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6954Y1 - 고리 - Google Patents

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6954Y1
KR890006954Y1 KR2019870004448U KR870004448U KR890006954Y1 KR 890006954 Y1 KR890006954 Y1 KR 890006954Y1 KR 2019870004448 U KR2019870004448 U KR 2019870004448U KR 870004448 U KR870004448 U KR 870004448U KR 890006954 Y1 KR890006954 Y1 KR 8900069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s
ring
locking piece
ring lock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44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7430U (ko
Inventor
시로 가와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가와베 긴조꾸 쇼까이
시로 가와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가와베 긴조꾸 쇼까이, 시로 가와베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가와베 긴조꾸 쇼까이
Publication of KR8800074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74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69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9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2Arrangement of fasteners of press-button or turn-button fasteners
    • A45C13/123Arrangement of fasteners of press-button or turn-button fasteners of press-butt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03Fastener constructions
    • A44B18/0015Male or hook element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리
제1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를 도시하는 전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를 도시하는 가방에 설치한 상태의 전체사시도.
제3도 밑에서 본 주요부의 전체분해사시도.
제4도 밑에서 본 주요부의 분해사시도.
제5도는 밑에서 본 상하부 슬라이더 판의 사시도.
제6도는 제1도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7도는 제1도의 B-B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8도는 제1도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9도는 제6도의 D-D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0도는 제6도의 E-E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1도는 제6도의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2도는 로크상태의 주요부의 횡단평면도.
제13도는 고리해제작용을 도시하는 횡단평면도.
제14도는 고리해제상태의 횡단평면도.
제15도는 제3도의 G-G선을 따라 취한 확대단면도.
제16도는 제6도의 H-H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리잠금편 2 : 본체
3 : 가방덮게 4 : 가방본체
14 : 상부틀 15 : 하부틀
17 : 아암 17a : 절곡부
20 : 개구부 20a : 브리지
20b : 돌기 21 : 상부측 슬라이더판
22 : 하부측 슬라이더판 29 : 아암
29a : 팽출부 32 : 안내아암
41 : 스프링
본 고안은 가방 등에 설치되는 로크기구를 갖춘 고리에 관한 것이며 특히 상세하게는 고리잠금, 고리해제를 확실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고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방 등에는 고리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고리는 가방덮개측에 설치되는 고리잠금편과 가방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고리잠금편과 끼워맞춤되는 고리본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런 종류의 고리로써 종래의 각종 구조물이 제안되며 그 소재로써 금속 또는 합성수지 등 각종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런종류의 고리는 구조가 복잡하거나 조작이 성가신 경우가 많고 길이 맞춤부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거나 마모하여 이른바 망가져서 길이맞춤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또 부품갯수가 많고 제조공정도 많아서 비용이 높게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리의 주요부분을 합성수지로 각각 일체 형성함으로써 구조를 간략화하며 조작성이 우수한 구조를 채용하였다.
상술한 구조를 채용하면 고리는 생산이 쉽고 사용하기 편리해지며 비용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도시하는 실시예에 기초해서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으로 이루어지는 고리는 고리잠금편(1)과 본체(2)로 구성되어 있다.
고리잠금편(1)은 가방덮개(3) 측에 고정되며 본체(2)는 가방본체(4) 측에 고정된다.
고리잠금편(1)은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있으며 큰 면적의 상부판(5)과 작은 면적이며 길이가 짧은 하부판(6)을 가지며 양자간에 가방덮개(3)의 선단이 밀어넣어진다.
상부(5)의 후단측에는 상부측으로 향해서 만곡된 굴곡부(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상부판(5)의 하면에는 아래쪽으로 향해서 원통체(8)가 2개 소정 간격없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통체(8) 내주면에는 하단이 개방된 구멍(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리잠금편(1)은 하부판(6)에 인접하여 덮개(3)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맞대기부재(10)의 하부측으로 부터 나사(11)를 끼워맞춤시켜서 원통체(8)의 구멍(9) 속으로 나사결합시킴으로써 덮개(3)에 고정된다.
맞대기부재(10)는 원통체(8)와 대향하여 원추대 형상의 팽출부(10a)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 구멍(10b)속에 상기 나사(11)가 끼워맞춤된다.
한편 고리잠금쇠(1)의 선단부에는 돌출편(12)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돌출편(12)의 하면에는 선단으로 향해서 개방된 오목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13)의 개방단측의 양단부에는 안으로 향하는 손톱모양(13a)이 대향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 오목부(13) 중앙부에는 돌기부(136)가 본체(2) 방향에 향해서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한 돌출편(12)의 하면은 하부판(6)의 하면과 동일면이다.
한편 본체(2)는 상부틀(14)과 하부틀(15)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틀(14)은 하방이 개방된 편평한 틀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앞측에는 상부판으로부터 하부판으로 향해서 직각으로 측벽(1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측벽(16) 내측 하단부에서 또 좌우대칭의 위치에서는 흠(16a)이 측벽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또 측벽(16)의 좌우양측 가장자리로부터는 아암(17)이 후방으로 향해서 거의 직각 상태에서 연장되어 있다. 아암(17)은 상부틀(14) 좌우양측 가장자리와 동일면이며 그 자유단측에는 내측으로 향해서 거의 직각으로 절곡부(17a)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자우단측의 외측면에는 돌출부(17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돌출부(17b)를 양측으로부터 누르면 아암(17)의 자유단측 즉 절곡부(17a,17a)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할 수 있다.
또 상부틀(14)의 후단부 하면에는 중앙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소정의 길이에 걸쳐서 돌기부(18)가 형성되어 있다.
더우기 상부틀(14)의 후단부 근방 양측에는 상기 절곡부(17a) 근방에 있어서 하방으로 향해서 다리(19)가 직각을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다리(19,19) 하단부 근방에는 개구부(19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부틀(14)의 거의 중앙부에는 사각형의 개구부(20)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개구부(20)를 전후 방향에 따라서 탄성적인 브리지(20a)가 횡단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브리지(20a)는 제3도 중앙측으로 향해서 볼록부로 되도록 만곡형성되어 있으며 또 개구부(20)의 좌측에 의한 위치로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중 우측 가장자리 중앙부에는 단면이 반원 형상의 돌기(20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브리지(20a)는 볼록부측으로부터 외력을 받으면 내측으로 향해서 탄성변형할 수 있다.
또 상부틀(14) 상면에는 개구부(20)에 끼여서 좌우대칭인 상태로 편평한 돌리부(14a)가 거의 L자 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20)를 이용하여 로크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부 슬라이더판(21,22)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측에 위치하는 슬라이더판(21)은 상기 돌기부(14a,14a) 사이의 간격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지는 장방형의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그 상면에는 폭방향으로 횡단하여 복수조의 볼록형(21a)이 소정의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그 상부측의 슬라이더판(21) 하면에는 제5도 도시하는 바와같이 3개의 돌리편(23,24,25)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들 3개의 돌기편(23 내지 25)은 서로 평행하며 또 슬라이더판(21)에 길이방향에 따라서 돌출설치되어 있다.
좌우양측에 위치하는 미끄러지는 돌기편(23,25) 외측간의 간격은 상기 개구부폭과 거의 동일하며 근 선단부에는 외측으로 향해서 후크(23a,25a)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중앙에 위치하는 돌기편(24)의 선단은 단면이 거의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 돌기편(23 내지 25) 높이는 모두 같다.
각 돌기편(23 내지 25)은 상부틀(14)의 상부측으로 부터 개구부(20)속으로 끼워맞춤된다.
한편 하측에 위치하는 슬라이더판(22)은 전체로서 거의 정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감 각부에는 절결부(22a)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 그 중앙부에는 장방형의 개구부(22b)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22b)길이는 돌리편(23,25)의 외측 사이의 간격과 거의 같고 그 폭은 각 돌기편(23 내지 25)의 폭과 같다.
그런데 상부측 슬라이더판(21)의 돌리판(23 내지 25)은 개구부(20)에 끼워맞춤되지만 이때 중앙에 위치하는 돌기편(24)은 상기 브리지(20a)의 돌기(20b)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돌리편(24)및 좌우 돌기편(23,25)은 하부측의 슬라이더판(22) 개구부(22) 속으로 끼워맞춤되는 동시에 후크(23a,25a)를 거쳐서 가 돌리편(23,25)이 내측으로 향해서 탄성변형하며 후크(23a,25a)가 개구부(22b)를 통과하면 원래상태로 귀환하며 후크(23a,25a)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부측의 슬라이더판(22)의 하면에 형성된 계단부(22c)에 후크되며 상부틀(14)을 끼워서 상하 슬라이더판(21,22)이 일체화되며 일체적으로 개구부(20)속을 이동할 수 있도록 된다.
한편 하부틀(15)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하부틀(15)은 거의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앞쪽단부 가장자리에는 측판(26)이 상방으로 향해서 돌출설치되어 있다. 측판(26)의 길이는 하부틀(15) 자신의 폭보다도 약간 짧으며 그 좌우의 양단 기초단부에는 상부틀(14)의 측벽(16) 홈(16a)속으로 끼워맞춤된다. 단면이 삼각형상의 돌기부(26a)가 수평상태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 이 블록(27)과 나란히 또 하나의 블록(27b)이 한단높게 형성되어 있다. 이 블록(27b)의 외측면은 상부틀(15)의 외측 가장자리와 동일평면내에 있다. 이 블록(27b)에는 상하로 관통하여 구멍(27c)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 하부틀(15)의 배면측에는 좌우 대칭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2개의 가늘고 긴 개구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개구부(28)의 고리잠금편(1)측 단부에는 외방으로 향해서 팽출부(28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 개구부(28) 사이에 또 하나의 가늘고 긴 개구부(28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28)와 대응하여 하부틀(15) 상면에 좌우한쌍의 아암(29)이 설치되어 있다. 각 아암(29)의 기초 단부는 상기 측판(26)측과 일체화되어 있으며 그 자유단측에는 외측으로 향해서 개구부(28)의 팽출부(28a)와 동일형상의 팽출부(29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아암(28,29) 사이에는 가늘고 긴 개구부(30,30)를 거쳐서 안내부재(31)가 설치되어 있다. 안내부재(31)도 그 기초단부는 측판(26)과 일체화되어 있으며 그 선단은 포오크형으로 갈라져 좌우한쌍의 안내아암(32,32)이 형성되며 양자 사이에는 가늘고 긴 절결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33)는 개구부(28b)보다 폭이 좁으며 또 개구부(28b)에 관통하여 있다.
또 번호(34)로 도시한 것은 맞대기 부재이며 하부틀(15)의 전체 형상과 거의 동일의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네모퉁이 근방에는 원추대 형상의 팽출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팽출부(35)에는 구멍(35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구멍(35a)과 대향하여 하부틀(15)의 배면에는 구멍(36a)을 가지는 원통체(36)가 일체적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맞대기부재(34)는 가방본체(4) 하측에 포개지며 구멍(36a) 속으로 나사(37)를 넣어서 본체(4)를 관통시켜서 하부를(15)의 원통체 구멍(36a) 속으로 나사 걸합됨으로써 고정시킨다.
한편 제16도, 제1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부틀(15)의 개구부(28b) 기초단부측에는 한단 낮은 상태에서 계단부(3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계단부(38)에는 돌기(38a)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 계단부(38)와 대향하여 개구부(28b)의 다른 단측에는 동일높이의 계단부(39)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계단부(38,39)를 이용하여 개구부(28b)는 커버(40)에 의해서 폐쇄된다. 커버(40)는 개구부(28b)와 거의 동일 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일단에는 상기 돌기(38a)가 끼워맞춤 고정되는 구멍(40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아암(32,39)를 내측에는 절결부(33)와 이것보다 폭이 더 넓은 개구부(28b)가 관통하는 공간으로 형성되는 계단부와 상기 커버(40)에 의해서 덮여진 상태에서 스프링(41)의 일단 즉 안내아암(32,32)의 선단 사이측에는 접촉대(42)가 끼워맞춤 고정되어 있디,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 및 사용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고리잠금편(1)은 가방덮개(3) 측에 맞대기부재(10)를 거쳐서 나사(11)에 의해서 고정되며 본체(2)는 고리잠금편(1)과 대향하여 맞대기부재(34)를 거쳐서 가방본체(4)측에 나사(37)에 의해서 고정된다.
그리고 고리잠금하는 이전에 있어서는 제6도,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측 슬라이더판(21)은 도면에서 오른쪽으로 끌어당겨져 있다. 그결과 하부측 슬라이더판(22)도 오른쪽으로 끌어당겨져서 하부틀(15) 측판(26) 내측에 접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돌출부(17b)를 거쳐서 아암(17)를 내측으로 향해서 눌러도 절곡부(17a)는 하부측 슬라이더판(22)에 접하지 않는다.
또한 이때 상부측 슬라이더판(21)의 돌기편(24)은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브리지(20a)의 블록측에 접하고 있으며 또 도면에서 돌기(20b)의 오른쪽으로 접하고 있으며 그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고리잠금편(1)을 본체(1) 측에 접근해서 돌기편(12)을 상하부틀(14,15)의 개구단부측으로부터 삽입한다. 그러면 손톱모양(13a,13a)이 아암(29,29)의 팽출부(29a)의 외측면에 따라서 나아가서 각 아암(29,29)을 내측으로 향해서 탄성변형시킨다. 그리고 손톱모양(13a,13a)이 팽출부(29a,29a)를 타고넘으며 아암(29,29)이 원래상태로 복귀하며 손톱모양(13a)이 팽출부(29a)에 걸려서 로크된다.
이 상태를 제11도에 도시한다. 이때에는 돌기부(13b)는 안내아암(32) 사이로 끼워넣어서 접촉대(42)를 눌러서 스프링(41)을 압축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가방덮개는 로크된다.
그리고 잠금실시상태에 있는 고리가 잘못하여 풀려지지 않도록 하는데는 상부측 슬라이더판(21)을 고리잠금편(1) 측으로 누른다. 그러면 돌기편(23 내지 25)를 거쳐서 하부측 슬라이더판(22)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중앙에 위치하는 돌기편(24)이 브리지(20a)를 탄성변형시켜서 돌기(20b)를 타고 넘으며 제1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부측 슬라이더판(22)의 절결부(22a)와 아암(17)의 절곡부(17a)가 대향하여 접하며 아암(17)을 눌러도 아암(29)을 누를수가 없어서 고리가 해제되지 않는다.
한편 고리를 해제하고 싶은 경우에는 제14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아암(17,17)을 돌기(17b)를 거쳐서 내측으로 향해서 누른다. 이결과 아암(17,17)이 내측으로 향해서 탄성변형하여 아암(29,29)의 팽출부(29a,29a)가 손톱모양(13a,13a)으로부터 분리되어 로크는 해제된다. 그러면 스프링(41)의 탄격에 의해 고리잠금편(1)의 돌기부(13b)가 접촉대(42)을 거쳐서 안내아암(32)로부터 압출하여 덮개(3)는 열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원터치로 고리해제를 행하여 가방덮개를 열수가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고리잠금편 및 본체를 합성수지로 성형하며 본체는 상부틀과 하부틀을 끼워서 착석만 하므로 상부틀의 아암(17,17)의 절곡부(17a,17a)를 하부틀의 아암(29,29) 외측에 맞대는 동시에 상부틀의 상판을 끼워서 설치된 상하부 한쌍의 슬라이더판의 하부측 슬라이더판이 절곡부(17a,17a)와 길이 결합 또는 이격되는 위치로 미끄럼가능하게 구성할 수가 있으므로 제작이 현저하게 용이하며 고리잠금편을 압출하는 스프링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고리해제시에 있어서는 한손으로 원터치로 가방덮개를 열수가 있으며 고리잠금, 고리해제를 확실하고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고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합성수지로 성형되며 가방덮개측에 고정되는 고리잠금편(1)과 가방본체측에 고정되는 본체(2)로부터 구성되며, 상기 고리잠금편(1) 선단부에는 돌기편(12)이 형성되며, 상기 고리잠금편(1) 선단부에는 돌기편(12)이 형성되며 그 이면에는 오목부(13)가 형성되고 오목부(13) 선단부 양측에는 대향하여 손톱모양(13a)이 형성되며 오목부(13) 중앙부에는 돌기부(13b)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2)는 상부틀(14)과 하부틀(15)을 일체화시켜서 구성되며 상부틀(14)에는 그 좌우양측에 선단부에 내측으로 향해서 절곡부(17a)가 형성된 탄성변형가능한 아암(17, 17)과 상부틀의 상부판을 끼워서 상하 전후방향으로 일정거리 미끄럼 운동가능한 상하 한쌍의 슬라이더판(21, 22)이 설치되며 하부틀(15)에는 그 밑판상에 전후방향에 거쳐서 또 고리잠금편(1) 측이 자유단으로 되며 이 자유단 외측에는 고리잠금편(1)의 손톱모양(13a)과 길이결합하는 팽출부(19a)가 형성돤 좌우 한쌍의 탄성을 가지는 아암(29, 29)과 이들 아암(29, 29) 사이에 있어서 하부틀(15)상에 아암(29)과 평행상으로 형성된 좌우 한쌍의 안내아암(32, 32)과, 아들 안내아암(32, 32) 사이에 수용되며 상기 고리잠금편(1)의 돌기부(13b)와 길이결합하는 스프링(41)과, 하부틀(15)의 양측상면에 상기 고리잠금편의 돌출편(12)을 안내하는 한쌍의 블록(27b, 27b)이 설치되며 상기 아암(17, 17) 각각의 절곡부(17a)의 선단부는 아암(29, 29) 외측 근방에 맞닿으며 하부측 슬라이더판(22)은 상기 절곡부(17a, 17a)와 길이 결합하는 위치와 이것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로 슬라이더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
KR2019870004448U 1986-10-13 1987-04-02 고리 KR89000695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6156309U JPH0448300Y2 (ko) 1986-10-13 1986-10-13
JP156309 1986-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430U KR880007430U (ko) 1988-06-27
KR890006954Y1 true KR890006954Y1 (ko) 1989-10-13

Family

ID=31077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4448U KR890006954Y1 (ko) 1986-10-13 1987-04-02 고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448300Y2 (ko)
KR (1) KR89000695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9718A (ko) * 2001-08-30 2003-03-07 대우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세제 투입장치
KR100419906B1 (ko) * 2001-12-12 2004-02-25 경원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세탁기용 촉매제 공급장치
KR100419904B1 (ko) * 2001-12-12 2004-02-25 경원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세탁기용 촉매제 공급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9718A (ko) * 2001-08-30 2003-03-07 대우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세제 투입장치
KR100419906B1 (ko) * 2001-12-12 2004-02-25 경원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세탁기용 촉매제 공급장치
KR100419904B1 (ko) * 2001-12-12 2004-02-25 경원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세탁기용 촉매제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62568U (ko) 1988-04-25
KR880007430U (ko) 1988-06-27
JPH0448300Y2 (ko) 1992-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4028Y1 (ko) 버클
KR100490092B1 (ko) 버클
JPH0719286Y2 (ja) バックル
US4951692A (en) Vanity case
KR890006954Y1 (ko) 고리
JPS6492Y2 (ko)
US5121954A (en) Closure for ends of band or the like
GB2242700A (en) Plastics snap fastener
KR20220025750A (ko) 칫솔 케이스 및 칫솔 세트
WO2023017566A1 (ja) コードストッパー
JPS6323334Y2 (ko)
EP0467088B1 (en) Closure for ends of band or the like
KR100248071B1 (ko) 서류철구
GB2284033A (en) Cable hose handling chain
JPS6239774Y2 (ko)
JPH0257552A (ja) 組立て式箱のコーナ連結具
JPH06198720A (ja) 把手付き合成樹脂製壜体とその成形方法
JP2562370Y2 (ja) 容器等の係止装置
JPH026812Y2 (ko)
JPS6426567U (ko)
JPS6236758Y2 (ko)
KR920009028Y1 (ko) 냉장고 도어의 코너캡
JPH0712287Y2 (ja) 容器の係止装置
KR940000729Y1 (ko) 단말기의 키보드 록킹장치
JPS6018792Y2 (ja) 冷蔵庫扉の容器案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0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