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7566A - 비데오 카메라 - Google Patents

비데오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7566A
KR890007566A KR1019880013139A KR880013139A KR890007566A KR 890007566 A KR890007566 A KR 890007566A KR 1019880013139 A KR1019880013139 A KR 1019880013139A KR 880013139 A KR880013139 A KR 880013139A KR 890007566 A KR890007566 A KR 890007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
focusing
lens
video camera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3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3714B1 (ko
Inventor
요시아끼 히라오
류이찌로 구가
마사유끼 요네야마
슈스께 오노
Original Assignee
다니이 아끼오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이 아끼오,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이 아끼오
Publication of KR890007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7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데오 카메라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 1 도는 본 발명의 첫째 실시예에 따른 비데오 카메라의 블록도.

Claims (17)

  1. 비데오 카메라는 피사체의 영상을 포촉하기 위해 상기 피사체에서 광선을 조절하는 초점조절 렌즈를 포함한 촬영렌즈와 상기 촬영렌즈를 통하여 형성된 영상을 전기신호로 전환하는 영상포촉수단을 포함하는 촬영수단 ; 상기 전기 신호를 거기에서 비데오신호를 획득하기 위하여 진행하는 단일진행수단 ; 상기 비데오 신호에서 상기 영상포촉 수단상의 영상의 초점상태를 탐지하고 탐지된 초점상태를 지시하는 초점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초점탐지 수단 ; 상기 촬영렌즈의 광축을 따라 상기 초점 조절렌즈를 움직임으로서 초점조절을 하고 상기 촬영수단을 상기 영상포착수단상의 영상의 초점상태의 주기적인 변화인 보조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초점신호를 변화시켜 주도록 구동하는 구동수단 ; 제어수단은 구동수단에 지령을 보내어 상기기 보조진동을 발생하여 소정주기 동안 상기 보조진동에 의해 발생된 상기 초점신호의 변화로부터 상기 초점렌즈가 이동되게하는 합초방향을 탐지하며, 다른 지령을 상기 구동수단에 보내어 상기 합초 방향내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초점렌즈가 움직이는 합초 제어작동을 실행하여 상기 초점조절 상태가 최적상태로 되게하는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탐지수단은 비데오신호의 특정 주파수 이상의 고주파 요소를 추출하고 상기 고주파 요소로부터 상기 초점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카메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탐지수단은 상기 비데오신호의 특정주파수 이상의 고주파요소를 추출하고, 상기 비데오 신호의 각 휠드에서 상기 고주파 요소의 최대치를 계산하고, 상기 초점신호로서 상기 최대치를 출력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초점신호를 보유하고 계속적인 휠드에서의 초점신호 사이의 차이를 계산하고, 상기 초점상태는 상기 차이에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카메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촬영렌즈의 광축을 따라 현위치에서 상기 영상포착수단이 전후로 진동하여 상기 보조 진동을 발생하는 보조진동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카메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초점조절렌즈가 상기 제어수단 제어하에 상기 촬영렌즈의 광축을 따라 현위치에서 전후 방향으로 진동하게 하여 상기 보조진동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카메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진동은 상기 비데오 신호의 휠드 시간의 정수 배수에 일치하는 주기를 갖고 있고, 상기 초점탐지수단은 상기 영상포촉 수단의 위치에 관한 상기 초점렌즈의 현위치와 상기 현위치의 전후 같은 위치내에 초점신호를 얻기 위해 각 휠드내에 초점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카메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구동수단으로 하여금 보조진동이 합초 방향을 탐색하게 하고 그 후에 상기 구동수단이 비데오 카메라에 맨처음 전력이 공급되었을 때 상기 합초제어 조작을 시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카메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구동수단이 상기 합초 방향을 탐지하기 위한 보조진동을 일으키고 그후에 상기 구동수단이 피사체와 비데오 카메라 사이의 상대 위치가 합초상태를 제공하는 위치로부터 변경될 때 합초 제어 조작을 시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카메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구동수단으로 하여금 합초 방향을 탐지키 위하여 보조진동을하게 하고 그 후에 상기 구동수단이 합초상태가 한번 얻어진뒤 미리 설정된 양에 의하여 초점신호의 수준이변화할 때 합초제어 조작을 수행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카메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구동수단이 보조진동을 계속적으로 하게하고 피사체의 운동과 합초상태가 한번 얻어진 뒤에 비데오 카메라의 운동을 계속 감시하고, 그 후에 초점신호의 수준이 이미 설정된 양으로 변화될 때, 상기 제어수단은 합초방향을 탐지하고 상기 구동수단으로 하여금 합초제어조작을 수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카메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초제어조작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구동수단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보조진동을 발생하고 합초방향을 탐지하도록 합초제어 조작을 단절시키고 그후에 다시 상기 구동수단이 탐지된 합초방향에 따라 합초제어조작을 수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카메라.
  12. 제 2 항에 있어서, 초점신호의 수준이 상기 합초 제어조작시 미리 설정된 수준 이상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구동수단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에 합초제어 조작을 단절시키며 상기 보조진동이 합초 방향을 탐지케하고 그후에 다시 상기 구동수단이 합초 제어조작을 이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카메라.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보조진동을 위하여 복수의 진폭치를 그속에 저장하고 있고 이것은 먼저 상기 구동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복수 진폭치에서 최소 진폭일 때 적어도 1주기로 현위치에서 상기 초점렌즈가 전후로 진동하게 하고, 상기 구동수단이 각 진폭치에서 초점조절렌즈를 진동하게 하며 그 동안에 진폭치가 상기 합초방향에 탐지될때까지 계속적으로 더 크게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카메라.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보조진동시 복수의 진폭치를 그속에 저장하고 피사체의 휘도에 따라 상기 복수 진폭치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카메라.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보조진동시 복수의 진폭치를 그속에 저장하고 촬영렌즈에 부착된 조리개의 구경 사이즈에 따라 상기 복수 진폭치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카메라.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보조진동시 복수의 진폭치를 그속에 저장하고 상기 초점탐지 수단에 의하여 탐지된 상기 초점신호 수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진폭치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카메라.
  17. 제 1 항에 있어서, 촬영렌즈는 줌렌즈로서 피사체 끝에서 차례로 정굴절력을 가진 첫째 렌즈 그룹, 부굴절력과 또한 영상확대 변화 기능을 갖고 있는 둘째 렌즈 그룹, 상기 첫째 둘째 렌즈 그룹의 전체굴절력을 제거하는 굴절력을 지닌 셋째 렌즈 그룹, 그리고 정굴절력과 또한 초점조절 기능을 갖는 넷째 렌드 그룹, -여기서 넷째 그룹은 상기 초점조절 렌즈로 사용된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카메라.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80013139A 1987-10-08 1988-10-08 비데오 카메라 KR9200037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419587 1987-10-08
JP62-254199 1987-10-08
JP?62-254195 1987-10-08
JP?63-207604 1988-08-22
JP20760488 1988-08-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566A true KR890007566A (ko) 1989-06-20
KR920003714B1 KR920003714B1 (ko) 1992-05-09

Family

ID=26516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3139A KR920003714B1 (ko) 1987-10-08 1988-10-08 비데오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7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216B1 (ko) * 2001-04-26 2003-10-17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촬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21404B2 (ja) * 2009-12-22 2015-05-20 キヤノン株式会社 焦点検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216B1 (ko) * 2001-04-26 2003-10-17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촬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714B1 (ko) 199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5733B1 (ko) 오토포커스 기능을 갖는 비디오 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KR890001354A (ko) 영상신호에 기인해서 초점의 자동정합을 행하는 영상 포커스 장치
DE69428686T2 (de) Bildaufnahme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stimmung von fokusinformationen
KR920000194A (ko)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촛점의 자동 정합을 행하는 오토 포커스장치
KR880010604A (ko) 영상 신호에 기인해서 초점의 자동 정합을 행하는 오토포커스 회로
JP2005049577A (ja) 焦点調節システム、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S5576309A (en) Automatic focusing device
KR910009562B1 (ko) 비디오 카메라등의 자동 초점 맞춤 장치
JP2000266995A (ja) 顕微鏡合焦点検出方法
KR890007566A (ko) 비데오 카메라
JP2012154978A (ja) 液体レンズの駆動方法及び液体レンズを用いた撮像装置
KR970705289A (ko) 포커스 제어방법 및 비디오 카메라 장치(Focus control method and video camera apparatus)
JPH07248446A (ja)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
CN102540389A (zh) 透镜系统
JPH0783447B2 (ja) 自動焦点調節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ビデオカメラ
JP3153350B2 (ja) 自動焦点合わせ機能を備えた電子顕微鏡
JP2016142895A (ja) 合焦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撮像装置
JP2019200398A (ja) 撮像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100208713B1 (ko) 오토 포커스 장치 및 방법
JP2511865B2 (ja) 自動焦点調整装置
JP2816308B2 (ja) ビデオカメラの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
JPS59111479A (ja) 自動焦点装置
JPS62299926A (ja) オ−トフオ−カス装置
JP2762908B2 (ja) レンズ焦点制御装置
JP7116561B2 (ja) 撮像システム、撮像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4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