용 아크용접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용하는 수동아크용접봉은 이를 사용함에 있어서 용접자가 용접봉을 한개씩 용접더에 장착하여 일정한 각도로 유지시키면서 용접하게되므로 용접자가 일일히 용접 해야하는 작업상의 불편과 번거러움이 있을 뿐 아니라 용접자가 눈과 건강을 해치며 또한 협소한 곳에서는 용접이 곤란한 결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용접봉의 구조를 보면 금속봉의 외면을 후락스로서 피복하되 금속봉이 피복제의 중심에 오도록 된 것이므로 용접시 아크가 사방으로 발생하여 일정한 각도로서 용접봉을 유지시키지 않으면 용접이 불가능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용접용 금속봉의 위치를 편심되게 형성하여 금속봉의 용접면에 근접되도록 하고 홀더 장착용 끝부분을 일정각도로 절곡시킴과 동시에 끝부분에 아크소멸용 세라믹을 일체로 삽입시켜 용접봉을 가공면에 대접시킨 상태에서 자동으로 용접되게하고 용접봉이 다 소모되면 자연적으로 아크 발생을 차단시키므로서 종래의 결점을 일소한 것이데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금속봉(1)의 외면에 피복층(2)을 형성한 용접봉(3)을 형성함에 있어서 금속봉(1)을 피복층(2)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하여 금속봉(1)과 피복층(2)의표면거리가 가장 먼위치의 피복층 표면에 위치 확인선(4)을 표시하고 금속봉(1)의 팁(1')은 동피막층(5)을 형성하며 팁(1')의 위차한 용접봉(3)의 끝단에는 세라믹과 같은 절연 물질로서 아크차단층(6)을 일체로 형성하고 용접봉(3)의 선단 내부에는 팁(1')이 감삽될수 있는 삽입공(7)을 요설하여 용접봉(3)을 서로 연결시킬수 있게 하며 내열성의 접착테이프(8)를 사용하여 용접면(9)에 접착살수 있게 하여서 되는 것이다.
그리고 용접봉(3)은 편심된 금속봉(1)의 가장 가까운 피복층(2)의 일면에 수평면(10)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9'는 피용접물이고 11은 용접기 이며 12는 접지용 집게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용접봉(3)을 길게 형성하여 한개로서 사용할수도 있고 여러개의 용접봉(3)을 선단의 삽지공(7)에 제5도 및 제6도와 같이 동피막층(5)이 형성된 팁(1')을 삽입 연결시키므로서 연속적으로 사용할수도 있는 바 연결하는 팁(1')의 외면에 동피막층(5)이 피복되어 열전도를 우수하게 도와주므로 연결된 상태에서 연속적인 용접이 가능하다.
여기서 여러개의 용접봉(3)을 연결시켜 사용할때에는 접지용 집게(12)에 의해 협지되는 끝단의 용접봉(3)만 팁(1')과 아크차단층(6)이 형서된 것을 사용하고 나머지 용접봉(3)은 팁(1')과 아크차단층(6)이 형성되지 않고 서로 연결되는 삽입공(7)만 형성시킨 용접봉(3)으로 연결 사용하면 된다.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금속봉(1)을 중심에서 치우쳐 일측으로 편심시키되 금속봉(1)과 피복층(2)의 표면 거리가 가장 먼위치의 피복층표면에 위치확인선(4)을 표시한것이므로 위치 확인선(4)은 ㄴ자 형성으로된 피옹접물(9')의 중간 즉 45위치에 오도록 대접 시키면 금속봉(1)은 용접면(9)과 가장 가까운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므로 이상태에서 내열성의 접착테이프(8)로서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키고 절곡된 팁(1')을 용접기(11)에 연결시킨 용접선의 접지용집게(12)로서 접지고정시킨후 용접봉(3)의 선단에 전류를가하게 되면 금속봉(1)이 피복층(2)의 중심에서 편심되어 용접면(9)과 가장 가까운 상태에 있으므로 아크의 발생을 제8도와 같이 하부로 형성되어 연속으로 연결된 용접봉(3)을 따라 아크가 발생되어 연속적인 용접이 이루어지므로 용접봉(3)이 용접면(9)에 대접된 무각도 상태에서도 용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상태로서 자동적으로 용접이 진행되다가 아크 차단층(6)이 형서된 부위에 도달하면 아크차단층(6)이 세라믹등과 같은 전연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아크발생이 자동적으로 소멸되어 용접 작업이 중단되어 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금속봉(1)을 피복층(2)의 중심으로부터 편심시켜서 되는 것이므로 금속봉(1)에 의해 발생되는 아크가 용접면(9)을 향해 분출되어 용접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용접봉(3)을 용접면(9)에 대접시킨 무각도 상태에서도 용접이 이루어지므로 자동용접이 가능하여 수동작업에 의한 각종 폐해를 방지하고 작업능률이 향상되며 협소한 곳에서도 용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금속봉(1)의 외면에 피복층(2)을 형성한 용접봉(3)을형성함에 있어서 금속봉(1)을 피복층(2)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하여 금속봉(1)과 피복층(2)의 표면거리가 가장 먼위치의 피복층 표면에 위치확인선(4)을 표시하고 팁(1')이 위치한 용접봉(3)의 끝단에는 절연재의 아크차단층(6)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되는 무각도 연속용접용 아크 용접봉.
KR2019860013067U 1986-08-26 1986-08-26 무각도 연속용접용 아크 용접봉 KR8900083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3067U KR890008357Y1 (ko) 1986-08-26 1986-08-26 무각도 연속용접용 아크 용접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3067U KR890008357Y1 (ko) 1986-08-26 1986-08-26 무각도 연속용접용 아크 용접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296U KR880004296U (ko) 1988-05-07
KR890008357Y1 true KR890008357Y1 (ko) 1989-11-25

Family

ID=19255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3067U KR890008357Y1 (ko) 1986-08-26 1986-08-26 무각도 연속용접용 아크 용접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835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296U (ko) 1988-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8286B2 (en) Versatile continuous welding electrode for short circuit welding
KR910021284A (ko) 소모전극식 아크용접 방법 및 장치
DE69927640D1 (de) Verfahren zum pulsförmigen Lichtbogenschweissen mit abschmelzender Drahtelektrode
US4896019A (en) Electric soldering iron for simultaneously soldering or desoldering a row of integrated circuit leads
EP0025990A1 (en) Non-consumable composite welding electrode
KR890008357Y1 (ko) 무각도 연속용접용 아크 용접봉
JP3739870B2 (ja) 複数電極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ワイヤ送給装置
US6936785B2 (en) Welding construction and a weld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032479B1 (ko) 접촉 팁 및 이를 구비하는 용접 장치
JP3767198B2 (ja) 横向き溶接用tig溶接トーチ
RU2038937C1 (ru) Способ лазерной сварки
JPH11147175A (ja)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方法
US2269369A (en) Process and device for electric arc welding
KR200433671Y1 (ko) 자석 용접 접지장치
EP0219285B1 (en) Assembly of a substrate, an electrical device and a terminal
US3140384A (en) Starting block for arc welding
CN215643904U (zh) 载板型点火桥丝电阻
JP2004276084A (ja) 消耗電極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トーチ
JP3023638B2 (ja) Tig溶接用トーチ
JP3700405B2 (ja) Tig溶接トーチ
JPS598858Y2 (ja) Tig溶接用ト−チ
KR19990032632U (ko) 서브 머어지드 아크 용접기용 용접팁
JP3283142B2 (ja) ホットワイヤ−送給溶接装置
JP6726139B2 (ja) 部材の製造方法
JP2733335B2 (ja) 多線束摺動ブラシ素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24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