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7689A - 내전 조절장치를 갖춘 운동화 - Google Patents

내전 조절장치를 갖춘 운동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7689A
KR890007689A KR1019880014621A KR880014621A KR890007689A KR 890007689 A KR890007689 A KR 890007689A KR 1019880014621 A KR1019880014621 A KR 1019880014621A KR 880014621 A KR880014621 A KR 880014621A KR 890007689 A KR890007689 A KR 890007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cushioning
plate
rigid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4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5015B1 (ko
Inventor
킬고리 브루스 제이
로버트 숀튼 마틴
Original Assignee
원본미기재
나이키 인터내셔날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본미기재, 나이키 인터내셔날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원본미기재
Publication of KR890007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5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50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4Insertions or other supports preventing the foot canting to one side , preventing supination or pro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내전 조절장치를 갖춘 운동화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화의 측면도,
제2도는 점선으로 표시한 내전 조절장치를 갖는, 제1도에 따른 운동화의 평면도,
제3도는 내전 조절장치의 투시도.

Claims (37)

  1. 신발착용자 발의 내전운동을 조절하기 위한 내전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신발에 사용되는 완충밑창에 있어서, 상기 밑창은 적어도 뒤꿈치 부분과 아치현 부분을 따라 연장하는 밑창부재를 포함하며, 밑창부재는 압축 가능하며 탄성이 있어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며 그 중간측 인접구역에 밑창부재의 압축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도록 설치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서 내전운동을 조절하게 되며 내압축성 증가 수단은 대체로 비압축성 물질로 형성되고 밑창부재의 수직 확자부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수직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부재는 적어도 일부는 폼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부재는 개스충전된 유연한 블래더 형태의 삽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부재는 대체로 상기 폼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칼럼은 상기 칼럼의 수지굼힙이 제한된 정도로 가능하게 하도록 스프링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칼럼은 비교적 단단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은 적어도 65의 쇼어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완충용 밑창.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압축성 증대수단은 밑창의 측면에서 중간축까지 상기 밑창부재의 내압축성을 점차로 증가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9. 제8항에 있어서,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된 적어도 2개의 상기 칼럼과 사기 내압축성 증가수단은 상기 칼럼들 사이와 측방으로 캔틸레버방식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와 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은 상기 칼럼의 상부에 인접산 곳에서 부터 상기 밑창부재의 상부에 인접한 구역을 따라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과 판은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단일의 일체로된 부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완충용 밑창.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다수의 분리된 판부재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은 다수의 분리된 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에는 캡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15. 상부와 상기 상부에 부착되는 제1,2,3 또는 4항에 따라 완충용 밑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6. 상부와 상기 상부에 부착되는 제1항에 따른 완충용 밑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7. 신발착용자 발의 내전운동을 조절하기 위한 내전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신발에 사용되는 완충 밑창에 있어서, 상기 밑창은 적어도 뒷꿈치 부분과 아치형 부분을 따라 연장하는 밑창부재를 포함하며 밑창부재는 압축가능하며 탄성이 있어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며, 내전운동을 조절하기 위해 측면에서 그 중간축의 최대 인접구역까지 밑창부재의 압축에 대한 내성을 점차로 증가시키도록 설치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내전운동을 조절하게 되며, 상기 내압측성 증가 수단은 대체로 비압축성 물질로 형성되고 밑창부재의 수직 확장부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수직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내압축성 증가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강체 보재로 부터 밑창부재의 측면가지 캔틸레버 방식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체부재 상부에 인접한 곳에서 부터 상기 밑창부재의 사우에 인접한 구역을 따라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20. 제18항에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은 상기 밑창부재의 둣꿈치 구역의 중심선을 지나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은 상기 밑창부재의 측면에 인접한 구역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완충용 밑창.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내압축성 증가 수단은 종방향으로서로 이격 배치된 적어도 2개의 강체부재와 적어도 2개의 상기 강체부재로 부터 상기 밑창부재의 측면으로 그리고 이들 사이에서 캔틸레버 방식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완충용 밑창.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은 다수의 분리된 판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는 상기 강체부재의 상부에 인접한 곳에서 상기 밑창부재의 상부에 인접한 구역을 따라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폼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부재는 개스충전된 블래더로 구성된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몇개의 판부재는 서로 연결된 중간단부와 각 중간 단부로 부터 점차로 테이퍼 지는 주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의 중심에는 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29. 제24항에 있어서, 적어도 몇개의 상부 판부재는 각 판부재의 하방 만곡부에 의해 상기 가체부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30. 제18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가체부재는 칼럼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밑창.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은 중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강체부재와 상기 칼럼은 적어도 65의 쇼어 D경도를 갖는 단단한 플라스틱으로 단일의 일체 부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밑창.
  33. 상부와 이에 부착되는 제17,18 또는 제22항에 따른 완충용 밑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34. 상부와 이에 부착되는 완충용 밑창을 포함하는 착용자발의 내전운동을 조절하기 위해 내전 조절장치를 구비한 신발에 있어서, 상기 완충용 밑창은 신발 앞부분을 따라서 연장하는 밑창부재를 포함하며, 밑창부재는 압축가능ㅎ며 탄성이 있어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며, 내전운동을 조절하기 위해 측면에서 그 중간축의 최대 인접 구역까지 밑창부재의 압축에 대한 내성을 점차로 증가시키도록 설치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내전운동을 조절하게 되며 상기 내압축성 증가 수단은 대체로 비압축성 물질로 형성되고 밑창부재의 수직 확장부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수직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체부재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판은 적어도 2개의 상기 강체 부재의 상부에 인접한 곳으로부터 또한 이들 사이에서 상기 밑창부재의 둣꿈치 구역의 중심선을 지나는 구역으로 향하는 상기 밑창부재의 측면으로 캔틸레버 방식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강체 부재는 중공형 칼럼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판은 다수의 분리된 판부재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신발.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칼럼과 상기 판 부재는 단단한 프라스틱으로 구성된 단일의 일체로 된 부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37. 제34,35 또는 36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폼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80014621A 1987-11-06 1988-11-05 발뒤꿈치 운동의 조정장치를 갖춘 운동화 KR9500150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566187A 1987-11-06 1987-11-06
US115,661 1987-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689A true KR890007689A (ko) 1989-07-05
KR950015015B1 KR950015015B1 (ko) 1995-12-21

Family

ID=22362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4621A KR950015015B1 (ko) 1987-11-06 1988-11-05 발뒤꿈치 운동의 조정장치를 갖춘 운동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315340B1 (ko)
KR (1) KR950015015B1 (ko)
AT (1) ATE118312T1 (ko)
DE (1) DE385304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6267A (en) * 1987-11-06 1991-09-10 Nike, Inc. Athletic shoe with pronation control device
DE10000207A1 (de) * 2000-01-05 2001-07-12 Juergen Stumpf Fußbett
DE10164863B4 (de) * 2001-03-16 2017-11-09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Schuhsohle und Schuh
ITTO20050427A1 (it) 2005-06-16 2006-12-17 Diadora Invicta S P A Calzatura con sistema di stabilizzazione regolabile, particolarmente per il controllo della pronazione e/o supinazion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29258A1 (de) * 1980-08-01 1982-04-01 Adidas Sportschuhfabriken Adi Dassler Kg, 8522 Herzogenaurach Sohle fuer sportschuhe, insbesondere zur verwendung auf harten bahnen und geraet zum einsetzen eines stuetzkoerpers in die sohle
JPS58165801A (ja) * 1982-02-10 1983-09-30 トレトルン・アクチェボラーグ 運動靴
JPS59103605U (ja) * 1982-12-28 1984-07-12 美津濃株式会社 運動靴の靴底
US4490928A (en) * 1983-07-22 1985-01-01 Mizuno Corporation Mid-sole of a shoe
DE8423344U1 (de) * 1984-08-06 1984-10-31 Puma-Sportschuhfabriken Rudolf Dassler Kg, 8522 Herzogenaurach Schuhsole mit einer aus mehreren Schichten bestehenden Zwischensoh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118312T1 (de) 1995-03-15
EP0315340A2 (en) 1989-05-10
EP0315340A3 (en) 1990-10-10
DE3853042T2 (de) 1995-07-20
DE3853042D1 (de) 1995-03-23
KR950015015B1 (ko) 1995-12-21
EP0315340B1 (en) 1995-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6267A (en) Athletic shoe with pronation control device
US5247742A (en) Athletic shoe with pronation rearfoot motion control device
US7383647B2 (en) Mechanical cushioning system for footwear
US6694642B2 (en) Shoe incorporating improved shock absorption and stabilizing elements
US4852274A (en) Therapeutic shoe
US8171656B2 (en) Sole structure of a sports shoe
EP1871188B1 (en) Mechanical cushioning system for footwear
US4262433A (en) Sole body for footwear
US11553755B2 (en) Sole structure for a shoe
US5806209A (en) Cushioning system for a shoe
US6598320B2 (en) Shoe incorporating improved shock absorption and stabilizing elements
US5425184A (en) Athletic shoe with rearfoot strike zone
US20060123664A1 (en) Insole having multiple energy sources
US9386821B2 (en) Sole
US5921004A (en) Footwear with stabilizers
KR870002786A (ko) 스포츠화의 신발창 구조
JPH08173207A (ja) 靴用外底
KR101980092B1 (ko) 다중경도 힐 쿠션을 구비한 신발용 인솔
US7966749B2 (en) Multi-chamber cushion for footwear
KR890007689A (ko) 내전 조절장치를 갖춘 운동화
KR102040870B1 (ko) 전후방밑창이 이격되게 부착되는 기능성신발
KR20230001869U (ko) 기능성 신발
KR101693773B1 (ko) 보행의 특성을 고려한 신발
KR102669068B1 (ko)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
KR102670412B1 (ko) 아치 스프링 결합 구조의 신발 물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