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7751Y1 - 렌치 - Google Patents

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7751Y1
KR890007751Y1 KR2019870001374U KR870001374U KR890007751Y1 KR 890007751 Y1 KR890007751 Y1 KR 890007751Y1 KR 2019870001374 U KR2019870001374 U KR 2019870001374U KR 870001374 U KR870001374 U KR 870001374U KR 890007751 Y1 KR890007751 Y1 KR 8900077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rack
movable
wrench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13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6006U (ko
Inventor
김호갑
Original Assignee
김호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갑 filed Critical 김호갑
Priority to KR20198700013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7751Y1/ko
Publication of KR8800160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60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77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7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10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 B25B13/12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the jaws being slidable
    • B25B13/14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the jaws being slidable by rack and pinion, worm or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58Jaw attach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057Socket or nut ejecto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렌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이동협지구를 제외한 렌치 본체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동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보호의 설명
1 : 사각돌부 2 : 렌치 본체
3 : 사각공 4 : 소켓
5 : 안내로 6, 6' : 이동협지구
7 : 베벨기어 8 : 랙
9 : 축봉 10 : 나조
11 : 조절구 12 : 기어
13 : 구멍
본 고안은 볼트의 크기에 대응하는 여러 규격의 소켓을 갖출 필요없이 조절구의 회전에 의한 이동협지구를 조절작동으로 각종 크기의 볼트를 간편하게 체. 해결할 수 있는 렌치의 관한 것이다.
종래의 렌치는 볼트 너트의 크기에 따른 다수개의 소켓을 공구함에 배치하여 볼트 크기에 맞는 소켓을 조립하여 사용하므로 교체에 따른 불편과 번거로움이 수반되고 규격에 맞는 소켓을 여러번 맞추어보아야 하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지 않을뿐 아니라 항상 무거운 소켓함을 휴대해야 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한개의 렌치로서 규격에 따른 소켓을 일일히조립하지 않고 볼트를 협지하는 이동협지구를 조절구의 회전으로 작동시켜 어떤 규격의 볼트라도 협지할수 있게 하므로서 종래의 결점을 일소한 것인데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사각돌부(1)를 형성한 렌치 본체(2)에 있어서 사각돌부(1)의 삽입용 사각공(3)을 상부에 뚫은 소켓(4)의 하부에 안내로(5)를 횡설하여 이에 2개 1조로 된 이동협지구(6)(6')를 활삽되게 끼우고 이동협지구(6)(6')의 상부에는 베벨기어(7)가 일단에 착설된 랙(8)을 축봉(9)으로 축설하여 이동협지구(6)(6')의 상면에 형성한 나조(10)와 나사맞춤하며 소켓(4)의 외면에는 조절구(11)를 관착하되 그 내면 상부에 환설한 기어(12)를 소켓(4)에 뚫은 구멍(13)으로 노출시킨 랙(8)의 베벨기어(7)와 치합시켜 조절구(11)의 회전으로 이동협지구(6)(6')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한 구조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4는조절구(11)가 빠지지 않도록 소켓(4)의 홈(15)에 끼우는 스냅링이고 16은 사각돌부(1)가 형서된 회동구이며 17은 라쳇트포올이고 18은 조절노브이며 19는 연결구이고 20은 눈금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소켓(4)의 상부에 형성한 사각공(3)에 렌치 본체(2)의 사각돌부(1)를 삽설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볼트의 두부를 협지하는 이동협지구(6)(6')가 랙(8)과 나사맞춤되어 있고 랙(8)은 그 일단의 베벨기어(7)가 소켓(4)의 구멍(13)으로 노출되어 조절구(11) 내면의 기어(12)와 치합되어 있으므로 조절구(11)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기어(12)의 회전으로 베벨기어(7)가 회전함에 따라 이와 일체로 된 랙(8)이 축설된 그 상태에서 좌우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나조(10)를 매개로 랙(8)에 치합된 이동협지구(6)(6')가 안내로(5)의 내부에서 랙(8)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어 간격이 넓혀지거나 좁혀지게 되는 것이다.
랙(8)은 치합되는 이동협지구(6)(6')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동되어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혀져야 하므로 중앙을 기점으로 나선방향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삭성하여야 랙(8)이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여도 이동협지구(6)(6')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깊은곳에 있는 볼트 너트를 체.해결시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연결구(19)를 사용하여 작동시킬 수 있으며 조절구(11)의 상면에는 눈금(20)이 표시되어 볼트의 두부 크기에 맞도록 협지구(6)(6')의 간격을 쉬이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볼트의 크기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소켓을 필요로 하지 않고 조절구(11)의 회전에 의한 이동 협지구(6)(6')의 조절로서 어떤 크기의 볼트라도 협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은 번거로운 폐단이 일거에 해소되고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사각돌부(1)를 형성한 렌치 본체(2)에 있어서 사각돌부(1)의 삽입용 사각공(3)을 상부에 뚫은 소켓(4)의 하부에 안내로(5)를 횡설하여 이에 2개 1조로 된 이동협지구(6)(6')를 활삽되게 끼우고 이동협지구(6)(6')의 상부에는 베벨기어(7)가 일단에 착설된 랙(8)을 축봉(9)으로 축설하여 이동협지구(6)(6')의 상면에 형성한 나조(10)와 나사맞춤하여 소켓(4)의 외면에는 조절구(11)를 관착하되 그 내면 상부에 환설한 기어(12)를 소켓(4)에 뚫은 구멍(13)으로 노출시킨 랙(8)의 베벨기어(7)와 치합시켜 조절구(11)의 회전으로 이동협지구(6)(6')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한 렌치.
KR2019870001374U 1987-02-07 1987-02-07 렌치 KR8900077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1374U KR890007751Y1 (ko) 1987-02-07 1987-02-07 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1374U KR890007751Y1 (ko) 1987-02-07 1987-02-07 렌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6006U KR880016006U (ko) 1988-10-07
KR890007751Y1 true KR890007751Y1 (ko) 1989-10-31

Family

ID=19259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1374U KR890007751Y1 (ko) 1987-02-07 1987-02-07 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77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329A (ko) * 2015-07-02 2017-01-1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급수 펌프의 케이스 분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329A (ko) * 2015-07-02 2017-01-1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급수 펌프의 케이스 분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6006U (ko) 198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04004027T2 (de) Haltevorrichtung für ein kraftbetriebenes Handwerkzeug, mit einem verstellbaren Wagen mit Behälter
DE3929120A1 (de) Tragbare elektrische werkzeugmaschine
WO1995035067A3 (en) A bone screw for osteosynthesis
EP0123155A1 (de) Oberfräse
GB1228631A (ko)
EP0334002A3 (en) Thread milling cutter
US3730636A (en) Boring head
DE2362458A1 (de) Schlagschrauber mit eingebautem druckluftmotor mit einem fuer nur eine drehrichtung wirksamen einstellbaren drosselventil
US4474512A (en) Milling tool with adjustable cutter bit
KR890007751Y1 (ko) 렌치
DE1928954A1 (de) Bohrfutter
US4598480A (en) Multi-position stop-gauge
US3782849A (en) Boring head
DE3900505A1 (de) Abfasmaschine fuer werkstuecke
US5193950A (en) Adjustable boring head
US3794437A (en) Boring head with axial adjustment means
JPH0334936B2 (ko)
DE4419668C1 (de) Fräswerkzeug
DE2931508A1 (de) Rundlaufendes, spanabhebendes werkzeug
DE4227268A1 (de) Werkzeughalter
DE3347764A1 (de) Oberfraese
KR840001505Y1 (ko) 너트의 이완 방지용 스냅링
DE3611518C2 (de) Fräsgerät für dentale Zwecke mit einem in den drei Raumebenen durch Gelenke und Gleitflächen bewegbaren Fräswerkzeug
DE3239192A1 (de) Vorrichtung zum einfraesen einer schraubenfoermigen nut in die seitenwand eines vorgebohrten loches
KR0133074Y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탭렌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